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semi-protected

히틀러 다이어리

Hitler Diaries
The front cover of Stern magazine. The image is of three black notebooks; on the top book are the gold letters FH in gothic script. The Stern logo—an irregular six-pointed white star on a red background is in the top left of the cover, next to the word "stern". At the bottom are the words in German "Hitlers Tagebücher endeckt" ("Hitler's diaries discovered").
"히틀러의 일기가 발견되었다"1983년 4월 28일자 스턴 1면

히틀러 다이어리(독일어:히틀러-타게뷔처)는 아돌프 히틀러가 쓴 것으로 알려진 60권의 잡지 시리즈였지만, 사실 1981년부터 1983년 사이에 콘라드 쿠자에 의해 위조되었다.1983년 서독 뉴스 매거진 스턴이 도이체 마르크스 930만 파운드(약 233만 파운드 또는 370만 달러)에 구입해 여러 뉴스 기관에 연재권을 판매했다.그 중 하나는 영국 신문 선데이 타임즈였는데, 그의 독립 감독인 역사학자 휴 트레버 로퍼는 이 신문들이 진짜라고 선언했다.출판물을 발표하기 위한 기자 회견에서, 트레버 로퍼는 곰곰이 생각해 보니 생각이 바뀌었다고 발표했고, 다른 역사학자들도 그들의 타당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이전에 행해지지 않았던 엄격한 법의학 분석은 그 일기들이 가짜라는 것을 재빨리 확인했다.

동독에서 태어나 자란 쿠자우는 사소한 범죄와 기만 전력이 있었다.1970년대 중반부터 동양에서 밀반입한 나치 기념품을 팔기 시작했지만 일반 기념품을 나치 지도부와 연결하기 위해 추가 인증 내역을 위조해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쿠자우는 1970년대 중후반 그의 첫 일기를 제작하기 전까지 히틀러의 그림과 점점 더 많은 노트, 시, 편지들을 위조하기 시작했다.일기를 '발견'하고 구매에 관여했던 스턴과 함께 서독 저널리스트는 나치 시대에 집착했던 게르트 하이데만이었다.스턴이 다이어리를 사기 시작했을 때 하이데만은 상당 부분 돈을 훔쳤다.

쿠자우와 하이데만은 이 사기극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위해 감옥에서 시간을 보냈고, 몇몇 신문 편집자들은 일자리를 잃었다.스캔들의 스토리는 영국 채널 ITV를 위한 영화 '팔기 히틀러'(1991)와 독일 영화 개봉작 '슈톤크!'(1992)의 근거였다.

배경

세라글리오 작전

A black-and-white photograph of the head and shoulders of a man in his mid-forties, looking to the right of the viewer. He is wearing a Second World War German military uniform.
히틀러의 개인 조종사 한스 바우르 장군

1945년 4월 20일 아돌프 히틀러의 56번째 생일 – 서방 연합군은 독일 여러 도시를 점령했고 소련군베를린을 점령할 위기에 처했다.히틀러의 개인 비서 마르틴 보르만은 독일 남부 휴양지 베르흐테스가덴 근처의 지하 벙커 단지인 퓨러번커에서 알프스 지휘 센터로 히틀러의 내부 서클의 중요한 구성원들을 대피시키는 계획인 세라글리오 작전에 투입했다히틀러의 개인 조종사인 한스 바우르 장군의 총지휘를 받아 가토우 비행장에서 항공기 10대가 출격했다.[1][2]마지막 비행은 프리드리히 건들핑거 소령이 조종한 융커스 352 수송기였으며, 탑승자에는 히틀러의 개인 발레트인 빌헬름 아른트 하사의 감독 아래 무거운 가슴 10개가 실려 있었다.이 비행기는 체코슬로바키아 국경 근처의 하이덴홀츠 숲에 추락했다.[3]

건들핑거의 비행기에서 더 유용한 부분들 중 일부는 경찰과 SS가 사고 현장을 통제하기 전에 현지인들이 전용했다.[4]바우르가 히틀러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했을 때, 독일 지도자는 그가 가장 아끼는 하인들 중 한 명인 아른트를 잃은 것에 대해 슬픔을 표시했고, "나는 내 행동의 진실을 후세에 보여줄 매우 귀중한 문서를 그에게 맡겼어!"[5]라고 덧붙였다.인용된 이 문장 외에, 상자 안에 무엇이 들어있었는지에 대한 표시는 없다.이 충돌사고의 마지막 생존자 2명은 1980년 4월 사망했으며 [6]보르만은 1945년 4월 30일 히틀러의 자살에 이어 베를린 벙커를 떠난 뒤 사망했다.[7]로버트 해리스 기자는 "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히틀러 소유의 개인 신문이 숨겨져 있을 가능성은 위조할 수 있는 완벽한 시나리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8]

콘라트 쿠자우

콘라트 쿠자우는 1938년 드레스덴 인근 뢰바우에서 동독이 될 만한 곳에서 태어났다.구두장이인 그의 부모님과 그의 아내는 둘 다 1933년에 나치당에 가입했다.쿠자우는 나치 이상을 믿고 히틀러를 우상화하며 성장했다; 독일의 패배와 히틀러의 1945년 자살은 나치 대의에 대한 열정을 누그러뜨리지 못했다.그는 뢰바우 청년 클럽의 마이크 도난 사건과 관련해 체포 영장이 발부된 1957년까지 일련의 경미한 직업을 가졌다.그는 서독 슈투트가르트로 도망쳤고, 곧 임시직과 사소한 범죄로 표류했다.[9][10][a]1960년대 초 여자 친구인 에디스 리블랑과 함께 댄스 바를 운영한 후, 쿠자는 자신을 위한 가상의 배경을 만들기 시작했다.그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진짜 이름이 피터 피셔라고 말했고, 생년월일을 2년 변경했으며, 동독에 있었던 그의 시대의 이야기를 바꾸었다.[12]1963년까지 그 술집은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고, 쿠자우는 27개의 도이체 마르크스(DM) 어치의 점심 상품권을 위조하며 위조업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b] 그는 붙잡혀 5일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석방되자마자 그와 그의 아내는 리블랑 청소 회사를 설립했다. 비록 리블랑 청소 회사는 그들에게 적은 수입을 제공했지만 말이다.1968년 3월, 쿠자우의 숙소에서 일상적인 검문 결과, 경찰은 쿠자우가 거짓 신분 아래 살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그는 슈투트가르트 스탬하임 교도소로 보내졌다.[14][15]

1970년에 쿠자우는 동독에 있는 그의 가족을 방문했고 많은 현지인들이 공산주의 정부의 법과는 반대로 나치 기념품을 소장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그는 슈투트가르트 수집가들의 증가하는 수요가 그가 지불할 금액의 최대 10배까지 기념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는, 암시장에서 그 재료를 싸게 구입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보았다.동독에서는 무역이 불법이었고, 문화유산으로 간주되는 물품의 수출이 금지되었다.[16]동독에서 밀반출된 물품 중에는 무기도 있었다.[17][c]

1974년 쿠자우는 그의 나치 기념품을 보관하는 가게를 빌렸다; 그 아울렛은 또한 미국에 살고 그곳에서 쿠자우의 대리인이 된 볼프강 슐즈를 포함한 친구들과 동료 수집가들과의 심야 술자리를 위한 장소가 되었다.[20]쿠자우는 1914년 10월 말 히틀러가 Ypres에서 착용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모를 위조해 그의 가게의 물건의 가치를 부풀렸다. 예를 들어 몇 마크의 진짜 1차 세계대전 헬멧은 훨씬 더 가치가 있었다.히틀러의 노트 외에도 마틴 보르만, 루돌프 헤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조셉 괴벨스가 손으로 쓴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들을 제작했다.그는 신하들의 진필 모조품을 위조했지만 나머지 작품은 조잡했다.쿠자우는 레트라셋과 같은 현대식 문구류를 사용해 레터헤드를 만들었고, 레터헤드 위에 차를 부어 자신의 제품이 적당히 낡아 보이도록 노력했다.[21][22]철자법이나 문법상의 오류는 비교적 흔했으며, 특히 그가 영어로 위조했을 때; 히틀러와 네빌 체임벌린 사이의 1938년 뮌헨 협정의 사본으로 추정되는 부분이 다음과 같이 읽혔다.

우리는 어젯밤 영독해군협정과 영독해군협정을 두 민족이 다시는 서로 전쟁을 하지 않기를 바라는 열망을 상징적으로 여긴다.[22]

1970년대 중후반, 유능한 아마추어 화가인 쿠자우는 젊었을 때 아마추어 화가였던 히틀러가 주장한 그림을 제작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d]필적 전문가로 위조 서적의 저자인 찰스 해밀턴에 따르면, 쿠자우는 그의 구매자들이 관심을 표명한 만화, 누드, 실제 활동하는 남자 등 히틀러 작품들을 묘사하는 히틀러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이 그림들은 종종 히틀러에게서 나온 것으로 알려진 작은 음표들을 동반했다.그 그림들은 쿠자우에게 이익이 되었다.그 기념물에 대한 그의 접근을 설명하기 위해 그는 동독에서 전직 나치 장군, 뇌물을 받을 수 있는 박물관 소장, 그리고 그가 동독군에서 장군으로 재탄생한 친형제 등 몇 가지 출처를 발명했다.[24]

히틀러의 지폐처럼 위조된 지폐를 건네는 데 성공한 쿠자우는 비록 원본이 타자기로 완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야심차고 손으로 메인 캄프 두 권의 텍스트를 베꼈다.쿠자우는 제3권의 작품 소개도 제작했다.그는 이 원고들을 그의 단골 손님들 중 한 명인 프리츠 스티펠, 나치 기념품 수집가, 그리고 많은 다른 쿠자우 제품들을 진품으로 받아 들여 팔았다.[25][e]쿠자우는 또한 히틀러의 일련의 전쟁시들을 위조하기 시작했는데, 이 시들은 너무나 아마추어적이어서 후에 쿠자우는 "14세의 수집가가 그것을 위조품으로 인식했을 것"이라고 인정했다.[26]

