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디자 포즈데라크
Hamdija Pozderac함디자 포즈데라크 | |
---|---|
제16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부통령 | |
재직중 1987년 5월 15일 - 1987년 9월 | |
대통령 | 라자르 모이소프 |
선행자 | 라자르 모이소프 |
성공자 | 라이프 디즈다레비치 |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3기 의원 | |
재직중 1986년 5월 15일 – 1987년 9월 15일 | |
선행자 | 브란코 미쿨리치 |
성공자 | 마토 안드리치(연기) 라이프 디즈다레비치 |
제5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산당연맹 회장 | |
재직중 1982년 5월 23일 – 1984년 5월 28일 | |
선행자 | 니콜라 스토야노비치 |
성공자 | 마토 안드리치 |
제4회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회의 의장 | |
재직중 1971년 7월 – 1974년 5월 | |
수상 | 드라구틴 코소바크 |
선행자 | 데말 비제디치 |
성공자 | 라토미르 듀곤지치 (대통령으로서) |
개인내역 | |
태어난 | 카진, SCS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5 1924년 1월
죽은 | 1988년 4월 7일 사라예보,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고슬라비아 | (64세)
국적 | 유고슬라비아 |
정당 | SKJ |
직업 | 정치인 |
함디자 포즈데라크(1924년 1월 15일 ~ 1988년 4월 7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치인이다. 1971년 7월부터 1974년 5월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회의 제4대 총재를 지냈다. 포즈데라크는 또한 1986년 5월 15일부터 1987년 9월 15일까지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3번째 멤버였으며 1982년 5월 23일부터 1984년 5월 28일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산주의 연맹의 제1대 대통령이었다. 1987년 9월 부정부패 사건으로 정계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그는 공산주의 시대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영향력 있는 정치인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1980년대 후반 그의 정계은퇴는 오늘날 보스니아 전쟁 이전의 가장 논란이 많은 사건 중 하나로 여겨진다. 포즈데라크는 유고 언론들이 미국의 워터게이트 스캔들과 비교한 1987년의 아그로코메르 사건 때문에 제거되었다.[1]
초년기
포즈데라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크로아티아 파시스트 독립국 정권에 대한 강한 저항으로 유명한 보스니아 최서단 지역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 보스니아계 이슬람 가문 출신이다. 전쟁 중에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청년동맹(SKOJ)과 반파시스트 당파 운동에 가담했다.
전쟁 중 보산스카크라지나 지역의 각종 군관 및 공직을 역임하였고, 몇 차례의 군관예우 및 공훈장을 수여받았다. 공산통치의 도래에 따라 포즈데라크 가문은 제2차 세계대전 중이나 이후 유고슬라비아 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누리자 포즈데라크와 함디자의 동생 하키자와 함께 유고슬라비아 정치에서 강한 입장을 확인하였다. 포즈데라크는 27년간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인 요시프 브로스 티토의 측근이었다.[citation needed]
교육
포즈데라크는 베오그라드 대학에서 철학 학위를 취득하는 등 고학력자였다. 모스크바에서 공부했고, 여러 사회학 연구를 발표했으며, 사라예보 대학의 정치학 교수였다.
정치 활동
포즈데라크의 정치는 그가 이념적으로 추종했던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에 관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그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SFR 유고슬라비아 정부에서 여러 고위직을 역임했으며 공산당의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거의 20년 동안 유고슬라비아 연방 헌법 위원회의 대통령이었습니다. 그의 정치적 승세는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빈곤 지역보다 보산스카 크라지나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서 시작되었다. 포즈데라크는 당시 소규모 지역 식품 제조업체였던 아그로코메르스에게 정치적 지원을 제공했는데, 이 회사는 나중에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큰 식품 제조 회사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아그로코메르크는 그 지역의 경제적 번영의 열쇠임이 증명되었다.[citation needed]
포즈데라크 대통령은 당시 빈곤했던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경제개혁이 1차 목표였지만, 포즈데라크 대통령은 일련의 논란과 위험천만한 정치 행보를 통해 세르비아 출신 민족주의자들과 맞서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늘날 그가 가장 중요한 보스니아 정치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1970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SFR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민족 중 하나로 보스니아 무슬림들을 인정한 개헌에서 그의 중요한 역할 때문이다. 비록 그의 정치적 성향은 중심에서 떠났고, 구 유고슬라비아의 민족주의 정치와 끊임없이 대립했지만, 포즈데라크는 필연적으로 현대 보스니아 민족이 출현하게 된 과정 수립에 기여했다.[citation needed]
보스니아의 세르비아 로비단체가 포즈데라크의 신임을 떨어뜨려 정치판에서 퇴출시키려 한 정치공세가 잇따랐다고 한다. 1980년대 초 Vojislav Schéshelj에 의해 한 번의 시도가 있었는데, 그는 사라예보 대학의 포즈데라크 학생 중 한 명이 자신의 논문의 일부를 표절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포즈데라크에 의해 처벌받지 않았다. 학생 브라노 밀주쉬는 공산당 내 고위층 인사였기 때문에 논란이 이어졌지만 셰셀즈의 노력은 결국 실패했다.[2]
사라예보 공정
그러나 가장 논란이 된 과정은 1983년 이른바 '사라예보 과정'이었다. 사라예보 과정은 알리자 이제베고비치가 이슬람선언문을 작성한 것에 대해 유죄판결을 내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포즈데라크는 세르비아 민족주의, 특히 1970년대의 헌법 개정으로 이슬람교도들에게 구성 민족성의 지위를 부여한 것을 되돌리려 했다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정치에 대한 자신의 정치적 반대를 재확인했다.
