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슬란드 이름
Icelandic name아이슬란드 이름은 아이슬란드 사람들이 사용하는 이름입니다.아이슬란드 성은 후견적이거나 때때로 모계라는 점에서 현대 서구 세계의 대부분의 다른 이름 체계와 다르다: 그것들은 역사적인 가족 혈통이 아니라 아이의 아버지(또는 어머니)를 나타낸다.아이슬란드는 스칸디나비아의 덴마크, 페로 제도, 노르웨이, 스웨덴과 같은 문화 유산을 공유합니다.다른 노르딕족과 달리 아이슬란드인들은 전통적인 이름 체계를 계속 사용해 왔는데, 핀란드를 제외한 모든 북유럽[a] 국가들이 사용했는데, 핀란드는 우랄어 화자로 스칸디나비아의 게르만족과 구별된다.따라서 아이슬란드 시스템은 성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어떤 사람들은 성을 가지고 있고 두 가지 체계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 개인의 성은 아버지의 이름(가계)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어머니(가계)를 속격으로 나타내며, 그 뒤에 -아들("아들") 또는 -도티르("딸")가 뒤따른다.
일부 성은 아이슬란드에 존재하며, 아이슬란드 사람들이 해외에서 살 때 붙여진 성을 변형한 것이 가장 흔하다. 대개 덴마크이다.가문이 물려받은 유명한 아이슬란드인으로는 전 총리 Geir Haarde, 축구 스타 Eiudur Smarri Guudjohnsen, 기업가 Magnus Scheving, 영화 감독 Baltasar Kormakur Samper, 여배우 Anita Briem 등이 있다.1925년 이전에는 새로운 성을 채택하는 것이 합법적이었고, 노벨상 수상자인 작가 할도르 락스네스가 아이슬란드인이었고, 다른 작가인 에이나르 욜라이프손과 그의 형제들은 모두 "크바란"이라는 성을 선택했다.1925년 이후 [3][4]상속을 통한 법적 권리가 없는 한 성을 채택할 수 없다.
아이슬란드에서 이전에 사용되지 않은 이름은 [5]사용하기 전에 아이슬란드 명명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이름을 받아들이는 기준은 아이슬란드어에 쉽게 통합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일부 예외는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and 및 ), 포함)에 있는 문자만 포함해야 하며, 언어의 문법적 대격 체계에 따라 이름을 거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실제로는 아이슬란드 규칙에 따라 속격 형식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별 부적합으로 간주되는 이름은 역사적으로 허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3년 1월, 블래르(Iseland어로 남성 명사)라는 15세 소녀는 명명 [6]위원회의 최초 거부를 기각한 법원 결정에서 이 이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그녀의 어머니 비외르크 에이드스도티르는 블래르가 남성적이라는 것을 그 당시 깨닫지 못했다; 그녀는 할도르 락스네스의 소설인 물고기가 노래할 수 있다(1957)를 읽었는데, 이 소설에는 "가벼운 바람"이라는 뜻의 블래르라는 존경할 만한 여성 캐릭터가 등장했고, 딸이 있다면 블래르라는 [7]이름을 짓기로 결정했다.
2019년에는 명칭을 규정하는 법률이 바뀌었다.이름은 더 이상 성별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또한 공식적으로 비이진수로 등록된 아이슬란드인은 -son 또는 -dottir [8]대신 patro/matronymic suffix -bur("child of")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형적인 아이슬란드식 이름 짓기
존 에이나르손이라는 이름의 남자는 올라푸르라는 이름의 아들이 있다.올라푸르의 성은 아버지처럼 에이나르손이 아니라 존손(Jonns+son)이 된다.딸에게도 같은 관행이 사용됩니다.존 에이나르손의 딸 시그리두르의 성은 에이나르손이 아니라 얀스도티르일 것이다.다시 한 번, 이 이름은 "욘의 딸"을 의미합니다(욘 + 도티르).
어떤 경우에는 개인의 성이 부모의 이름이 아닌 두 번째 이름에서 유래한다.예를 들어, 존이 Hjalmar Arnar Vilhjahlmsson의 아들이라면, 그는 Jon Hjalmarsson(Hjalmar의 아들 Jon) 또는 Jon Arnarsson(Arnar의 아들, Jon)으로 명명될 수 있다.그 이유는 부모가 첫 번째 이름이 아닌 두 번째 이름으로 불리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이것은 매우 일반적입니다.또한 부모의 두 번째 이름이 아이의 이름과 더 잘 맞는 것 같아 보일 수도 있습니다.
