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푸토의 역사
History of Maputo
모잠비크의 역사 |
---|
![]() |
![]() |
모잠비크의 수도 마푸토의 역사는 마푸토 만이 현재 현대 도시 마푸토가 서 있는 자리에 개발한 어촌이 50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이 만을 발견한 최초의 유럽인은 1502년 안토니오 데 캄포가 이끄는 포르투갈 항해사였다.1544년 포르투갈 상인이자 탐험가인 루렌소 마르키스가 만(灣)에 이르러 델라고아 만(Delagoa Bay)이라는 이름을 붙였다.포르투갈인은 그 자리에 요새를 세웠으나 곧 그것을 버릴 수밖에 없었다.1721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만(灣)에 리사암헤이드 요새를 설립하였으나, 지역 아프리카인들과의 갈등과 불건전한 환경으로 인해 이를 포기하였다.18세기 중반 포르투갈인들은 인도 직물을 실은 영국 선박에 상아를 판매하면서 만으로 돌아왔다.1773년 트리에스테 회사의 윌리엄 볼트가 만(灣)에 도착하여 신성로마제국을 위해 그것을 주장하였다.볼트와 오스트리아인들은 1781년 고아에서 보낸 포르투갈 선박에 의해 강제 퇴거당했다.
그해 포르투갈은 다른 유럽 강대국들이 이 지역을 차지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이 만 위에 요새를 건설해 루렌소 마르케스라는 이름을 붙였다.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이 요새는 주로 프랑스, 영국, 미국의 포경선이 식량을 위해 멈추기 위해 사용하였다.1850년경부터 요새 주변에 마을이 생겨났고, 1877년에는 도시 지위로 승격되었다.1898년 포르투갈 모잠비크의 식민지가 수도를 그곳으로 이전했다.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루렌소 마르케스는 인구와 경제발전 양면에서 항구도시로 성장했다.1975년 모잠비칸 독립과 동시에 이 도시는 국가 수도가 되었고 마푸토로 개칭되었다.모잠비카 내전 기간 동안 이 도시의 경제는 황폐화되었다.전쟁이 끝나자 프리리모 정부는 도시 경제를 살리고 범죄자와 무단 점유자, 불법체류 주민 등을 강제 철거해 도시를 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이후 항구를 중심으로 한 마푸토의 경제가 회복되면서 안정세가 돌아왔다.
유럽 탐험 및 정착, 1500–1820
최초의 주민과 포르투갈 탐험
현재 마푸토 만으로 알려진 곳을 둘러싼 이 지역의 첫 번째 거주자들은 아마도 호이산족이었을 것이다.약 700년 전, 룽가어를 사용하는 반투스는 북쪽에서 이주하여 이 일대에 정착하였다.[1]1500년대에 이르러 현재 마푸토가 차지하고 있는 부지는 작은 어촌으로 발전했다.[2]
맨 처음 만으로 도착한 유럽인은 1502년 바스코 다 가마 선장 중 한 명인 안토니오 데 캄포의 지휘를 받은 포르투갈 선원이었다.1544년 안토니오 칼데이라(Antonio Caldeira)와 함께 포르투갈의 상인 무역업자 겸 탐험가 루렌소 마르케스가 모잠비크 섬의 총독에 의해 탐험의 항해에 파견되었다.마케스는 만을 방문했고, 그 안으로 먹이를 주는 하구의 상류를 항해했다.[3][4][5]마르키스는 이 만을 델라고아 만으로 영국식 표기된 '바이야 다라고아'(포르투갈어: "Bay of the Lagoa")라고 명명했다.[6]포르투갈의 존 3세는 그를 기리기 위해 바이아 데 루렌소 마르케스 만을 선언했지만, 이 이름은 포르투갈 밖에서 흔하게 사용된 적이 없다.16세기 후반이나 17세기경에 포르투갈인들은 이곳에 요새와 교역소인 라 고아를 세웠다.[7]한 명의 가톨릭 교사와 몇몇 상인들이 관리하는 그 요새는 작지만 수익성이 있는 기업이었다.[8]그러나 결국 이 지역에 몰려든 다수의 모기들은 포르투갈인들을 이 요새를 포기하도록 강요했다.[7]
1720년대 네덜란드 요새
1720년 3월 29일, 세 척의 네덜란드 배인 카압 호, 고다 호, 젤란디아 호가 만(灣)[7]에 닿았다.요하네스 스테플러가 이끄는 네덜란드 항해사들은 현지 바통가 부족과 그 우두머리 마금보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7]1721년 3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마금보로부터 만 주변의 땅을 매입하여 폐허에 빠졌던 옛 포르투갈 요새를 재건하는 작업에 착수했다.[7]수리된 이 요새의 이름은 Lydsaamheid 요새(Dutch: "Fort Intership")[7][8]이다.그들이 도착한 지 3주 만에 원래의 선원, 공예가, 그리고 군인들 중 100명이 열병으로 죽었다.[7]1720년 8월, 80명의 새로운 입국자들이 그들을 대체하기 위해 왔다.[7]1721년 4월부터 네덜란드 케이프 식민지의 종속성으로서 갑후프에 의해 지배되었다.[8]네덜란드군이 탈환한 1722년 4월부터 8월 28일까지 이 요새는 존 테일러가 이끄는 해적들이 점령했다.
