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권
Holarctic realm북극 왕국은 북반구 대륙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서식지를 구성하는 생물 지리학적 영역이다.그것은 꽃다운 한대 왕국에 해당된다.북극의 동물 지리학적 지역(북아메리카의 대부분을 포함)과 알프레드 월리스 북극의 동물 지리학적 지역(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인도 아대륙, 그리고 남부 아라비아 반도를 제외한 유라시아 전체를 포함)을 모두 포함합니다.
이 지역들은 다양한 생태 지역으로 더욱 세분화된다.많은 생태계와 그에 의존하는 동식물 군집은 여러 대륙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전북극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연속성은 그 지역들이 빙하 역사를 공유한 결과이다.
주요 생태계
북극권에는 다양한 생태계가 있다.특정 지역에서 발견되는 생태계의 유형은 위도와 지역 지리에 따라 달라집니다.북쪽 끝에는 북극 툰드라 띠가 북극해 해안을 둘러싸고 있다.이 땅 밑의 땅은 영구 동토층이다.이러한 어려운 성장 조건에서는, 거의 식물들이 살아남을 수 없다.툰드라 남쪽에는 북미와 유라시아에 걸쳐 한대숲이 펼쳐져 있다.이 땅은 침엽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더 남쪽으로 가면 생태계가 더 다양해집니다.어떤 지역은 온대 초원이고, 다른 지역은 낙엽수가 우거진 온대 숲이다.북극의 최남단 대부분은 사막으로 건조한 [1]환경에 적응한 식물과 동물이 지배하고 있다.
전북극 분포 동물 종
다양한 동물 종들이 대륙에 걸쳐, 북극의 많은 영역에 분포합니다.이들은 갈색곰, 회색늑대, 붉은여우, 울버린, 무스, 순록, 황금독수리, 큰까마귀를 포함한다.
불곰(Ursus arctos)은 북극 전역에 분포하는 산악 지역과 반개방 지역에서 발견된다.그것은 한때 훨씬 더 넓은 지역을 차지했지만, 인간의 발전과 그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로 인해 쫓겨났다.오늘날 그것은 남아 있는 황무지에서만 발견된다.
회색늑대(캐니스 루푸스)는 툰드라에서 사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각각 다른 개체군을 가지고 있다.그것의 역사적 분포는 비록 개발과 활발한 박멸과 같은 인간 활동이 이 종의 많은 범위를 멸종시켰지만, 대부분의 북극 지역을 포함한다.
붉은여우(Vulpes vulpes vulpes)는 적응력이 뛰어난 포식자이다.육식동물 중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인간 발달이 심한 지역을 포함한 광범위한 서식지에 적응되어 있다.늑대와 마찬가지로, 그것은 대부분의 북극 지역에 분포하지만, 멸종은 피했다.
울버린(Gulo gulo)은 주로 북극과 한대 숲에서 발견되는 족제비과의 큰 종으로 산악지대의 남쪽에 분포한다.유라시아와 북미 전역의 그러한 지역에 분포한다.
무스는 사슴과의 가장 큰 동물이다.유라시아 대륙을 거쳐 스칸디나비아, 북미 동부, 북미 서부의 한대 및 산지 지역에 이르는 대부분의 한대 숲에서 발견된다.일부 지역에서는 낙엽수림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다.
순록 또는 순록은 북극의 북부 지역의 한대 숲과 툰드라에서 발견됩니다.유라시아에서는 길들여졌다.그것은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다른 서식지와 지리적 지역에 적응한다.
황금독수리(Aquila chrysaetos)는 북반구에서 가장 잘 알려진 맹금류 중 하나이다.그것은 가장 널리 분포하는 독수리 종이다.황금 독수리는 다양한 먹이를 잡기 위해 강력한 발과 크고 날카로운 발톱과 함께 민첩성과 속도를 사용합니다.
까마귀(Corvus Corax)는 까마귀류 중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가장 큰 까마귀 중 하나이다.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지만, 주로 숲이 우거진 북부 지역에서 발견됩니다.그것은 인간의 활동 영역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그들의 분포는 또한 전북극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렙토토토락스 아세르보룸은 스페인과 이탈리아 중부에서 스칸디나비아와 시베리아의 최북단에 이르는 유라시아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붉은색 홀북극 개미이다.
Zygella x-notata는 북극에 분포하는 구를 짜는 거미로, 주로 유럽의 도시와 교외 지역 및 북미 일부 지역에 서식합니다.
