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포피츠
Heinrich Popitz하인리히 포피츠(Heinrich Popitz, 1925년 5월 14일 ~ 2002년 4월 1일)는 독일의 사회학자로서 일반적인 사회학 이론을 위해 노력했다.헬무트 셸스키, 한스 폴 바흐트, 디터 클라센스 등과 같은 사상가들과 함께 그는 전후 독일의 사회학자 중 한 사람으로 철학적 인류학에서 얻은 통찰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당시 지배적이었던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쾰른 학파의 (레네 쾨니 주변)에 대한 대안을 만들었다.g). 그의 작품은 4대 중심 개념의 힘, 규범, 기술, 창조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전기
하인리히 포피츠는 1925년 5월 14일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그는 부르주아 가정에서 자랐고, 그의 아버지는 그라프 스타우펜베르크의 배후에서 저항운동의 일원이었으며 1945년 초 국가사회주의자들에 의해 처형된 대표적인 재정정책 입안자 요하네스 포피츠였다.제2차 세계대전 후 하인리히 포피츠는 하이델베르크와 괴팅겐에서 철학, 역사, 경제학을 공부했고 카를 자스퍼스가 조언한 마르크스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1]1951년 독일 탄광지역(루어팟)에서 사회연구원으로 일하기 시작해 이후 록펠러 재단으로부터 산업 종사자들의 사회 인식에 대한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보조금을 받았다.이 연구로부터 오늘날 독일의 질적 사회 연구의 고전적 작품으로 간주되는 두 개의 출판물이 생겨났다.[2]아놀드 버그스트라세어의 감독하에 사회학 학과를 마친 후, 포피츠는 처음에는 스위스 바젤에서 사회학 교수가 되었고, 그 후 1971년/72년 뉴욕시 뉴 스쿨 사회 연구소에서 테오도르 허스 의장을 집전하면서 1992년 은퇴할 때까지 머물렀던 프라이부르크에서 사회학 교수가 되었다.하인리히 포피츠는 2002년 4월 1일 프라이부르크 임 브라이스가우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과학 유산은 사회과학자료원 콘스탄츠의 일부분이다.
일
문화 인류학뿐만 아니라 철학적 인류학에도 영향을 받은 하인리히 포피츠의 사회학자로서의 관심은 현대 사회에 대한 설명을 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화(조르그 심멜)의 형태에 있었다.일반적인 사회학 이론의 이 틀 안에서, 네 가지 개념은 그의 사고에 있어서 탁월한 의의를 가지고 있었다: 권력, 규범, 기술, 창의력.
(a) 권력: 대부분의 권력 이론가들처럼, 포피츠는 권력을 사회화의 보편적인 요소로 간주했다.그는 저서 '힘의 현상'에서 그 인류학적 뿌리를 탐구하고 행동력([4]폭력), 기악력(위협과 약속), 권위력(권위), 자료헌법의 힘 등 4가지 기본적인 형태를 구분한다.[3]
(b) 규범:포피츠에게 있어서, 만일의 사태에 대한 문제(니클라스 루만)는 자아의 미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사회 규범의 확립에 의해 해결된다.이런 식으로, 자아는 이미 행해졌을 것이고 그들의 실제 실행을 기다릴 필요가 없는 것처럼 그러한 행동에 의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상호 작용이 가속화된다.행동 평준화의 중요한 요인은 제재와[5] 사회적 역할이다.
(c) 기술:포피츠를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기술적 유물의 조정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기술의 인류학」을 목표로 하여, 인간 사회의 발전을 위한 기술 혁신의 의의는 물론, 인간 유기체와 기술적 행동의 상관관계를 탐구했다.
(d) 창의성:Popitz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자발적으로 수정하여 자기 존재의 원조가 되는 인간의 능력에 매료되었다.그에게 사회 연구는 환상의 힘, 즉 주관화, 객관화, 초월성의 미덕을 고려해야 한다.
하인리히 포피츠의 글
독일어로 된 글
- 데르 엥크렘데테 멘슈 Zeitkritik und Geschichts philosopie des jungen 마르크스(원래 Verlag für recht und Gesellschaft, 바젤 1953).위센샤프트리히 부크게셀샤프트, 다름슈타트 1980, ISBN3-534-06474-7.