리사암헤이드 요새의 무역은 주로 상아의 무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보다 덜한 정도는 노예, 주석, 알로, 금가루, 호박, 꿀, 구리, 쌀 등이 있었다.[9]이 요새는 9년 동안 2만2500kg(4만9574lb)의 상아를 수출했고, 288명의 노예를 수출했다.[9]노예 무역은 세계적인 정점에 달하면서도 미미했는데, 이는 네덜란드 노예 무역상들이 대량으로 취급할 수 있는 설사암헤이드 대신 노예를 더 쉽게 얻을 수 있는 북쪽 항구로 가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이다.[9]요새의 정착민들은 농사를 짓려고 했지만 모든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8]
이 요새는 교역 외에도 네덜란드인이 성경에서 오피르로 언급된 금 생산지라고 믿었던 모노마타파의 유명한 금광을 찾아 모잠비카 내륙으로 몇 차례 탐험하는 출발점으로 이용되었다.[7]스테플러가 이끄는 그런 첫 번째 원정대는 레봄보 산맥에서 원주민들의 공격을 받은 후 어쩔 수 없이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다.[7]또 다른 원정, 1720년대 후반 요하네스 몬나가 이끄는 이번에는 원주민 안내원들과 함께 출발했지만, 무역 시도에 실패하고 창으로 무장한 부족과의 교전 끝에 역시 뒤로 돌아섰다.[7]그들은 폭동 음모가 발견된 이후 혼란 상태에 빠진 리사암헤이드 요새를 찾기 위해 돌아왔다.이 요새의 끔찍한 상황에 불만을 품은 62명의 반역자들은 자신들의 계획이 발각된 후 체포되고 고문당하고 살해되었다.[7][8]62명 중 22명은 쇠창살로 얻어맞고 머리가 잘려 나갔으며, 다른 이들은 질식해 참수했으며, 나머지는 그냥 교수형에 처해졌다.[7][8]또한 1728년 28명의 네덜란드 군인들이 리사암헤이드를 버리고 인캄바네로 트레킹을 갔고, 그곳에서 여정에서 살아남은 18명의 군인들이 포르투갈인들에게 요새에서 겪은 학대와 질병에 대해 알려주었다.[8]
리사암헤이드는 그 존재 내내 빈약한 무역, 불건전한 환경, 그리고 일반적인 불화로 고통 받았고, 전설적인 금 생산 지역을 찾는 데 실패했다.[8]1729년 케이프 식민지 관리들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이사회인 희렌 16세로부터 요새를 포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8]식민지는 이러한 명령을 즉각 이행하는 대신 요새의 직원들에게 1년 유예기간을 제공했다.[8]그러나 이 기간 동안, 이 요새의 부하들은 얀 반 데 카펠레의 지휘 아래, 마금보 족장을 공격했는데, 마금보는 부족이 너무 가까이 정착하여 위안을 얻지 못했다.[8]뒤이어 벌어진 전투에서는 여러 명의 현지 추장들이 공격해 한 명의 노예를 제외한 네덜란드 군인들이 모두 숨졌다.[7]이에 카펠레는 케이프 콜로니 관계자들에게 편지를 보내 "적대 원주민"들을 상대하기 위해 증원군을 요청했다.[8]이 일련의 사건들은 케이프 타운 지도자들을 화나게 했다. 리사암헤이드 요새의 사람들은 그들이 떠날 준비를 할 때 분쟁에 연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8]게다가, 식민지 관리들은 그들의 "지옥한" 생활방식에 대해 질타했고, 종종 그 지역을 조사하는 대신 낚시를 하며 하루를 보냈다.[8]1730년 4월, 케이프 콜로니 지도자들은 요새에서 남은 사람들을 대피시켜 케이프타운으로 데려오기로 결의했다.[8]1730년 12월 27일 마지막 133명의 네덜란드인이 스누펠라호에 탑승하여 1731년 1월 케이프타운에 도착했다.[7][8]떠나기 전에 그들은 요새의 모든 남은 물건들을 벗겨내고, 다른 유럽 세력들이 그것을 점령할 수 없도록 팰리세이드를 철거했다.[8]버림받은 지 3년이 안 되어 요새는 성벽 몇 개만 남아 있을 뿐 지나치게 자란 폐허였다.[8]
무역의 부흥, 1730년대-1770년대
1730년대와 40년대는 델라고아 만의 상업활동이 줄어들었다.[8]1742년 마다가스카르 항해를 하던 중 만에서 멈춰 선 네덜란드 선박 브랙은 이 일대가 대부분 인적이 드문 곳이라고 보고했다(아직도 네덜란드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했다).[8]그들은 또한 적은 수의 노예를 팔면서도 상아는 팔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상인 몇 명과 마주쳤다.[8]델라고아 만의 무역 부활은 영국이 인도와의 무역을 확대하면서 이루어졌다.[8]네덜란드 요새가 포기를 당한 이후, 포르투갈인들은 그 만 안에 있는 에스피리투 산토 하구에 간헐적으로 교역소를 유지해왔다.[3]당초 구슬과 팔, 아라코(코넛 제품)는 마드라스에서 모잠비크 섬으로 선적되었는데, 네덜란드 상선이 이들을 픽업하여 델라고아 만으로 가져다주곤 했다.[8]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역은 느리게 성장했고 위험은 여전했는데, 부분적으로는 포르투갈 관리들의 영국 상선에 대한 적대감 때문이었다.[8]1745년부터 인캄바네 선장이 만에서 포르투갈의 권위를 다시 세우라고 촉구했음에도 불구하고, 1755년에야 왕관은 바르케 프란시스코 사비에르를 파견하면서 그렇게 했다.[8]그 목적은 이 지역을 "브라질에게 노예를 제공하라"는 희망에 더하여, 델라고 만을 식민지로 만들려는 영국의 어떤 가능한 시도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8]게다가, 무역이 막 회복되고 있을 때, 포르투갈인들은 상아를 대신하여 데칸 면직물을 비싸게 팔 수 있는 기회를 보았다.[8]뜻밖에도 봄베이 무역선인 영국령 살라만데르 봄케치호가 나타나 포르투갈의 시장 기회를 망쳤다.[8]자비에르는 값비싼 직물을 팔지 못하고 만을 떠나 퀘리마네로 가는 길에 좌초했다.[8]1750년대와 60년대에 영국은 델라고아 만의 무역을 지배했다.[9]
1770년대 오스트리아 식민지화
영국인도 포르투갈인도 델라고아만에 요새를 건설하는 위험한 모험을 하려고 하지 않았다.[8]그럼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은 1762년 델라고아에 새로운 배를 보냈다.[8]작은 교역소를 설립하고, 영국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기 위해 테비 왕국으로부터 주변 토지를 매입하거나 조약을 맺는 것이 목표였다.[8]포르투갈인들은 대장과 50명의 군인들이 있는 만 위에 진흙 구조물을 만들었다.[8]그러나 그들 이전의 네덜란드인처럼 질병은 4년 만에 그 자리를 포기하도록 강요했다.[8]포르투갈 소유의 무역 노예인 무자바즈만이 남아 있어 방문객들을 강탈한다는 평판을 얻었다.[8]
