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클라스 루만
Niklas Luhmann니클라스 루만 | |
---|---|
![]() | |
태어난 | |
죽은 | 1998년 11월 6일 | (70세)
모교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뮌스터 대학교 |
로 알려져 있다. | 자폐사회제도이론 기능분화 운영 구성론적 인식론 이중 보정[1] |
과학 경력 | |
필드 | 사회이론 시스템 이론 커뮤니케이션 이론 사회신경망상학 |
기관 | 빌레펠트 대학교 |
어드바이저 | 탈콧 파슨스 |
저명한 학생 | |
영향 | |
영향받은 |
니클라스 루만(/hlumannm/n/; 독일어: [ˈluːman];1927년 12월 8일 ~ 1998년 11월 6일)은 독일의 사회학자, 사회과학의 철학자, 시스템 이론의 저명한 사상가로,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사회 이론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4]
전기
루만은 프로이센 자유주 뤼네부르크에서 태어났는데, 그곳에서 아버지 가족은 몇 대째 양조장을 경영하고 있었다.그는 1937년 루네부르크의 요한클레어 체육관에 들어갔다.[5]1943년 그는 제2차 세계대전에 루프트와펜헬퍼로 징집되어 2년간 복무하다가 1945년 17세의 나이로 미군에 의해 전쟁 포로가 되었다.[6]전쟁이 끝난 후 루만은 1946년부터 1949년까지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그 후 뤼네부르크의 공공 행정 분야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1961년 안식년 동안, 그는 하버드로 가서 당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 시스템 이론가였던 탈콧 파슨스 밑에서 만나 공부했다.
후년에 루만은 파슨스의 이론을 일축하면서 자신의 경쟁적 접근법을 발전시켰다.1962년 문무를 떠나 독일 슈피어의 국립 도이체 호흐슐 퓌르 베르왈퉁스위센샤프텐(행정과학대학)에서 강연했다.[7]1965년 헬무트 셸스키가 이끄는 뮌스터 대학의 소지알포스청스텔(사회연구센터)에 취직 제의를 받았다. 1965/66년 그는 뮌스터 대학에서 사회학 한 학기를 공부했다.
초기 두 권의 책은 1966년 뮌스터 대학에서 박사학위 논문과 하빌리테이션으로 소급 받아들여져 대학교수 자격을 얻었다.1968년/1969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테오도르 아도르노 전 석좌의 강사로 잠시 활동한 후, 새로 설립된 독일 빌레펠트 대학의 사회학과 전임 교수(1993년까지)로 임명되었다.그는 은퇴 후에도 계속 출판을 하였는데, 이때 마침내 1997년에 출간된 자신의 마그넘 오퍼스인 다이 게셀샤프트 데르 게셀샤프트(문학적으로 "사회학회")를 완성할 수 있는 시간을 찾았고, 영어로 <사회이론>(2012년 제1권, 2013년 제2권)으로 번역되었다.이 작품은 영토가 분할선인 분할된 사회를 묘사하고 있다.[8]
작동하다
루만은 70여 권의 책과 거의 400여 편의 학술적 기사가 법률, 경제, 정치, 예술, 종교, 생태, 대중매체, 사랑을 포함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출판되어 다작적으로 저술했다.그의 이론이 아직 미국 사회학에서는 큰 획을 긋지 못하고 있지만, 그의 이론은 현재 독일 사회학에서는 잘 알려져 있고,[9] 러시아를 포함한 일본과 동유럽에서도 다소 집중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그가 다른 곳에서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것은 그의 글이 많은 사회학자를 포함한 독일어 독자들에게도 도전장을 내밀기 때문에 그의 작품을 번역하는 것이 어려운 작업이라는 사실 때문이기도 하다.(p xxvii Social Systems 1995)
루만의 작품들 중 많은 부분이 법체계의 운영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그의 자포자기적인 법 이론은 법학 사회학과 사회법학 연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공헌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10]
루만은 아마도 사회 시스템 이론의 잠재력에 대해 비판적인 이론가 위르겐 하버마스와의 토론으로 북미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비록 철학적 근본주의나 포스트 모더니즘 작가들의 비판적 작품에서 자주 언급되는 "메타-해설주의"의 의미도 아니지만, 그의 과거 멘토였던 탈콧 파슨스와 마찬가지로 루만은 "대론"의 옹호자다.오히려 루만의 작품은 그가 쓴 주제의 다양성이 나타내듯이 보편적인 이론적 틀 안에서 사회생활의 어떤 측면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광범위하게 말하면 복잡성 이론에 더 가까운 궤적을 취한다.루만의 이론은 때때로 특히 앙글로폰 세계 내에서 매우 추상적이고 복잡하다고 일축되는 반면, 그의 연구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국가인 스칸디나비아와 이탈리아의 학자들에게 더욱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9]
