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A. 에드먼슨
Henry A.헨리 알론조 에드먼슨 | |
---|---|
![]() | |
미 하원 의원 버지니아 12구 출신 | |
재직중 1849년 3월 4일 – 1861년 3월 3일 | |
개인내역 | |
태어난 | 버지니아 주 블랙스버그 | 1814년 6월 14일
죽은 | 1890년 12월 16일 버지니아 주 쇼즈빌 | (76세)
정당 | 민주적인 |
모교 | 조지타운 대학교 |
직업 | 정치인, 변호사 |
병역 | |
얼리전스 | ![]() |
지점/서비스 | ![]() |
순위 | ![]() |
구성 단위 | ![]() |
전투/와이어 | 미국 남북 전쟁 |
헨리 알론조 에드먼슨(Henry Alonzo Edmundson, 1814년 6월 14일 ~ 1890년 12월 16일)은 19세기 버지니아의 변호사, 하원의원, 농부, 노예 소유자, 남부연합 장교였다.[1]
초기 및 가정생활
6월 8일 또는 14일에 버지니아의 블랙스버그에서 1813년과 1817년 사이에 마거릿 킹과 그녀의 남편 헨리 에드먼슨 사이에서 태어났다. 헨리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고 계모 마리아 앙투아네트 래드포드 에드문슨에 의해 길러졌다는 것에 모두가 동의한다. 그의 아버지는 노예 노동력을 이용해 농사를 지었고 버지니아 주 몽고메리 카운티를 대표했으며, 어린 헨리가 소년이었을 때를 포함하여 네 번이나 대표했다. 장로 에드먼드슨도 농사를 지으며 1828년에 알레한기 턴피케를 샀다. 그는 아들을 위해 개인 교사를 고용했다. 영 헨리는 워싱턴 D.C.로 보내져 고등 교육을 받았고 조지타운 대학을 졸업했다. 어린 헨리가 돌아왔을 때, 그는 로아노크 카운티로 이주하여 법을 공부했다.[2]
1840년 1월 7일, 헨리 에드먼슨은 메리 아그네스 스트로터 루이스(1820-1848)와 결혼했다. 그들은 그녀가 1848년에 죽기 전에 두 딸과 두 아들을 낳았다.[3]
경력
1838년 버지니아 주 변호사(virginia bar)에 입회한 에드먼드슨은 버지니아주 세일럼에서 법률행위를 시작했고 1845년 로아노크 카운티 연방의 변호사(검사)로 선출되었다. 에드먼슨은 노예 노동으로 농사를 짓기도 했다. 1830년 인구조사에서 에드문드슨은 30명의 노예를 소유했으며, 그 중 18명은 10살 이하의 어린이였다.[4] 1840년 인구조사에서 그는 24명의 노예를 소유했고, 그 중 6명은 10세 이하였다.[5] 1850년 에돈슨은 몽고메리 카운티에 800에이커의 땅을 소유하고 몽고메리 카운티에 12세 이상의 노예 6명과 로아노크 카운티에 성인 1명과 젊은 노예 5명을 소유하였다.[6]
정치
1848년 앨러헌티, 배스, 분, 보테쿠르, 플로이드, 길레스, 그린브리어, 로건, 머서, 먼로, 몽고메리, 포카혼타스, 풀라스키, 로아노크 카운티 서부 버지니아 주의 유권자들은 에드문드슨을 민주당 하원의원으로 선출했다. 그는 휘그 적수를 물리치고 1861년까지 복무했다. 그 기간 동안, 그는 콜롬비아 구역의 노예 무역을 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캘리포니아를 자유 국가로 인정하는 것에도 반대표를 던졌다. 에드문드슨은 적수를 상대하지 않았고 1851년과 1853년에 모두 재선되었다. 그러나 1855년에 크레이그, 페이엣, 니콜라스 롤리 웨인, 와이오밍 주를 그 구역에 추가하면서 구역 경계선이 바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드먼드슨은 아무것도 모르는 당의 월터 레드 스테이플스 후보를 물리쳤다. 1857년과 1859년에도 쉽게 재선에 성공했다. Edmundson은 1853년부터 1855년까지 공공건축물 지출 위원회의 의장이었다.
