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이 구
Hardoi district하도이 구 | |
---|---|
![]()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하도이 구 위치 | |
나라 | 인도 |
주 | 우타르프라데시 주 |
나누기 | 럭나우 |
본부 | 하도이 |
테실스 | 하도이, 샤하바드, 사와야즈푸르, 빌그램, 산딜라. |
정부 | |
• M.P. | 제이 프라카시 라왓 |
• 비단 사바 선거구 | 8 |
면적 | |
• 합계 | 5,947 km2 (2,296 sq mi) |
인구 (2011) | |
• 합계 | 4,092,845 |
• 밀도 | 690/km2(1,800/sq mi) |
인구통계학 | |
• 읽고 쓰는 능력 | 50% |
• 성비 | 856 |
시간대 | UTC+05:30(IST) |
웹사이트 | http://hardoi.nic.in/ |
하도이 구는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중심부에 위치한 구이다. 지구본부는 하도이 시에 있다. 하도이는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세 번째로 큰 지역이다. 아와드 역사 지역의 럭나우 사단에 속한다.
2011년 인구조사 기준 하도이 지구의 총인구는 409만2845명으로 73만442가구다.[1] 우타르프라데시에서 13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1]
역사
현재의 하도이 지구는 1856년 영국이 아와드를 인수한 후 만들어졌다.[2] 1500년대 아크바르 당시 현대 지구의 면적은 럭나우의 사르코지와 하이라바드로 나뉘었다.[2] 럭나우 사르카르에는 산딜라, 말란완, 카찬다오, "가란다"(군드와를 잘못 복사한 것임), 빌그램 등 다섯 명의 마족이 있었다.[2] 아인아크바리는 럭나우 지구의 하도이 마할을 나열하고 있지만, 이는 하도이 지구의 마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래 바들리 지구의 하도이를 지칭하는 것이었다.[2] 하이라바드의 사르카르에 대해서는 고파마우, 사라, 바완, 산디, 팔리, 바르와-안자나의 마족들이 현대하도이 지구의 영토에 일부 또는 전부가 있었다.[2]
다음 세기 동안, 그 지역의 행정 체계는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2] 발라마우의 파르가나는 악바르 통치 말기에 산딜라에서 형성되었으며, 발라이라는 이름의 쿠르미가 정글에서 개간한 42개 마을 일대를 포함하고 있다.[2] 바르완의 파르가나 역시 산디로부터 분리되어 조기에 성립되었다.[2] 칼리안말은 아우랑제브 통치 기간 동안 별도의 파르가나가 되었는데, 그 때 그곳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그것은 이전에는 건드와의 일부였다.[2] 샤하바드는 1745년에 파르가나가 되었고, 마을 자체가 세워진 지 거의 70년 만에 팔리의 파르가나와 분리되었다.[2] 파초하는 팔리에서 분리되어 1840년경에 파르가나가 되었다.[2] 카티아리의 파르가나는 1800년대 초반 산디에 속하는 일부 지역과 팔리에 속하는 일부 지역을 취하여 형성되었으며, 1803년 팔리의 일부와 사라의 일부에서 사라만나가르의 작은 파르가나가 만들어졌다.[2] 만수르나가르는 1806년 사라와 고파마우의 일부에서 만들어졌다.[2] 방가르는 빌그램의 저지대(카흐)와 상류대(방가르)가 분리되면서 1807년 빌그램에서 분리되었다.[2] 마침내 바르와-안자나는 1703년 완전히 해체되어 핀드와라, 피하니, 알람나가르 등 9개의 작은 파르가나로 대체되었다.[2]
아와드 나왑 아래에서, 오늘날 하도이 지구의 지역은 여러 개의 다른 차클라로 나뉘어져 있었다.[2] 산딜라는 1821년 차클라가 되었고, 산딜라, 만란완, 카찬다오, 말리하바드(마지막은 현재 럭나우 지구에 있다)의 파르가나로 구성되어 있다.[2]