- Die Wohnwünsche der Bergarbeiter. 다우원윈체 데르 베르 소지올로기시체 에르헤붕, 더우퉁 운트 크리틱 데르 온보르스텔룽겐 아네스 베루프(엘리자베스 페일, 군터 입센과 함께).모어, 튀빙겐 1954 ISBN 3-16-506991-3
- 테크닉과 산업은 근근히 일한다. 데어 ü텐산업계의 소지올로기시체 운테수충겐(H. P. Barth, E. A. Jüres, H. Kesting과 함께).모어, 튀빙겐 1957 ISBN 3-16-538512-2
- Das Gesellschaftsbild des Arbyters. Das Gesellschaftsbild 후텐산업계의 소지올로기시체 운테르수충(H. P. Barth, E. A. Jüres, H. Kesting과 함께).모어, 튀빙겐 1957 ISBN 3-16-539192-0
- 데르 베그리프 데르 소지알렌 롤레 알스 원소 데르 소지롤리첸 테오리모어, 튀빙겐 1967 ISBN 3-16-537801-0
- 뷔르는 프래벤티브위르콩 데스 니치트위센스를 죽인다. 던켈지페르, 노름과 스트라페(원래 모어, 튀빙겐 1968년).BWV, 2003년 베를린 ISBN 3-8305-0522-1
- 프뢰세 데르 마흐빌둥.Mohr, Tübingen 1968, ISBN 3-16-538071-6.
- 규범적 콘스트루션 폰 게셀샤프트를 죽이십시오.Mohr, Tübingen 1980, ISBN 3-16-543151-5.
- 페노메네 데르 마흐트.Mohr, Tübingen 1986 (2차, 1992년 연장판), ISBN 3-16-145897-4.
- 데르 아우프브루흐 주르 아티피젤렌 게셀샤프트 슈어 인류학자 데어 테크닉모어, 튀빙겐 1995 ISBN 3-16-146381-1
- 베게 데르 크레이티베트모어, 튀빙겐 2000 ISBN 3-16-147310-8
- Die Quadratur des Gordischen Knotens. 디 쿼드라이터 데 고르디 제텔버스.위르겐 크롬 위소메드-베를라크, 괴팅겐, 아우크스부르크, ISBN 3-921969-27-1.
- 소지알레 노멘프랑크푸르트 암 메인: Suhrkamp, 2006, ISBN 978-3-518-29394-2 (edd. Friedrich Pohlmann and Wolfgang Eßbach)
- 소지올로기 죽어가는 에인후룽.콘스탄츠:콘스탄츠 대학 출판부, 2010, ISBN 978-3-86253-002-1 (편집: 조센 드레이어, 마이클 K)월터.
- 알게마이네 소지올로기, 콘스탄츠:콘스탄츠 대학 출판부, 2011, ISBN 978-3-86253-018-2 (편집: 조센 드레이어, 안드레아스 괴틀리치)
영어로 된 글
- 사회학적 이론의 요소로서의 사회적 역할의 개념.인: J. A. 잭슨의 역할 (사회학 연구 4) 에드.런던: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페이지 11–39. (독일 원문:데르 베그리프 데르 소지알렌 롤레 알스 원소 데르 소지롤리첸 테오리)
- 힘의 현상.뉴욕: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2017, ISBN 978-0-231-17594-4.
보조 문헌(영어)
- 잔프랑코 포기:힘의 형태.케임브리지:폴리티 프레스 2001, ISBN 0-7456-2475-8 (특히 2장과 3장)
- Gianfranco Poggi : 정치 경험의 다양성.현대 사회의 권력 현상.에섹스 대학교: ECPR 프레스 2014, ISBN 978-1-907-301-75-9 (특히 2장, 4장, 5장)
- 크리스텔 홉과 월터 뮐러:독일 연방 공화국의 경험적 사회 연구 개발에 관한 연구In: Soziologie, Special Edition 3/1994, 52ff, ISBN 978-3-3-222-95757-3.
- 귄터 뤼센: 제2차 세계 대전 후 25년간의 독일 사회학: 제도화와 이론.In: Soziologie, Special Edition 3/1994, 11ff, ISBN 978-3-3-222-95757-3.
- 안드레아스 괴틀리치와 조센 드레이어: 편집자의 소개.인: 하인리히 포피츠, 힘의 현상. 권위, 지배, 폭력.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2017, IXFF.
참조
- ^ 데르 엥크렘데테 멘슈
- ^ Das Gesellschaftsbild des Arbiters와 Technik und Industrierbit.책 리뷰에서 William N. Parker는 여기서 "감정주의가 독일 사회학의 막힌 소리 장벽을 돌파했다"고 말했다.(경제사 저널, 19(2), 1959, 페이지 315).
- ^ 이 책의 초기 버전은 지안프랑코 포기(논설사회학, 17(4))와 한스 피터 드레이첼(소셜리서치, 36(1))이 영어로 검토했다.
- ^ Trutz von Trotha의 다음 기사를 참조하십시오.George Ritzer와 J. Michael Ryan의 사회학 간결한 백과사전, 2011년 블랙웰 페이지 681.
- ^ 스텔라 R의 사회학 국제 핸드북을 참조하라.콰와 아르노 세일즈, 세이지 2000, 페이지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