게르트 하이데만

게르트 하이데만은 1931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히틀러가 부상하는 동안 그의 부모는 여전히 정치에 무관심했지만, 하이데만은 다른 많은 소년들처럼 히틀러 유소년단에 가입했다.전쟁이 끝난 후 그는 전기 기술자로서 훈련을 받았고, 사진에 대한 관심을 추구했다.그는 사진 실험실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일부 지역 함부르크 신문뿐만 아니라 도이체 프레세 아제투르와 키스톤 통신사의 프리랜서 사진작가가 되었다.하이데만은 1951년 서독 뉴스 매거진 스턴에 첫 작품이 실렸고, 4년 뒤 정식 직원으로 입사했다.[27][28]1961년부터 그는 아프리카와 중동을 가로지르는 전쟁과 적대감을 다루었다;[f] 그는 독일 작가 B의 정체성 탐색과 같은 이러한 갈등과 그가 작업한 다른 이야기들에 사로잡혔다. 트라벤.비록 그는 뛰어난 연구자였고, 그의 동료들은 그를 블러드하운드라고 불렀지만, 그는 조사를 언제 중단해야 할지 모를 것이고, 그로 인해 다른 작가들은 많은 양의 노트에서 이야기를 끝내야만 했다.[30]

1973년 1월, 스턴을 대신해 하이데만은 이전에 헤르만 괴링의 소유였던 요트인 카린 2호를 촬영했다.[g]보트는 수리가 잘 되지 않아 유지비가 많이 들었지만 하이데만은 함부르크 아파트를 저당잡혀 구입했다.[31]하이데만은 요트의 역사를 연구하던 중 괴링의 딸 에드다를 인터뷰했고, 이후 이 커플이 불륜을 시작했다.이러한 관계와 보트의 소유권을 통해 하이데만은 옛 나치의 한 원에게 소개되었다.그는 카린 2세에 승선하여 파티들을 개최하기 시작했으며, 전 SS 장군 칼 울프빌헬름 모크를 영예의 손님으로 맞이했다.월프와 먼케는 1979년 하이데먼의 세 번째 부인과의 결혼식에 증인으로 나왔다. 이 커플은 월프와 함께 남아메리카로 신혼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그들은 전쟁 범죄로 서구에서 수배된 월터 라우프, 클라우스 바비 등 옛 나치들을 더 많이 만났다.[32]

카린 2세의 구입은 하이데만 금융 문제를 일으켰고, 1976년에는 스턴 모회사인 그뤼너+자흐르와 전 병사들과 SS부원들과의 대화를 바탕으로 책을 제작하기로 약정했다.[33]그 책이 쓰여지지 않았을 때—전직 SS 장교들이 제공한 자료는 출판하기에 충분히 흥미롭거나 검증가능하지 않았다.)하이데만은 보트의 유지비를 지불하기 위해 고용주들로부터 점점 더 많은 돈을 빌렸다.1978년 6월, 그는 110만 DM을 요청하면서 그 보트를 팔려고 광고했다. 그는 어떤 제안도 받지 않았다.[34]Mohnke는 Hidemann이 나치 기념품 수집가이자 SS의 전 멤버인 Jakob Tiefenthaeler와 통화할 것을 권고했다.티펜타엘러는 요트를 살 처지가 아니었지만, 요트의 역할을 할 수 있어서 기뻤다. 그의 노력은 판매를 낳지 못했다.하이데만의 재정 상황을 깨달은 티펜타엘러는 슈투트가르트 지역의 다른 수집가들의 이름을 그에게 제공했다.하이데만은 독일 남부로 여행을 가서 괴링의 효과 일부를 구입한 스티펠을 만났다.[35]

선데이 타임즈뉴스위크

함부르크에서 발행되는 독일 주간지 스턴(독일어: "스타")은 1948년 언론인이자 사업가 앙리 난넨이 추문과 가십, 인간적인 관심사를 제공하기 위해 결성했다.[36]독일 언론 전문가인 프랭크 에세르와 우웨 하퉁에 따르면 수사 저널리즘으로 유명하고 정치적으로 좌익 성향의 인물이었다.[37]1981년 난넨은 잡지 편집자직에서 사임하고 '출판사' 역할을 맡게 되었다.그의 자리에는 피터 코흐, 롤프 길하우젠, 펠릭스 슈미트 등 3명의 편집자가 있었는데, 그는 이 잡지의 현대사 수장 토마스 월드를 비롯한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다.맨프레드 피셔는 1981년까지 그루너+자흐의 CEO로 있다가 모회사인 베르텔스만 이사로 승진했고 게르트 슐테 힐렌으로 교체됐다.윌프리드 소지는 국제 판매를 담당하는 그루너+자흐 관리자 중 한 명이었다.[38][39]

선데이 타임즈영국의 국영 신문으로, 더 타임즈의 선데이 자매지.1968년 톰슨 경의 소유로 선데이 타임즈는 비록 초기 금액인 6만 파운드를 지불했을 뿐이지만, 무솔리니 일기를 합의된 최종 구매가격 25만 파운드에 구입하는 거래에 관여했었다.[h]이것은 이탈리아인 모녀인 아말리아와 로사 판비니에 의해 위조된 것으로 밝혀졌다.[41]1981년 호주, 뉴질랜드, 영국에 다른 신문 몇 편을 소유하고 있던 루퍼트 머독타임즈와 그 일요 자매 모두를 소유하고 있는 타임즈 신문사를 구입했다.[42]머독은 프랭크 자일스선데이 타임즈의 편집장으로 임명했다.[43] 트레버 로퍼(Hugh Trevor-Roper) 당시 옥스퍼드 대학교의 레지우스 현대사 교수는 1974년 더 타임즈독립된 국가 감독이 되었다.1979년 글랜턴의 다크레 남작(Baron Dacre of Glanton)이 탄생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과 후에 영국 정보국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나치 독일의 전문가였다.전쟁이 끝날 무렵 그는 총통의 마지막 움직임을 목격자들과 인터뷰하면서 히틀러의 죽음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에 착수했었다.[44]트레버 로퍼는 자신이 제출한 공식 보고서 외에도 이 주제에 대한 <히틀러의 마지막 날들>(1947)을 출간했다.그는 이어서 히틀러의 전쟁 지시(1964년)와 히틀러의 역사 장소(1965년)에 나치스에 대해 썼다.[44]

미국의 주간지 뉴스위크는 1933년에 창간되었다.1982년 윌리엄 브로일스 기자가 편집장으로 임명되었고 편집장은 메이너드 파커였다. 그 해 그 회사는 300만 명의 독자를 발행했다.[45][46]

다이어리의 생산 및 판매

생산

Top line: the letters F and H in gothic script. Bottom line: the letters A and H in gothic script
AH(아래쪽 행) 대신 쿠자우가 일지에 잘못 사용한 이니셜 FH(위 행)가 커버된다.두 세트의 이니셜은 모두 Inclitvers Old English 글꼴로 되어 있다.

쿠자우가 언제 첫 히틀러 일기를 만들었는지는 불분명하다.스티펠은 쿠자우가 1975년에 그에게 대출에 관한 일기를 주었다고 말한다.슐체는 날짜를 1976년으로 하고, 쿠자우는 히틀러가 사용했던 옛 독일 고딕 문자로 한 달 동안 글을 쓴 후 1978년에 시작했다고 말한다.쿠자우는 동베를린에서 싸게 산 공책 더미 중 하나를 사용했고, 앞쪽에 'AH'라는 글자를 금으로 넣으려 했는데, 플라스틱 구매, 백화점에서 홍콩제 편지, 무심코 'AH'가 아닌 'FH'를 사용했다.그는 진품 SS 문서에서 검은 리본을 꺼내어 Wehrmacht 왁스 도장을 사용하여 표지에 붙였다.그 잉크를 위해 그는 펠리칸 잉크 두 병을 샀는데, 하나는 검정색이고 하나는 파란색이며, 다른 하나는 물에 섞어서 그가 사용한 값싼 현대식 펜에서 더 쉽게 흐르도록 했다.마침내 그는 책장에 차를 뿌리고 일기장을 책상 위에 찧어 그들에게 나이 든 표정을 지어 주었다.쿠자우는 인상 깊었고 그것을 진짜 히틀러 일기라고 생각한 스티펠에게 제1권을 보여 주었다. 스티펠은 그것을 사고 싶었지만 쿠자우가 거절하자 그 부부는 스티펠이 빌려줄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47][48]

1979년 6월, 스티펠은 전 나치당 기록보관자 아우구스트 프라이삭에게 일기의 진위를 검증해 달라고 요청했고, 이후 그가 그렇게 했다.[i]프리스택은 슈투트가르트 대학에버하르트 야켈에게 그 일기를 보여주었는데, 그녀 역시 그 일기가 진품이라고 생각하고 출판을 위해 편집하기를 원했다.그 일기의 존재 소식은 곧 나치 기념품 수집가들에게 전해지기 시작했다.[50]1979년 말에 티펜타엘러는 하이데만에게 연락하여 스티펠이 히틀러 일기를 포함한 자신의 수집품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는데, 이 수집품에는 쿠자우가 그 점까지 위조해 놓은 단 하나뿐이었다.[35]해밀턴에 따르면 "이번 발견은 하이데만을 거의 광기로 격화시켰다"면서 그는 신문 특종 기사를 적극적으로 요구했다.[51]

스티펠은 1980년 1월 하이데만에게 슈투트가르트에서의 일기를 보여주며 동독에서 발생한 비행기 추락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했으나 출처를 밝히지는 않았다.스티펠은 쿠자우에게 하이데만을 만날 수 있는지 물어 보라고 말을 걸었지만, 쿠자우는 거의 1년 동안 그 요구를 거듭 거절했다.[52]하이데만은 스턴 지사로 돌아와 편집자에게 말을 걸었지만, 코흐와 난넨 모두 다른 특징에 대해 작업하라고 하면서 그와 잠재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거절했다.유일하게 관심을 가진 사람은 하이데만과 함께 다이어리의 근원을 찾기 위해 일했던 월드였다.쿠자우에 대한 그들의 수색은 아무런 성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그들은 그 충돌 사건을 조사했다.바우르의 자서전을 읽어본 하이데만은 건들핑거의 비행을 알고 세라글리오 작전과 일기장을 연결시켰고, 1980년 11월 두 기자는 드레스덴으로 이동해 비행기 승무원의 묘지를 찾았다.[53]

