인어공주

The Little Mermaid
인어공주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지음
Edmund Dulac - The Mermaid - The Prince.jpg
인어공주 - 에드먼드 둘락의 삽화
원제목덴릴라브뤼
번역기메리 하우트
나라덴마크
언어덴마크어
시리즈2525318047
장르문학 동화
출판인C. A. 레이첼
발행일자1837년 4월 7일
영문판 출판1845
전문
위키소스인어공주
덴마크어 Wikisource의 Den lilleavfrue

"인어공주"는 덴마크 작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쓴 덴마크 문학 동화이다.이야기는 인간의 영혼을 얻기 위해 인어공주로서의 삶을 기꺼이 포기하려는 젊은 인어의 여정을 따라간다.이 이야기는 1837년 어린이를 위한 동화 모음집의 일부로 처음 출판되었다.원래 이야기는 민속학자 마리아 타타르뿐만 아니라 제이콥 뵈길드와 페르닐 헤가르 같은 학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 분석의 주제가 되어 왔다.이 분석들은 주제를 해석하는 것에서부터 안데르센이 왜 해피엔딩으로 비극적인 이야기를 쓰기를 선택했는지에 대한 논의까지 이야기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다.뮤지컬, 애니메이션, 발레, 오페라, 영화 등 다양한 매체에 각색되었다.이 이야기가 쓰여지고 처음 출판된 덴마크 코펜하겐에는 인어를 묘사한 동상도 있다.

플롯 요약

인어공주는 바닷속에서 인간상을 발견하여 소중히 여긴다.

인어공주는 미망인 아버지(Mer-King), 할머니, 그리고 각각 한 살 차이로 태어난 다섯 명의 언니들과 함께 수중 왕국에서 살고 있다.인어는 15살이 되면 처음으로 수면으로 헤엄쳐 올라가 세상을 볼 수 있게 되고, 자매가 충분히 나이가 들면 각각 365일에 한 번씩 상류세계를 방문한다.각자가 돌아올 때, 인어공주는 인간이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한 그들의 다양한 묘사에 애타게 귀를 기울인다.

인어공주의 차례가 오면 수면 위로 떠올라 배 위에서 잘생긴 왕자를 기리는 생일 축하 행사를 지켜본 뒤 안전한 거리에서 인어공주와 사랑에 빠진다.그러자 거센 폭풍이 몰아치면서 배가 침몰하고 인어공주는 왕자가 물에 빠진 것을 구한다.그녀는 그를 의식을 잃고 사원 근처 해안으로 데려간다.여기서, 인어공주는 사원의 젊은 여성과 기다리고 있는 그녀의 숙녀들이 그를 찾을 때까지 기다립니다.그녀가 실망스럽게도, 왕자는 인어공주를 보지 못하거나 심지어 그의 생명을 구한 사람이 그녀라는 것조차 깨닫지 못한다.

인어공주는 우울해져서 그녀의 할머니에게 인간이 영원히 살 수 있는지 묻는다.할머니는 인어공주보다 수명이 훨씬 짧지만 천국에서 영생하는 영원한 영혼을 가진 반면 인어공주는 죽으면 바다거품이 돼 없어진다고 설명한다.왕자와 영원한 영혼을 갈망하는 인어공주는 바다의 위험한 지역에 살고 있는 바다 마녀를 방문한다.마녀는 그녀의 아름다운 목소리와 맞바꾸어 다리를 주는 물약을 팔면서 기꺼이 그녀를 돕는다. 인어공주는 세상에서 가장 매혹적인 목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마녀는 인어공주에게 인간이 되면 다시는 바다로 돌아갈 수 없다고 경고한다.물약을 먹으면 마치 검이 몸에 들어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회복되면 인간의 다리가 두 개 있고, 그 어느 누구도 추지 못한 춤을 출 수 있을 것이다.하지만, 그녀는 끊임없이 날카로운 칼 위를 걷는 것처럼 느낄 것이다.게다가, 그녀는 왕자의 사랑을 얻고 그와 결혼해야만 영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왕자의 영혼의 일부가 그녀에게 흘러들어갈 것이기 때문이다.그렇지 않으면, 다른 사람과 결혼한 첫날 새벽에 인어공주는 실연당한 채 죽어서 파도 위에서 바닷거품으로 녹아내릴 것이다.