하도이 구는 1856년 2월 영국이 아와드를 합병한 후 처음 형성되었으며, 본사가 만란관에 있어 원래 만란관 지구로 불렸다.[2] 1857년 봉기 이후 그 자리는 더 중심적인 위치 때문에 하도로 옮겨졌다.[2] 당시 하도이 지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개의 테실로 이루어져 있었다. 샤하바드, 하도이, 빌그램, 산딜라.[2] 샤하바드 테실에는 8개의 파르가나가 있었다. 샤하바드, 팔리, 파초하, 사로만나가르, 바르완, 만수나가르,[2] 알람나가르, 핀다르와 피하니. 하도이테실에는 방가르, 고파마우, 사라, 바완의 파르가나가 들어 있었다.[2] 빌그램테실에는 빌그램, 만란완, 카찬다오, 산디, 카티아리의 파르가나가 들어 있었고, 마지막으로 산딜라, 건드와, 칼리안말, 발라마우의 파르가나 4개가 들어 있었다.[2] 1869년 사라 파르가나는 사라 노스(Sara North)와 사라 남부(Sara North)로 나뉘었고, 사라 노스(Sara North)는 샤하바드 테실(Shahabad tehsil)로 전근되는 한편, 동시에 바르완은 하도이 테실(Hardoi tezil)로 전근되었다.[2]
지리
하도이는 아와드의 최서단 지역이다.[2] 그것의 동쪽 경계는 곰티 강에 의해 형성되는데, 곰티 강은 시타푸르와 라힘푸르 케리 지구로부터 분리된다.[2] 남쪽으로는 럭나우 구와 운나오 구와 접한다.[2] 서쪽은 람강가와 합류할 때까지 센다 강에 의해 부분적으로 국경선이 형성되고, 그 다음엔 갠지스 강까지 남하하여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나머지 길목을 이룬다.[2]
하도이 지구에는 서쪽의 카흐나 저지대, 동쪽의 뱅가르나 고지대의 두 가지 지리적 구분이 있다.[2] 그들 사이의 경계선은 가루라 분지의 동쪽에 있는 척박한 모래 언덕으로, 그 지역의 서쪽에서 남북으로 뻗어 있다.[2]
동쪽으로는 모래땅이 깔린 넓은 고지대가 곰티를 내려다보고 있다.[2] 그들과 강 사이에는 모래땅이 대부분 좋지 않은 타라이 저지대가 있고, 그 중 일부는 늪으로 덮여 있다.[2] 고지대에는 모래 언덕이 구르는 것이 특징인데, 모래 언덕은 종종 수 미터 높이의 문즈 풀 투프트로 덮여 있다.[2] 이 언덕들은 그렇지 않으면 건조하고 척박하며, 강풍 시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그 아래 농가에 지속적인 위험을 준다.[2] 그들은 고파마우 주변 지역에서 가장 두드러진다.[2] 모래언덕은 가파른 협곡에 의해 부서져 하층부에 모인 물을 서쪽으로 흘려보낸다.[2] 몇몇 우울증에는 큰 갈퀴 늪이 있다.[2]
더 서쪽으로 가면 사에 계곡이 있는데, 사에 계곡은 로미토와 점토토토가 교대로 이루어져 있다.[2] 그곳에는 많은 퇴폐와 질, 불모의 황무지가 펼쳐져 있고 역사적으로 학 정글이 흩어져 있다.[2] 특히 북쪽의 사이 둑은 숲이 무겁게 드리워진 곳이 많았다.[2] 더 남쪽으로는 사이의 양쪽 둑이 높고 모래가 많으나, 여기는 곰티를 따라가는 것보다 훨씬 비옥하다.[2] 그들과 강 자체 사이에는 좁은 타라이 저지대가 있어 홍수에 취약하다.[2]
뱅가르 고갯벌의 서쪽 경계는 또 다른 높은 불모의 모래 언덕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모래 언덕은 가라 유역의 동부를 표시하고 갠지스 강에도 한때 그랬을지도 모른다.[2] 이 둑은 좁고, 많은 갈가마귀에 가려져 있으며, 서쪽의 카흐 저지대까지 가파르게 경사져 있다.[2] 이러한 저지대는 많은 강과 개울에 의해 가로지르며, 홍수가 나기 쉽고 종종 습지로 덮여 있다.[2] 서쪽으로 계속 가면 카흐를 가로지르는 마지막 강은 강대한 갠지스인데, 그 강물은 아주 넓은 침대에서 자주 방향을 바꾼다.[2] 매년 홍수가 이 저지대 전체를 덮으며, 가루라와 람강가의 황량한 퇴적물보다 농업에 덜 도움이 되는 모래땅을 침적한다.[2]