루만 자신은 자신의 이론을 '라비린틴'이나 '비선형'이라고 표현하며, 산문이 '너무 빨리' 이해되지 않도록 일부러 수수께끼 같은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단순한 오해만을 낳을 뿐이다.[11]
시스템 이론
루만의 시스템 이론은 그의 작품 전체에서 상호 연결된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2]
- 사회이론으로서의 시스템 이론
- 커뮤니케이션 이론 및
- 진화론
루만 이론의 핵심 요소는 의미의 우발성 문제를 중심으로 선회하고, 따라서 그것은 소통의 이론이 된다.사회시스템은 소통의 시스템이고, 사회는 사회시스템을 가장 포괄하는 시스템이다.모든 (그리고 유일한) 의사소통을 구성하는 사회 시스템이 되는 오늘날의 사회는 세계 사회다.[13]시스템은 그 자체와 그 환경 사이의 경계에 의해 정의되며, 무한히 복잡한, 또는 (협조적으로) 혼란스러운 외관과 구분된다.따라서 시스템 내부는 복잡성이 감소된 영역이다. 시스템 내의 통신은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정보의 제한된 양만을 선택하여 작동한다.이 과정을 "복잡성 감소"라고도 한다.정보가 선택되고 처리되는 기준은 의미(독일어, Sinn)이다.따라서 한 세트의 잠재적 공간으로부터 다른 세트의 잠재적 공간으로의 참조를 의미한다.사회적 시스템과 심령 시스템(이 구별에 대한 설명은 아래 참조) 모두 의미 처리에 의해 작동한다.
나아가 각 시스템은 의사소통에서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독특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것이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어떤 것이 아닌가에 달려 있다.시스템이 그 정체성을 유지하지 못하면, 그것은 시스템으로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고, 그것이 생겨난 환경으로 다시 녹아든다.루만은 칠레 사상가 훔베르토 마투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인지생물학에서 만든 용어를 사용하여 이전에 지나치게 복잡한 환경 자토피시스(auto-poy-E-sis, 문자 그대로: 자기창조)에서 여과된 원소로부터 이러한 재생산 과정을 칭했다.사회시스템은 그들이 그들의 환경에서 나오는 자원을 사용하고 의존하는 반면, 그러한 자원은 시스템 운영의 일부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운영상 폐쇄된다.사상과 소화 모두 의사소통의 중요한 전제조건이지만, 의사소통에는 그렇게 나타나지 않는다.[13]
그러나 마투라나는 이러한 자폐증 이론의 전용은 실존 인물로부터의 통신의 자율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불건전하다고 매우 소리 높여 주장했다.즉, 사회 시스템을 운용적으로 폐쇄된 통신 네트워크라고 기술함으로써, 루만(마투라나에 따르면)은 통신이 인간의 통신자를 전제로 한다는 사실을 무시한다.오토포피시스는 자신을 재생산하는 공정의 네트워크에만 적용되지만,[14]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에 의해 재생산된다.이러한 이유로 생물학에서 사회학으로 비유하는 것은 이 경우 보류하지 않는다.[15]반면 루만은 자신이 '인간 없는 사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이 자기중심적이라는 점을 명시적으로 강조했다.의사소통은 인간의 신체와 의식으로 가능하지만,[16] 그렇다고 해서 의사소통이 작동적으로 개방되는 것은 아니다.소통에 '참여'하려면 자신의 생각과 인식을 소통의 요소로 만들 수 있어야 한다.이는 의사소통적 운영(생각과 인식은 직접 전달될 수 없음)으로서만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의사소통에 특정한 내부 시스템 조건(지능성, 수취인 도달 및 수용성)을 충족해야 한다.[17]
루만은 오토포피시스(환경으로부터 정보를 필터링하고 처리하는 것)의 운영을 프로그램에 비유하여 일련의 논리적 구분(독일어, Unterscheidungen)을 만든다.여기서 루만(Luhmann)은 영국 수학자 G. 스펜서-브라운(G. Spencer-Brown)이 일찍이 마투라나와 바렐라가 어떤 인지 과정의 기능을 위한 모델로 식별했던 구별 논리를 말한다.주어진 시스템의 "자기 창조"를 안내하는 최고의 기준은 정의되는 이진법이다.이 이진 코드는 컴퓨터 작동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루만(Spencer-Brown과 Gregory Bateson에 이어)은 자동추천 시스템이 분해/연속이라는 딜레마에 지속적으로 직면하고 있다고 가정한다.이 딜레마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용 가능한 선택들로 틀에 박혀 있다; 그러한 모든 잠재적 선택들은 시스템의 선택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항 상태, 선택/거부됨)스펜서 브라운의 저서 '형식의 법칙'이 루만에게 미친 영향은 아무리 과대평가해도 지나치지 않다.
