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시에

Hoosier

후시어 /huːʒr/ 미국 인디애나 주 사람들공식적인 반의어이다.이 용어의 기원은 여전히 [1]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후지어"는 리치몬드 주민 존 핀리의 1833년 시 "후지어의 둥지"[2]의해 대중화되면서 1840년대에 [2]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인디애나에서 태어나거나 그 당시 거주자라면 누구나 [citation needed]후시어로 여겨진다.인디애나주는 150여 년 전에 "[1]후지어 주"라는 별명을 도입했습니다.

"Hoosier"는 인디애나에 본사를 둔 수많은 기업 및 단체의 이름에 사용됩니다."후지어스"는 인디애나 대학 운동팀이름이기도 하다.후시어의 수용된 실시형태가 없기 때문에 IU학교는 문자 및 색상으로만 표현된다.미국 정부출판국[3]따르면 인디애나 주민들에 의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질 뿐만 아니라, 이 용어는 공식적인 반의어이기도 하다.

기원.

"The Hoosier's Nest"와 더불어, 이 용어는 1833년 1월 1일 인디애나폴리스 저널의 "Carrier's Address"에도 등장했습니다.그 단어의 유래에 대한 많은 제안들이 있지만, 어느 것도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833년 피츠버그 스테이츠맨은 이 용어가 "어느 정도 지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왔다면서 인구조사 직원들이 "누가 왔나?"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또한 1833년에는 전 인디애나 주지사 제임스 B. 레이는 The Hoosier라는 [4]제목의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장학금

1900년, 메레디스 니콜슨은 인디애나 주민들에게 적용되는 단어의 어원을 연구하기 위한 초기 시도인 The Hoosiers를 썼다.인디애나 역사 협회의 오랜 비서인 제이콥 피아트 던은 [5]1907년 비슷한 시도인 '후지어' 출판했다.둘 다 그 당시에 떠돌던 대중적이고 풍자적인 어원들 중 일부를 연대기화하고 그들의 많은 관심을 나무꾼, 요크족, 거친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고지 남부에서 사용되는 단어에 집중했다.던은 이 단어를 "높은"과 "언덕"을 뜻하는 고대 영어 hoo(서튼 후와 같이)에서 유래한 유별나게 큰 것을 의미하는 컴브리안 후저에서 유래했다.북부 잉글랜드와 남부 스코틀랜드에서 온 이민자들의 중요성은 컴벌랜드 산맥, 컴벌랜드 강, 컴벌랜드 [1]갭을 포함한 수많은 플래카네임에 반영되었다.니콜슨은 인디애나 사람들을 그러한 연관성에 대해 옹호했고, 던은 초기 정착민들은 그 별명을 자기모독적으로 받아들였고 핀리의 시가 [6]나올 무렵에는 부정적인 연관성을 잃었다고 결론지었다.

조나단 클라크 스미스는 후에 니콜슨과 던의 인디애나 내 초기 정보원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던과 다른 사람들이 이 용어의 가장 이른 사용으로 인용한 제임스 커티스의 편지는 실제로 1826년이 아닌 1846년에 쓰여졌다.마찬가지로 Sandford Cox의 1827년 가계부 항목을 인용한 1859년 신문 항목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것은 원래 가계부의 논문이 아니라 편집 논평일 가능성이 높다.스미스의 초기 소식통들은 이 단어가 인디애나에서 온 평탄한 뱃사공들을 가리키는 오하이오 강변의 용어로 유래되었고 핀리의 [7]시가 나온 1836년까지 경멸적인 의미를 얻지 못했다고 주장하게 했다.

Fisk 대학의 역사 교수인 William Piersen은 감리교 목사와의 연관성을 주장했다.19세기제2차 대각성의 일부로 미국 국경을 전도한 해리 호지어(1750년경1806년 5월)"블랙 해리"는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노예로 태어나 메릴랜드주 볼티모어로 팔려갔다가 자유를 얻고 미국 독립전쟁 말기에 그의 사역을 시작했다.그는 "미국 감리교회의 아버지"인 프란시스 애스버리 주교와 가까운 동료이자 개인적인 친구였다.벤자민 러시는 그에 대해 "그의 문맹을 감안한다면 그는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웅변가였다"[8]고 말했다.그의 설교는 감리교 신자들에게 노예제도를 거부하고 평범한 노동자를 옹호할 것을 요구했다.피에르센은 그의 예로부터 영감을 받은 감리교 공동체가 그의 [9]목사직 후 수십 년 동안 그의 이름의 변형 철자를 받아들이거나 부여받았음을 제안했다[8].