하도이 지구는 한때 특히 고지대 지역에 삼림이 심했지만, 20세기 경에는 대부분 1870년대 이후로 이 숲의 대부분이 제거되었다.[2] 당시 남아있는 정글은 대부분 dhak, karaunda, truba 등으로 묘사되었는데, 바겐다드, pipal, pakar, shisham, neem 등의 다른 나무들은 훨씬 덜 흔하고 "옛 정글의 미어유적"이다.[2]
지질학
하도이 지구의 지질학은 상당히 뚜렷하지 않은데, 그 지역 대부분이 아와드 지역의 나머지 지역처럼 강게틱 얼루비움으로 덮여 있다.[2] 그 지역의 동쪽 지역에서 지표면 토양은 평균 깊이가 약 8피트인 불그스름한 점토다.[2] 그 아래는 깊이가 2~10피트인 검은 점토다.[2] 그 아래는 회색, 흰색 또는 노란색 모래토양이고 점토와 섞이지 않는다.[2] 사이 분지에서는 모래층이 표면에 더 가깝고, 그 위에는 모래흙이 있고, 위쪽에는 황토층이 얇다.[2] 사이 양쪽에 3마일을 두고 표면은 순모래다.[2] 피프리 근처의 jhils 주위에는, 아래쪽 모래 층이 푸르스름하고 모래흙에 자리를 내주는데, 아마도 고대의 강 수로를 표시했을 것이다.[2]
야생 생물
블랙벅은 특히 고파마우 주변과 곰티의 모래톱을 따라 지역 전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곳이다.[2] 곰티와 그 지역의 다른 강들을 따라 있는 협곡에서도 늑대가 간혹 볼 수 있지만 특별히 많은 수는 아니다.[2] 닐가이스는 강가와 람강가 사이에 있는 다람푸르 주변의 타마리스크 정글에서 가장 흔하지만, 동쪽과 북동쪽에 있는 더 큰 학 정글에서도 발견된다.[2] 드물게 표범은 피하니 북쪽 정글에서 볼 수 있다.[2] 치탈, 즉 얼룩무늬 사슴은 한때 이 지역에서 꽤 흔했지만 20세기 초에는 "실제로 사라졌다"[2]고 했다. 이 네 마리의 뿔로 이루어진 영양 또한 이전에는 이 지역에서 자생했지만, 마지막으로 알려진 영양은 1865년에 사냥꾼들에 의해 사살되었다.[2] 자칼과 산토끼는 매우 흔하다.[2]
그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로는 회색 파인트리지와 메추리가 있다.[2] 검정색 파트리지도 곰티를 따라 있는 잔디 정글과 그 외 몇 군데 흩어져 있는 지역에서 발견된다.[2] 추운 달 동안, 스니프는 또한 흔한 광경이다.[2] 거위와 오리는 그 지역의 다양한 질에 서식한다.[2]
산디 새 보호구역은 하도이 시에서 19km 떨어진 하도이 지구에 위치한 담수 습지 및 야생동물 보호구역이다.[3] 인도-강아제틱 평원의 습지대의 전형적인 습지로 몬순우로부터 대부분의 물을 공급받는다.[3] 수생식물 생물이 풍부하고 많은 수의 물새들이 서식하고 있는 이 보호구역은 산림청 및 지역 산림 및 야생동물 관계자들이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다.[3] 이곳은 인기 있는 휴양지 겸 관광지다.[3] 이 보호구역은 가뭄에 취약하다; 2014년과 2015년에는 건조했고, 지역 조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3] 2019년 9월 26일 람사르 부지로 지정되었다.[3]
이코노미
2006년 판차야티 라즈(Panchayati Raj)는 하도이(Hardoyi)를 250개의 후진 지역(총 640개) 중 하나로 선정했다.[4] 우타르프라데시주 아와드의 34개 지구 중 하나로 현재 후진 지역 그랜트 펀드 프로그램(BRGF)에서 자금을 받고 있다.[4]
사단
하도이 구는 하도이, 샤하바드, 사와야즈푸르, 빌그램, 산딜라 등 5개 지역으로 나뉜다.[1] These tehsils consist of 19 blocks (Ahrori, Hariyawan, Sursa, Shahabad, Bharkhani, Bharawan, Harpalpur, Bilgram, Madhoganj, Mallawan, Tadiyawan, Tondarpur, Kothwan, Sandila, Behadar, Pihani, Sandi, Kachhauna, Bawan).[1] 구는 1,101g의 판차야트, 2,070개의 수익마을(이 중 1,907개가 거주하고 163개는 무인도 거주)을 보유하고 있다.[1] 또한 191마리의 나이야 판차야트도 있다.