그 만에서 포르투갈인이 사라지면서 네덜란드/영국 상인 윌리엄 볼트는 기회를 보았다.[8]신성로마제국의 색깔로 무역을 허가하는 10년간의 헌장을 가지고 있던 볼트는 1773년 델라고아만에 도착하여 동아프리카와 인도 서해안의 항구 사이의 무역 거점으로 무역장을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10][11]그는 인도와 다른 비유럽 목적지 사이의 유럽인들의 무역이 호명됨에 따라 이 "국가 무역"을 수행하기 위해 대표선인 요셉 und 테레시아를 포함한 3척의 선박을 조달했다.그는 항해 중에 브라질 코치네알 딱정벌레를 입수하여 주홍색 다이를 만들고 채굴하는 데 사용하였다.새로 세운 트리에스테 회사를 대표하여 제국 깃발을 게양하고 두 개의 작은 요새인 성 요셉과 성 포트를 세웠다.마리아.[8][12] 트리에스테 회사는 4년 동안 포츠를 유지했는데, 그 때 적은 상업적 이윤 때문에 그들은 단지 선상 거래로 돌아가야만 했다.[8]1780년 봄베이, 수라트, 마드라스에서 온 배들은 종종 구자라티 섬유를 가지고 와서 상아를 가지고 만을 떠났고, 보통 마다가스카르에 들러 노예를 구입하고 인도로 돌아가기 전에 무역이 크게 성장했다.[8]
1781년 4월 포르투갈은 자신들의 영유권 침탈에 경악하여 고아에서 40발의 프리깃함 1척과 500명의 병사를 포함한 5척의 선박을 파견하여 오스트리아인들을 강제 퇴거시켰다.[8][12]포르투갈인들은 남아 있는 트리에스테 회사 사람들을 모두 포로로 잡고, 정박 중인 두 척의 배를 탈취하고, 그들의 건물을 철거했다.[8]
포르투갈어 제어 재인증, 1780년대–1810년대
포르투갈은 향후의 침입을 막기 위해 즉각 수비대를 설치하고 델라고아 만에서 무역을 재개했다.이 새로운 요새는 포르탈레자 다 노사 센호라 다 컨센시카(포르투갈어: "개념의 항구")라고 불렸다.포르투갈의 정착지는 탐험가의 이름을 따서 루렌소 마르케스라고 불렸다.처음에, 그 항구의 상업적 성공은 거의 없었다.1790년 인도산 섬유 4000개를 팔았는데, 이는 1720년 70년 전에 판매된 3000개에 비하면 미미한 증가였다.[8]인도산 천이 잘 팔리지 않는 반면 유럽산 섬유(1790년 판매된 2만 개)에 대한 수요는 늘었고, 구슬과 산호도 덜 팔렸다.[8]또한 마푸토 강을 내려보낸 화물은 상아, 코뿔소 뿔, 하마 이빨, 호박, 금, 구리, 농산물, 소수의 노예를 가져왔다.[9]비록 19세기 초에 그들은 상아를 팔아서 약간의 이익을 남기고 있었지만, 이 요새를 유지하는 포르투갈인들의 주된 목적은 오스트리아인이나 영국인들이 만에서 재입국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8]포르투갈 왕실의 요새 유지 주장이 없었다면 모잠비크 섬의 식민지 정부는 고군분투하는 정착촌을 포기했을 가능성이 크다.[8]
포르투갈인은 1796년 프랑스의 공격 이후 잠시 루렌소 마르케스를 버리고 1799년 돌아왔다.[9]1801년, 작은 포르투갈 수비대는 델라고아 만에서 영국 선박의 거래를 막을 수 없었다.[9]이 시기에 대한 기록은 한정되어 있지만, 19세기 초 20년 동안 만에서 무역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생각된다.[9]만으로 진입할 다음 영국 배는 14년 후인 1815년이었는데, 그 무렵 포르투갈인들은 성공적으로 그들을 돌려보낼 수 있었다.[9]이 기간 동안 남아 있던 경제활동의 상당 부분은 식량을 얻기 위해 멈춰선 포경선의 방문으로 이루어졌다.[9]프랑스와 영국의 포경선은 1789년부터 항구에 정박해 왔으며, 프랑스 선박들이 이 요새를 공격한 후 더 이상 환영받지 못하는 동안, 영국과 미국의 포경선은 19세기 초까지 만에서 계속 보급되었다.[9]1817년까지 포르투갈인들은 포경 산업에 진출하기 위해 이 항구를 사용할 계획을 세웠다.[9]그해 델라고아만에 포경회사를 설립하려는 그들의 첫 시도는 그들의 대표가 부족의 토지 사용 허락을 구하지 않음으로써 지역 템베 족장을 소외시켰을 때 실패했다.[9]치프는 결국 관련된 포르투갈 사람들을 죽였다.[9]1818년 두 번째 시도와 함께 북미에서 들여온 검은 작살과 전문 장비로 포경 회사가 설립되었다.[9]이 시기까지 모잠비크의 노예 무역은 북쪽으로 발견되었고, 델라고아 만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며, 아마도 포경 같은 다른 모험을 포르투갈인들이 찾는 데 한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9]1820년대까지 노예 무역은 델라고아 만에서 성장했지만, 북쪽에 비하면 여전히 작았다.[9]
포르투갈 식민지화 및 영토 분쟁, 1820–1900
1820년대 영국의 주장과 아프리카의 격변
1821년부터 윌리엄 피츠윌리엄 오웬 선장은 영국으로부터 동아프리카 해안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델라고아 만을 방문하자마자, 오웬은 그의 상관들에게 편지를 썼다. 그곳의 포르투갈 요새는 여전히 너무 고립되어 있어서 때때로 식량 부족을 경험할 정도였다고.[9]그는 루렌소 마르키스가 노예 무역의 주요 참여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썼다.[9]그가 항구의 노예 매매 가능성을 어떤 실제 거래보다는 인용했다는 것은 당시 델라고아 만의 노예 무역이 여전히 매우 겸손했음을 말해준다.[9]오웬은 루렌소 마르키스 남쪽에 있는 만(灣)에 위치한 템비 왕국이 여전히 유럽의 식민 지배국에 의해 소유권이 없다는 것을 알고 영국을 위해 그것을 주장하기 시작했다.[8]1823년 3월, 카펠 왕과 합의를 이루었는데,[13] 카펠 왕은 자신의 왕국을 영국에게 양도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 케팔 왕 [카펠]은, 아프리카인이나 유럽인의 침략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에는 내 주가 너무 약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내 치프들의 조언에 의해 내가 이 강연을 하도록 유도받았다고 선언한다."[8]