루만은 처음에 파슨스의 영향 아래 사회제도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켰지만, 곧 파르소니언 개념에서 멀어졌다.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파슨스가 AGIL 패러다임에 따라 시스템을 행동의 형태로 액자화했다는 점이다.파슨스의 시스템 이론은 시스템을 작동적으로 개방되고 입력과 출력 스키마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2차 사이버네틱스의 영향을 받은 루만은 대신 시스템을 자동적이고 운영적으로 폐쇄적인 것으로 취급한다.[18][19]시스템은 시스템과 환경의 구별을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자신과 현실의 관점을 구성해야 하며, 스스로 자체적인 요소의 산물로 재창조해야 한다.사회 시스템은 행동으로서가 아니라 재귀적 의사소통으로서 루만에 의해 정의된다.현대 사회는 세계 시스템은 모든 통신(경제와 같이, 정치, 과학, 사랑, 예술, 미디어 등)는 사회 시스템에서"outdifferentiated"사회적 서브 시스템으로 보고 자신의 작전 폐쇄 a를 달성했다 설명되어 있고 개별 once,[20]기능 시스템이 한번도 일어난 전부로 구성되어 있는 정의된다알몬드자폐증[21]
또 다른 차이점은 파슨스가 특정 서브시스템이 어떻게 사회 전체의 기능에 기여하는지 묻는다는 점이다.Luhmann은 특징 없는 환경으로부터 시스템 자체의 차별화로부터 시작한다.그는 특정 시스템이 "사회" 전체에 기여하는 기능을 어떻게 이행하는지를 관찰하는 한편, 더크하임과 파슨스의 사회적 기능 개념화에 공통적인 선험적 문화적 또는 규범적 합의나 "불만적 목적"을 가정하여 배포한다.[22]루만에게 있어 기능 분화는 시간화된 복잡성 하에서 선택적 압력의 결과로서 기능 수행에 의해 기능 시스템이 독자적인 생태적 틈새를 구축하면서 발생한다.[23]그러므로 기능은 유기적 사회 전체의 조정된 구성요소가 아니라, 더 높은 질서의 원칙을 따르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대응될 수 있었던 참조 문제에 대한 우발적이고 선택적인 대응이다.
마지막으로, 이 시스템의 자폐는 파슨스의 개념과는 또 다른 근본적인 차이점이다.각 시스템은 자체 코드에 따라 엄격하게 작동하며, 그 코드를 자신의 운영에 적용해야만 다른 시스템을 관찰할 수 있다.예를 들어, 경제의 코드는 지불과 비 지불의 구분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다른 시스템 운영은 이 경제 코드를 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경우에만 참조의 경제 분야 내에 나타난다.따라서, 정치적 결정은 정부가 돈을 쓰거나 쓰지 않는 것으로 관찰될 때 경제 운영이 된다.마찬가지로 계약상 분쟁의 해결로 인해 한 당사자가 취득한 재화나 용역에 대한 대가를 지급해야 하는 경우에도 법적 판단은 경제적 운영이 될 수 있다.경제·정치·법률의 코드는 자율적으로 작동하지만, 둘 이상의 시스템이 동시에 참여하는 '이벤트'[25]를 관찰하면 이들의 '통치'[24]가 뚜렷하게 드러난다.
겉보기에는 특이해 보이지만, 전체적인 틀 안에서 엄격히 논리적인 루만 이론의 공리는 파슨스에 의해 초기에 개발된 어떤 사회 시스템과도 접촉하고 있는, 바깥의 인간의 위치다."순수한 의사소통 행위"(위르겐 하버마스에 대한 언급)로 구성되는 어떤 사회제도도 분명히 필요한 것으로서 인간의 의식(개인적 또는 심리학적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적 자원이 요구된다.루만의 말로 인간은 대화의 일부가 아닌 것처럼 사회의 일부도 아니고 어떤 특정한 시스템도 아니다.사람들은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루만 자신도 "사람에게 관심이 없다"고 간결하게 말한 적이 있다.그렇다고 해서 사람들이 루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들의 의사소통행위가 사회제도의 역학관계에 의해 구성(그러나 정의되지 않음)되고, 사회는 사람들의 의사소통행위에 의해 구성(그러나 정의되지 않음)되는 이론의 범위를 암시하는 것이다: 사회는 사람들의 환경이며, pe는 사람들의 환경이다.오플은 사회의 환경이다.