1981년 1월, 티펜타엘러는 쿠자우의 가명 중 하나인 '미스터 피셔(Mr. Fischer)'를 부탁하라고 말하면서 하이데만에게 쿠자우의 전화번호를 알려주었다.후속 전화 통화에서 Kujau이 히틀러의 일기들의 27권, 나의 투쟁, 어린 히틀러의 오페라 빌란트 데르 Schmied의 미발표의 제3권의 원본 원고를 수많은 편지들과 미발행 신문(빌란트는 대장장이)[j]다, 그리고는 히틀러의 paintings—most의 여러 wer 하이데만에게 말했다.e아직도 동독에 있다.하이데만은 전체 수집품에 대해 2백만 개의 DM을 제공했고 모든 것이 국경을 넘어 올 때까지 비밀을 보장했다.해리스의 말에 따르면, 이 커플은 거래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거래의 기초"에 동의했다고 한다. 쿠자우의 조건은 하이데만과 직접 거래한다는 것이었는데, 이는 하이데만의 다른 멤버들을 이야기에서 멀어지게 하는 방법으로서 적합한 것이었다.[55][56]

Heidemann과 Walde는 무엇이 구매 가능한지와 비용을 요약하여 내부 논의를 위한 지침서를 제작했다.하이데만이 서명한 이 문서는 "우리 회사가 위험이 너무 크다고 생각한다면, 나는 그 돈을 내놓을 수 있는 미국에 있는 출판사를 찾아 독일 출판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한다"는 은근한 협박으로 마무리했다.두 사람은 스턴의 누구에게도 안내서를 보여주지 않고 대신 그루너+자흐의 부이사장, 얀 헨스만 박사, 만프레드 피셔에게 제시했으며 쿠자우와의 권리 확보를 위해 출판사에 20만 마르크의 보증금을 요청했다.전문가나 역사학자의 의지 없이 2시간 남짓 진행된 회의 끝에 보증금이 인가됐다.[57][58]회의가 끝나자마자 오후 7시쯤 하이데만은 계약금을 가지고 슈투트가르트로 여행을 가서 쿠자우를 만났다.[59]

획득

7시간 넘게 진행된 1981년 1월 28일 첫 회의에서 하이데만은 쿠자우에게 10만 DM의 계약금만 제시했는데 쿠자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다음 날 두 번째 만남에서 기자는 자신이 가지고 온 추가 미끼, 즉 괴링의 유니폼이라고 밝힌 유니폼을 공개했다.쿠자우는 잠정적으로 일기 제공에 동의하고 하이데만에게 동독으로부터 일기를 받을 수 있도록 주선할 수 있는 대로 전화하겠다고 말했다.신의의 표시로 하이데만은 쿠자우에게 그 유니폼을 빌려주어서 나치 최고위층으로부터 받은 다른 유니폼들과 함께 보여주었고, 쿠자우는 히틀러가 그린 것으로 알려진 그림을 하이데만에게 주었다.그림도 제복도 모두 가짜였다.[60][61]

A man in his eighties with thin grey hair, facing to the right of the viewer; he wears a dark suit and tie.
처음에는 히틀러의 시와 일기가 진품이라고 생각했지만 마음을 바꾼 역사학자 에버하르트 야켈.

일주일 후 쿠자우는 자신이 위조하여 스티펠에게 팔았던 시들과 관련하여 예켈과 알렉스 쿤을 만났다.이것들은 1980년에 예켈과 쿤에 의해 출판되었지만, 한 역사학자는 그 시들 중 하나가 시인 헤리베르트 멘젤이 쓴 것처럼 히틀러에 의해 제작되었을 리가 없다고 지적했다.[62]야켈은 문제의 시가 히틀러의 진품임을 보증하는 나치당 문방구에 관한 편지와 함께 나온 것을 우려했다.스티펠의 수집품에 있는 다른 많은 작품들도 이와 유사하게 검증되었기 때문에 이것들에 대한 의심도 표면화되기 시작했다.쿠자우는 자신이 중개인일 뿐이라며 무지를 주장했지만, 유명한 언론인 하이데만은 신문이 발원한 추락 현장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야켈은 스티펠에게 자신의 수집품을 법의학적으로 조사하라고 조언했고,[63] 26편의 의심스러운 시를 함부르크 지방 검사에게 넘겨 조사를 받았다.[k]그루너 + 자흐 역시 시들의 문제점과 근원이 쿠자우였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는 이 근원이 동독의 다른 곳에 있고, 일기장과는 관련이 없다고 확신시켰고, 그들은 거래를 계속했다.[65]

야켈과 쿤을 만난 지 열흘 만에 쿠자우는 세 개의 일기를 더 준비했다.그 내용은 히틀러의 삶을 다룬 다양한 책, 신문, 잡지에서 베낀 것이다.그 중 1권은 역사학자 막스 도마루스히틀러: 레든 언드 프로크하켄, 1932–45(히틀러: 스피치 프로클라멘츠, 1932–45)의 두 권의 작품으로 히틀러의 일상적인 활동을 보여준다.이 일기의 많은 출품작들은 나치당의 승진과 공식 계약들의 목록이었다.쿠자우가 일기에서 히틀러에 대한 몇 가지 개인 정보를 만들어냈지만, 이것은 해리스와 해밀턴 둘 다의 의견으로, 트라이비아였다.[66][67]그는 한 달에 세 개의 일기를 제작하는 일정을 짜기 시작했다.쿠자우는 이후 3시간 만에 한 권의 책을 만들 수 있었다고 진술했으며, 이와는 별도로 3일 동안 세 권의 일기를 썼다.[68]

172월 1981년에, Kujau 슈투트가르트에 하이데만에 하이데만 그를 35,000DMs 준 3최근 준비 diaries,[나는]을 주었다. 이 많은 12만명의 DMs보다 4만 DMs 일기당 Kujau는에서 하이데만 또한 10%를 수수료로 주장하겠습니까 첫 만남에 가기 적은 것;자금의 감소를 설명되었다. 에 의해일기장의 진위에 대해 "의견"을 얻을 필요성, 그리고 그 잔액은 나중에 지불되었다.[69]다음날 기자는 그뤼너 + 자흐에게 일기를 전달했다.이후 월드, 헨스만, 소르게, 피셔와의 만남에서 하이데만, 월드는 다시 모든 일기의 취득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대해 비밀을 지킬 것을 주장했다.—스턴의 편집자들조차 이 발견에 대해 말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했다.더 중요한 것은 해리스의 말에 따르면, 모든 일기가 입수되기 전까지는 법의학자나 역사학자에 의해 그 자료를 조사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되었다고 한다.Fischer는 100만 DM을 프로젝트에 즉시 할당함으로써 향후 구매에 회사를 헌신했다.[70]또 주그루너+자흐르 사무소 별관에 다이어리를 취급하는 전담 부서를 설치했다.월드가 대표를 맡았고, 조교와 비서 2명, 하이데만으로 구성되었다.일기를 받자마자 그들은 복사되어 고딕체 대본에서 현대 독일어로 옮겨졌다.[71]하이데만은 또 그뤼너+자흐와 수의계약을 맺었는데, 이 계약은 회사의 법률 및 인사부로부터 비밀로 유지되었다.그것은 그가 회사를 통해 후한 로열티율로 책을 출판하는 거래를 담고 있으며, 출판 후 10년이 지나면 하이데만에게 연구 목적으로 원본 일기를 넘겨주고, 그의 죽음에 대해 서독 정부에 넘겨주기로 합의했다.그는 또한 처음 8개의 일기를 복구한 것에 대해 30만개의 DM의 보너스를 받을 예정이었다.[72]

내가 필요한 건 재빠른 폭발 사고뿐이야오늘 한 줄기 희망은 뮌헨독일 미술관 헌당식이었다.
하지만 어쨌든 건축가들과 함께라면 조금은 마음을 놓을 수 있다.E [에바 브라운 ]은 이제 두 마리의 작은 강아지를 가지고 있어서 시간이 그녀의 손에 너무 많이 걸려 있지 않다.
괴링에 대해서도 E.와 얘기 좀 해야겠어그녀에 대한 그의 태도는 정확하지 않다.

Diary entry of 30 June 1935, created by Kujau.[73]

하이데만과 쿠자우 사이에는 긴장이 있었지만, 부분적으로 하이데만의 "지배적인 성격과 이중성" 때문에 다이어리의 전달은 계속되었다.[74]거래의 특성상 하이데만이 그뤼너+자흐르에게 제공한 영수증이 없었고, 회사는 신뢰를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했다.1981년 2월 말까지 68만 개의 DM이 일기를 지불받았으며, 그 중 절반 정도만 쿠자우에게 받았다.하이데만은 그 과정에서 고용주와 쿠자우를 모두 사취하며 나머지를 착복했다.[75]

그뤼너+자흐르 내부의 작은 원 안에 놓여진 비밀의 독자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하이데만은 이 책들 중 한 권을 먼케에게 보여주는 것을 거부할 수 없었다, 그 엔트리는 먼케의 전 연대인 SS 라이프스탠다트 아돌프 히틀러를 언급했기 때문이다.하이데만은 히틀러가 리히터펠데와 프리센스트라데 막사에 있을 때 연대를 방문한 것과 관련된 3월 15일, 17일, 18일 세 개의 일기를 읽었다.뮌케는 그에게 그 날짜에 리히터펠데 막사는 부대가 점령한 것이 아니며, 일기장에 사용된 연대 이름은 훨씬 늦게 소개되었으며, 히틀러가 아는 한 결코 프리젠스트라 막사를 방문하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기재 내용이 정확하지 않다고 알렸다.하이데만은 친구의 폭로에도 흔들리지 않았고 히틀러가 자신이 한 일이 아니라 자신이 계획한 일을 썼을 것이라고 단언했다.Harris는 이것이 Heidemann이 "일기에 대해 합리적인 파장을 가지고 영업을 중단한 지 오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제안한다.[76]

일기장에 대해 알고 있는 그루너와 자흐의 사람들은 1981년 5월 피셔가 히틀러의 재산을 둘러싼 복잡한 저작권 상황을 조사하기로 결정했을 때 성장했다.[m]그는 회사의 법률 고문인 안드레아스 러퍼트와 이 문제에 대해 의논했는데, 그는 히틀러 가문에 신탁통치자로 활동한 역사학자 베르너 마저에게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라고 조언했다.[78]하이데만은 1981년 6월 마세르를 방문하여 그와 스턴이 DM 2만 대 지불을 위해 "아돌프 히틀러의 손에 의해 발견되거나 구입한 모든 문서나 지폐에 대한 권리를 보유할 수 있는 계약을 체결했다...그것은 아직 출판되지 않았다"[79]고 말했다.