오웬은 영국 강 이남의 땅(오늘날 에스피리투 산토 하구로 알려져 있다)을 영국에게 요구했다.[8]그러나 1824년 다시 만을 방문했을 때, 그는 영국 조약을 무시한 포르투갈인들이 아프리카 원주민들과 그들만의 조약을 맺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들은 (실패한) 군사적 소유를 위해 노력했다.오웬은 영토를 다시 장악할 수 있었지만, 그것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유니언 잭이 그 지역을 날아다녔지만, 영국은 그 영토에 대한 권한을 행사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줄루스의 파괴는 포르투갈인들을 요새의 한계에 국한시켰다.[14]은기어를 사용하는 줄루족인 바트와스는 최근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남부를 제외한 지역 마을들을 급습하고 만 지역에 쓰레기를 버렸다.[5][9][15]비가 오지 않고 2년이 지난 지금, 가뭄은 이미 기근을 일으키고 있었고, 바트와스의 파괴적인 공격으로 인해 그 당시 아프리카 지역 주민들은 사회 격변으로 고통 받고 있었다.[9]10년간 지속된 난기류는 1820년대 후반 노예 거래 증가의 사회적 영향으로 악화되었다.[9]가뭄의 영향이 지나가고 노예거래가 쇠퇴한 1830년대에 이르러 어느 정도 안정되었다.[9]
1829년까지 루렌소 마르키스는 여전히 현지인들에게 시룽구인("백인장")으로 알려진 작은 요새화된 교역소로 구성되었다.[5][14]1826년 이전에, 만으로 들어오는 프랑스, 영국, 그리고 미국 배들은 포르투갈 항구와 거래하거나, 아프리카 무역상들과 부족장들과 직접 거래했다.[14]무역은 1826년 한 무역회사가 이 만의 상아 무역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받으면서 더 많은 규제를 받게 되었고, 이 때 아프리카 무역상들로부터 직접 구매를 허용하고 루렌소 마르키스의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14]당시 이 요새의 인구는 불과 몇 백 명에 불과했으며, 3개의 주요 집단으로 군인, 공무원, 그들의 하인과 노예, 포르투갈 동인도 회사 관계자 및 노예, 그리고 이 요새의 국경 내에 살고 있는 300~400명의 아프리카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4]
줄루 분쟁, 1830년대

1833년, 완전히 명확하지 않은 이유로, 줄루 킹 딩가네 카센자코나가 루렌소 마르케스를 공격했다.[14]1833년 7월 26일, 딩게인과 그의 군대는 다른 두 부족의 보조원들과 함께 요새 앞에 도착하여 근처의 원주민 마을을 불태웠다.[14]공격을 예상한 루렌소 마르키스 총독 디오니시오 안토니오 리베이로와 함께 요새의 많은 인원과 함께 요새에서 동쪽으로 10마일 떨어진 세피나 섬으로 피난을 떠났다.[14]일부 병사들은 퇴거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 무역회사 대표와 함께 요새에 남아 있었다.[14]1833년 9월 17일, 딩게인의 군대는 요새를 파괴했지만, 무역 시설은 그렇지 않았다.[14]무역회사 대표인 노브레는 포르투갈 병사들에게 줄루스에 저항하지 말라고 설득했었다.[14]노브레는 줄루스와 협정을 맺어 분쟁으로부터 안전한 곳으로 부상했다.[14]9월 16일, 딩가네는 부하들에게 리바이로 총독을 추격하여 죽이도록 명령했다.[14]10월 6일 줄루 전사들이 시피나 섬 건너편 본토에 도착하자 리바이로는 배를 타고 마가리아에 들른 다음 줄루스를 공격하기 위해 초대했던 동맹인 은드완드웨의 지도자 소상게인을 만나러 갈 계획이었다.[14]그러나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폭풍우 치는 날씨 때문에 배는 해안에서 멈춰야 했다.[14]그곳에서 리바이로는 줄루족에게 붙잡혀 부하 3명을 죽이고 루렌소 마르케스로 다시 데려갔고, 그곳에서 1833년 10월 12일 처형되었다.[14]처형되기 전 줄루 한 사람이 공개 연설을 하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주임은 배반과 횡포 때문에 죽을 것이다. 딩간 왕과 마차카나의 땅을 침범하고, 동기도 없이 전쟁을 일으키고, 백성들을 모잠비크 섬으로 보내어 무력의 힘으로 그 왕들의 땅에 국기를 게양하고, [] 딩 왕에게 가루와 공을 보냈다.a."[14]
명백하게 언급된 루렌소 마르키스의 줄루 침공과 리바이로의 처형 동기는 주지사가 줄루 영토로 영토를 확장한 것이었지만, 연설에는 다른 이유가 있었을지도 모른다.[14]1830년까지 노예 무역의 감소에 따른 상업적 침체는 줄루족에게 영향을 미쳤고, 줄루족은 대신에 경제적 어려움을 포르투갈의 탐욕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식했을지도 모른다.[14]또 리바이로가 다른 부족과의 주기적인 갈등 속에서 포르투갈인과 자주 싸우거나 대항하는 것에서 전환한 변덕스러운 딩가네와의 상호작용에서 신중하지 못한 점, 주지사가 줄루족의 적인 소상가네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 점 등이 한 요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14]리바이로의 죽음에 이어 무역상인 노브레가 총독 직무대행을 맡았다.[14]1834년 8월 21일, 리바이로의 후계자 다리오 로드리게스 데 바스코넬로스가 루렌소 마르케스에 도착했다.[14]이틀 후, 딩가네의 줄루 대표가 조공을 청하기 위해 도착했다.[14]
1830년대 중반까지 줄루 왕국은 델라고아 만 서쪽과 남쪽의 많은 지역을 지배했고, 소산가네의 가자 제국은 루렌소 마르케스 북쪽의 많은 지역을 지배했다.[14]1835년 오리히라는 사람이 이끄는 보어 일행이 트란스발에서 여행을 떠나 만(灣)에 정착지를 만들려고 시도했다.하지만, 그들의 인구는 열로 인해 죽었고 그들은 곧 정착촌을 포기했다.[16]
1860년대~1870년대 영국과 보어 분쟁