그러므로, 사회학은 사람들이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즉, 시스템(사회)에 대한 환경(소통하는 인간/하지만 더 적절하게 구속하고 가능하게 하는 인간)의 영향, 즉 "구조적 결합"을 설명할 수 있다.실제로 루만 자신은 "사실 자기소개체계의 이론은 우리의 인문주의적 전통보다 더 심각하게 개인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이라는 제목을 가질 수 있다"(니클라스 루만, 운영 폐쇄 및 구조적 결합: 법체계의 차별화, 카르도조 법리 검토, 제13권: 1422).루만은 20세기 초 막스 베버에 의해 사회학에 소개된 비표준과학의 이상에 헌신했으며, 이후 칼 포퍼에 의해 다시 정의되고 비평가들에 대항하여 변호하였다.그러나 사회의 서술적 이론과 규범적 이론을 절대 엄격하게 분리하지 않는 학문적 환경에서 루만의 사회학은 위르겐 하버마스를 비롯한 여러 지식인들의 비판을 폭넓게 끌어왔다.[citation needed]
루만 영접
루만의 시스템 이론은 비평가들이 없는 것이 아니다; 그의 "자아적"과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정의는 다른 것과 다르다.동시에 그의 이론은 사회학자와 다른 학자들에 의해 전세계적으로 적용되거나 사용되고 있다.그것은 종종 기업의 사회적 책임, 조직적 정당성, 지배구조에 관한 분석뿐만 아니라 법률의 사회학 및 물론 일반 사회학에도 사용된다.그의 시스템 이론은 또한 스마트 그리드, 탄소 포획 및 저장, 풍력에너지를 포함한 미국 전역의 다양한 에너지 기술의 미디어 담론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citation needed]그의 접근방식은 루만이 사회제도의 운영적 폐쇄를 증명하지 못했거나, 실제로 자포자기적 사회제도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그는 대신 이것을 전제나 전제로서 받아들였고, 결과적으로 사회제도에서 인간을 배제해야 하는 논리적 필요성을 초래했으며, 이는 사회제도적 관점이 개인의 행동, 행동, 동기, 또는 실제로 어떤 개인의 존재에 대해 회계처리하는 것을 방해한다.[26]
노트 필링 시스템(제텔카스텐)
루만은 "슬립박스"나 제텔카스텐 노트 필링 방식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으로 유명했다.그는 자신의 연구를 위해 약 9만장의 색인 카드를 만들었고, 그것이 그의 뛰어난 다작의 글쓰기를 가능케 했다고 인정했다.그것은 디지털화되어 2019년에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27]루만은 에세이 Kommunikation mit Zettelkésten에서 제텔카스텐을 시스템 이론에 대한 연구의 일부로 묘사했다.[28]
잡다한
루만은 울리히 손네만, 요한 게오르크 하만, 리처드 버크민스터 풀러 등과 함께 폴 우르의 문학작품 다스 허쉬 부흐의 등장인물로도 등장한다.
루만은 고향인 뤼네부르크에 있는 부모님의 집에 "폰스"라는 펍을 소유하고 있었다.아버지의 양조장도 들어 있는 이 집은 1857년부터 그의 집안이었다.