일지의 인용문


  • "영국이 날 미치게 해. 내가 그들을 던커크에서 탈출시킬까 말까?처칠은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 "이 보르만이라는 사람이 내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소.만약 내가 보먼 다섯을 가졌다면, 나는 지금 [베를린 벙커]에 앉아 있지 않았을 것이다."
  • "[Himler]는 고대 게르만 공상 세계인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정신이 나간 것 같은 생각이 들기 시작했어."
  • "도대체 스탈린이 어떻게 관리해?항상 자신에게 남은 장교가 없다고 상상했지만, 그는 장교단을 숙청하는 데 있어서 옳은 일을 했다.베흐마흐트의 새로운 지휘구조도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Diary entries created by Kujau and prominently used by Newsweek [80]

12개의 다이어리가 그루너+자흐에게 전달된 후, 하이데만은 고용주들에게 일지당 가격이 8만5천DM에서 10만DM으로 올랐다고 알렸다. 하이데만이 준 이유는 다이어리를 밀수하는 동독 장군이 이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뇌물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었다.그 추가금은 하이데만이 보유하여 쿠자우에게 전가하지 않았다.하이데만은 두 대의 신차(BMW 컨버터블과 포르쉐, 총 5만8000대의 DM)를 포함해 함부르크의 전용 엘브차우스와 보석류에서 두 대의 신차를 빌리는 등 자신의 부당이득에 대한 방탕한 생활방식을 이끌고 있었다.그는 또한 새로운 나치 기념품을 구입하는 데 상당한 돈을 썼다.일부는 월프의 SS 명예 단검과 같은 진품이었고, 다른 것들은 300개의 위조 유화, 그림 그리고 히틀러가 주장한 쿠자우의 스케치 등 쿠자우에게서 구입되었다.쿠자우가 자신의 진위를 증명하는 메모를 소지한 다른 물품들에는 히틀러가 자살할 때 사용한 것으로 묘사된 총기와 1923년 히틀러의 실패한 비어 푸치에서 나치가 쏜 피로 얼룩진 블룻파인("Blood Flag")으로 식별된 국기가 포함되어 있었다.[81]

다이어리 구입은 1981년 중후반 내내 계속되었는데, 그루너 + 자흐는 7월 29일에 헤이데만에게 34만 5천 DM을 주었고, 일주일 후에는 22만 DM을 추가로 주었으며, 이는 연초 이후 총 181만 DM을 가져왔다.이 금액은 그 회사에 18개의 일기를 구입했다.슐테 힐렌 신임 상무이사는 향후 구매를 위한 추가 DM 백만 대에 대한 승인에 서명했다.[82]2주 남짓 후에 그는 하이데만이 그에게 다이어리 비용이 각각 20만 디엠으로 올랐다고 말한 후 60만 디엠에 대한 추가 허가에 서명했다. 하이데만은 또한 27개 이상의 다이어리가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61]

1982년 12월 중순 이후 홀로코스트 데니어가 된 작가 데이비드 어빙도 히틀러가 쓴 일기의 존재를 추적하는 데 관여했다.[n]프리스택은 이전에 어빙에게 슈투트가르트에서 수집가와 함께 일기 중 하나에 대해 말한 적이 있다.어빙은 나치 문서 수집을 평가하기 위해 프리스택을 방문했을 때 스티펠의 전화번호를 알아냈고, 거기서 주소를 알아냈으며, 프리스택으로부터 일기장 일부의 복사도 얻었다.어빙은 예고도 없이 스티펠을 찾아가 출처의 이름을 배우려 했으나 스티펠은 기원에 대해 그를 오도했다.어빙은 프리스택의 복사를 조사했고 철자 오류와 특정 단어 사이의 쓰기 스타일의 변화 등 많은 문제를 보았다.[86][o]

초기 테스트 및 검증, 출판 단계

1982년 4월 월드와 하이데만은 분데스파르치브(독일연방기록원)의 요제프 헨케와 클라우스 올덴하게, 뷔리히 경찰 법의학부장을 지낸 막스 프라이-술저에게 연락해 일기 인증에 도움을 요청했다.그들은 특별히 일기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언급했다.그들은 또한 법의학 전문가들에게 일기를 전부 주지 않고 오직 한 페이지만을 삭제했다.비교를 위해 그들은 또한 전문가들에게 히틀러의 글의 다른 샘플들을 제공했는데, 이것은 하이데만 자신의 소장품이며 쿠자우에 의해 위조된 것이었다.며칠 안에 월드는 비교를 위해 모든 쿠조 위조 서류들을 제공했다.[88]그 후 월드는 미국으로 날아가 또 다른 법의학 전문가인 오드웨이 힐튼에게 의뢰했다.[p]관련자 중 나치 문서를 조사하는 전문가는 한 명도 없었고, 힐튼은 독일어를 읽을 수 없었다.스턴 경영진은 비밀스러운 접근법에 너무 얽매여 있어서 출처를 밝히지 못하거나, 전문가들에게 완전한 일기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더 넓은 자료의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졌을 것이다.[90]제공된 샘플로부터, 전문가들은 그 필체가 진짜라고 결론지었다.힐튼은 이어 자신이 가지고 있던 두 문서 모두 히틀러로 추정되는 동일인이 작성한 것이라는 사실에 대해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보고했다.[91]

다이어리 구입은 계속되었고, 1982년 6월까지 그루너+자흐르는 35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었다.[92]1983년 초에 회사는 그 일기들의 출판일을 정하기로 결정했다.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그들의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스턴은 잠재적으로 관심이 있는 당사자인 뉴스위크, 타임, 파리 경기와 머독이 소유한 신문의 신디케이트를 위한 안내서를 발행했다.[93]스턴은 스위스의 한 은행에 큰 금고를 빌렸는데, 그 금고에는 나치 기념품들이 가득 들어 있었고, 각종 편지와 원고들을 진열해 놓았다.[94]

일기를 처음으로 살펴본 역사학자는 휴 트레버 로퍼였는데, 조심스럽기는 했지만 앞에 놓인 문서의 양에 감명을 받았다.[95]취득의 배경이 그에게 설명되자 그는 의심을 덜 하게 되었다; 그는 그 종이가 화학적으로 실험되어 전쟁 전의 것으로 보여졌다는 거짓 통보를 받았고, 스턴은 비행기에서 서류를 구해내고 그 이후 줄곧 그것들을 보관해 온 웨흐마흐트 장교의 정체를 알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96]회의가 끝날 무렵 그는 그 일기들이 진짜라고 확신했고, 나중에 "내가 스스로에게 물어본 결과, 6권이 그의 목적을 달성했을 때 누가 60권을 위조했을까?"[97]라고 말했다.1983년 4월 23일자 타임즈 기사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A colour photograph of a balding and grey haired man facing the camera
일기를 뉴스위크에 검증할 때 진품이라고 여겼던 게르하르트 와인버그가 마음을 바꿨다.

나는 이제 그 문서들이 진짜라는 것, 1945년 이후 그들의 방랑의 역사가 사실이라는 것, 그리고 히틀러의 글쓰기 습관과 그의 성격, 그리고 심지어 몇몇 공공 행사의 표준 설명들이 결과적으로 수정되어야 할지도 모른다는 것에 만족한다.[98]

트레버 로퍼가 진정성에 대한 의견을 밝힌 다음 날, 머독과 그의 협상팀은 취리히에 도착했다.거래는 미국 연재권에 대해 250만 달러에 잠정적으로 합의되었고, 영국과 영연방 권리에 대해서는 75만 달러가 추가되었다.머독과 소르게의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브로일과 그의 뉴스위크 팀이 일기를 검토했다.오랜 협상 끝에 브롤리는 스턴이 고려할 최저가격이 300만 달러라는 통보를 받았다. 미국인들은 이틀 후에 헨스만에게 전화로 연락하겠다고 알리며 집으로 돌아왔다.[99]브로일이 독일인들과 접촉했을 때 그는 그들이 선택한 전문가 게르하르트 와인버그의 인증을 받아 금액을 제시했다.1952년 조심스럽고 신중한 역사학자인 와인버그는 미군이 사용하기 위해 독일 문서 캡처 가이드(Guide to Captured German Documents)를 집필했다. 이 작품은 해밀턴에 의해 그 주제의 범위에 결정적인 것으로 묘사된다.[100]웨인버그는 주리히를 여행했고 트레버 로퍼와 마찬가지로 전시된 품목의 범위에 감동과 안도감을 느꼈다; 그는 또한 이 다이어리의 진위성에 대한 트레버 로퍼의 지지에 부분적으로 설득당했다.[101]와인버그는 "누군가 수백, 심지어 수천 페이지의 필적을 위조한다는 개념은 신용하기 어려웠다"고 논평했다.[100]