그녀가 합의에 동의한 후, 인어공주는 왕자의 성 근처 수면으로 헤엄쳐 올라와 물약을 마신다.그 액체는 그녀의 몸을 관통하는 검처럼 느껴지고 그녀는 벌거벗은 채 해안가로 기절한다.그녀는 벙어리임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아름다움과 우아함에 매료된 왕자에게 발견됩니다.무엇보다도 그는 그녀의 춤을 보는 것을 좋아하고, 그녀는 걸음마다 극심한 고통을 겪으면서도 그를 위해 춤을 춘다.곧, 인어공주는 왕자가 가장 좋아하는 동반자가 되고 왕자의 많은 외출에 동행하지만 인어공주는 전혀 그녀와 사랑에 빠지지 않는다.왕자의 부모가 그들의 아들에게 이웃 공주와 중매결혼을 권유하자, 왕자는 인어공주에게 그가 공주를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그는 계속해서 자신을 구해준 것으로 믿는 사원의 젊은 여자만 사랑할 수 있다고 말한다.이웃 왕국의 공주는 교육을 위해 절에 보내진 여자로 밝혀졌다.왕자는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왕실의 결혼식이 즉시 발표된다.

인어공주 자매는 인어공주에게 칼을 준다.

왕자와 공주는 결혼식 배 위에서 그들의 새 결혼을 축하하고 인어공주는 가슴이 찢어진다.그녀는 자신이 희생한 모든 것과 왕자를 위해 참았던 모든 고통을 생각한다.그녀는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죽음을 생각하며 낙담하지만, 동트기 전에 그녀의 언니들이 물 밖으로 일어나 바다의 마녀들이 그들의 길고 아름다운 머리카락과 맞바꾸어 준 단검을 그녀에게 가져다 준다.만약 인어공주가 왕자를 죽이고 그의 피가 그녀의 발에 떨어지게 한다면, 그녀는 다시 인어가 될 것이고, 그녀의 모든 고통은 끝날 것이고, 그녀는 그녀의 가족과 함께 바다에서 그녀의 완전한 삶을 살게 될 것이다.그러나 인어공주는 새 아내와 누워있는 잠든 왕자를 차마 죽일 수 없었고, 그녀는 날이 밝아오자마자 단검과 자신을 배 밖으로 던져버린다.그녀의 몸은 거품으로 녹아내리지만, 존재하기 위해 멈추는 대신 따뜻한 태양을 느끼고 자신이 빛나고 천상의 흙에 갇힌 영혼, 즉 공기의 딸로 변했다는 것을 발견한다.인어공주가 대기로 올라가자 다른 딸들이 그녀를 맞이하는데, 다른 딸들은 그녀가 불멸의 영혼을 얻기 위해 정성을 다했기 때문에 그들처럼 되었다고 말한다.그녀는 이타심 때문에 300년 동안 인류를 위해 선행을 함으로써 자신의 영혼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언젠가 천국에 오를 것이다.

출판

"인어공주"는 1836년에 쓰여졌고 C.A.에 의해 처음 출판되었다.1837년 4월 7일 코펜하겐에서 열린 '어린이에게 들려주는 동화'의 첫 컬렉션 레이첼(Eventyr, Börn의 포르탈테). Förste Samling. Tredie Hefte. 1837). 이야기는 1849년 12월 18일 동화책의 일부로 다시 출판되었다. 1850년), 1862년 12월 15일 동화책 제1권의 일부로 다시. (Eventyr og Histories) Förste Bind. 1862).[1]