당시 워싱턴 카운티 신문 보도에 따르면 아브라함 스토버는 인디애나 민병대 대령이었다.그는 초기 워싱턴 카운티 역사에서 다채로운 인물이었다.사위 존 비와 함께요브랜, 그는 워싱턴 카운티에서 가장 강한 두 사람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그는 항상 자신의 힘을 증명하기 위해 도전을 받았고, 그의 나이 절반의 남자들을 상대로 여러 번 싸워 이긴 것 같다.켄터키주 루이빌에서 벌어진 주먹싸움에서 6, 8명의 남자들을 채찍질한 뒤 주먹을 [clarification needed]불끈 쥐며 "나는 허셔가 아니다"라고 말했고, 뉴스에서 "후지어"로 바뀌어 인디애나주 [10][full citation needed][11]남자들과 연관지어 후지어라는 이름을 만들었다.

인디애나 대학의 박사과정 학생인 Jorge Santander Serrano는 또한 Hoosier프랑스어로 '빨간색', '루주르', 또는 '빨간 얼굴', '루주'[12]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이 가설에 따르면, 후시에라는 단어를 초기에 경멸적으로 사용한 것은 원주민, 경멸적으로 "붉은 남자" 또는 "붉은 여자"라고 불리는 붉은색 (프랑스어로 "roughe")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가난한 백인들을 "붉은 네크"라고 부르는 것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민속 어원학

"누구야?"

"후지어"라는 용어의 유머러스한 민간 어원은 던이 후지어라는 단어에서 언급했듯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 설명에 따르면 그 말은 변경의 주택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되어 있다.총을 맞지 않기 위해 여행자는 멀리서 자신을 알리기 위해 소리를 지르곤 했다.오두막의 주민들은 초기 정착민들의 애팔래치아식 영어로 "Who'sh 'ere?"로 슬그머니 "Who's here?"라고 대답하고, 그 다음에는 "Hoosier?"로 대답했습니다.이 설명의 변형은 인디애나 개척자들이 덤불과 키 큰 풀숲에서 누군가의 소리를 들었을 때 "Who'sh 'ere?"라고 외쳤는데,[13] 이는 실수로 친척이나 친구를 쏘지 않기 위해서였다.

시인 제임스 휘트콤 라일리는 인디애나 주에서 벌어진 격렬한 싸움은 누구의 귀라는 표현이 눈에 띄도록 충분히 물고 늘어졌음을 우스갯소리로 암시했다.이것은 인디애나 남부 산기슭의 선술집에서 싸운 19세기 프랑스 이민자들의 이야기에서 비롯되거나 영감을 얻었다.한 명은 잘리고 세 번째 프랑스인은 주막의 흙바닥에 있는 귀를 보고 들어와 "Whoh [14]hear?"라고 외쳤다.

후시에 씨의 부하들

"후지어"라는 용어의 한 가지 가능한 기원은 루이빌 운하와 포틀랜드 운하의 건설에서 비롯되었다.

이와 관련된 두 가지 이야기는 이 용어의 기원을 후지어 씨의 지시로 인디애나에서 온 노동자들의 집단에서 추적하고 있다.

던은[15] 루이스빌 건설업자 사무엘 후시에가 켄터키안보다 뉴올버니 같은 오하이오강 인디애나주 지역 주민들로부터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것을 선호했다고 진술했다.1826년부터 1833년까지 오하이오 폭포 주변의 첫 번째 운하를 발굴하는 동안, 그의 직원들은 "후시어의 부하"로 알려졌고, 그 후 "후시어"로 알려지게 되었다.이러한 근면한 노동자들로부터 그 지역의 모든 인디애나 뱃사공들에게까지 사용법이 퍼졌고, 그 후 주의 정착과 함께 북쪽으로 확산되었다.이 이야기는 1901년 테네시 남부 지역을 여행하던 중 후지어 친척으로부터 들은 한 남자가 던에게 들려주었다.던은 그 지역의 어느 디렉토리에서도 또는 테네시 남부에서 그 이야기를 듣고 자신이 의심스럽다고 생각하는 어떤 가족도 찾을 수 없었다.이 버전은 이후 에반 베이 주지사와 상원의원에 의해 재판매되었다.1975년 [16]의회 기록에 이 이야기를 소개한 밴스 하르케는 스미스의 후속 연구 시기와 장소와 일치한다.그러나 육군 공병대는 살아남은 운하 회사 [14]기록에서 후지어나 호지어에 대한 어떠한 기록도 찾을 수 없었다.