1860년대에 영국과 보어스 모두 델레라고 만 주변의 영토에 대한 단기적인 주장을 했다.1861년 11월 5일, 호위함 HMS 나르치스의 영국 해군 함장 빅포드(Bickford)가 이나카 섬과 코끼리 섬(Elephant Island)[17]을 점령하고 영국 영토로 선포했다.포르투갈은 이 법에 항의하였고, 1872년 프랑스 대통령 아돌프 티에르의 중재에 이 분쟁을 제출하였다.1875년 7월 24일 티에르의 후계자 파트리스 드 맥마흔은 포르투갈의 손을 들어주며 델라고 만 남쪽의 모든 영토에 대한 권리를 회복했다.[4][5][17]앞서 영국과 포르투갈은 이 만을 매각하거나 양도할 경우 불성실한 청구인에게 선취권이 부여된다는 데 의견을 모은 바 있다.모잠비카 내륙에 대한 포르투갈의 권한은 맥마흔의 결정 이후 얼마 후까지 확립되지 않았다. 명목상으로는 1861년 마트상가나 족장 움질라(Umzila)에 의해 만히사 강 이남의 나라가 그들에게 양도되었다.[3]프랑스 대통령의 결정을 기리기 위해, 후에 마푸토 철도역이 건설될 광장은 Prasa MacMahon(포르투갈어: "MacMahon Square")[18]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몇 년 전인 1868년 트란스발 공화국의 대통령 마르티누스 웨셀 프레토리우스는 마푸토 강 양쪽의 바다를 향해 영토를 주장하였다.그러나 이듬해 트란스발 정부는 포르투갈의 만 영유권을 인정했다.[3]
도시의 발전, 1850년대-1890년대
1850년, 요새 옆에 작은 마을이 생겼다.[19]그 도시는 요새와 마찬가지로 루렌소 마르케스로 알려지게 되었다.1871년, 이 마을은 좁은 길, 꽤 좋은 평지붕 주택, 잔디 오두막, 썩은 요새로 둘러싸인 녹슨 대포와 함께 가난한 곳으로 묘사되었다.1876년 12월 9일, 루렌소 마르케스는 마을 지위로 승격되었다.[5]트란스바알의 강세는 포르투갈의 항만 개발에서 더 큰 관심을 끌게 했다.1876년 포르투갈 정부는 정착지 근처의 습지를 배수하고, 푸른 껌 나무를 심으며, 병원과 교회를 건설하기 위해 위원회를 파견했다.1885년, 바스코 드 가마 정원이 펼쳐졌다.1887년 11월 10일 루렌소 마르키스는 루이스 왕에 의해 왕실 훈령에 의해 도시로 선언되었는데, 루이스는 이 정착지의 물질적 개선과 경제적 잠재력을 이유로 들었다.[5]
1886년 시작된 위트워터스랜드 골드러시는 루렌소 마르케스가 남아프리카에서 금과 다이아몬드를 수출하는 데 가장 가까운 항구 역할을 하면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도시의 경제 발전을 더욱 증대시켰다.[4][20]1889년, 포르투갈과 영국 사이에 만에서 트란스발까지 이어지는 철도에 대한 포르투갈의 압류 문제로 또 다른 분쟁이 일어났다.이 분쟁은 또한 중재에 회부되었다: 1900년에 포르투갈은 책임이 있다고 판단되어 철도 회사의 주주들에게 거의 100만 파운드를 배상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1892년 상업 신문인 O Commercio de Lourenso Markes가 발행되기 시작했다.[21]1895년 남아프리카 프레토리아로 가는 철도가 건설되면서 도시의 인구가 증가하였다.[19]1898년 루렌소 마르키스는 모잠비크 섬을 포르투갈 모잠비크의 수도로 대체했다.[19][22]
1891년 포르투갈의 정치인 안토니오 호세 에네스(Antonio José Enes)가 줄리오 데 빌헤나의 뒤를 이어 모잠비크 고등 판무관을 맡았다.[5]루렌소 마르키스를 근거지로 한 그는 이 지역에 들어오려는 영국의 시도에 저항했고, 강력한 아프리카 통치자들을 물리쳤고, 남부 모잠비크에 대한 포르투갈의 군사적 통제를 공고히 했다.포르투갈의 델라고아 만 식민 지배의 최대 반대자 중 한 명인 마가이아 부족의 음푸무 누아만티베인 족장은 에네스에게 패배했다.[5]호아킴 아우구스토 무우지뉴 데 알부케르케와 함께 1895년 가자 제국을 정복하기 위한 원정대를 조직하여 그들을 격파하였다.
도시 성장과 식민지 지배, 1900-1975년
20세기 초에는 부두, 부두, 착륙창고, 전기 크레인 등이 잘 갖춰져 있어 대형 선박들이 철도로 직접 화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 루렌소 마르키스는 포르투갈 통치하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로 발전했다.영국·포르투갈·독일 화물선들이 서비스했으며, 수입품의 대다수는 사우샘프턴·리스본·함부르크에서 선적되었다.도시의 전차망이 가동되기 시작한 해인 1904년에 인구는 9,849명이었다.1912년까지 인구는 13,353명으로 늘어났다.[23]1916년에 중앙 철도역이 건설되었다.1934년, 모잠비크의 역사 기록 보관소는 도시에 본부가 되었다.[24][25]
20세기 초중반에는 원주민 흑인들의 내부이주에 대한 제약이 없어 루렌소 마르키스의 인구가 빠르게 증가했는데, 이는 이웃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차별정책과는 다른 상황이었다.[20]1935년 인구 47,390명에서 1950년 93,516명으로 거의 두 배가 되었다.[26][27]비록 흑인들이 루렌소 마르케스로 이주하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식민지 당국은 어느 정도의 분리 정도는 유지했다.1950년대와 60년대에 식민지 당국은 많은 콘크리트 고층 건물들을 지어 포르투갈의 이주자들을 수용했던 도심에는 오직 백인만이 살 수 있었다.[28]한편, 대부분의 흑인들은 도시의 외곽 지역에 있는 미개발 빈민가에서 살아야 했다.[28]그런 빈민가 중 하나인 마팔랄라는 마르크스주의 FRELIMO 운동의 많은 지도자들을 수용하면서 식민 통치에 대한 흑인 저항의 중심이 되었다.[28]그와 동시에 도시 내 흑인에 대한 대우는 요하네스버그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남아프리카의 도시들보다 더 인간적이었다: 루렌소 마르케스에서는 기업, 교회, 학교가 모두 비 분리되어 있었다.[29]
1940년대부터 항구 중심의 도시 인구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제 팽창으로 포르투갈 정부는 초, 중, 중, 공업, 상업 학교와 국내 최초의 대학인 루렌소 마르케스 대학이 1962년에 문을 열었다.포르투갈어, 이슬람어(이스마일리스 포함), 인도어(포르투갈 인도 포함), 중국계(마카어 포함) 커뮤니티(미숙련 아프리카계 다수는 아님)는 도시의 산업 및 상업 분야를 발전시켜 큰 번영을 이루었다.루렌소 마르케스 공항 제1터미널은 1940년에 건설되었고, 4년 후 무정수신념의 우리 성녀 아르데코 카톨릭 대성당이 건립되었으며, 1947년에 마푸토 시청이 완공되었다.1962년 모잠비크 국립도서관이 설립되었고,[25] 1968년 마톨라에서 에스타디오 살라자르가 취임하였다.1970년대 중반까지 수천 명의 로도스인과 남아프리카 관광객들은 이 도시의 경치 좋은 해변과 고급 호텔, 레스토랑, 카지노와 사창가를 포함한 활기찬 오락 장면에 이끌려 이 도시를 자주 방문했다.[2][30][31]자카란다와 아카시아 나무들이 줄지어 늘어선 넓은 길목들로 인해 아카시아스의 도시와[32] 인도양의 진주라는 별명을 얻었다.[33]1970년, 국내 최초의 풀컬러 잡지인 템포는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반대하는 목소리로 출판되기 시작했다.[34]1970년에 이 도시의 인구는 383,775명이었다.[35]