기원.
북극의 북쪽 지역은 빙하 역사를 공유하기 때문에 계속된다.플라이스토세(빙하기) 기간 동안, 이 지역들은 빙하를 반복했다.만년설이 팽창하면서 생명의 땅을 휩쓸고 지형을 다시 만들었습니다.빙하기 동안, 종들은 지역 지리상 적절한 기후를 유지한 작은 지역인 리퓨지아에서 살아남았다.이 지역들은 주로 남부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2] 몇몇 유전적, 고생물학적 증거들은 북쪽의 보호지역들에 추가적인 섭생지를 가리키고 있다.
이 지역들이 발견된 곳이 어디든, 그들은 간빙기 동안 개체군의 원천이 되었다.빙하가 물러가자 식물과 동물들은 새롭게 개방된 지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다른 분류군은 이러한 급변하는 상황에 다른 방식으로 대응했다.간빙기 동안 나무 종은 리퓨지아에서 바깥쪽으로 퍼져나갔지만,[3] 다른 시기에 다른 나무들이 우세한 다양한 패턴으로 퍼져나갔다.반면에 곤충들은 기후에 따라 서식지를 바꾸면서 그 [4]기간 내내 종의 일관성을 유지했다.그들의 높은 이동성은 빙하가 전진하거나 후퇴할 때 기후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서식지를 유지하면서 그들을 움직일 수 있게 했다.명백한 이동성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식물들은 새로운 지역들을 빠르게 식민지로 만들 수 있었다.화석 꽃가루에 대한 연구는 나무가 기하급수적인 [5]속도로 이 땅들을 되살렸다는 것을 보여준다.포유류는 다양한 속도로 다시 태어났다.예를 들어, 갈색 곰은 빙하가 후퇴하면서 빠르게 리퓨지아에서 이동했고,[6] 땅을 되살린 최초의 대형 포유동물 중 하나가 되었다.마지막 빙하기는 약 10,000년 전에 끝났고, 그 결과 현재의 생태계가 분포하게 되었다.
북극 생태계의 지속성에 기여하는 또 다른 요인은 만년설 확대에 따른 해수면 하락으로 베링 육교가 허용하는 대륙 간의 이동이다.북극과 북극에서 발견되는 군집들은 다르지만, 많은 종들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이것은 베링 육교 건너편에서 발생한 여러 동물 교환의 결과입니다.그러나 이러한 이동은 대부분 크고 추위에 강한 [7]종으로 제한되었다.오늘날에는 주로 이 종들이 왕국에서 발견된다.
위협
북극은 광대한 지역이기 때문에 국제적인 규모의 환경 문제를 안고 있다.이 지역 전체의 주요 위협은 지구 온난화와 서식지 [citation needed]파괴에서 비롯된다.이러한 생태계가 추위에 적응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는 북쪽에서 특히 우려된다.개발이 성행하고 있는 남부에서는 후자가 더 걱정거리다.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모든 생태계에 위협이 되지만 추운 기후에서 발견되는 사람들에게는 더 즉각적인 위협이다.이러한 위도에서 발견되는 종의 군집은 추위에 적응하기 때문에, 어떠한 심각한 온난화도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곤충들은 한대 숲의 전형적인 추운 겨울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친다.많은 사람들이, 특히 혹독한 겨울에, 그것을 만들지 못한다.하지만, 최근 겨울은 온화해졌고, 이것은 숲에 큰 영향을 끼쳤다.일부 곤충의 겨울 사망률은 급격히 감소했고, 이후 몇 년 동안 개체 수가 스스로 증가하도록 했다.일부 지역에서는 그 영향이 심각하다.가문비나무 풍뎅이 발병이 케나이 반도의 가문비나무의 90%까지 전멸시켰는데,[8] 이는 1987년 이후 이례적으로 따뜻한 몇 년 동안 계속된 탓이다.
이 경우 기후 변화로 인해 토종종이 서식지에 막대한 교란을 일으켰다.온난화된 온도는 또한 해충 종들이 이전에는 적합하지 않았던 서식지로 이동하면서 그들의 서식지를 넓힐 수 있게 할 수도 있다.바크풍뎅이의 발생 가능 지역에 대한 연구는 기후 변화에 따라, 이 딱정벌레가 이전에 [9]영향을 받았던 것보다 북쪽과 더 높은 고도로 확장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기온이 더 따뜻해지면, 곤충의 침입은 북극의 북부 지역 전체에 걸쳐 더 큰 문제가 될 것이다.