출판물
- 1963: (프란츠 베커와 함께):Verwaltungsfehler와 Vertrauensschutz: 뫼글리히케이텐 게세틀리허 레겔룽 데르 뤼크네흐바르케이트 폰 베르왈퉁사크텐:던커 & 험블롯
- 1964: 베를린 펑크티온과 폴젠 공식조직:던커 & 험블롯
- 1965: Effentlich-rechtliche Entchédigung rechtspolitisch betrachtet, 베를린:던커 & 험블롯
- 1965: Grundrechte Als Institute: 베를린의 정치학자인 아인 비트라그 주르 소지올로기:던커 & 험블롯
- 1966: 데어 외펜틀리헨 베르왈퉁의 레흐트 und 오토메이션: 베를린 운터수충: Eine verwaltungs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 Berlin:던커 & 험블롯
- 1966: Theory der Verwaltungswissenschaft: Bestandsaufnahme und Entwurf, Köln-Berlin
- 1968: Vertrauen: Ein Mechanismus der Reducation Sozialer Komplextét, Stuttgart: Enke
(영어 번역:신뢰와 힘, 치커스터:와일리 (1979년) - 1968: Zweckbegriff und Systemrationalitét: Wiber die Funktion von Zwecken in Szialen Systemen, Tübingen: J.C.B.모어, 폴 시벡
- 1969: 베르파흐렌, 노위드/베를린:루히터핸드
- 1970: 소지올로기체 아우프클래룽: Aufsettze jur Theri Sozialer Systeme, Köln/Opladen: Westdeutscher Verlag(일부 기사의 영문 번역: 사회의 차별화, 뉴욕: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1982년)
- 1971년(위르겐 하버마스 포함):Theory der Gesellschaft oder Sozialtechnologie - Leistet die Systemforschung?프랑크푸르트: 수하르캄프
- 1971: Politische Planung: 오프세체 수르 소지올로기 폰 폴리티크 und Verwaltung, Opladen: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 1972: Rechts soziologie, 2권, Rinebek:로울트
(영어 번역:[오피니언] 런던 사회법률론 : 루트리지, 1985년) - 1973: (Renate Mayntz 사용):개인 임 öffentlichen Dienst: 아인트리트 운트 캐리렌, 바덴바덴: 노모스
- 1974: Rechtssystem und Rechtsdogmatik, Stuttgart: Kholhammer Verlag
- 1975: 마흐트, 슈투트가르트: 엔케
(영어 번역:신뢰와 힘, 치커스터:와일리 (1979년) - 1975: 소지올로기체 아우프클래룽 2: 오프세체 수르 테오리 데르 게셀샤프트, 올라덴:서부 독일 출판사.,.mw-parser-output cite.citation{font-style:상속을 하다;word-wrap:break-word}.mw-parser-output .citation q{인용:")"""\"""'""'"}.mw-parser-output .citation:target{background-color:rgba(0,127,255,0.133)}.mw-parser-output.id-lock-freea,.mw-parser-output .citation{.cs1-lock-free.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5/Lock-green.svg")right 0.1em center/9pxno-repeat}.mw-parser-output .id-lock-limiteda,.mw-parser-output .id-lock-registra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limited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registration{.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6/Lock-gray-alt-2.svg")right 0.1em center/9pxno-repeat}.mw-parser-output .id-lock-subscription a,.mw-parser-output .citation .cs1-lock-subscription{.배경: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a/Lock-red-alt-2.svg")right 0.1em center/9pxno-repeat}.mw-parser-output{배경 .cs1-ws-icon:linear-gradient(transparent,transparent),url("//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c/Wikisource-logo.svg")right 0.1emcenter/12pxno-repeat}.mw.-parser-output .cs1-code{색:상속을 하다;배경:상속을 하다;국경 아무 것도 없고 패딩: 물려받다}.mw-parser-output .cs1-hidden-error{디스플레이:아무도, 색:#d33}.mw-parser-output .cs1-visible-error{색:#d33}.mw-parser-output .cs1-maint{디스플레이:아무도, 색:#3a3, margin-left:0.3em}.mw-parser-output .cs1-format{:95%font-size}.mw-parser-output .cs1-kern-left{.Padding-left:0.2em}.mw-parser-output .cs1-kern-right{padding-right:0.2em}.mw-parser-output .citation .mw-selflink{font-weight:상속}ISBN 일부의 기사 978-3-531-61281-2(영어 번역:. 사회의 차별화, 뉴욕: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1982년)
- 1977: 펑키온 데 종교, 프랑크푸르트: 수하르캄프