세르비아 로비가 보스니아는 정부에 반대하는 모든 사람들이 기소되고 보스니아 이슬람 공산주의자들이 무슬림 신자들을 기소하는 '다크 빌라예트'라고 주장하면서 '사라예보 과정'은 역효과를 냈다. 다른 이들은 "사라예보 과정"을 포즈데라크가 보스니아 독립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정치적 아마추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해석했다.[3]
이제트베고비치는 포즈데라크가 1990년에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직에 취임하는 것을 대신할 것이다.[4]
아그로코머크 사건
포즈데라크에 대한 공격은 1987년에 시작된 "Agrokomerc Affair"로 절정에 달했다. 1980년대 대표적인 식품제조업체 중 하나인 아그로코메르크는 회사가 적절한 금융지분 없이 수많은 고금리 약속어음을 발행하는 의심스러운 은행거래에 휩싸였다. 이러한 관행은 유고슬라비아 제도 내에서 흔히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그로코메르스와 다른 점은 피크렛 압디치 이사가 5억달러를 넘는 '무가치' 약속어음을 발행하면서 규모 감각을 잃었다는 점이다.
유고슬라비아의 250% 물가상승률을 촉발시킨 구 유고슬라비아의 최대 경제사안으로 언론이 보도하면서 문제는 더욱 첨예해졌다. 아그로코메르스의 초기 성장에 기여한 포즈데라크는 회사의 금융거래를 알고 있었다는 이유로 기소되었다. 그러나 그런 비난은 결코 입증되지 않았다.
포즈데라크에 대한 정치적 타격은 포즈데라크의 스캔들 연루를 입증할 대화가 담긴 오디오 테이프를 소유하고 있다는 압디치의 진술에서 비롯됐다. 테이프가 실제로 제시된 적은 없지만, 포즈데라크에 대한 정치적 압력은 1987년 9월에 절정에 달했고, 그 때 그는 정치에서 사임했다.[5]
이후 아브디치는 1990년 알리자 이제베고비치에 합류해 민주행동당(SDA)을 결성하고 1990년 보스니아 총선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선거에서 국민투표에서 승리했다.
레거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역사에 대한 포즈데라크의 역사적 중요성은 오늘날에도 역사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의되고 있다. 그는 공산주의 교리를 이념적으로 추종하고 서구 세계에서 보는 특정 자유를 존중하지 않는 과정을 언론의 자유와 같은 핵심 민주주의 원리로 설정해 비판을 받고 있다. 그는 또한 족벌주의의 톱니바퀴라는 비난을 받았고 비록 그가 직접 그 전술에 동의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분명히 그것을 이용했다. 그 결과 포즈데라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포즈데라크 가문이 정치계에 계속 존재하는데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Pozderac이 운영한 맥락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볼 필요가 있다. 공산주의 체제의 일부인 포즈데라크는 체제 내에서만 정치적 승위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여기에 발칸반도의 총대주교적 성격을 더한다면 그의 강력한 지도력은 공산주의 시대의 S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차이를 만들 수 있는 유일한 강력한 힘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는 정치, 법률, 철학적, 종교, 문학, 예술적, 기타 진보들이 경제적 진보를 바탕으로 한다는 신념의 추종자였다. 포즈데라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경제 활성화를 이끈 과정을 이행한 공로를 인정받아 유고슬라비아 내 보스니아의 문화적 독립성과 정체성 강화에 기여했다.
포즈데라크는 운동 지도자로 볼 수 없고 체제 내에서 일함으로써 변화의 기회를 본 인내심 있고 원칙적인 정치인으로 볼 수 있다.
그의 유산은 확실히 이미 인정받은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인들과 함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의 구성원으로서 이슬람교도들을 헌법적으로 인정하는 데 기여했고, 그러한 권리를 보호하는 그의 끈질긴 입장으로서 공로를 인정받을 수 있다. 그는 또한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의 주권을 보호하는 일에 지속적으로 힘써왔고, 그가 비판받게 될 몇 가지 과정을 시작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가 당시 유고슬라비아 정치에 관여하지 않았더라면 보스니아는 독립을 추구할 정치적이거나 다른 힘을 갖지 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990년대[6]
참조
- ^ Stojić, Mile (2004). "Ally of Bosnia's unity". Bosnian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Retrieved 11 May 2010.
- ^ Borogovac, Muhamed (1997). "Analysis and Studies About The War Against Bosnia; The War in Bosnia - part two; Chapter 2; Bosnia-Herzegovina Within Yugoslavia; Bosnia-Herzegovina before the "Agrokomerc Affair"". Bosanski Kong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10. Retrieved 10 June 2010.
- ^ Borogovac, Muhamed (1997). "Analysis and Studies About The War Against Bosnia; The War in Bosnia - part two; Chapter 2; Bosnia-Herzegovina Within Yugoslavia; Bosnia-Herzegovina before the "Agrokomerc Affair"". Bosanski Kong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10. Retrieved 10 June 2010.
- ^ Sells, Michael (2003). "Crosses of Blood: Sacred Space, Religion, and Violence in Bosnia-Hercegovina".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11 May 2010.
- ^ Borogovac, Muhamed (1997). "Analysis and Studies About The War Against Bosnia; The War in Bosnia - part two; Chapter 2; Bosnia-Herzegovina Within Yugoslavia; Bosnia-Herzegovina before the "Agrokomerc Affair"". Bosanski Kong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10. Retrieved 10 June 2010.
- ^ Borogovac, Muhamed (1997). "Analysis and Studies About The War Against Bosnia; The War in Bosnia - part two; Chapter 2; Bosnia-Herzegovina Within Yugoslavia; Bosnia-Herzegovina before the "Agrokomerc Affair"". Bosanski Kong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January 2010. Retrieved 10 June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