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네스 페튀르손

Hannes Pétursson
하네스 페튀르손
Verleihung Henrik-Steffens-Preis 1975 der Alfred-Töpfer-Stiftung F.V.S. an Lyriker Hannes Petursson (Kiel 66.121).jpg
1975년 하네스 페튀르손
태어난 (1931-12-14) 1931년 12월 14일(90세)
아이슬란드, 사우다르크로쿠르
모교아이슬란드 대학교
직종.

하네스 페투르손(Hannes Pétursson, 1931년 12월 14일 ~ )은 아이슬란드시인이자 작가이다.그는 현존하는 아이슬란드 시인 중에서 가장 널리 번역된 시인이다.[1]그는 1975년 독일 헨릭 슈테펜스상과 1993년 시집 엘딜루르아이슬란드 문학상을 받았다.

전기

한네스는 사우다르크로쿠르에서 태어나 레이캬비크에서 교육을 받았다.그의 첫 시집인 크베다보크를 출간했을 때 그는 23세였다.[2]그는 1959년 아이슬란드 대학에서 아이슬란드학과 언어학을[3] 수료했으며 1959년부터 1976년까지 문화출판사 보카우가파 메닝가르조드에서 일했다.1966년까지 그는 이미 아이슬란드의 대표적인 [4]시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Hannes는 시집, 소설집, 서사적 요소, 단편 소설과 여행기, 시인 Steingrimur Thorsteinsson에 대한 책, 문학에 대한 참고서, 그리고 많은 [5]번역서를 저술했습니다.그는 1993년 시집 엘딜루르아이슬란드 문학상을, 1975년 [6]독일 헨릭 슈테펜스상을 받았다.세계문학투데이(World Literature Today)의 한 작가는 그가 아이슬란드 문학상을 수상했을 때, "하네스 페투르손은 오랫동안 아이슬란드의 가장 저명한 시인 중 한 명이었지만, 그는 지금보다 더 잘한 적이 없었다.그의 솜씨는 [7]흠잡을 데 없다.그는 아이슬란드의 명예 작가입니다.그의 시는 12개 [1][8]언어로 번역되었다.

스타일.

그의 시 작품은 대부분 자유 형식이며, 국가 전통, 전설, 문화 유산, 국가 노래, 민속 등에 대한 언급이 많다.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하네스 페투르손의 초기 작품들은 아이슬란드어를 새로운 유럽 미터기에 적응시키는 대단한 감수성과 기술을 보여준다"고 말한다.페투르손의 후기 시들(Ur hugskoti 컬렉션 [1976; "Recollections"))은 혁신적인 형식에서 좀 [9]더 전통적인 형태로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그의 산문 중 일부에서, Hannes는 sagnaæettir로 알려진 전통적인 아이슬란드 형식을 사용해 왔다.독특한 형태와 양식을 가진 사그나예티르는 구전이나 [10]기록으로 특정 장소의 역사적 사건을 기록한다.

선정된 작품

  • 크베다보크, 1955년
  • 1959년 여름 계곡에서 II sumardölum.
  • 1962년 Stundog staddir (시대와 장소)
  • 스티잉리무르 토르스테인슨, Lif Hans Og 리스트, 1964년
  • 슈타이나르 오그 스테르키르 리티르, 1965년
  • 인룬드, 1968년
  • Rimblöd (운율 페이지), 1971년.
  • Islenzkt skaldatal 1.2, 1973-1976.
  • 라우다미르쿠르, 1973년
  • Odur um Island, 1974년.
  • 우르 후그스코티, 1976년
  • 헤임킨니 비드조, 1978년
  • 크베다필그스니, 1979년
  • 36 ljud, 1983년
  • Fra Ketubjörgum, 1990년까지 Klaustra.
  • 1991년, Aintöl á vegferdum.
  • Eldylur(불구덩이), 1993년.
  • Fyr kvölddyrum, 2006.

산문

  • Sögur ad nordan, 1961년.
  • 로다브레프(시편지), 1973년.
  • 미스 매너 라니 1.-3. 1982-1987.

레퍼런스

  1. ^ a b Bredsdorff, Elias (1988). Scandinavica. Academic Press. p. 168.
  2. ^ "Ljóðasafn - Hannes Pétursson" (in Icelandic). Forlagid.is. Retrieved 16 July 2012.
  3. ^ Sigurður A. Magnússon (1982). The Postwar poetry of Iceland. University of Iowa Press. ISBN 978-0-87745-115-0. Retrieved 16 July 2012.
  4. ^ Iceland Review. 1966. Retrieved 16 July 2012.
  5. ^ Bédé, Jean Albert; Edgerton, William Benbow, eds. (1980). "Pétursson, Hannes (1931– )". Columbia Dictionary of Modern European Literature (2nd ed.). Columbia University. p. 615. ISBN 9780231037174.
  6. ^ Stiftung F.V.S. zu Hamburg (1975). Verleihung des Henrik-Steffens-Preises ... an Hannes Pétursson am 13. Juni 1975 (in German). OCLC 46013233.
  7. ^ "World literature today". World Literature Today. 68: 634. 1994. ISSN 0196-3570.
  8. ^ 그가 번역한 시집에는 다음이 포함된다.Tid och 럼: dikter i svensk tolkning av Ingegerd Fries, 1965, Krystallar: dikt, Oslo, 1965, Langthjem til mennesker: digte i udvalg, Reykjavik 및 코펜하겐, 1966; Hemvist vidnes, 1986, Stokhothothomhomholmenson, 1986, Peturneshothotholmenson: decholmens.
  9. ^ "Icelandic literature".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16 July 2012.
  10. ^ Stefánsson, Hermann (2002). "Conquering lands within - On the writing of Hannes Pétursson". literature.is. Translated by Dagur Gunnarsson. Reykjavík City Libr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