(72~181페이지의 영어 번역: 종교 독문과 사회 진화, 뉴욕/토론토:에드윈 멜렌 프레스) - 1978년: 조직 및 엔체리둥(=Rheinisch-Westfel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Vortrége G 232), Opladen: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 1979년 (Karl Eberhard Schorr과 함께):반사 프로블렘 에르지흥스스템, 슈투트가르트: 클렛코타
- 1980: Gesellschaftsstructur und Semantik: Studien Jur Wissenssoziologie der modernen Gesellschaft I, 프랑크푸르트: Suhrkamp
- 1981: 폴리티시체 더리 임 볼파흐츠스타트, 뮌헨: 올조그
(Sziologische Aufklerrung 4: 베를린 복지국가의 정치이론: de Gruyter, 1990) - 1981: Gesellschaftsstructur und Semantik: Studien jur Wissenssoziologie der modernen Gesellschaft II, 프랑크푸르트: Suhrkamp
- 1981: Ausdifferencedzierung des Rechts: Beitrégeur Rechtsoziologie und Rechtstheori, 프랑크푸르트: Suhrkamp
- 1981: 소지롤리체 아우프클래룽 3: 소지알레스 시스템, 게셀샤프트, 조직, 올라덴: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 1982: Liebe als Passion: Jur Codierung von Amentitett, 프랑크푸르트: Suhrkamp
(영어 번역: Love as Passion: Love as Passion: 친밀함의 코드화, 케임브리지:폴리티 프레스, 1986, ISBN978-0-8047-3253-6) - 1984: Soziale Systeme: Grundriß einer allgemeinen Theori, 프랑크푸르트: Suhrkamp
(영어 번역:Social System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 1985: Kann die moderne Gesellschaft sich auf ökologische Gefhrdungen einstellen?(= Rheinisch-Westfel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Vortrége G 278), Opladen: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 1986: Die soziologische Beobachung des Rechts, 프랑크푸르트: 메츠너
- 1986: 외콜로기체 코무니케이션: 칸은 죽다 온건한 게셀샤프트 시흐 아우프 쾨콜로기체 게페르둔겐 인스텔렌?Opladen: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영어 번역:생태 통신, 캠브리지:폴리티 프레스, 1989년) - 1987: 소지롤리체 아우프클래룽 4: 베이트래지 주르 펑티오날렌 차이렌지룽 데르 게셀샤프트, 올라덴: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 1987년(Dirk Baeker와 Georgang Stanitzek 편집자):Archimedes und wir: 인터뷰, 베를린:머브
- 1988: Die Wirtschaft der Gesellschaft, 프랑크푸르트: Suhrkamp
- 1988: 에르켄트니스 알스 콘스트루션, 베른: 벤텔리
- 1989: Gesellschaftsstructur und Semantik: Studien jur Wissenssoziologie der modernen Gesellschaft 3, 프랑크푸르트: Suhrkamp
- 1989년(Peter Fuchs와 함께):르덴 und 슈바이겐, 프랑크푸르트: 수하르캄프
(부분 영어 번역: "Speaking and Silence", New German Critique 61 (1994), 페이지 25–37) - 1990:리시코와 게파흐르(=Aulavortrége 48), 세인트 갈렌
- 1990: 패러다임 상실: Uber die ethece reflection der Moral, 프랑크푸르트: Suhrkamp
(부분 영문 번역: "Paradigm Lost: 도덕의 윤리적 반영: 1988년 헤겔상 수상 경력에 관한 연설", Statisty Eleven 29 (1991), 페이지 82–94) - 1990: 셀프 레퍼런스에 관한 에세이, 뉴욕: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 1990: 소지올로기체 아우프클래룽 5: 콘스트리트비스트리스체 페르스페키벤, 올라덴: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 1990: Die Wissenschaft der Gesellschaft, 프랑크푸르트: Suhrkamp
(10장의 영어 번역: "과학의 현대성", 신독일어 비평 61(1994), 페이지 9-23) - 1991: 소지올로기 데 리시코스, 베를린: 드 그루이테르
(영어 번역:위험: 사회학 이론, 베를린: 드 그루이터) - 1992년(Rafaele De Giorgi와 함께):테오리아 델라 사교 모임, 밀라노:프랑코 안젤리
- 1992: Beobachtungen der Moderne, Opladen: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 1992년(André Kieserling 편집자:우니베르시테트 알스 밀리외, 빌레펠트: 하우스
- 1993: Gesellschaft noch unverzictbare Normen?,하이델베르크: CF 뮐러
- 1993: Das Recht der Gesellschaft, 프랑크푸르트: Suhrkamp
(영어 번역: Law as a Social System, 옥스포드: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4, ISBN0-19-826238-8) - 1994: Die Ausdifferentzierung des Kunstsystems, Bern: 벤텔리
- 1995: Die Realitét der Massenmedien(=Nordrhein-Westfel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Vortrége G 333)), Opladen 1995; 두 번째, 확장판 1996).