지구 온난화가 북부 생태계에 미치는 또 다른 잠재적 영향은 영구 동토층이 녹는 것이다.이는 얼어붙은 토양에 적응한 식물 군집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기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그 위에서 자라는 나무들은 모두 죽을지도 모르고, 땅은 숲에서 이탄지로 이동한다.북쪽 끝에서는 관목들이 나중에 이전의 툰드라 지역을 차지할 수 있다.정확한 효과는 갇혀있던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어느 경우든, 서식지는 변화를 겪게 될 것이다.영구 동토층이 녹는 것은 또한 미래에 기후 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영구 동토층 안에는 엄청난 양의 탄소가 갇혀 있다.이 토양이 녹으면 이산화탄소와 메탄 중 하나로 공기 중에 방출될 수 있다.이 두 가지 모두 온실 [10]가스입니다.
서식지 파편화는 전 세계의 다양한 서식지를 위협하고 있으며, 북극 지역도 예외는 아니다.단편화는 모집단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개체수가 감소함에 따라, 그들의 유전적 다양성은 어려움을 겪고 그들은 갑작스러운 재난과 멸종에 민감하게 된다.북극의 북부는 지구상에 남아 있는 가장 큰 황무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반면, 남부는 일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달되어 있다.이 왕국은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을 포함한 세계 대부분의 선진국을 포함하고 있다.온대 숲은 오늘날 가장 발달된 많은 지역에서 주요 생태계였다.이 땅들은 현재 집약적인 농업에 쓰이거나 도시화 되었다.토지가 농업용과 인간의 점령을 위해 개발됨에 따라 자연 서식지는 대부분 경사면이나 암반 [11]지역처럼 인간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지역으로 한정되었다.이러한 발달 패턴은 동물들, 특히 큰 동물들이 이곳저곳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대형 육식동물들은 특히 서식지 파편화의 영향을 받는다.불곰과 늑대와 같은 이 포유동물들은 개체로 살아남기 위해 비교적 온전한 서식지를 가진 넓은 지역을 필요로 한다.지속 가능한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큰 지역이 필요하다.그들은 또한 그들이 잡아먹는 종의 개체 수를 조절하는 핵심 종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그들의 보존은 다양한 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12] 그들이 필요로 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개발의 증가와 함께, 이 종들은 특히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에 처해 있다.
보존 조치
![]() | 이 섹션은 업데이트해야 합니다.(2020년 11월) |
북극 왕국에 대한 위협이 인정되지 않고 있다.이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이러한 위협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지구 온난화와 싸우기 위한 국제 협약은 이 지역에 대한 기후 변화의 영향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또한 지역 및 지역 규모로 서식지 분열을 막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지구 온난화와 싸우기 위한 가장 포괄적인 노력은 교토의정서이다.이 의정서에 서명한 선진국들은 1990년 이후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온실 가스 총 배출량을 5퍼센트 줄이기로 합의했다.이들 국가의 대부분은 북극에서 발견된다.각국은 배출량 목표를 정하고 있으며, 개도국을 포함한 시장 기반 시스템에서 배출량 신용 거래를 할 수도 있다.이 기간이 끝나면 기후변화의 영향을 더욱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협정이 작성될 것이다.새로운 협정문 초안 작성 작업은 이미 시작되었다.2007년 말 발리에서 교토의정서 후속안을 마련하기 위한 국제회의가 열렸다.이 협정은 교토의 성공과 실패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만약 이러한 노력이 성공한다면, 북극과 세계의 생물 다양성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덜 보게 될 것이다.
서식지의 파편화와 싸우는 것은 북극의 광범위한 종을 보존하는 데 있어 큰 도전이다.지역적인 보호 규모로 제한되는 노력도 있고 지역적인 노력도 있습니다.지역적인 노력에는 보호구역의 조성, 동물들이 도로와 인간이 만든 다른 장벽을 넘을 수 있는 안전한 길의 확립 등이 포함된다.서식지의 분열을 막기 위한 지역적 노력은 더 넓은 범위를 차지한다.