뉴스위크는 헨스만의 제안을 구두로 받아들였고 그는 차례로 머독에게 알려 그의 입찰 가격을 올릴 수 있는 선택권을 주었다.머독은 주리히 결승전에서 악수 협정을 고려하면서 격분했다.[102]1983년 4월 15일, 머독은 마크 에드미스턴 뉴스위크 사장과 함께 슐트 힐렌을 만났는데, 그는 뜻밖에도 아무런 설명도 없이 이전의 모든 말, 즉 구속력이 없는 동의에 다시 가서 그 가격이 현재 425만 달러라고 말했다.머독과 에드미스턴은 새로운 가격에 적응하기를 거부했고 둘 다 떠났다.출판 파트너도 없는 스턴의 경영자들은 그들의 진술을 번복하고 머독과 두 번째 거래를 하게 되었는데 머독은 가격을 내려 미국 권리에는 80만 달러를, 영국과 호주 권리에는 40만 달러를 지불했다.프랑스와 파리 경기, 스페인 제타 그룹과 15만 달러, 네덜란드에서 12만 5천 달러, 노르웨이에서 5만 달러, 이탈리아에서 파노라마와 5만 달러의 추가 거래가 이루어졌다.뉴스위크는 거래를 하지 않고 대신 협상 기간 동안 본 일기장 사본에 그들의 후속 기사를 근거로 들었다.[103]

뉴스 미디어에 공개; 스턴 기자 회견

A black-and-white photograph of a grey-haired and spectacled man in his sixties is looking at the viewer. He wear a dark suit and tie, and is holding a copy of one of the books he has written.
영국의 역사학자 휴 트레버 로퍼는 처음에 이 일기들이 진짜라고 보증했다; 그의 그 이후의 "180도 회전"은 머독에 의해 주목받지 못했다.

1983년 4월 22일, 스턴의 보도 자료는 일기들의 존재와 곧 출간될 출판물을 발표했다; 4월 25일에 기자 회견이 발표되었다.[104]스턴으로부터 이 소식을 듣고, 예켈은 이 일기들에 대해 "극히 회의적"이라고 말했고, 그의 동료 역사학자디트리히 브라허대학 교수도 그들의 정통성이 낮다고 생각했다.어빙은 국제 뉴스 회사들로부터 전화를 받고 있었다.Newsweek, The Observer, Bild Zeitung, BBC—그리고 그는 모든 사람들에게 일기들이 가짜라는 것을 알리고 있었다.[105]헬무트 콜 독일 총리도 이 일기들이 진짜라는 것을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106]다음날 The Times는 그들의 자매지인 The Sunday Times가 영국을 위한 연재권을 가지고 있다는 뉴스를 게재했다; 이 판은 또한 Trevor-Roper가 이 발견의 진실성과 중요성에 대한 그의 의견을 담은 광범위한 기사를 실었다.이 단계에 이르러 트레버 로퍼는 일기장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고, 이 일기는 더 타임즈의 편집자인 찰스 더글러스 에게 전해주었다.타임즈 편집자는 트레버 로퍼가 선데이 타임즈에서도 자일스와 접촉할 것이라고 추정했고 트레버 로퍼는 더글러스 홈이 그렇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역시 그렇지 않았다.그래서 선데이 타임즈는 그 일기들이 진짜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증가하는 우려를 망각하고 있었다.[107]

4월 23일 저녁 신문 선데이 타임즈는 다음날 발행되기 시작했다.편집진의 저녁 회의가 끝난 후, 자일즈는 트레버 로퍼에게 전화를 걸어 일기장에 대한 비판을 반박하는 글을 써달라고 부탁했다.그는 트레버 로퍼가 그 일기들의 진위 여부에 대해 "180도 회전"을 했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제 그것들이 진짜인지 확신이 서지 않았다.선데이 타임즈 브라이언 맥아더 부편집장은 머독에게 전화를 걸어 인쇄 실행을 중단하고 영향을 받은 페이지를 다시 써야 하는지를 알아보았다.트레버-로퍼의 다크레 남작 타이틀을 언급하며 머독의 대답은 "젠장 다크레.발표하라."[108][109]

4월 24일 오후, 다음날 함부르크에서 기자회견을 위해 트레버 로퍼는 하이데만에게 출처의 이름을 물었다.하이데만은 거절했고, 일기장이 어떻게 획득되었는지에 대한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었다.트레버 로퍼는 수상쩍게 여겨 기자를 한 시간 넘게 밀착 추궁했다.[110]하이데만은 1945년 그가 "정확히 영국군의 장교처럼 행동했다"고 비난했다.[109]이후 이어진 만찬에서 트레버 로퍼는 다음날 발표 때 스턴 경영진의 질문에 얼버무렸다.[111]

이날 기자회견에서 트레버 로퍼와 와인버그는 모두 진위여부에 의문을 표시하며 독일 전문가들이 다이어리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트레버 로퍼는 그의 의심이 1945년 그 책들이 추락한 비행기에 실려 있었다는 증거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그는 "일반적인 역사적 검증 방법이 아마도 필요한 언론 특종 요건에 희생된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112]는 말로 자신의 발언을 마쳤다.가디언의 주요 기사는 그의 대중적 반전을 "도덕적 용기"[113]를 보여준다고 묘사했다.코흐에 의해 "잃어버릴 평판이 없는 역사학자"라고 소개된 어빙은 마이크 앞에 서서 질문을 던졌고, 히틀러가 팔에 부상을 입었던 7월 20일 음모가 끝난 다음 날 어떻게 일기를 쓸 수 있었느냐고 물었다.어빙은 그 일기를 위조한 것이라고 비난했고 프리스택으로부터 받은 복사된 페이지들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그는 일기장에 있는 잉크를 시험해 보았느냐고 물었지만, 스턴의 매니저들의 반응은 없었다.사진작가와 영화 제작진은 어빙의 사진을 더 잘 찍기 위해 몸싸움을 벌였고, 보안요원들이 어빙을 방에서 강제로 빼내는 동안 기자들에 의해 주먹이 몇 개 던져졌다. 그리고 어빙은 "잉크! 잉크!"라고 외쳤다.[114][115][116]

법의학적 분석과 사기 적발

A colour photograph of a grey-haired, thick-set man in his sixties looks directly at the viewer. He wears an open-necked short and red pullover, and holds his spectacles in front of him.
이 일기가 위조된 것이라고 거듭 비난했던 데이비드 어빙(2003년 사진)은 공개 후 이 일기가 진짜라고 주장했다.

현재 이 일기의 진위에 대해 심각한 의구심을 나타내면서, 스턴은 나치 선전을 유포한 것에 대한 법적 조치의 가능성에 직면했다.그뤼너+자흐의 변호사 중 한 명인 하겐은 일기장에 대한 확정판단을 확실히 하기 위해 분데스파르치브에 있는 헨케에게 세 개의 일기 완결본을 넘겨 더욱 완벽한 법의학적 검사를 받게 했다.[117]다이어리의 진정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는 동안, 스턴은 4월 28일 특별판을 발표했는데, 이것은 영국행 헤스의 비행, 크리스탈나흐트, 홀로코스트에 대한 히틀러의 유명한 견해를 제공했다.[104]다음날 하이데만은 다시 쿠자우를 만나 마지막 네 개의 일기를 그에게서 샀다.[118]

다음 주 일요일——1983년 5월 1일선데이 타임즈는 다이어리의 배경을 제공하는 추가 기사를 게재하여, 1945년 비행기 사고와 더 밀접하게 연관시키고 하이데만의 프로필을 제공하였다. 날, 데일리 익스프레스가 일기장에 대한 더 많은 언급을 위해 어빙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그는 이제 그 일기들이 진짜라고 믿는다고 그들에게 말했다.타임스는 다음날 어빙의 역전 이야기를 실었다.어빙은 스턴이 1945년 4월부터 글씨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내려가는 일기를 보여줬고, 그 대본은 줄을 따라 작아졌다고 설명했다.[119]이어 열린 기자회견에서 어빙은 그동안 박사의 일기를 검토해 왔다고 설명했다.히틀러의 개인 주치의인 테오도르 모렐은 모렐이 총통에게 파킨슨병을 앓고 있다고 진단했는데, 그 증상은 일기장에 본문이 나타나는 방식으로 쓰는 것이었다.[120]해리스는 또 다른 동기들이 한몫을 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한다.-일기에 있는 홀로코스트에 대한 언급이 부족했던 것은 어빙에 의해 히틀러의 전쟁에서 그의 논문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인식되었을지도 모른다. 히틀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홀로코스트가 일어났다는 것이다.[121]같은 날 하겐은 분데스리가를 방문하여 그들의 발견을 들었다: 자외선은 종이에 형광 원소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오래된 문서에는 있어서는 안 될 것이고, 일기 중 하나의 바인딩에는 1953년 이전에는 만들어지지 않았던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었다.기록 보관소의 조사에서도 여러 가지 오류가 나타났다.[122]그 결과는 부분적일 뿐 확정적이지 않았다. 분석을 돕기 위해 더 많은 양이 제공되었다.[123]

Genuine signature of Adolf Hitler
정품 히틀러 서명(미등록)
Forged version of Hitler's signature, showing slight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Kenneth W. Rendell이 "끔찍한 재현"[124]이라고 묘사한 Kujau의 히틀러 서명판.

하겐이 다시 스턴 경영진에 보고하자 긴급회의가 소집되었고 슐테 힐렌은 하이데만 기원의 신원을 요구했다.하이데만은 의기양양해 하며, 쿠죠가 준 대로 일기의 증빙을 제공했다.해리스는 스턴 경영진에게 벙커 심리가 어떻게 내려왔는지 설명하면서 분데스리가의 조사 결과의 진실을 받아들이는 대신 전후의 미백제들이 전시지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대체적인 설명을 찾아다녔다.그 후 이 신문은 해리스가 그들의 입장을 옹호하는 성명을 발표했는데 해리스 판사는 이 성명을 "허먼 허세를 부리지 않는다"[125]고 말했다.