이 지역에는 나가르 팔리카 교구(자치구 위원회) 7개, 나가르 판차야트 6개 등 13개 마을이 있다.[1] 이전에는 섬 인구 조사 마을도 있었지만, 2011년 인구 조사를 위해 마을로 재분류되었다.[1] 그 지역의 현재 도시는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1]
읍명 | 분류 | 테실 | 인구(2011년) |
---|---|---|---|
샤하바드 | 나가르 팔리카 교구 | 샤하바드 | 80,226 |
피하니 | 나가르 팔리카 교구 | 샤하바드 | 36,014 |
팔리 | 나가르 판차야트 | 사와야즈푸르 | 18,708 |
고파마우 | 나가르 판차야트 | 하도이 | 15,526 |
하도이 | 나가르 팔리카 교구 | 하도이 | 197,029 |
산디 | 나가르 팔리카 교구 | 빌그램 | 26,007 |
빌그램 | 나가르 팔리카 교구 | 빌그램 | 29,768 |
마호간지 | 나가르 판차야트 | 빌그램 | 11,523 |
말라완 | 나가르 팔리카 교구 | 빌그램 | 36,915 |
쿠르사트 | 나가르 판차야트 | 빌그램 | 5,924 |
카차우나 팻세니 | 나가르 판차야트 | 산딜라 | 15,647 |
베니건지 | 나가르 판차야트 | 산딜라 | 10,173 |
산딜라 | 나가르 팔리카 교구 | 산딜라 | 58,346 |
이 구는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럭나우 커미셔너리의 한 구역으로, 북위 26-53~27-46, 동경 79-41~80-46에 위치한다. 북쪽 경계선은 샤하얀푸르 지구와 라흐임푸르 케리 지구와 접해 있다. 남쪽 국경에는 럭나우(U.P.의 수도)와 운나오가 자리 잡고 있다. 서쪽 경계선은 칸푸르(U.P.의 산업도시)와 파루카바드 지구와 접하고 동쪽 경계선에서는 고마티 강이 이 지구와 시타푸르 지구 사이를 갈라놓는다. '네미샤라얀, 드바파라 유가의 순례자(3세)'는 구청사에서 불과 45km 떨어져 있다. 이 지역은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길이가 125.529km, 동서로 폭이 74.83km로 5947km이다2.[citation needed]
인구통계학
연도 | Pop. | ±% p.a. |
---|---|---|
1901 | 1,092,236 | — |
1911 | 1,120,542 | +0.26% |
1921 | 1,083,727 | −0.33% |
1931 | 1,126,750 | +0.39% |
1941 | 1,239,083 | +0.95% |
1951 | 1,361,562 | +0.95% |
1961 | 1,573,171 | +1.46% |
1971 | 1,849,519 | +1.63% |
1981 | 2,274,929 | +2.09% |
1991 | 2,747,082 | +1.90% |
2001 | 3,398,306 | +2.15% |
2011 | 4,092,845 | +1.88% |
출처:[5] |
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하도이 지구의 인구는 409만2845명으로 레바논이나[7] 미국 오레곤 주와 거의 같다.[6][8] 이로써 인도에서는 51위(총 640위 중)에 머물게 됐다.[6] 그 지역은 평방 킬로미터당 683명의 인구 밀도를 가지고 있다.[6] 2001~2011년 10년간 인구 증가율은 20.39%[6]를 기록했다. 하도이는 남성 1000명당 여성 성비가 868명(우타르프라데시 주에서 62번째로 높은 비율)이고 식자율은 64.6%(주 51위)이다.[1] 또한 2011년 현재 구민의 15.9%가 0~6세 연령대인 것으로 나타났다.[1]
1901년 하도이 지구의 인구는 109만2834명, 하도이 지구의 인구는 1만2174명이었다. 당시 주요 도시는 샤하바드(Shahabad)로 주민 2만3036명, 말란완(Mallanwan)은 1만1158명이었다.