1854년 5월 12일, 캔자스-네브라스카 법에 관한 하원 회기 중 에드문드슨은 육군 병장에게 체포되었다. 오하이오주 하원의원 루이스 D에 이어. 보도에 따르면, 캠벨은 회의 시작 36시간 만에 점점 더 격렬해지고 있는 하원에 대해 연설했다. 에드먼드슨은 마치 무기를 손에 들고 캠벨을 공격하려는 것처럼 조끼의 단추를 풀기 시작했고, 다른 회원들에 의해 제지당하여 체포되었다고 한다. 그 사건 이후 의회는 휴회했다.[7][8] 1856년 1월 18일, 연설자를 선출하기 위한 토론에서, 오하이오 자유 토일러 조슈아 리드 기딩스는 줄리어스 시저의 대사를 비꼬면서, "가서, 당신의 노예들에게 당신이 얼마나 강건한 사람인지 보여줘/그리고 당신의 채권자들을 떨게 해"라고 비꼬았다. 에드문드슨이 연사를 향해 전진하는 것은 혼란을 일으켰다.[9]
이후 세션에서 1856년 5월 22일 에드먼드슨은 프레스턴 브룩스와 동행하여 미국 상원 바닥에서 찰스 섬너를 지팡이로 잔인하게 공격했다. 에드문드슨에 대한 비난 결의안이 브룩스, 로렌스 M과 함께 사건에 연루되어 소개되었다. 키트(또 다른 공범자); 하원은 브룩스와 키트를 검열했지만 에드문드슨을 검열하지 않기로 투표했다.[10] 에드먼드슨은 이듬해 브룩스의 팔베어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1860년 2월 10일, 에드먼드슨은 존 브라운의 급습에 대한 버지니아의 대응을 지나치다고 비웃었다는 이유로 펜실베이니아 하원의원 존 힉먼을 캐피탈에서 공격했다.[11] 그해 8월, 스테이플스가 버지니아 주 크리스천스버그에서 제헌당연합 후보들을 위해 유세를 벌이자 에드문드슨은 스테이플스와 주먹다짐을 벌였다.
한편 에드문슨은 '신사롭지 않은 북쪽의 필기체'를 박살내려는 의지로 적뿐만 아니라 숭배자들을 얻었다. 그의 이름은 1855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주지사 후보로 지명되었고, 1858년 6명의 데모카르트 주지사 후보 중 3위를 차지했다.[12]
남부 연합군 장교
1861년 4월 6일 버지니아주가 분리독립을 논의했을 때 에드문드슨은 로아노크에서 열린 군중회의에서 연설을 했고 분리독립주의 깃발을 게양했으며 군중들에게도 연설했다. 버지니아주가 탈퇴함에 따라 에드몽슨은 의회에서 사임하고 주지사의 자원 봉사 보좌관으로 3개월을 복무했다. 1861년 9월 4일 버지니아 제54보병대에서 중령으로 임관하여 새로 결성된 남부연합군에 입대하였다.[13] 연대는 1862년 5월에 재편성되었고, 에드문드슨은 함락되었다. 그러나 그는 제27대대 파르티낭 레인저스를 모집하였고, 재입대 후 소령으로 진급하였으며, 1863년 4월 23일 버지니아 기병대 제25대대가 되어 중령으로 진급하였다가 1864년 10월 8일 병세를 이유로 퇴역하였다.[14]
만년
1864년 3월 에드문드슨은 그의 형으로부터 황설 스프링 컴퍼니의 6분의 1을 사들였다. 약수터 리조트는 그가 물려받은 재산인 포딩게이와 약 5마일 떨어져 있었다. 7년 후 에드먼슨과 세 파트너는 2만5000달러에 이권을 팔았다. 이 장군의 항복 이후 에드문드슨은 다시 법 개정에 나섰지만 자신이 원하는 버지니아·테네시 철도청의 고문직을 확보할 수는 없었다. 그는 1880년에 법 집행을 중단했고, 농사와 토지 투기로 눈을 돌렸다.
죽음과 유산
에드먼드슨은 1890년 12월 16일 버지니아주 몽고메리 카운티 쇼즈빌에 있는 자신의 집인 '폴링 워터즈'에서 사망했으며 쇼즈빌에 있는 포딩게이의 가족묘지에 안치되어 있다.[15]
참조
- ^ 사라 B. 베어스 버지니아 전기사전(2016년)의 "헨리 알론조 에드먼슨(d.mundson)"은 https://www.lva.gov/public/dvb/bio.asp?b-Edmundson_Henry_ALonzo에서 볼 수 있다.
- ^
- United States Congress. "Henry A. Edmundson (id: E000058)".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 ^ 버지니아 전기사전
- ^ 1830 버지니아 주 몽고메리 카운티 크리스천스버그에 대한 미국 연방 인구 조사, 34개 중 13개 페이지
- ^ 1840년 미국 버지니아 주 몽고메리 카운티 연방 인구 조사, 71년 중 26
- ^ 버지니아 전기사전
- ^ 모리슨, 마이클 A. 노예제도와 미국 서부.
- ^ 포드, 제임스 1850년 절충안에 따른 미국의 역사: 1850년-1854년. [1]
- ^ 버지니아 전기사전
- ^ 미국 중의원. 하원 행동사례의 역사적 요약 : CS1 maint: 직함으로서 보관된 사본 (링크)
- ^ 버지니아 전기사전
- ^ 버지니아 전기사전
- ^ 제프리 C. 위버, 54대 버지니아 보병(린치버그: H. E. 하워드, 1993), 185-186.
- ^ Dobbie E. Lambert, 25th Virginia 기병대(Lynchburg: H. E. Howard, 1994), 111.
- ^ "Henry A. Edmundson". Find a Grave. Retrieved 2008-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