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럴드 라스웰
Harold Lasswell해럴드 라스웰 | |
---|---|
![]() | |
태어난 | 미국 일리노이 주, 도넬슨 | 1902년 2월 13일
죽은 | 1978년 12월 18일( | 76세)
학력 | |
교육 | 시카고 대학교(PhD) |
영향 | 지그문트 프로이트, 테오도르 레이크 |
학술적인 일 | |
규율 | 정치학, 커뮤니케이션 이론 |
기관 | 예일 대학교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라스웰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
해롤드 드와이트 라스웰(Harold Dwight Lasswell, 1902년 2월 13일 ~ 1978년 12월 18일)은 미국의 정치학자이자 통신 이론가이다.그는 철학과 경제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시카고 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었다.[1] 그는 예일 대학교 법학과 교수였다.그는 1920년대에 [1]런던, 제네바, 파리, 베를린 대학에서 공부했다.그는 미국정치학협회(APSA), 미국국제법학회(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세계예술과학아카데미(WAAS)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인류학, 통신학, 경제, 법률, 철학, 심리학, 정신의학, 사회학에 대한 능력과 공헌이 그를 고전 [2]그리스의 모델로 정치학자로 만들기에 충분한" "1인 대학"으로 묘사되어 왔다.
가브리엘 아몬드가 1987년 사망 당시 쓰고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가 발간한 전기 추모서에 따르면, 라스웰은 "20세기 사회과학 분야의 6명의 창조적 혁신가들 중 한 명"이라고 한다.당시 아몬드는 "그가 당대 가장 독창적이고 생산적인 정치학자라는 것에 의문을 제기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스웰이 일했던 연구 분야는 정치 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성격, 사회 구조, 문화의 중요성을 포함했다.라스웰은 커뮤니케이션, 정치학, 심리학, 사회학 분야와 관련이 있었지만, 그는 이 분야들 사이의 구분을 고수하지 않고 이 [3]분야들을 나누기 위해 그어진 선을 지웠다.
일하다.
Lasswell은 "누가 (누가) What (says) What (in) What Channel (with) What Effect"에 초점을 맞춘 커뮤니케이션 모델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또한 정치와 비즈니스 리더들의 비정상적인 심리 속성에 관한 책, 정신병리학과 정치학, 그리고 정치에 관한 또 다른 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라스웰은 1920년대에 시카고 대학에서 공부했고, 특히 존 듀이와 조지 허버트 미드에 의해 제안된 것처럼 그곳에서 가르친 실용주의에 큰 영향을 받았다.하지만, 그에게 더 큰 영향을 준 것은 프로이트 철학으로, 그것은 그의 전반적 선전과 의사소통에 대한 분석을 많이 알려 주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라스웰은 의회 도서관에서 전쟁 시간 통신 연구를 위한 실험 부서의 과장직을 맡았습니다.그는 히틀러와 그의 전시 잔혹행위에 대한 독일 민중의 묵인과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 설득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나치 선전 영화를 분석했다.항상 앞을 내다보고, 그의 인생 후반기에, 라스웰은 우주 정치학, 다른 행성의 식민지화의 정치적 결과, 그리고 "인류의 기계성"에 관한 질문들을 실험했다.
라스웰은 매우 영향력 있는 곳에서 "휴게 상태"의 개념을 소개했고 종종 미국 사회학 저널에 원래 게재된 1941년 기사를 인용했다.현대 국가에서의 "폭력 전문가"로 구성된 정치-군사 엘리트들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발전적 건설"이었다.[4][5][6]
그는 미국정치학협회(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에 대한 대통령 연설에서 로봇에 인권을 부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citation needed]과학계의 본질적 퇴출이 요구하는 유명한 문제를 제기했다.
라스웰의 업적은 2차 세계대전 후 행동주의의 발달에 중요했다.마찬가지로, 그의 선전에 대한 정의는 선전의 목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발전으로 여겨졌다.선전에 대한 라스웰의 연구는 그 주제에 대한 돌파구를 만들어 냈고, 그것은 수단에 대한 현재의 관점을 넓혔고, 선전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 목표들을 언급하여 의견의 변화뿐만 아니라 행동의 변화도 포함시켰다.그는[7] 선전분석연구소에 의해 주어진 정의에 영감을 주었다: "선전은 심리적인 [8]조작을 통해 다른 개인이나 집단의 의견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이 의도적으로 수행하는 의견이나 행동의 표현이다."