(영어 번역: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ISBN978-0-8047-4077-7) - 1995: 소지올로기체 아우프클래룽 6: 다이 소지올로기 앤 데어 멘슈, 올라덴:웨스트데우츠허 베를라크
- 1995: Gesellschaftsstructur und Semantik: Studien jur Wissenssoziologie der modernen Gesellschaft 4, 프랑크푸르트: Suhrkamp
- 1995: Die Kunst der Gesellschaft, 프랑크푸르트: Suhrkamp
(영어 번역:Art as a Social System,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 1996: Die neuzeitlichen Wissenschaften und die Phenomologie, Wien: Picus
- 1996년(카이-우웨 헬만 편집: 항의: 시스템테로리 운지알레 베에궁엔, 프랑크푸르트: 수하르캄프
- 1996: 그 위험성에 충격을 받은 현대 사회, 홍콩, HKU Strainers HUB를 통해 이용 가능
- 1997: 디 게셀샤프트 데 게셀샤프트, 프랑크푸르트: 수르캄프
(영어 번역:학회론, 스탠퍼드대 언론) - 1998: Die Politik der Gesellschaft, 프랑크푸르트: Suhrkamp (Herausgeben von Andre Kieserling, 2000)
- 1998: 제셀샤프트, 프랑크푸르트: 수하르캄프 (Herausgeben von Andre Kieserling, 2000)
- 1998: Das Erziehungssystem der Gesellschaft, 프랑크푸르트: Suhrkamp (Herausgeben von Dieter Lenzen, 2002)
- 2000: 기구와 위스바덴: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 2006, "System as Difference".조직, 제13권 (1)(2006년 1월), 페이지 37-57
참조
- ^ Raf Vanderstraeten, "Parsons, Luhmann and the Organization of Double Conflency" (1), 2002년 고전사회학 저널.
- ^ "Journal of Sociocybernetics 4, 2 – Universidad de Zaragoza" (PDF).
- ^ 지만, 벤자민(2007)"기능 차별화 이론과 현대 사회의 역사.최근 역사학에서 시스템 이론의 수용에 대한 고찰"소지알 시스템, 13(1+2) 페이지 220–229.
- ^ 베흐만과 스테어, '니클라스 루만의 유산' 협회(2002년)
- ^ Jahraus, Oliver; Nassehi, Armin; Grizelj, Mario; Saake, Irmhild; Kirchmeier, Christian; Müller, Julian (2012). Luhmann-Handbuch: Leben – Werk – Wirkung. Berlin: Springer-Verlag. p. 441. ISBN 978-3-476-05271-1.
- ^ 한 인터뷰에서 루만은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 베한들룽 전쟁—겔린데 게사그트—니히트 나흐 덴 레겔른 데르 인터내셔널렌 코니발렌 [...내가 받은 처우는 국제협약 규정에 따른 것이 아니라, 온화하게 말하면]이었다.출처:데틀레프 호스터(1997), 니클라스 루만, 뮌헨, 페이지 28.
- ^ Allan, Kenneth (2006). The Social Lens: An Invitation to Social and Sociological Theory. Thousand Oaks, CA: Pine Forge Press. p. 453. ISBN 978-1-4129-1410-9.
- ^ Luhmann, Niklas (2013). A Sociological Theory of Law. Oxon: Routledge. pp. xxxii. ISBN 978-1-135-14255-1.
- ^ a b Roth, S. (2011) Les deux angleterres et le continues.구유럽 의미론의 수호자로서 앙글로폰 사회학, 제9권, 제1-2권, SSRN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 ^ Luhmann, N, A 사회학 법칙 이론(1985) 및 Law As a Social System(사회 시스템으로서의 법칙)이 클라우스 A에 의해 번역되었다.지거트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 ^ "니클라스 루만: Unverstándliche Wissenschaft: Publice einer theoryeigen Sprache in: Luhmann, Soziologische Aufklérung 3: Sosiales System, Gesellschaft, Organization.비즈바덴: VS Verlag, 2005년 4월호 193-205페이지, 199페이지 인용.
- ^ Niklas Luhmann(1975)의 "시스템테로리, Evolutionstheori und Kommunikationstheori", in: Soszologische Gids 22. 페이지 154–168
- ^ a b Luhmann, Niklas (1982). "The World Society as a Social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General Systems. Informa UK Limited. 8 (3): 131–138. doi:10.1080/03081078208547442. ISSN 0308-1079.
- ^ Varela, F.G.; Maturana, H.R.; Uribe, R. (1974). "Autopoiesis: The organization of living systems, its characterization and a model". Biosystems. Elsevier BV. 5 (4): 187–196. doi:10.1016/0303-2647(74)90031-8. ISSN 0303-2647.
- ^ Maturana, Humberto (2004). From being to doing : the origins of the biology of cognition. Heidelberg: Carl Auer Verlag. pp. 105–108. ISBN 3-89670-448-6. OCLC 59207392.
- ^ 루만, N.사회론, 제1권.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12 페이지.56.
- ^ 루만, N. Social Systems.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995, 페이지 158.
- ^ 루만, N. Social Systems.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995.
- ^ 루만, N. 시스템 이론 소개폴리티, 2012년
- ^ 루만, N.사회론, 제 1권.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12 페이지 83–99.
- ^ 루만, N.사회론, 제2권.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13 페이지 65ff.
- ^ 루만, N.사회론, 제 1권.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12, 페이지 6.