비판적 대응

결말에 대한 논쟁

원본 원고, 마지막 페이지

이 이야기의 작업 제목은 [2]"공기의 딸들"이었다. 안데르센이 상상한 것처럼 300년 동안 선행을 함으로써 영혼을 얻을 수 있는 영혼이다.이야기의 마지막에, 이 영혼들 중 한 명은 인어공주에게 그들이 할 수 있는 한 많은 선한 일을 한다고 설명한다. 그래서 그들은 그 해 말에 불멸의 영혼을 받고 "[3]인류의 행복에 참여할 수 있다".정령들은 또한 인어공주가 왕자를 죽이는 것을 거부했고 여전히 사람들에게 좋은 일을 하면서 고통에 많은 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그녀는 "영혼의 세계로" 성장했고 공주의 딸들과 함께 300년 동안 선행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안데르센은 인어공주가 결혼을 통해 영혼을 얻는 또 다른 이야기인 운디네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의 결말은 개선되었다고 느꼈다.1837년, 그의 원고를 완성한 직후, 안데르센은 친구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는 운디네의 모트 푸케처럼 인어가 불멸의 영혼을 얻는 것을 외계 생명체와 인간의 사랑에 의존하도록 허락하지 않았습니다.그건 틀렸다고 확신해!운에 따라 다르겠죠?그런 일은 이 세상에서 용납할 수 없다.저는 인어가 더 자연스럽고 신성한 [4][5]길을 가도록 허락했습니다."안데르센은 이 이야기의 의미가 어른들에게 가장 잘 어필할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하지만, 나는 감히 그 아이도 그것을 즐길 것이고, 분명히 고려된 대단지 자체가 [6]그 아이를 사로잡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라고 썼다.

Mary Poppins의 저자이자 유명한 민속 해설가인 P. L. Travers는 "이 마지막 메시지는 이 이야기에서 제시된 어떤 것보다도 더 무섭습니다.이 이야기는 빅토리아 시대의 도덕적인 이야기로 귀결된다 아이들을 겁주어 좋은 행동을 하게끔...앤더슨, 이건 협박이야그리고 아이들은 그것을 알고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너그러움도 있다.[2][7]

제이콥 뵈길드와 페르닐 히가르 같은 다른 학자들 역시 결말이 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알아차렸다.그들은 인어의 죽음에 이르는 사건들은 비극으로 끝나야 하지만, 갑작스런 반전이 이야기를 희망적인 성공으로 마무리 짓게 해준다고 지적한다.Böghild와 Heegaard는 이 엇갈린 결말은 안데르센의 감상성과 종교적 믿음의 결과가 아니라, 그가 이야기의 나머지 부분에서 설정한 비극적인 길로부터 벗어나려는 그의 선택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이상화된 신체와 이상에 대한 안데르센의 회의론에서 비롯된 모호함에 대한 의식적인 선택이었다고 주장한다.종교적 [8]상징

그러나 쇠렌 바게센과 제임스 매센갈레를 포함한 다른 비평가들은 결말이 붙는 것이 아니라 종교적인 [9]이야기로서 이야기의 자연스러운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주제와 해석

"당신이 원하는 걸 알아요." 해리 클라크가 조각한 바다 마녀가 말했다.

마리아 타타르의 "주석된 고전 동화"에서, 작은 인어가 바다 생물에서 인어로, 그리고 나서 공기의 생물로 변신하는 것은 안데르센의 끊임없는 불변성과 [10]정체성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타타는 또한 인어공주가 사랑만을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타타르의 해석은 미지의 것, 금지된 것에 대한 인어의 매혹과 처음부터 시야를 넓히려는 의도에서 나타난 탐색적 호기심을 가진 희귀한 여주인공이다.왕자를 보기 전부터 정원의 꽃을 태양 모양으로 가꾸고, 할머니와 언니들의 수면 이야기를 듣고, 왕자의 생일 축하 때 왕자의 오두막 창문을 통해 들여다보는 등 바다 위의 세계를 방문하고 싶은 강렬한 갈망을 보여준다.타타는 인어가 무엇보다도 세상을 탐험하고 그녀가 이미 알고 있는 것 이상의 것들을 발견하기를 원한다고 주장한다.위의 세계는 그녀의 세계보다 더 커 보이고 그녀의 모험심을 발휘할 수 있는 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이것은 왕자가 말을 타고 그와 함께 땅을 탐험할 수 있도록 그녀를 위해 만들어진 페이지보이의 의상을 가지고 있을 때 이야기의 일부 버전에서 입증된다.여기서, 그녀의 여장 의지는 성별의 경계를 넘어서 세상을 볼 수 있는 위험을 감수하려는 의지를 의미한다.타타는 이것이 [11]정체성의 변화에 대한 안데르센의 관심사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녀의 분석에서 Virginia Borges는 이 이야기가 사랑과 자기희생, 그리고 [12]사랑의 이름으로 학대나 배려 없는 대우를 받아들이는 것의 위험성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수잔 화이트는 이 이야기를 언어 순서와 상징적으로 [13]남성적인 것으로 이해되는 사회적 상징(권력, 정치, 대리)으로 소녀가 쉽게 넘어가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예술가 펜 달튼은 로라 멀비의 예술적 페티시즘 해석을 이용해 인어공주를 페티시즘적인 옷차림과 연결시키고 남성적인 [14]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강박적인 성형수술을 연결시켰다.