독립, 1975-현재
루사카 협정 및 후폭풍
1974년 4월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은 아프리카 식민지에 독립을 부여하는 유럽의 흐름을 거스른 에스타도 노보 정권을 전복시켰다.8월 4일, 새로운 포르투갈 정부는 모잠비크에게 곧 독립을 허가할 것을 약속했다.[36]이날 오후 루렌소 마르키스에는 3만 명의 군중이 모여 포르투갈 정부의 결정을 지지했다.[36]1974년 9월 7일 루사카 협정이 체결되면서 10년간의 모잠비칸 독립전쟁이 휴전으로 끝나고 독립으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37]
루사카 협정이 체결된 날, 자유 모잠비크를 위한 운동이라고 자칭하는 우익 백인 반체제 인사 집단은 루렌소 마르키스의 지배권을 장악하려고 시도하며 독립 협정에 도전했다.[38][39]반체제 인사들은 전직 비밀경찰관을 감옥에서 풀어주고 도시의 우체국, 공항의 항공 교통 관제탑, 주요 라디오 방송국을 점거해 여성과 아이들을 인질로 잡았다.[39]이들은 라디오 방송국에서 자유 모잠비크 운동이 '다민족' 정부를 수립할 수 있도록 FRELIMO에 권력을 이양하지 않고 모잠비크 독립을 허가해 달라는 포르투갈의 요구를 방송했다.[39]경찰과 포르투갈 군인들은 점령지를 포위했지만 인질을 잡고 있다는 이유로 반체제 인사들을 즉각 제거하지는 않았다.[39]시 외곽에서 흑인 시위대가 공항에서 반체제 인사들이 운전하는 차량에 돌을 던지면서 백인 2명과 흑인 1명이 숨졌다.[39]포르투갈 당국은 루사카 협정에 대한 반발로 수도 외에 다른 지역에서는 폭력사태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전했다.백인 반발에 대해 프리모는 포르투갈군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진압하겠다"고 밝혔다.[39]포르투갈의 바스코 곤살베스 총리는 포르투갈 군부가 질서 회복을 위해 FRELIMO의 도움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과정과 미래의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는 소수자의 절박한 행동"이라고 말했다.[39]일주일간의 쿠데타 시도가 끝날 무렵에는 집과 사업장이 약탈당했고, 백인 27명을 포함해 86명이 사망했다.[38]
쿠데타 시도가 실패한 직후, 요아킴 치사노를 총리로 하는 과도기적인 흑색 주요 정부가 설치되었다.[40]그 뒤 2주 동안 2만5000명의 백인이 모잠비크를 떠나 백인 인구의 약 10%를 차지했다.[40]많은 사람들이 남아프리카, 포르투갈 또는 로도시아로 이주했다.[38]신문 노티시아스에 게재된 성명에서 치사노는 폭력에 책임이 없는 사람들에게 그들이 돌아오기를 환영한다고 말하면서 백색 비행을 저지하려 했다.[40]1974년 알베르토 마사반헤인은 과도 정부에 의해 루렌소 마르케스의 첫 흑인 시장으로 임명되었다.[41]과도기 동안 시 항구에서 잦은 파업이 벌어져 FRELIMO가 강제 진압했다.[42]
독립후
1975년 6월 25일, 루사카 협정에 따라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37]루렌소 마르케스에서는 독립 기념행사와 국빈 연회가 열렸다.[42]바스코 다 가마와 루렌소 마르케스 등 포르투갈 역사 속 인물들의 동상 수십 점이 철거됐다.[42]또한 원래 포르투갈 역사에서 영웅이나 중요한 날짜로 이름이 붙여진 이 도시의 많은 기관과 거리에서는 아프리카어, 혁명적인 인물, 혹은 식민지 이전의 역사적 이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김일성, 프리드리히 엥겔스, 율리우스 나이레, 파트리스 루뭄바, 로버트 무가베 등 사회주의와 반식민주의 지도자들의 이름을 딴 이들이 많았다.[42]
수도에 거주하는 상당수의 모잠비크의 백인 거주자들에게는 모잠비크의 시민권을 받아 체류하거나 출국할 수 있는 90일간의 기간이 주어졌다.[42]대부분은 떠나기로 결정했다: 1974년 4월, 8만 명의 군인을 포함하여 22만 명의 백인이 있었다; 그러나 1975년 7월까지 5만 5천 명의 민간인과 모든 부대가 떠났고, 단지 8만 5천 명의 백인들이 그 나라에 남겨졌다.특히 마푸토에서는 백인 이웃들이 평균적으로 거주자의 3분의 1을 잃었고, 어떤 지역은 절반이나 잃었다.[42]떠나기로 한 백인 대부분은 여행가방 하나와 에스카도 150달러어치만 가져갈 수 있었다.[42]백인 엘리트들이 떠나면서 도시(그리고 나라 전체)는 인적 자본 도피에 시달렸다.[42]항만에서는 독립 후 한 해 동안 효율성이 80% 감소했고, 필페레이지는 두 배로 늘었다.[42]이에 대응하여, 어쩌면 총구를 겨누고 있을 수도 있는 효율성 향상을 강제하기 위해 무장 부대를 파견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42]
FRELIMO 만세! 마푸토 지방 사람들 만세!루렌소 마르키스라고 해?루렌소 마르키스 출신이니?아니. 그럼 우리 지방에 줄 이름은 뭐지? ...우리 수도 이름이 뭐라고 할까?그래서? 이것에 대한 많은 의견을 들은 후, 나는 루렌소 마르케스가 더 이상 루렌소 마르케스가 아니라고 말할 것이다.수도의 이름은 마푸토다.오늘 9시 35분에 루렌소 마르키스가 죽었다. 우리의 수도는 마푸토라고 불린다.마푸토 현, 수도 마푸토 시
— Samora Machel, at a rally on 3 February 1976
1975년에는 1544년 루렌소 마르케스가 처음 이곳을 방문하기 전에 이 지역에 거주했던 샹가안 족장이 이곳을 방문한 후 곧 칸 푸모 즉 '푸모의 장소'로 개칭될 것으로 예상되었다.[42]그러나, 1976년 2월 3일 오전의 집회에서, 사모라 마헬 대통령은 근처의 마푸토 강을 따라 마푸토로 이름을 바꾸겠다고 발표했다.[5][43]"마푸토"라는 이름은 반식민 투쟁에서도 의미가 컸다; 인기 있는 FRELIMO 슬로건은 "비바 모잠비크 유니도, 도 로부마 아오 마푸토" ("로부마에서 마푸토로 연합")이다.