같은 사회 서클에 있는 두 사람이 같은 이름과 같은 아버지의 이름을 가진 경우, 그들은 전통적으로 친할아버지의 이름(익명)으로 구별되어 왔다. 예를 들어, 존 욘 þ르손 ason르나르(Jon rrsson Bjarnasonar)와 존 þ þ ó ó ó ó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rson in in in in이 관습은 덜 흔해졌지만(중간 이름의 사용이 그것을 대체했다), 아이슬란드 사가에서는 두드러지게 특징지어진다.
선택 사항으로서의 모성 명명
아이슬란드 성씨의 대부분은 아버지의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때때로 어머니의 이름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나 어머니가 아버지와의 사회적 관계를 끊기를 원할 경우입니다.어떤 여성들은 그것을 사회적 표현으로 사용하는 반면, 다른 여성들은 단순히 스타일의 문제로 그것을 선택한다.
이 모든 경우에, 관례는 같다: 브린디스의 아들인 올라푸르는 올라푸르 브린디사르손(Olafur Bryndisarson, "브린디스의 아들")의 정식 이름을 갖게 된다.유명한 아이슬란드인으로는 축구선수 헤이다르 헬구손(헬가의 아들), 소설가 구드룬 에바 미네르부도티르(미네르바의 딸), 중세 시인 에일리프르 고드루나르손(고드룬의 아들) 등이 있다.
아이슬란드 영화 arn프레다르손에서 주인공의 이름은 아버지의 이름이 아닌 his프레두르의 아들로서 여성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영화에서 이것은 영화 [9]줄거리 중 일부를 이루는 어머니의 급진적인 페미니즘과 아버지의 수치심과 관련이 있다. 페미니즘예를 들어 2014년부터 레이캬비크의 시장이었던 다구르 베르구르 베르구시오루손 에거트손(Dagur Bergóorhon Egertsson)은 모성애와 후견애를 모두 가지고 있다.또 다른 예는 블래르가 위에서 언급한 소녀이다: 그녀의 전체 이름은 블래르 비야르카르도티르 루나르스도티르이다.
성중립적 패트로닉과 모성애
2019년 아이슬란드 의회가 승인한 성자율법은 성별을 중립(즉, 비이진수)으로 등록하는 개인에게 아들 또는 도티르 [10][11][12]대신 중성 명사로 바꿔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역사
다른 북유럽 국가들과 달리 아이슬란드는 성([13]姓) 체계를 공식화하지 않았다.점점 더 많은 아이슬란드 사람들 – 주로 해외에서 공부한 사람들 –이 19세기 후반부터 성씨를 채택하기 시작했다.1855년에는 108개의 성이 있었지만 1910년에는 297개의 [13]성이 있었다.1913년 앨싱은 성씨 채택을 합법화했다.성을 가진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상류층이고 정부 관리로 [13]일하는 경향이 있었다.
1925년에 앨싱은 새로운 성씨의 [13]채택을 금지했다.성씨 사용에 반대하는 일반적인 주장들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그들은 진짜 "아이슬란드"가 아니었다; 성씨에서 아들을 사용하는 것은 성씨인지 후원자인지 불분명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하층민들이 잘 알려진 상류층의 [13]성을 따를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었다.가족 이름의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주장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그들은 혈통을 추적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 그들은 개인을 구별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 그리고 아이슬란드는 19세기 중반에는 존이라는 이름의 사람들이 너무 많았다 – 사실, 6명의 아이슬란드 남성들 중 1명이 존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아이슬란드는 그것을 따라야 했다;북유럽 [13]인접국
역사적으로 비슷한 스타일의 성가가 사용되었던 러시아에서는 훨씬 더 많은 인구가 성을 도입할 필요가 있었고, 후견인은 중간 이름이나 대화적인 존댓말로만 국한되었다.
문화적 영향
아이슬란드에서는 전화번호부와 같은 목록은 성이 아닌 이름으로 알파벳 순으로 정렬됩니다.애매함을 줄이기 위해 전화번호부에는 직업도 기재되어 있습니다.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공식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이름으로 부른다.예를 들어, 전 총리인 Johanna Sigurdardottir는 'Ms Sigurdardottir'로 소개되지 않고, 그녀의 이름 또는 그녀의 풀네임으로 소개되며, 보통 그녀의 이름만으로 호칭된다.아이슬란드 가수 비외르크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그녀의 [citation needed]예명으로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그녀의 이름일 뿐이다.Björk는 아이슬란드 사람들이 그녀를 공식적으로든 무심코든 부르는 방식이다.
같은 그룹의 두 사람이 같은 이름을 가진 경우, 한 명은 존 스테판손이고 다른 한 명은 존 스테판손이고, 한 명은 존 스테판손이고, 한 명은 존 스테판손이고, 한 명은 존 스테판손이고, 한 명은 존 올락손이다.누군가 이 두 사람과 동시에 대화를 할 때, 부록 "아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 경우, 아버지의 이름의 속칭은 별명처럼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서도 중간 이름을 가진 사람들을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현재는 p의 일반적인 규칙이다).'존'과 같은 흔한 이름을 가진 사람들).