코흐는 주요 뉴스 채널 대부분을 인터뷰하며 미국을 순회하던 중 CBS 스튜디오의 필적 전문가인 케네스 렌델을 만나 이 중 한 권을 보여 주었다.렌델의 첫인상은 일기가 위조된 것이었다.그는 나중에 새로 생긴 잉크, 형편없는 품질의 종이, 히틀러의 '끔찍한 유산'인 서명 등 "모든 것이 잘못되어 보였다"고 보고했다.[126]렌델은 이 일기들이 "나쁜 위조품이 아니라 대단한 날조"라고 말하며 특별히 좋은 가짜가 아니라고 결론짓는다.그는 "히틀러가 페이지를 넘나들면서 글을 대각선으로 비스듬히 비스듬히 쓰는 습성을 흉내낸 것을 제외하면, 위조자는 그의 필체의 가장 근본적인 특징을 관찰하거나 모방하지 못했다"[127]고 말한다.

5월 4일, 15권의 일기가 스위스 은행 금고에서 제거되어 여러 법의학자들에게 배포되었다. 4권은 분데스리가에 갔고 11권은 세인트 갈렌에 있는 스위스 전문가에게 갔다.초기 결과는 5월 6일에 준비되었는데, 법의학 전문가들이 지난 주 스턴의 경영진에게 말한 것이 무엇이었는지 확인시켜주었다: 그 일기는 형편없는 위조품이었으며, 전시 독일에서는 흔히 쓰이지 않는 현대적인 부품과 잉크로 되어 있었다.잉크에 함유된 염화물의 증발을 측정했는데, 이는 일기가 이전 2년 이내에 작성되었음을 보여준다.쿠죠가 베낀 도마루스의 저서에서 나온 몇 가지 등 사실상의 오류도 있었다.이 소식을 스턴에게 전하기에 앞서 분데스리가는 이미 정부에 "장관 문제"라고 통보한 바 있다.스턴의 매니저는 법의학 조사 결과를 인정하고 일기장이 위조되었다고 진술한 첫 언론성명을 발표하려고 했지만, 정부 공식 발표는 스턴의 발표 5분 전에 발표되었다.[128]

체포 및 재판

정부 발표가 텔레비전에 나오자 쿠자우는 그의 아내와 정부를 오스트리아로 데려갔다; 그는 후자를 그의 부인에게 그의 청소부로 소개했다.그는 며칠 후 그를 위조범으로 지목한 뉴스 보도를 보고, 스턴이 900만 DM을 지불했다는 소식을 들은 후, 먼저 그의 변호사와 함부르크 주 검사에게 전화를 걸었다; 쿠자우는 다음 날 오스트리아와 서독의 국경에서 자수하기로 동의했다.경찰이 그의 집을 급습했을 때, 그들은 그 사기 행각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책 몇 권을 발견했다.쿠자우는 하이데만에게 했던 이야기의 변형 즉, 동양에서 일기를 얻었다는 것을 계속 사용했지만, 하이데만은 여전히 자유롭고 스턴의 많은 돈을 그에게서 원천봉쇄했다는 사실에 씁쓸해했다.13일 후인 5월 26일 쿠자우는 하이데만이 그 일기들이 위조된 것이라는 것을 줄곧 알고 있었다고 진술하면서 완전한 고백서를 썼다.[129]하이데만은 그날 저녁에 체포되었다.[130]

1년 넘게 계속된 경찰 수사에 이어 1984년 8월 21일 함부르크에서 하이데만과 쿠자우에 대한 재판이 열렸다.두 사람 모두 930만 DM을 사취한 혐의로 기소됐다.[131][132][q] 해밀턴은 두 사람이 받는 혐의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재판이 판사를 화나게 하고 전 세계를 즐겁게 할 진짜 슬랩스틱 사건이 될 것이라는 것도 명백해 보였다"고 생각한다.[135]이 소송은 1985년 7월까지 계속되었는데, 당시 두 사람은 모두 감옥에 수감되었다. 하이데만은 4년 8개월, 쿠자우는 4년 6개월이었다.9월, 이 사건을 감독하는 지지 치안 판사 중 한 명이 잠든 후 교체되었다;[136] 3일 후, 법원은 헤이데만이 그의 벽에 액자에 씌운 이디 아민의 속옷 사진을 보고 "놀라웠다".[137]때때로 그 사건은 쿠자우와 하이데만 사이의 "속어 대결"로 변질되기도 했다.[138]한스-울리히 슈뢰더 판사는 요약에서 "스턴의 태만함이 두 주요 공모자에 대한 형량을 부드럽게 하도록 설득했다"고 말했다.[133][139]하이데만은 스턴으로부터 170만 DM을 훔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고, 쿠자우는 위작에서 150만 DM을 받은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다.오랜 조사와 재판에도 불구하고 최소 500만 명의 DM이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140]

여파

A photograph of a man in his fifties looking at the camera. He is wearing an open-collared blue shirt and a blue jacket.
1986년 거짓말에 대한 이야기를 출판한 작가 로버트 해리스.

1987년 쿠자우가 감옥에서 석방되었을 때 그는 목암으로 고통 받고 있었다.그는 슈투트가르트에 갤러리를 열고 살바도르 달리조안 미로의 "위조품"을 팔았는데, 모두 자신의 이름으로 서명했다.[141]비록 그는 번창했지만, 쿠자우는 나중에 운전 면허증을 위조하여 체포되었다. 그는 2천 파운드에 해당하는 벌금을 물었다.그는 2000년 9월 슈투트가르트에서 암으로 사망했다.[142]

하이데만 역시 1987년 출소했다.[143]그로부터 5년 후 독일 신문 《더 슈피겔》에 1950년대에 동독 비밀경찰인 스타시(Stasi)에 의해 미국 핵무기가 서독으로 들어오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모집되었다고 보도되었다.[144]2008년 그는 70만 유로를 넘는 빚을 지고 사회 보장 하에 살고 있었다.[145] 그의 상황은 사건 발생 후 30년이 지난 2013년까지 변하지 않았고, 그는 그의 처우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146]

스턴 편집장 중 두 명인 코흐와 슈미트는 이 스캔들로 인해 직장을 잃었다.두 사람 모두 1981년 하이데만 해고를 원했다고 지적하며 사표가 예상된다는 말에 강하게 불만을 표시했다.퇴직금의 일부로 각각 350만DM(c. 미화 100만 달러)의 정산이 제공되었다.[147]이 잡지의 직원들은 그들의 매니저들이 취한 접근에 화가 났고, "경영진이 전통적인 편집 채널과 안전장치를 우회하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연좌 농성을 벌였다.[148]이 스캔들은 스턴에게 큰 위기를 일으켰고, 잡지 에세르와 하퉁에 따르면, "한때 수사 보도로 알려졌던, 센세이션을 추구하는 수표책 저널리즘의 대표적인 예가 되었다"[37]고 한다.스턴 신뢰는 심각하게 손상되었고, 그 잡지가 스캔 이전의 위상과 명성을 되찾는데 10년이 걸렸다.[37]독일역사연구소에 따르면, 이 스캔들은 또한 "서독 대중문화에서 제3제국에 대한 '선고받지 못한' 경향과 완곡한 평가의 경향을 부정하는 데 있어서"였다.[149]

선데이 타임즈에서 머독은 자일즈를 "편집자 명예"라는 새로운 위치로 옮겼다.자일스가 제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묻자 머독은 그에게 "라틴어다, 프랭크; e는 당신이 나갔다는 뜻이고 메리투스는 당신이 그럴 자격이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150]머독은 이후 "순환기가 올라갔는데 계속 깨어 있었다."우리는 돈이나 그런 것을 잃지 않았다." 스캔들이 터진 후 신문이 유지한 2만 명의 새로운 독자와, 선데이 타임즈가 지불한 돈을 스턴이 모두 돌려준 사실을 언급했다.2012년 4월 '레브슨 인콰이어리' 기간 중 머독은 일기 출간을 통해 자신의 역할을 인정하며 "내가 저지른 엄청난 실수였고 평생 그것을 안고 살아야 할 것"이라며 결정을 내린 책임을 뒤집어썼다.[151]Trevor-Roper는 2003년에 죽었다.리차드 데이븐포트-하인즈 전기작가에 따르면, 역사가로서의 오랜 존경받는 경력에도 불구하고, 이 스캔들에서 그의 역할은 그의 명성을 "영원히 더럽혀지게 했다"고 한다.[44][r]1984년 1월 브로일스는 "새로운 기업가적 벤처 사업을 추구하기 위해 뉴스위크 편집장직을 사임했다.[153]

1986년 로버트 해리스 기자는 히틀러 판매에 관한 기사를 실었다. 히틀러 일기의 이야기.[154]5년 후 해리스의 책을 원작으로 한 5부작 드라마-문서 시리즈인 '팔기 히틀러'가 영국 ITV 채널에서 방송되었다.하이데만 역에는 조나단 프라이스, 쿠자우 역에는 알렉세이 세일, 피셔 역에는 톰 베이커, 트레버-로퍼 역에는 앨런 베넷, 어빙 역에는 로저 로이드 팩, 난넨 역에는 리처드 윌슨, 머독 역에는 배리 험프리스가 출연했다.[155]그 해 말, 해밀턴은 위조를 조사하기 위한 두 번째 책을 출판했다.히틀러 다이어리.[156]1992년 그의 풍자적인 독일어 영화 Schtonk에서 Helmut Dietl에 의해 일기의 이야기가 큰 스크린에 각색되었다.[157]괴츠 조지우웨 오흐센크네히트가 각각 하이데만과 쿠자우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로 출연한 이 영화는 데우츠셔 필름프레이스상 3관왕과 골든글로브상,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다.[158][159]

2004년에 일기 중 하나는 알려지지 않은 구매자에게 6,400 유로에 경매에 팔렸고,[160] 나머지는 2013년에 스턴에 의해 분데스파르치브에 의해 나치의 과거 기념물이 아닌 뉴스 미디어 역사의 한 예로서 넘겨졌다.[148]이 이야기에 관련된 선데이 타임즈 기자 중 한 명인 브라이언 맥아더는 후에 왜 그렇게 많은 경험이 풍부한 기자들과 사업가들이 이 일기의 진위에 대해 "잘 속아 넘어간다"고 설명했다.