릭터 노튼은 "My Dear Boy: Gay Love Letters through the Centures"에서 "인어공주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에드바드 [15]콜린에게 보낸 러브레터로 쓰여졌다"는 이론을 세웠다.이것은 인어공주가 쓰여진 시기에 콜린이 젊은 여성과 약혼했다는 소식을 듣고 안데르센이 콜린에게 쓴 편지에 바탕을 두고 있다.안데르센은 다음과 같이 썼다. "예쁜 칼라브리아 계집애처럼...너에 대한 내 감정은 여자에 대한 감정이야내 본성의 여성스러움과 우리의 우정은 [16]미스터리로 남을 것이다.안데르센은 또한 원작 이야기를 [17]콜린에게 보냈다.노튼은 이 서신을 콜린에 대한 안데르센의 동성애적 사랑의 선언으로 해석하고 인어공주를 안데르센의 [18]삶에 대한 우화로 묘사한다.

적응

NBC 텔레비전 쇼

1958년, NBC는 여배우 셜리 템플이 진행하고 내레이션을 맡은 미국 어린이 선집 시리즈인 셜리 템플의 스토리북이라는 새로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영하기 시작했다.이 시리즈는 마더 구스와 같은 동화를 각색하고 유명한 배우들에 의해 공연된 가족 지향적인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다.1958년 1월 12일부터 1958년 12월 21일까지 NBC에서 셜리 템플의 스토리북으로 16편의 흑백 및 컬러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1959년 [19]1월 12일부터 ABC에서 첫 번째 시즌 13편이 재방송되었다.25가지 컬러 에피소드의 두 번째 시즌은 1960년 9월 18일부터 1961년 7월 16일까지 NBC에서 셜리 템플 쇼로 방영되었다.

1961년 3월 5일 두 번째 시즌 22화로 각색된 인어공주를 방영했다.셜리 템플이 직접 인어공주를 연기했어요.원작과 달리 인어는 인간이 되기 위해 목소리를 포기하지 않지만, 인어가 자신을 발견한 공주와 사랑에 빠졌을 때 여전히 왕자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결국 그녀는 단검으로 왕자를 죽일 마음이 생기지 않자 바다에 몸을 던질 준비를 한다.넵튠이 직접 개입하여 그녀의 이타적인 행동으로 인해 그녀는 다시 인어가 되어 그녀의 가족과 다시 합류할 권리를 얻었고, 이야기는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소련의 장편 영화