북극에서 그러한 노력 중 하나는 옐로스톤에서 유콘으로의 보존 구상이다.이 단체는 와이오밍 주 중부에서 알래스카와 캐나다 유콘 주 경계에 이르는 북부 록키 산맥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돕기 위해 1997년에 시작되었습니다.그것은 다양한 환경 단체들이 공동의 목적을 위해 함께 모인다.이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보호구역의 핵심을 만들고, 복도로 연결되며, 완충구역으로 둘러싸이는 것이다.이는 이 지역의 많은 기존 보호 지역을 기반으로 하며, 제외를 추구하기보다는 현재와 미래의 인간 활동을 보존 계획에 통합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옐로스톤에서 유콘까지).만약 이러한 노력이 성공한다면, 그들은 회색곰과 같은 다양한 종에게 특히 도움이 될 것이다.만약 이 종들이 살아남을 수 있다면, 그들이 살고 있는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도 살아남을 것이다.
레퍼런스
- ^ Schultz, Jürgen (1995), "Regional Section: the Individual Ecozones", The Ecozones of the World, Berlin, Heidelberg: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74–430, doi:10.1007/978-3-662-03161-2_3, ISBN 978-3-662-03163-6
- ^ Stewart, John R.; Lister, Adrian M. (2001). "Cryptic northern refugia and the origins of the modern biota".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16 (11): 608–613. doi:10.1016/s0169-5347(01)02338-2. ISSN 0169-5347.
- ^ Taberlet, P. (2002-09-20). "ECOLOGY: Enhanced: Quaternary Refugia and Persistence of Biodiversity". Science. 297 (5589): 2009–2010. doi:10.1126/science.297.5589.2009. PMID 12242431. S2CID 44477521.
- ^ Coope, G. Russell; Wilkins, A. S. (1994). "The Response of Insect Faunas to Glacial-Interglacial Climatic Fluctuations [and Discuss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344 (1307): 19–26. doi:10.1098/rstb.1994.0046. ISSN 0962-8436. JSTOR 56149.
- ^ Bennett, K. D.; Southwood, Sir Richard; Lawton, John Hartley; Gibbs, A.; Williamson, M. H.; Holdgate, M. W.; Hamilton, William Donald; Conway, Gordon Richard; Kornberg, Hans Leo; Williamson, M. H. (1986-12-15). "The rate of spread and population increase of forest trees during the postglacial".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314 (1167): 523–531. Bibcode:1986RSPTB.314..523B. doi:10.1098/rstb.1986.0071.
- ^ Sommer, R. S.; Benecke, N. (2005). "The recolonization of Europe by brown bears Ursus arctos Linnaeus, 1758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Mammal Review. 35 (2): 156–164. doi:10.1111/j.1365-2907.2005.00063.x. ISSN 0305-1838.
- ^ Rodríguez, J.; Hortal, J.; Nieto, M. (2006). "An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and biogeography on community structure: the case of Holarctic mammals". Journal of Biogeography. 33 (2): 291–303. doi:10.1111/j.1365-2699.2005.01397.x. ISSN 1365-2699.
- ^ Logan, Jesse A.; Régnière, Jacques; Powell, James A. (2003). "Assessing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forest pest dynamic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 (3): 130–137. doi:10.1890/1540-9295(2003)001[0130:ATIOGW]2.0.CO;2. ISSN 1540-9309.
- ^ Williams, David W.; Liebhold, Andrew M. (2002). "Climate change and the outbreak ranges of two North American bark beetles". Agricultural and Forest Entomology. 4 (2): 87–99. doi:10.1046/j.1461-9563.2002.00124.x. ISSN 1461-9555. S2CID 84848140.
- ^ Stokstad, E. (2004-06-11). "Defrosting the Carbon Freezer of the North". Science. 304 (5677): 1618–1620. doi:10.1126/science.304.5677.1618. ISSN 0036-8075. PMID 15192214. S2CID 37443830.
- ^ Schultz, Jürgen (2005). The ecozones of the world: the ecological divisions of the geosphere (2nd ed.). Berlin: Springer. ISBN 3-540-20014-2. OCLC 209855917.
- ^ Noss, Reed F.; Quigley, Howard B.; Hornocker, Maurice G.; Merrill, Troy; Paquet, Paul C. (1996). "Conservation Biology and Carnivore Conservation in the Rocky Mountains". Conservation Biology. 10 (4): 949–963. doi:10.1046/j.1523-1739.1996.10040949.x. ISSN 0888-8892. JSTOR 2387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