... 히틀러 일기의 발견은 우리 모두가 그것들이 진짜라고 믿고 싶어할 정도로 유혹적인 특종을 제공했다.일단 거래를 성사시킨 후에, 게다가 우리는 그들이 위조품이라는 것이 설득력 있게 증명될 때까지 그들의 진위를 계속 믿어야 했다.아드레날린에 있는 비밀스런 요리에 참여했던 우리들 중 몇몇은: 우리는 우리의 경력 중 가장 놀라운 특종을 쓸 예정이었습니다.[161]

참고 및 참조

메모들

  1. ^ 1959년에 그는 담배를 훔친 죄로 80개의 도이체 마크를 벌금형에 처했다; 1960년에 그는 코냑을 훔치기 위해 창고에 침입한 후 9개월 동안 감옥에 갇혔다; 1961년에 그는 과일 다섯 상자를 훔친 후 더 많은 시간을 감옥에서 보냈다; 6개월 후에 그는 요리사로 고용주에게 고용되어 싸우다가 체포되었다.빗장을 [11]지르다
  2. ^ 1983년 4월, 스턴이 다이어리를 출시한 시기UK파운드1은 3.76 DMs, US$1은 2.44 DMs의 가치가 있었다.[13]
  3. ^ 쿠자우스 두 사람 모두 비록 각각 한 번뿐이지만, 밀수품 몰수 외에는 아무런 벌칙도 없이 동독과 서독의 국경을 넘는 것을 중단했다.[18][19]쿠자우는 가끔 권총을 차고 총에 집착하곤 했다.1973년 2월 어느 날 밤, 술에 취한 상태에서, 그는 장전된 기관총을 들고 청소 회사 밴의 타이어를 자르고 있었다고 생각되는 남자와 대치했다.그 남자는 도망쳤고, 쿠자우는 그를 다른 문으로 쫓아갔고, 그곳에서 그는 창녀를 겁탈했다. 그녀의 비명소리는 쿠자우를 체포한 경찰을 불러들였다.그들이 그의 아파트를 수색했을 때, 그들은 5개의 권총, 기관총, 엽총, 그리고 3개의 소총을 발견했다.쿠조우는 사과하고 벌금을 물었다.[17]
  4. ^ 히틀러는 제1차 세계대전의 참호에서 그의 그림들과 붓들이 전쟁이 끝날 무렵 요양소에서 도난당할 때까지 그림을 그렸다.[23]
  5. ^ 이후 함부르크 주 검사의 조사에 따르면, 스티펠은 쿠자우로부터 기념품을 구입하는 데 25만 명의 DM을 소비했다.히틀러로부터 회화, 노트, 연설, 시, 편지 등을 얻으려는 그의 강박관념은 그가 자신의 회사를 18만 디엠(DM)의 사기 행각을 불러 일으켰다.[25]
  6. ^ 하이데만은 콩고, 비아프라, 기니비사우, 모잠비크, 이라크, 요르단, 이스라엘, 우간다, 베이루트, 오만에서 활동 사진을 찍고 보고했다.[29]
  7. ^ 괴링은 1937년에 요트를 받았고 죽은 아내의 이름을 따서 요트 이름을 지었었다.전쟁이 끝날 때, 그것은 영국 왕실에 그것을 선물한 Bernard Montgomery 장군에 의해 압수되었다.그들은 그 이름을 로열 앨버트라고 개명하고 찰스 왕세자가 태어난 후 찰스 왕세자로 이름을 바꾸었다.1960년에 괴링의 미망인으로 되돌아갔다.[31]
  8. ^ 1968년 6만 파운드는 2015년 약 93만 파운드에 해당하는 반면 25만 파운드는 387만 파운드에 해당한다.[40]
  9. ^ 그 전 해에 프리스랙은 수많은 쿠조 위작품을 발견하는 데 실패하면서 스티펠의 1차 보관소를 "인증했다"고 했다.[49]
  10. ^ 비엘란드 데르 슈미드시적 에다에서 온 스미스 웨일랜드의 전설을 바탕으로 1849-50년 리처드 바그너가 초안한 리브레토였다.원래 파리 오페라를 위해 쓰여진 이 프로젝트는 바그너에 의해 포기되었고 음악에 맞춰지지 않았다.[54]
  11. ^ 함부르크 당국은 이 문제를 조사해 1983년에 보고했는데, 스턴에 대한 붕괴를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64]
  12. ^ 해밀턴은 1월 중순에 첫 일기의 배달을 한다.[67]
  13. ^ Harris는 "Hitler의 소유권을 결정하는 것은 얼마나 복잡하고, 실제로 거의 불가능했다"고 묘사한다.1948년 바이에른 주마인 캄프에게 로열티로 5백만 DM을 포함한 히틀러의 모든 재산을 압류했고, 그의 유언은 무효라고 선언했다.1951년, 그들은 판매를 중단하기 위해 총통에게 치장한 개인 물품들을 압수했지만, 그들의 권리는 이전에 출판된 자료만을 다루었기 때문에 Tischgespréche im Führerhauptquartier (Hitler's Table Talk)의 발행을 중단할 수 없었다.히틀러 가족의 개별 구성원들에 의한 사적인 거래에서 더 많은 합병증이 일어났다.[77]
  14. ^ 2000년 나치 역사와 관련된 실종문서의 사냥꾼 어빙은 미국 역사학자 데보라 립스타트와 펭귄북스명예훼손으로 고소했는데,[83] 립스타트가 어빙을 홀로코스트 폄하라고 부른 '홀로코스트 부정'을 출간한 뒤였다.법원은 피고인들을 찾아내어 어빙이 적극적인 홀로코스트 폄하자, 반유대인, 인종차별주의자라는 사실을 밝혀냈다.[84]2006년에 어빙은 홀로코스트가 일어난 것을 부인하여 오스트리아에 수감되었다.[85]
  15. ^ 스티펠은 일기를 간직하고, 쿠자우에게 되팔기를 거부했다.그가 하이데만에게 일기 전집을 팔기 위해 쿠자우는 그 볼륨을 커버하기 위해 두 번째 일기장을 위조했다.하이데만은 이것이 제2판이라는 것을 알았고, 여전히 원본을 원했다.그는 다이어리에 1만 5천 개의 DM을 제공했고, 스티펠은 마침내 판매에 동의했고, 이것은 하이데만이 그 기간 동안 두 개의 다이어리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하이데만은 1면에 새로운 제목을 요청했다.당 실무팀을 위한 참고 사항"그는 2권을 스턴 사무실에 전달하면서 히틀러가 가끔 자신을 위한 책과 당을 위한 책 두 권을 썼다고 말해 그 존재를 설명했다.[87]
  16. ^ 뉴욕시 경찰서의 전직 법의학자였던 힐튼은 미국 과학수사국(Board of Forganic Document Examiners), 미국 과학수사학회(American Society of Quested Document Examiners), 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었습니다.[89]
  17. ^ 이 사건이 법정에 서게 될 당시 930만 명의 DM은 233만[133] 파운드 또는 370만 달러에 해당한다.[134]
  18. ^ 그 때 한 리머릭이 케임브리지 주위에서 떠돌고 있었다.

    언젠가 데이크레라는 친구가 있었는데
    자신의 작은 에이커에 누가 신이었는지
    하지만 다이어리에 관해서는,
    는 매우 독불장군이었고
    그리고 늙은 사기꾼을 찾아낼 수 없었다.[152]