이 1976년 러시아 장편 영화는 블라디미르 바이히코프가 감독했고 인어공주 역의 빅토리야 노비코바가 주연을 맡았다.이야기는 13세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다른 인어들이 선원들을 매료시켜 배를 바위에 충돌시킨 후, 인어공주는 왕자를 익사로부터 구한다.왕자는 지역 공주에 의해 구조되고 그의 보살핌이 회복된다.인어는 왕자와 결혼하려고 한다.여행 잡역부는 인어의 사랑을 도우려고 한다.그는 머리를 대가로 꼬리를 다리로 바꾸는 동네 마녀를 발견한다.왕자는 지역 공주와 결혼하게 되고 인어는 같은 날 죽게 된다.여행하던 잡역부는 왕자에게 싸움을 걸다가 죽임을 당한다.그의 희생은 인어를 죽음에서 구해주고 그녀의 영혼은 영원해진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디즈니 인어공주는 1989년 월트 디즈니 피처 애니메이션이 제작하고 부에나 비스타 픽처스 배급이 배급한 미국의 애니메이션 뮤지컬 판타지 로맨스 영화이다.대략 원작에 바탕을 둔 1989년 디즈니 영화는 인간이 되는 것을 꿈꾸는 아리엘이라는 인어 공주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에릭이라는 이름의 인간 왕자와 사랑에 빠진 후이다.클레멘트와 존 머스커각본, 제작, 감독하고 앨런 멘켄하워드 애쉬만이 음악을 맡았으며 조디 벤슨, 크리스토퍼 대니얼 반즈, 캐럴 등의 목소리가 그 중 특징이다.

인어공주는 원래 월트 디즈니의 초기 장편 영화 중 하나로 계획되었는데, 이 영화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20]이야기들을 담은 패키지 영화입니다.개발은 193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지만 여러 가지 [21]사정으로 인해 지연되었다.1985년, 론 클레멘츠는 위대한 생쥐 탐정 (1986)[22]에서 감독으로 일하는 동안 인어공주를 영화화한 것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클레멘트는 [23]서점을 둘러보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동화를 발견했다.이 이야기가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의 "이상적 근거"를 제공하고 [22]물속에서 벌어지는 영화를 만드는 데 열심인 클레멘츠는 다음 날 개발 가능한 아이디어에 동의한 디즈니 CEO 제프리 카젠버그에게 인어공주2페이지에 걸쳐서 쓰고 제시했다.1980년대 제작 중에 스태프는 우연히 케이 닐슨이 디즈니가 제안한 1930년대 안데르센 [20]피처링의 오리지널 스토리와 비주얼 개발 작업을 발견했다.1930년대 스태프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원작에 대해 한 많은 변화는 우연하게도 1980년대 [23]디즈니 작가들의 변화와 동일했다.

대중문화

인어공주상

인어공주 동상랑겔리니에 있는 코펜하겐 항구의 바위에 앉아 있다.이 작고 눈에 띄지 않는 동상은 코펜하겐의 아이콘이자 주요 관광 명소입니다.

칼스버그 창업자의 아들인 칼 야콥센이 동화를 소재로 한 발레에 매료된 후 1909년 이 조각상을 의뢰했다.조각가 에드워드 에릭센이 1913년 8월 23일 제막한 동상을 만들었다.그의 아내인 Eline Ericsen이 시신의 모델이었다.1909년 덴마크 왕립발레단 작품에서 인어공주를 추었던 발레리나 엘렌 프라이스가 머리와 [24]얼굴의 모델이었다.그 조각상은 여러 [25]차례 심하게 훼손되었다.

2010년 5월에는 코펜하겐 항구에서 처음으로 상하이의 엑스포 2010으로 옮겨져 2010년 [26]11월 20일까지 계속되었다.