- ^ 루만, N.사회론, 제 1권.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12, esp. 페이지 336–343.
- ^ 루만, N. Social Systems.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995, 6장.
- ^ 루만, N.사회론, 제2권.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13 페이지 93.
- ^ Fuchs, C.; Hofkirchner, W. (2009). "Autopoiesis and Critical Social Systems Theory. In Magalhães, R., Sanchez, R., (Eds.)". Autopoiesis in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 Bingley, UK: Emerald. pp. 111–129.
- ^ Noack, Pit. "Missing Link: Luhmanns Denkmaschine endlich im Netz". heise online (in German). Retrieved 2020-05-31.
- ^ Niklas Luhmann: Kommunikation mit Zettelkésten. Ein Erfahrungsbericht, in: André Kieserling (ed.) Universitetht als Milieu. 클라인 슈리프텐, 하우스, 빌레펠트 1992, ISBN 3-925471-13-8, 페이지 53–61; 번역:
추가 읽기
- 데틀레프 호스터(1997), 니클라스 루만, 뮌헨.
- David Seidl과 Kai Helge Becker: Niklas Luhmann and Organization Studies.코펜하겐 2005 코펜하겐 경영대학원 프레스, ISBN 978-87-630-0162-5.
- 미슐레 인판트(2012년).티오리아 시스테미카 데이 미디어Luhmann e la comunicazione, 262 pp, Aracne Editrice, Roma, ISBN 978-88-548-4723-1
- 미슐레 인판테(2013년) : 뉴 아틀란티스의 "코드화: 신호, 운하, 노이즈, 인코딩 및 디코딩"자연과 인간 과학 및 복잡성 저널, 28년 – n° 2 – 2013년 7월/12월, 페이지 57–60, ISSN 2281-9495, ISBN 978-88-548-6611-9, doi:10.4399/9788548661198
- 미슐레 인판테(2013), "정보" (New Atlantis, Nature and Human Science and Complexity Journal 28년 – n° 2 – 2013년 7월/12월, 61–64 페이지, Aracne Editrice, doi:10.4399/9788548661199
- Michele Infante (2013), "Systemic Boundary" in New Atlantis, Nature and Human Sciences and Complexity Journal, Year 28th – n° 2 – Jul/Dec 2013, Aracne Editrice, ISSN 2281-9495, ISBN 978-88-548-6611-9, pp. 65–68, doi:10.4399/978885486611910
- 미슐레 인판트(2013년).2000년대 말 금융위기의 공정과 사회적 위험의 미디어 구축.NEW 아틀란티스, 자연과 인간 과학과 복잡성 저널, 28년 – n° 1- 2013년 12월/6월, Aracne Editrice vol. 1, 페이지 59–78, ISSN 2281-9495, doi:10.4399/97888548601559
- Ilana Gershon(2005) "시스템처럼 보는 것:인류학자를 위한 루만."인류학 이론 5(2): 99–116.
- 조르지오 만프레, "La socialeta della socialeta", QuattroVenti, Urbino, 2008.
- 조르지오 만프레, "에로스 e societa-mondo.Luhmann/Marx Freud", QuattroVenti, Urbino, 2004.
- 한스-조그 몰러(2012년).뉴욕의 레디컬 루만.
- 하비에르 토레스 나파레테 이 다리오 로드리게스 만실라(2008):소개치온 아 라 테오리아 데 라 소시에다드 드 니클라스 루만멜렉시오:허더 논설위원.
- Oliver Jahraus, Armin Nassehi et al. (2012)루만-핸드부치르벤 – 베르크 – 위르쿵, 슈투트가르트.
- 게오르크 크네르와 아르민 나세히(2004년).니클라스 루만아이네 어퓌룽, 뮌헨.
- 알렉산더 리글러와 아르민 숄 (eds.) (2012) 루만의 구성주의적 접근에 대한 관계 및 관련성특집호.Constructivist Foundation 8(1) : 1–116, 저널의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
- 막달라나 츠자네바(에드), 나흐트플루그 데르 율레.Gedenkbuch zum 15.2013년 베를린 니콜라스 루만, 토데스타그 폰 니콜라스 루만.
- 알베르토 세볼리니, 니클라스 루만의 카드지수는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Erudition and Republic of Letters », vol. 3, n. 4, 2018, 페이지 390–420. doi:10.1163/24055069-00304002
외부 링크
- 시스테마스 사회과학적 루만의 자기소개적 사회제도 이론의 기초적 사상의 누설(스페인어)
- Luhmann 아카이브 Niklas Luhmann-Archives의 디지털 컨텐츠 액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