참조

  1. ^ 해밀턴 1991, 페이지 29.
  2. ^ Harris 1991, 페이지 29~30.
  3. ^ 해리스 1991, 30~31페이지. 31.
  4. ^ 해리스 1991 페이지 157.
  5. ^ 바우어 1958 페이지 180–81.
  6. ^ 해리스 1991, 페이지 94.
  7. ^ 해밀턴 1991, 페이지 149.
  8. ^ 해리스 1991, 페이지 40.
  9. ^ 해밀턴 1991, 페이지 6-7.
  10. ^ 해리스 1991 페이지 105-06.
  11. ^ 해리스 1991 페이지 106.
  12. ^ 해리스 1991 페이지 107.
  13. ^ 해리스 1991, 페이지 9.
  14. ^ 해밀턴 1991, 페이지 8.
  15. ^ 해리스 1991 페이지 107-08.
  16. ^ 해밀턴 1991, 페이지 9.
  17. ^ a b 해리스 1991 페이지 110.
  18. ^ 해리스 1991 페이지 109.
  19. ^ "How They Spun the Web". The Sunday Times. London. 11 December 1983. pp. 33–34.
  20. ^ 해리스 1991, 페이지 110–11.
  21. ^ 해밀턴 1991, 페이지 11.
  22. ^ a b 해리스 1991, 페이지 112.
  23. ^ 해밀턴 1991, 페이지 13.
  24. ^ 해밀턴 1991, 페이지 11, 13–15.
  25. ^ a b 해리스 1991, 115-16페이지.
  26. ^ 해밀턴 1991, 페이지 17.
  27. ^ 해밀턴 1991, 페이지 25.
  28. ^ 해리스 1991, 페이지 59.
  29. ^ 해리스 1991, 페이지 60.
  30. ^ 해리스 1991, 페이지 60-62.
  31. ^ a b 해리스 1991, 페이지 57.
  32. ^ 해리스 1991, 77-78쪽
  33. ^ 해리스 1991, 페이지 64-66.
  34. ^ Harris 1991, 페이지 83–84.
  35. ^ a b Harris 1991, 페이지 84-85.
  36. ^ Harris 1991, 페이지 59–60.
  37. ^ a b c Esser & Hartung 2004, 페이지 1063.
  38. ^ 해리스 1991 페이지 13.
  39. ^ Schmidt, Felix (25 April 2013). "Getarnt als Schweizer Sammler". Die Zeit (in German). Hambu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ly 2015.
  40. ^ 영국 소매 가격 지수 인플레이션 수치는 다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41. ^ Foley, Charles (25 February 1968). "Forgery? Mussolini inspired me". The Observer. London. p. 4.
  42. ^ Tuccille 1989, 페이지 42, 81.
  43. ^ 해리스 1991, 페이지 11.
  44. ^ a b c 데이븐포트-하인즈 2004.
  45. ^ 블랜차드 2013, 페이지 431.
  46. ^ 할리스 1985, 페이지 152.
  47. ^ 해밀턴 1991, 페이지 19-20.
  48. ^ 해리스 1991년 117쪽 137쪽
  49. ^ 해리스 1991, 페이지 118.
  50. ^ 해밀턴 1991년 21-22페이지.
  51. ^ 해밀턴 1991, 페이지 28.
  52. ^ 해밀턴 1991, 페이지 28-29.
  53. ^ 해리스 1991, 페이지 90–91.
  54. ^ 구트만 1971페이지 193-98페이지.
  55. ^ 해밀턴 1991, 페이지 33.
  56. ^ 해리스 1991쪽 97-99쪽
  57. ^ 에반스 1998, 페이지 48-49.
  58. ^ 해리스 1991 페이지 99–100.
  59. ^ 해밀턴 1991, 페이지 33–34.
  60. ^ 해밀턴 1991, 34-35페이지.
  61. ^ a b Harris 1991, 133-34 페이지.
  62. ^ 해밀턴 1991, 페이지 17–18.
  63. ^ Harris 1991, 135-36 페이지.
  64. ^ 해밀턴 1991, 페이지 42.
  65. ^ 해밀턴 1991, 페이지 41-42.
  66. ^ Harris 1991, 페이지 167–69.
  67. ^ a b 해밀턴 1991, 페이지 36.
  68. ^ 해밀턴 1991, 페이지 38.
  69. ^ 해밀턴 1991년 36쪽 44쪽
  70. ^ 해리스 1991, 137~39쪽.
  71. ^ 해밀턴 1991년 42-43페이지.
  72. ^ 해리스 1991쪽 142-43쪽
  73. ^ 해리스 1991 페이지 119
  74. ^ 해밀턴 1991, 페이지 39.
  75. ^ 해리스 1991쪽 147-49쪽
  76. ^ 해리스 1991, 151-52페이지.
  77. ^ 해리스 1991 페이지 158.
  78. ^ 해리스 1991 페이지 157-58.
  79. ^ 해리스 1991 페이지 159.
  80. ^ Watson, Russell; Kubic, Milan J.; Strasser, Steven; Namuth, Tessa (2 May 1983). "Hitler's Secret Diaries". Newsweek. New York, NY. p. 50.
  81. ^ 해리스 1991 페이지 159-61.
  82. ^ Harris 1991, 페이지 165-66.
  83. ^ 해리스 1991, 페이지 33.
  84. ^ "The ruling against David Irving". The Guardian. London. 11 April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5.
  85. ^ "Holocaust denier Irving is jailed". BBC. 20 Februar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ly 2015.
  86. ^ 해리스 1991쪽 220-22쪽
  87. ^ 해밀턴 1991, 페이지 47.
  88. ^ Harris 1991, 페이지 173–74, 178–79.
  89. ^ Harris 1991, 페이지 180-81.
  90. ^ 해리스 1991, 페이지 181.
  91. ^ Beck, Melinda; Westerman, Maks; Smith, Vern E.; Malamud, Phyllis (2 May 1983). "Hitler's Secret Diaries; Are They Genuine?". Newsweek. p. 54.
  92. ^ 해리스 1991, 페이지 205.
  93. ^ 해밀턴 1991, 페이지 48.
  94. ^ 해밀턴 1991, 52-53페이지.
  95. ^ 해리스 1991, 페이지 258.
  96. ^ 해리스 1991 페이지 259-60.
  97. ^ 윌리엄스 2015, 페이지 24.
  98. ^ Trevor-Roper, Hugh (23 April 1983). "Secrets That Survived the Bunker". The Times. London. p. 8.
  99. ^ Harris 1991, 265-66페이지.
  100. ^ a b 해밀턴 1991, 페이지 57.
  101. ^ 해리스 1991 페이지 304-05.
  102. ^ 해리스 1991, 페이지 269.
  103. ^ 해밀턴 1991, 페이지 58.
  104. ^ a b 렌츠클러 2003, 페이지 178.
  105. ^ Harris 1991, 페이지 305-06.
  106. ^ Vinocur, John (26 April 1983). "The Hitler diaries: Rewriting history?". Pittsburgh Post-Gazette. p.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y 2016.
  107. ^ 해리스 1991, 310-12페이지.
  108. ^ 해리스 1991, 314~15페이지.
  109. ^ a b 윌리엄스 2015, 23페이지.
  110. ^ 해리스 1991, 317–18페이지.
  111. ^ Schmidt, Felix (25 April 2013). "Ich übernehme jetzt die Gesamtverantwortung". Die Zeit (in German). Hambu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February 2015.
  112. ^ Binyon, Michael (26 April 1983). "Historians call for deeper scrutiny of Hitler diaries". The Times. London. p. 1.
  113. ^ "Lord Dacre Thinks Again". The Guardian. London. 26 April 1983. p. 10.
  114. ^ Blake, Ian; Tomforde, Anna (26 April 1983). "Lord Dacre Unsure on 'Hitler Diaries'". The Guardian. London. p. 30.
  115. ^ Binyon, Michael (26 April 1983). "Hubbub at Conference on Hitler Diaries". The Times. London. p. 34.
  116. ^ 해리스 1991, 321-23페이지.
  117. ^ 해리스 1991, 페이지 325.
  118. ^ 해리스 1991 페이지 337.
  119. ^ Harris 1991, 344–45페이지.
  120. ^ "Why I Believe in the Diaries". The Times. London. 2 May 1983. p. 1.
  121. ^ 해리스 1991 페이지 339.
  122. ^ 해리스 1991 페이지 345.
  123. ^ Schmidt, Felix (25 April 2013). "Eine 'plumpe Fälschung'". Die Zeit (in German). Hambu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February 2015.
  124. ^ 해리스 1991, 페이지 351.
  125. ^ 해리스 1991, 347-48페이지
  126. ^ 해리스 1991쪽 350~51쪽
  127. ^ 렌델 1994, 페이지 112.
  128. ^ 해리스 1991, 355~56쪽
  129. ^ Harris 1991, 페이지 359–60, 372–74.
  130. ^ 해리스 1991 페이지 377.
  131. ^ Catterall, Tony (19 August 1984). "Trial begins on Hitler diaries hoax". The Observer. London. p. 10.
  132. ^ "'Hitler diaries' fraud trial opens". The Guardian. London. 22 August 1984. p. 5.
  133. ^ a b van der Vat, Dan (9 July 1985). "Bunker bunk". The Guardian. London. p. 21.
  134. ^ Markham, James M. (11 May 1983). "Reporter Denies Hitler Hoax Role". The New York Times. New York, NY. p. 3.
  135. ^ 해밀턴 1991, 페이지 153.
  136. ^ "Sleepy trial judge in Hitler case removed". The Times. London. 21 September 1984. p. 5.
  137. ^ Tomforde, Anna (27 September 1984). "Amin's underpants bemuse diaries trial". The Guardian. London. p. 8.
  138. ^ Tomforde, Anna (4 June 1985). "End in sight for Hitler Diaries trial". The Guardian. London. p. 8.
  139. ^ 해밀턴 1991, 페이지 172.
  140. ^ Harris 1991, 페이지 381, 384.
  141. ^ Allen-Mills, Tony (9 February 1992). "The Hitler Hoaxer Digs in for More Gold". The Sunday Times. London. p. 17.
  142. ^ Knightley, Phillip (16 September 2000). "Obituaries: Konrad Kujau". The Guardian. London. p. 24.
  143. ^ Marshall, Andrew (5 January 1992). "The forger is back—send for Lord Dacre". The Independent. London. p. 1.
  144. ^ "Hitler diaries agent was 'communist spy'". BBC News. 29 July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5.
  145. ^ Hall, Allan (24 April 2008). "Living in poverty, the man who 'found' Hitler's diaries". The Independent.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ly 2015.
  146. ^ Schmidt, Felix (25 April 2013). "Der Führer wird immer mitteilsamer". Die Zeit (in German). Hambu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ly 2015.
  147. ^ 해리스 1991 페이지 366.
  148. ^ a b Cottrell, Chris; Kulish, Nicholas (25 April 2013). "Forged Hitler diaries enter archives, 30 years after scandal".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New York, NY. p. 4 – via nytimes.com.
  149. ^ "Stern Presents Hitler's Diaries (April 22, 1983)". German History in Documents and Images. German Historical Institu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150. ^ 해밀턴 1991, 페이지 175-76.
  151. ^ Marsden, Sam; Branagh, Ellen; Pickover, Ella (25 April 2012). "Gordon Brown 'not of balanced mind' says Rupert Murdoch". The Independent.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ne 2015.
  152. ^ 해리스 1991 페이지 326.
  153. ^ "Richard M. Smith Becomes Newsweek's Editor-in-Chief". Newsweek. New York, NY. 16 January 1984. p. 5.
  154. ^ Ascherson, Neal (16 February 1986). "Conmen and Dupes". The Observer. London. p. 27.
  155. ^ Stoddart, Patrick (16 June 1991). "History in the Faking". The Sunday Times. London. p. 16.
  156. ^ "Snatches". The Guardian. London. 18 July 1991. p. 27.
  157. ^ Johnstone, Iain (24 January 1993). "Not a Genuine Fake". The Sunday Times. London. p. 14.
  158. ^ "Helmut Dietl; German director who won an Oscar nomination for a Nazi-themed satire". The Daily Telegraph. London. 2 April 2015. p. 35.
  159. ^ Lentschler 2003, 페이지 181.
  160. ^ "Fake Hitler diary sold for 6,500 euros at auction". Deutsche Presse-Agentur. 23 April 2004.
  161. ^ MacArthur, Brian (9 June 1991). "Up in smoke". The Sunday Times. London. p. 1, section 3.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