모나코 공국의 인어공주상

'인어공주' 동상이 모나코의 라르보토 해변을 바라보고 있다.그녀는 2000년 크리스티안 달가드에 의해 모나코에 살고 있는 덴마크와 고 레이니에 3세 왕자의 재위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여러 층의 금속으로 만들어졌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Hans Christian Andersen: The Little Mermaid". The Hans Christian Andersen Centre. University of Southern Denmark Department for the Study of Cul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pril 2016.
  2. ^ a b "Annotations for Little Mermaid". SurLaLune Fairy Ta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14.
  3. ^ "The Little Mermaid". SurLaLune Fairy Tales. 2005. Retrieved 9 February 2017.
  4. ^ Frank, Jefferey (2005). The Stories of Hans Christian Andersen: A New Translation from the Danish. Raleigh, NC: Duke University Press. p. 104. ISBN 978-0822336938.
  5. ^ Wullschlager, Jackie (2001). Hans Christian Andersen: The Life of a Storyteller. Knopf. p. 171.
  6. ^ Johansen, Jørgen Dines (1996). "The Merciless Tragedy of Desire: An Interpretation of H.C. Andersen's 'Den Lille Havfrue.'". Scandinavian Studies. 68 (2): 239. JSTOR 40919857 – via JSTOR.
  7. ^ Altmann, Anna E.; DeVos, Gail (2001). Tales, Then and Now: More Folktales As Literary Fictions for Young Adults. Libraries Unlimited. p. 179. ISBN 1-56308-831-2.
  8. ^ "Summary of Jacob Bøggild & Pernille Heegaard: "H. C. Andersens 'Den lille Havfrue' – om tvistigheder og tvetydigheder" ["Ambiguity in Hans Christian Andersen's 'The Little Mermaid'"]". The Hans Christian Andersen Centre. University of Southern Denmark, Institute of Literature, Media and Cultural Stud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April 2016.
  9. ^ Massengale, James (1999). "The Miracle and A Miracle in the Life of a Mermaid". Hans Christian Andersen. A Poet in Time. Papers from the Second International Hans Christian Andersen Conference 29 July to 2 August 1996.
  10. ^ Tatar, Maria, The Annoted Classic Fairy Tales (뉴욕, 뉴욕: W.W. Norton & Company, 2002), 페이지 308.
  11. ^ 타타르, 마리아, 주석 달린 고전 동화 (뉴욕, 뉴욕: W.W. 노튼 & 컴퍼니, 2002), 페이지 305,311,315,320,323.
  12. ^ 2007년 5월 15일 웹페이지에서 버지니아주 보르헤스, A Million Little Mermairs[Usurped!], Journal of Mythic Arts Summer 2007에 실린 기사에 따르면,
  13. ^ 화이트, 수잔. (1993) 스플릿 스킨스, 여성 에이전시, 인어공주의 신체 절단.Collins, J & Radner, H (Eds)에서 영화 이론은 영화를 보러 간다.뉴욕: 루트리지.
  14. ^ Mulvey, L.(1973) 공포, 환상 그리고 남성 무의식 혹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모르십니까?스페어 립 매거진, Laura Mulvey, 2007년 "Visual and Other Fractings"에 전재
  15. ^ Norton, Rictor (1998). My Dear Boy: Gay Love Letters through the Centuries. United States: Leyland Publications. ISBN 0943595711.
  16.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서신, 에드 프레데릭 크로포드, 런던. 1891년.
  17. ^ von Essen, Leah Rachel (28 March 2017). "Queerness, Hans Christian Andersen, and The Little Mermaid". BOOK RIOT. Retrieved 6 September 2019.
  18. ^ Norton, Rictor (1998). "Gay Love Letters through the Centuries: Hans Christian Andersen". Gay History & Literature: Essays by Rictor Norton. Retrieved 6 September 2019.
  19. ^ Scott, Vernon (12 January 1959). "Shirley's Show Proves to Be Just Too Costly". The Bend Bulletin. Retrieved 4 May 2010.
  20. ^ a b Musker, John (2006). Audio Commentary from The Little Mermaid: Platinum Edition[DVD]. Walt Disney Home Entertainment.
  21. ^ "Disney's animated zombies: How classic stories are lost in reinvention". salon.com. 3 May 2014.
  22. ^ a b "Making Of... The Little Mermaid Behind The Scenes". The 80s Movies Rewind. Fast-Rewind.com. 2009. Retrieved 20 June 2013.
  23. ^ a b (2006) 미지의 보물: 메이킹 오브 디즈니의 '인어공주[다큐멘터리 특집]'인어공주의 보너스 자료: Platinum Edition DVD.월트 디즈니 홈 엔터테인먼트.
  24. ^ "The Little Mermaid". 28 November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1999. Retrieved 5 March 2019.
  25. ^ "Denmark may move Little Mermaid". BBC News. 30 March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6.
  26. ^ Yang, Jingzhong; Lu, Ming'ou (21 November 2010). "Copenhagen holds grand homecoming ceremony for Little Mermai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November 201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