대부분의 사람들이 후견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족은 보통 다양한 성을 갖게 됩니다: (기혼인지 미혼인지) 부모인 존 에이나르손과 브린디스 아틀라도티르의 자녀들은 올라푸르 존손과 카트린 존스도티르로 이름 지어질 수 있습니다.모성애의 경우 이 예에서 아이는 올라푸르 브린디사르손과 카트린 브린디사르도티르가 됩니다.따라서 패트로닉은 공식(아버지의 이름을 -s로 붙이거나 이름이 -i로 끝나는 경우 -a) + 아들/도티르/부르로 바뀌는 반면, 마트로닉은 -a로 끝나는 경우 -u + 아들/도티르/부르로 바뀝니다.
아이슬란드 외
아이슬란드식 이름 체계는 아이슬란드인이 아닌 이민국 직원들(다른 북유럽 국가 직원들 제외)이 보통 이 관습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어린 아이들과 함께 해외로 여행하는 가족들에게 가끔 문제를 일으킨다.
아이슬란드 출신 축구선수들은 외국에서 비슷하게 일하는 축구선수들은 비록 그러한 용어의 사용이 아이슬란드 원주민들의 관점에서 부적절하다고 여겨지지만 그들의 후원자들에 의해 언급될 것이다.예를 들어, 아론 군나르손은 알-아라비 이적 전 프리미어 리그에서 셔츠 뒤에 "군나르손"이라는 이름을 썼고, 영국 언론과 해설가들에 의해 그렇게 언급되었다.
국외 거주 아이슬란드인 또는 캐나다 매니토바 주의 중요한 아이슬란드인 공동체와 같은 외국에 사는 아이슬란드계 사람들은 보통 전통적인 아이슬란드 이름 체계를 포기한다.대부분의 경우, 그들은 그들의 거주국의 이름 짓기 규칙에 적응한다. - 가장 일반적으로 그들의 첫 번째 조상이 영구적인 성으로 새로운 나라로 이민을 온 후견인을 유지함으로써, 다른 북유럽 이민자들이 그들의 [14]나라에 성이 완전히 정착되기 전에 그랬던 것처럼.또는 영구적인 성은 때때로 가족의 후견적 뿌리가 아닌 지리적 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 음악가 린디 보프뇨르드의 할아버지는 아이슬란드 마을 [15]보프뇨르두르에서 캐나다로 이민 왔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레퍼런스
- ^ "Fornavne, mellemnavne og efternavne". Ankestyrelsen. Retrieved 29 October 2017.
- ^ "Surnames with the suffix -son or -dotter". Swedish Patent and Registration Off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October 2013. Retrieved 25 October 2013.
- ^ "Personal Names Act". Ministry of the Interior. Retrieved 25 October 2013.
- ^ grapevine.is (10 July 2014). "So What's This Naming Law I Keep Hearing About? - The Reykjavik Grapevine". Retrieved 31 July 2018.
- ^ "Naming Committee accepts Asía, rejects Magnus". Iceland Review Onl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rch 2012. Retrieved 12 September 2006.
- ^ Blaer Bjarkardottir, 아이슬란드 10대, Huffington Post, 2013년 1월 31일, 그녀의 주어진 이름을 사용할 권리를 획득
- ^ 모두가 당신의 이름을 아는 곳, 불법이기 때문에, 스테이트리스 맨, 2013년 1월 28일, 허핑턴 포스트, 2013년 1월 31일
- ^ Kyzer, Larissa (22 June 2019). "Icelandic names will no longer be gendered". Iceland Review.
- ^ TheLurkingFox (26 December 2009). "Mr. Bjarnfreðarson (2009)". IMDb. Retrieved 31 December 2014.
- ^ "9/149 frumvarp: mannanöfn Þingtíðindi Alþingi". althingi.is. Retrieved 24 January 2020.
- ^ "Lög um kynrænt sjálfræði. Þingtíðindi Alþingi". althingi.is. Retrieved 24 January 2020.
- ^ "Stúlkur mega nú heita Ari og drengir Anna RÚV". ruv.is. 21 June 2019. Retrieved 24 January 2020.
- ^ a b c d e f Björnsson, Páll (Fall 2017). "Ættarnöfn - eður ei". Saga.
- ^ "아이슬란드 앵커는 매니토바 인맥을 만든다"Winnipeg 프리 프레스, 2008년7월 26일
- ^ "지금 그들은 어디에 있나요?"뢰그베르크-헤임스크링글라, 1995년 2월 24일
외부 링크
- 아이슬란드 성(내무부)에 관한 정보
- 1996년 5월 17일 「개인명법」 제45호(내무성)의 영문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