1976년 마푸토에서 민간기업의 국유화가 일어났고,[44] 이듬해 모잠비크 은행과 모잠비크 청년기구가 이 도시에 본부를 두게 되었다.[25]1977년 2월 마푸토는 아프리카 시네마 콘퍼런스를 개최했다.[43]1978년, 시의 카마라 자치체(시의회) 형태의 정부가 콘셀호 집행부(집행위원회)로 대체되었다.[44]1980년, 마푸토 주(州)에서 해제되면서 시(市)의 지방 지위가 인정받았다.[44]
독립 직후부터 시작된 이 나라는 1977년부터 1992년까지 지속된 FRELIMO와 RENAMO의 길고 격렬한 투쟁인 모잠비카 내전으로 인해 골머리를 앓았다.그 전쟁은 도시의 경제 활동과 정치적 안정에 악영향을 미쳤다.한때 경제에 호재로 작용했던 관광산업은 거의 사라졌다.[31]「Operation Productions」(오페라상 프로덕션상)은 1983년 집권당인 FRELIMO당이 경제위기를 수습하기 위해 출범했다.무직과 미등록 거주자는 물론 범죄자까지 포함된 이 도시의 이른바 '기생충' 인구는 모잠비크 북부 농촌의 국영 공동 농장과 마을로 강제 이송됐다.[20][45][46]1990년까지 이 도시의 인구는 77만 6천 명에 이르렀다.[47]
1992년 체결된 내전을 종식시킨 평화협정 이후 나라와 도시는 독립 전 수준의 정치적 안정을 되찾았다.[48]1996년 마푸토 개발 회랑(Maputo Development Corridor)이 출범하여 마푸토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고텡(Gauteng), 림포포(Limpopo), 음푸말랑가(Mpumalanga) 지방과의 경제 연계가 확대되었다.[49]1997년 이 도시의 인구는 96만6837명이었다.[50]2000년에, 이 시점까지 109만6천명의 주민을 헤아린 그 도시는 대규모 홍수를 맞았다.[47]2000년 7월, 마푸토는 포르투갈어 국가 공동체 정상회담을 주최했다.[51]오늘날 마푸토 항은 회복되어 여러 척의 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31]마푸토의 경제는 오늘날 항구를 중심으로 양조, 조선 및 수리, 생선 통조림, 철공, 시멘트 및 섬유 제조업 등 다른 산업들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31]
참고 항목
참조
- ^ 페르난데스, 호르헤 루이스 P. – 르푸블리카 데 모잠비크. 알테라시 토포니미카스 e os 카림보스 두스 코레오스로. XXV – Quando se Chamava "Delagoa Bay" a Lourenso Markes. 1ª Parte. Em “A Filatelia Portuguesa” acessado a 25 de maio de 2009
- ^ a b King, David C. (2007). Mozambique. Marshall Cavendish. p. 74. ISBN 9780761423317.
- ^ a b c d e 공개 영역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이 현재
- ^ a b c "Delagoa Bay bay, Mozambique".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7-12-21.
- ^ a b c d e f g h i Domingues, Nuno (2007-11-08). "De Lourenço Marques a Maputo – Alguns dados sobre a sua História". Escola Portuguesa de Moçambique (in Portuguese). Retrieved 2017-12-22.
- ^ Sopa, A. E. B. Ringo, 2006.마푸토 – 로테이로 히스토리토 이코그라피코 다 시다데.센트로 데 에스투도스 브라실리로스 다 엠빅사다 두 브라실, 마푸토..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Webster, Roger (2001). At the Fireside: True South African Stories. New Africa Books. pp. 49–50. ISBN 9780864865823.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Barendse, Rene (2009-10-23). Arabian Seas 1700 – 1763 (4 vols.). BRILL. pp. 140–154. ISBN 978904743002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Hamilton, Carolyn (1995). The Mfecane Aftermath: Reconstructive Debates in Southern African History. Indiana University Press. pp. 129–135. ISBN 1868142523.
- ^ "Octroi de Sa Majesté l'Imperatrice Reine Apostolique, accordé au Sieur Guillaume Bolts, à Vienne le 5 Juin 1775", Guillaume Bolts, Recueil de pièces authentiques, relatives aux affaires de la ci-devant Société impériale asiatique de Trieste, gérées à Anvers, Antwerp, 1787, pp.45–49.
- ^ Österreichisches Staatsarchiv, Haus-, Hof- und Staatsarchiv (HHStA), Ostindische Compagnie (OIC), iv; cited in Sven H. Carlson, Trade and Dependency, Uppsala, Acta Universitatis Upsalensis, 1984, Studia Historica Upsalensis, No.138, p.112.