언어
하도이 지방에서 주로 쓰이는 언어는 힌두어의 칸나우지 방언이다.[2] 이것은 아와디 사투리가 사용되는 아와드 지방의 다른 지역들과 구별된다.[2] 그러나, 하도이 지구의 동쪽 지역에서는, 말하는 칸나우지의 형태가 인접한 운나오와 시타푸르 지구에서 말하는 아와디 형태에 매우 가깝다.[2]
2011년 인도 인구조사 당시 이 지역 인구의 97.45%가 힌디(또는 관련 언어)를, 2.45%가 우르두를 모국어로 사용했다.[9]
하도이 지구: 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모국어.[9] | |||
---|---|---|---|
모국어 코드 | 모국어 | 사람 | 백분율 |
002007 | 벵골어 | 265 | 0.01% |
006030 | 아와디 | 421 | 0.01% |
006240 | 힌디어 | 3,987,645 | 97.43% |
016038 | 푼자비 | 3,575 | 0.09% |
022015 | 우르두 | 100,136 | 2.45% |
– | 다른이들 | 803 | 0.02% |
합계 | 4,092,845 | 100.00% |
종교
하도이 지구의 인구 대다수는 힌두교도들이다.[2] 아와드 지역의 힌두교도 비율은 높지만 운나오, 라바렐리, 프라탑가르 등 일부 구보다는 낮다.[2] 하도이 지방의 힌두교도들은 대부분 특정 종파에 속하지 않아 다른 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추종자가 적다.[2] 이슬람교도들은 여전히 그곳의 소수 민족이지만, 그 지역의 오래된 역사적인 마을에 가장 많이 있다.[2] 샤하바드와 산딜라는 이슬람교도 비율이 높은 반면 하도이 자체에서는 비율이 낮다.[2] 이 지역 이슬람교도들의 90% 이상이 수니파 이슬람교를 실천하고 있다; 샤이아 이슬람교를 실천하는 비율은 이 지역의 평균보다 다소 높지만, 특별히 그렇지는 않다.[2]
저명인사
그 지역 출신의 주목할 만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Brajesh Pathak – Uttar Pradesh 정부의 각료.
- 바부 모한 랄 베르마 – 1932년부터 인도 독립운동의 지역 지도자, 1956년부터 1967년까지 국회 입법위원(Vidhan Sabha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Census of India 2011: Uttar Pradesh District Census Handbook - Hardoi, Part A (Village and Town Directory)" (PDF). Census 2011 India. pp. xiii–xv, 4–5, 578–81. Retrieved 17 May 202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aw ax ay az ba bb bc bd be bf bg bh bi bj bk bl bm bn bo bp bq br bs bt bu bv bw bx Nevill, H.R. (1904). Hardoi - A Gazetteer. Allahabad: Government Press. pp. 1–18, 59–71, 100, 134–142. Retrieved 18 March 2021.
- ^ a b c d e f "Sandi Bird Sanctuary".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14 June 2021.
- ^ a b Ministry of Panchayati Raj (8 September 2009). "A Note on the Backward Regions Grant Fund Programme" (PDF). National Institute of Rural Develop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5 April 2012. Retrieved 27 September 2011.
- ^ 1901년 이후 인구의 퇴폐적 변화
- ^ a b c d "District Census 2011". Census2011.co.in. 2011. Retrieved 30 September 2011.
- ^ US Directorate of Intelligence. "Country Comparison:Population". Retrieved 1 October 2011.
Lebanon 4,143,101 July 2011 est.
- ^ "2010 Resident Population Data". U. S. Census Bureau. Retrieved 30 September 2011.
Oregon 3,831,074
- ^ a b c C-16 Population By Mother Tongue – Uttar Pradesh (Report).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Retrieved 15 July 2020.
- ^ "Hardoi District Religion Census 2011". census2011.co. Retrieved 11 December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