라스웰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방법론을 이용했다.프로이트의 신봉자인 테오도르 레이크와 함께 비엔나와 베를린에서 공부하면서, 라스웰은 프로이트의 [3]방법을 적용할 수 있었다.라스웰은 그의 사회과학 사무실에 실험실을 지었다.시카고 대학에서 자원 봉사자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 곳이 바로 이곳입니다. 이 기구를 사용하여, 그는 참가자들의 감정 상태를 그들의 [3]말에 따라 측정할 수 있었습니다.라스웰은 [3]더 나아가 하버드 대학에서 엘튼 메이오와 함께 공부할 때 사용했던 정신분석적 인터뷰와 녹음 방법을 사용할 수 있었다.
라스웰은 "행동 혁명"의 [3]지지자였다.라스웰은 정치심리학 분야의 창시자로 인정받았고 심리학 개념과 정치학 개념이 [3]교차한 사람이었다.정치 지도자들의 정신분석적 전기를 이용함으로써, 그는 잠재적인 증거를 얻을 수 있는 기반을 넓혔다.이 기고의 이점은 그가 또 다른 연구 방법인 콘텐츠 분석에 참여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기존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는 자신의 작품이 순수하게 실증주의자가 아니라 해석주의자의 영역에도 발을 들여놓았음을 보여줄 수 있는 위치에 있었고, 그의 정치적 행동 연구와 함께 성격과 문화에 대한 연구에 협력할 수 있었다.
콘텐츠 분석은 "특정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메시지 내용을 분류하여 통신 메시지를 조사하는 것"입니다.[3] 연합군과 추축군이 전쟁 중에 전파한 메시지를 분석하는 형태로 라스웰에게 데이터가 존재했지만,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론 중 가장 정확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비록 그러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실제 데이터는 드물콘텐츠 전문가에게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 분석가들은 보통 그들은 분석하고 있는 메시지의 영향을 추론하기,”[3]는 동안 라스웰, 분석 이런 특별한 타입의 이 약점을 수행할 수 있었던 것 라스웰 그의 데이터 communicatio으로 인해 확인할 수 없었다.n실제로 사용할 수 없는 효과입니다.내용 분석이 효과를 연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이것이 약점이긴 하지만,[3] 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서 컨텐츠 분석을 개발했습니다.
라스웰은 또한 정책이라는 주제 아래 정치학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공공 정책과 정책 사이클에 영향을 미쳤다.공공정책을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유대를 중시하여 정책결정이라고 정의한다.[9] 정책에 대한 기대와 정부 실현 방법 사이의 연계와 함께, 라스웰은 사회의 문제가 공공 정책의 시행에 의해 처리되도록 확실히 하기 위한 7단계 사이클과 함께 정책 사이클에 기여한 것으로도 주목할 수 있다.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라스웰이 정책 주기나 선형[11][12] 과정으로 이해되는 7단계를 의미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레오 로스텐은 "사랑하고, 알고,[13] 존경했던 사람들"에 그에 대한 감사를 담았다.
투고
외부 오디오 | |
---|---|
![]() |
Lasswell은 커뮤니케이션 [3]연구 분야에 다음과 같은 기여를 했습니다.
- 그의 5가지 질문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효과 결정에 중점을 두게 했다.Lasswell의 동시대인인 Paul Lazarsfeld는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이러한 초점을 구체화하기 위해 더욱 노력했습니다.
- 그는 콘텐츠 분석 방법의 선구자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예: 선전 메시지 및 신문 사설)의 질적 및 정량적 측정 방법론을 가상으로 발명했다.
- 정치와 전시의 선전에 대한 그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중요한 초기 유형을 대표했다.선전이라는 단어는 나중에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훨씬 더 많은 정치적 선전이 있지만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선전 분석은 통신 연구의 일반적인 주체로 흡수되었다.
- 그는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을 미국의 사회과학에 도입했다.라스웰은 정치 지도자에 대한 그의 정신분석학 연구에서처럼 프로이트 이론을 정치 분석과 통합했다.그는 내용 분석을 통해 프로이트의 이데고 초자아를 정치학 문제에 적용했다.본질적으로, 그는 사회 수준에서 비분할적인 프로이트 이론을 이용했다.
- 그는 사회과학 지식을 공공행동에 통합하기 위한 학제간 운동인 정책과학의 창설을 도왔다.그러나 사회과학은 일반적으로 공공정책 문제에 대한 통합과 적용에 반대했다.
선택한 서지 목록
기사들
- "게리슨 주"미국 사회학 저널, 제46권, 제4호, 1941년 1월, 페이지 455-468.
- "게리슨 주는 민권을 위협합니까?"미국정치사회과학아카데미 연보, 제275권, 미국시민권리, 1951년 5월, 페이지 111-116.
- "세계질서 모델링 운동의 약속"세계정치, 제29권, 제3호, 1977년 4월, 페이지 425-437.