- ^ a b 칼 와드스트룀(Carl Wadstöm), 제1권, 런던, 1794권, 페이지 187–195; B.스트라이크 "외스테레히스 코오롱베르수체 임 18.자흐룬더트", Völkerkunde: Beitrége jur Erkenntnis von Mensch und Kultur, Bd.III, 1 Jahrgang, 1927, S.184–193; Franz von Pollack-Parnau, "Eine österreich-ostindische Handelskompanie, 1775–1785: Beitrag zur österreichische Wirtschaftsgeschichte unter Maria Theresia und Joseph II", Vierteljahrsschrift für Sozial- und Wirtschaftsgesichte, Beiheft 12, Stuttgart, 1927, S.81–82; Alexandre Lobato, Os Austriácos em Lourenço Marques, Maputo, Imprensa de Universidade Eduardo Mondlane, 2000; Walter Markov, “L'expansion autrichienne outre-mer et les intérêts portugaises 1777–81”, in Congresso Internacional de História dos Descobrimentos, Actas, Volume V, II parte, Lisboa, 1961, pp.281–291.
- ^ Kay, Stephen (1834). Travels and Researches in Caffraria: Describing the Character, Customs, and Moral Condition of the Tribes Inhabiting that Portion of Southern Africa. Negro History Press. pp. 352. ISBN 978040300374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Liesegang, Gerhard (1969). "Dingane's Attack on Lourenco Marques in 1833". The Journal of African History. 10 (4): 565–579. doi:10.1017/s0021853700009713. JSTOR 179899.
- ^ Stokes, Eric; Brown, Richard (1966). The Zambesian Past: Studies in Central African Histor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p. 47–48.
- ^ Ripley, George; Dana, Charles Anderson (1873). The American Cyclopaedia: A Popular Dictionary of General Knowledge. Appleton. p. 776.
- ^ a b The Delagoa Directory. 1921. p. 17.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07. Retrieved 2013-03-03.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a b c Cybriwsky, Roman Adrian (2013-05-23). Capital Cities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eography, History, and Culture. ABC-CLIO. p. 181. ISBN 9781610692489.
- ^ a b c Andersen, Jørgen Eskemose; Jenkins, Paul; Nielsen, Morten (2015). "Who Plans the African city? A Case Study of Maputo: Part 1 – the Structural Context". Inter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Review. 37 (3): 334. doi:10.3828/idpr.2015.20.
- ^ "Maputo (Mozambique) Newspapers". WorldCat. US: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Retrieved 19 May 2013.
- ^ "Mozambique Profile: Timeline". BBC News. Retrieved 19 May 2013.
- ^ United States Hydrographic Office (1916), Africa Pilot: South and East Coasts, Government Printing Office, OCLC 20138064
- ^ Gerhard Liesegang (2000). "The Arquivo Historico de Moçambique and Historical Research in Maputo". History in Africa. 27: 471–477. doi:10.2307/3172128. JSTOR 3172128.
- ^ a b c World Guide to Libraries (25th ed.), De Gruyter Saur, 2011, ISBN 9783110230710
- ^ 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US: G. & C. Merriam Co., 1960, OL 5812502M
- ^ "Population of capital city and cities of 100,000 or more inhabitants". Demographic Yearbook 1955. New York: Statistical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 ^ a b c Hess, Peter (2014-01-05). "Lourenço Marques Cultures Context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Retrieved 2017-12-23.
- ^ Ingalls, Leonard (1956-03-02). "Racial Attitudes Help Mold Cities" (PDF).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17-12-23.
- ^ 1970년 포르투갈 모잠비크 루렌소 마르키스의 영화 유튜브에 실린 '루렌소 마르키스 아 시데드 페이트소'.
- ^ a b c d "Maputo national capital, Mozambique".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7-12-21.
- ^ "Discovering Africa: Maputo, The 'City Of Acacias' – Ventures Africa". Ventures Africa. 2014-07-06. Retrieved 2017-12-21.
- ^ "A Guide to Mozambique's Best-Kept Secret Beaches". Vogue. Retrieved 2017-12-21.
- ^ "Mozambique: Country's Top Photo-Journalist Dies". AllAfrica. 12 June 2009. Retrieved 14 June 2009.
- ^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Statistical Office (1976). "Population of capital city and cities of 100,000 and more inhabitants". Demographic Yearbook 1975. New York. pp. 253–279.
- ^ a b "30,000 in Mozambique Hail Independence Vow" (PDF). The New York Times. 1974-08-04. Retrieved 2017-12-23.
- ^ a b "Acordo de Lusaka" [Lusaka Accord] (in Portuguese). Diário do Governo, Portugal. 1974. Retrieved 2016-02-06.
- ^ a b c Barber, James; Barratt, John (1990-04-19). South Africa's Foreign Policy: The Search for Status and Security, 1945–1988. CUP Archive. p. 179. ISBN 9780521388764.
- ^ a b c d e f g "Lisbon To Fight White Rebellion" (PDF). The New York Times. 1974-09-08. Retrieved 2017-12-23.
- ^ a b c "Mozambique Attempts To Stem Exit by Whites" (PDF). The New York Times. 1974-09-23. Retrieved 2017-12-23.
- ^ "Easum Hard Times for the Africa Bureau 1974–1976". www.unc.edu. Retrieved 2016-03-06.
- ^ a b c d e f g h i j k "Mozambique: Dismantling the Portuguese Empire". Time. 1975-07-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0-22.
- ^ a b Jacqueline A. Kalley; et al. (1999), Southern African political history: a chronology of key political events from independence to mid-1997,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ISBN 0313302472
- ^ a b c Jeremy Grest (1995). "Urban Management, Local Government Reform and the Democratisation Process in Mozambique: Maputo City 1975–1990". Journal of Southern African Studies. 21 (1):[page needed]. doi:10.1080/03057079508708438. JSTOR 2637336.
- ^ Thompson, Drew A. (2013). "Constructing a History of Independent Mozambique, 1974–1982: A Study in Photography". Kronos. 39 (1): 179.
- ^ "Mozambique ousts jobless from cities", The New York Times, 1 October 1983,
Operation Production
- ^ a b "The State of African Cities 2010: Governance, Inequalities and Urban Land Markets". 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6-17. Retrieved 2017-12-23.
- ^ "News & Broadcast – Mozambique: Mining an Opportunity". World Bank. Retrieved 1 October 2017.
- ^ Fredrik Söderbaum; Ian Taylor (2001). "Transmission Belt for Transnational Capital or Facilitator for Development? Problematising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Maputo Development Corridor". Journal of Modern African Studies. 39:[page needed].
- ^ "Population of capital cities and cities of 100,000 or more inhabitants". Demographic Yearbook 2011.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2.
- ^ "Conferência de Maputo" (in Portuguese). Comunidade dos Países de Língua Portuguesa. Retrieved 19 Ma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