책들
- 선전 및 판촉 활동: 주석이 달린 참고 문헌 (1935년)
- 정치: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1936년)[14]
- 세계 혁명 선전: 시카고 연구 (1939년)
- 세계 정치는 경제에 직면한다(1945년)
- 선전·통신·여론: 종합참조 가이드(1946년)
- 정치적 행동 분석: 경험적 접근법(1948년)
- 사회 소통의 구조와 기능(1948년)
- 국가 안보와 개인의 자유(1950년)
- 권력과 사회: 정치탐구를 위한 프레임워크(1950)
- 정치의 언어(1949년)
- 세계 대전의 선전 기법(1927년, 신간, 1971년)
- 정신병리학과 정치학 (1930년, 전재, 1986)
- 세계 정치와 개인의 불안(1935년, 새로운 소개와 함께 전재, 1965년)
- 정치: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1936년)
- 파워와 퍼스낼리티(1948)
- 정치 관련 글: 대표선정(1951)
- 정치학의 미래(1963년)
- 세계 혁명 엘리트: 강압적 이념운동 연구(1965년)
- 정치 커뮤니케이션: 인도와 미국의 정치 엘리트 공용어(1969년)
- 정책과학의 개요(1971년)
- 농민, 권력 및 응용된 사회 변화: 모델로서의 Vicos(1971년)
- 세계질서의 탐구: 퀸시 라이트의 학생과 동료에 의한 연구(1971년)
- 가치와 발전: 아시아 경험을 칭찬하다(1976년)
「 」를 참조해 주세요.
추가 정보
기사들
- 마빅, 드웨인'해롤드 D의 작품' 라스웰: 그의 접근법, 우려 사항, 영향력"정치행동, 제2권, 제3호, 1980년, 페이지 219~229.
- Ulau, Heinz, Susan Zlomke."헤럴드 D. 주류 정치학에 대한 라스웰의 유산: 방치된 의제"정치학 연례 리뷰, 1999년 제2권, 75-89페이지.
참고 문헌
- Muth, Rodney, Marcia F.거스, 해롤드 D. 라스웰: 주석이 달린 참고 문헌입니다.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90. ISBN0792300181 / ISBN978-0792300182
레퍼런스
- ^ a b "Harold Lasswell American political scientist".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21-02-20.
- ^ 서평, 44 정신의학 Q. 167, 167(1970).
- ^ a b c d e f g h i j k Rogers, Everett (1994). A History of Communication Study: A Biological Approach. NY: The Free Press. p. 3.
- ^ Stanley, Jay; Segal, David R. (1989). "The Garrison State". Defense Analysis. 5: 83–86. doi:10.1080/07430178908405382.
- ^ 해리스, 피터"게리슨 국가가 왜 여기 머무르느냐"National Interest, 2014년 3월 12일원본에서 아카이브되었습니다.
- ^ Aron, Raymond (1979). "Remarks on Lasswell's 'The Garrison State'". Armed Forces & Society. 5 (3): 347–359. doi:10.1177/0095327X7900500302. S2CID 144414429.
- ^ 페미니스트 법학, 여성과 법률: W. S. 하인 출판사, 1999, 370페이지 페미니스트.
- ^ 엘룰, 자크(1965).선전: 남성의 태도의 형성, 12페이지트랜스, 콘라드 켈렌 & 장 러너입니다빈티지 북스, 뉴욕ISBN 978-0-394-71874-3.
- ^ 라스웰, H. (1958) 정치: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뉴욕: Meridian.
- ^ Lasswell, H.(1971) 정책과학의 프리뷰.뉴욕, 엘세비어
- ^ Dunn, W.N. (2019) 실용주의와 정책 과학의 기원:라스웰과 시카고 학교를 재발견하다.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 ^ Auer, Matthew R. (2017). "Rescuing the Decision Process". Policy Sciences. 50 (4): 519–526. doi:10.1007/s11077-017-9292-2.
- ^ 1970년 레오 로스텐.맥그로 힐 북 컴퍼니.LCCN 79-132099 초판 LCCN 07-53976
- ^ "국제 관계에 관한 최근의 책들"정치 리뷰: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을까?라스웰.외무부, 제15권, 제2호, 1937년 1월, 페이지 386원본에서 아카이브되었습니다.JSTOR20028777.
- "개인이나 계층이 정치 권력을 얻고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국가의 실천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인용한 것입니다.저자는 시카고대 정치학 부교수입니다.
외부 링크
- Harold Dwight Lasswell은 예일 대학 도서관에서 논문을 쓰고 있습니다.
- 미국 국립과학원 전기 회고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