기타 용도

"hoosier"라는 단어는 그레이터 세인트 세인트루이스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루이스는 똑똑하지 않거나 교양없는 [17][18][19][a]사람을 경멸하는 존재이다.이 단어는 바다 판자촌에서도 볼 수 있다.Stan Hugill의 책 "7해에서[20]판자집"에서, 이전에 목화 저장고를 가리키는 용도와 관련하여, 목화 보따리를 배의 선창으로 옮기고 잭나사로 단단히 밀어넣었다.

후지어 캐비닛은 종종 "후지어"로 줄여 쓰기도 하는데, 20세기 초에 유행했던 독립형 부엌 캐비닛의 한 종류입니다.이들 캐비닛의 거의 대부분은 인디애나주에 위치한 회사들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그 이름은 그 중 가장 큰 회사인 인디애나주 뉴캐슬의 후지어 제조회사에서 유래되었다.다른 인디애나 사업체로는 후지어 레이싱 타이어와 나무 야구 방망이 제조업체인 후지어 배트 회사가 있다.

인디애나폴리스 콜츠의 이전 본거지였던 RCA 돔은 1994년 RCA가 명명권을 구입하기 까지 "후지어 돔"으로 알려져 있었다.RCA 돔은 2008년에 루카스 오일 스타디움으로 대체되었다.

대중문화에서

  • 인디애나 태생인 커트 보네거트의 책 '고양이의 요람'은 이 신분을 곡창의 한 예로 묘사하고 있다.
  • 영화 무법자 호세 웨일즈(클린트 이스트우드 주연)에서 한 가게 주인은 나이 든 손님의 혐오감에 "나는 후지어"라고 말한다.
  • HBO 미니시리즈 The PacificPFC Bill Smith를 "Hoosier"라는 별명으로 지칭하며, 이 시리즈의 기반이 된 두 편의 해병 회고록도 그렇다.
  • Discovery Channel 시리즈 MythBusters의 진행자인 Adam Savage는 종종 공동 진행자인 Jamie Hyneman을 후시어라고 부르는데, 후자는 인디애나 주의 농장에서 자랐고 인디애나 [21]대학에 다녔다.
  • 연쇄살인범판즈람의 마지막 말은 "빨리 해, 이 후지어 자식아!네가 장난치는 동안 난 10명을 죽일 수 있어!"
  • 영화 "We're No Angels"에서 펜의 캐릭터는 변장복으로 작업복을 입으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누가 날 후지어라고 생각해?"라고 말한다.
  • 도니 브라스코라는 책에서: 나의 마피아 잠복생활, 갱스터 벤자민 "레프트 건즈" 루지에로는 후시어를 [vague]호칭으로 사용한다.
  • 1986년 스포츠 영화 후시어스는 인디애나주의 작은 마을에서 열린 고등학교 농구팀이 주 챔피언쉽에서 우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알뜰 후시에(The Albul Hoosier)는 ABC 시트콤 The Middle에 묘사된 가상의 할인 식료품점으로, 가상의 인디애나 마을 Orson에 기반을 두고 있다.
  • NBC 시트콤 파크 레크리에이션 에피소드 "소울메이트"에서는 "hoosiermate.com"라는 가상의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가 주요 주제였다.그 시리즈의 배경은 [22]인디애나이다.
  • 미 비밀경호국은 전 미국 부통령, 전 인디애나 주지사, 인디애나 출신 마이크 [23]펜스의 암호명을 "후지어"로 지정했다.
  • 은퇴한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팬터 팻 맥아피는 자신의 팟캐스트에서 이 용어를 "역경 속에서도 일어서서 맥주 두 잔을 마시고 미국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기꺼이 하는 인간"이라고 정의했다.그게 바로 후시어다.[24]
  • 1987년 당시 미국 상원의원퀘일메리엄-웹스터 사전에서 "후지어"라는 용어를 "똑똑하고, 지략이 풍부하고, 능숙하고, 승자이고, 독특하고, 총명한 사람"이라는 의미로 재정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사전에서 요청을 [25]거부했습니다.
  • 인시카고 파이어 시즌 7 에피소드 14, 35:02에, 강인한 캐릭터 드웨인은 자신을 "긴 줄의 후지어" 출신이며 "모래와 모래"로 만들어졌다고 밝히고, 이에 대해 브렛은 "나도 후지어"라고 답했고 드웨인은 놀라지 않았다고 말한다.또 다른 캐릭터는 "후셔란 무엇인가?"라고 묻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설명 메모

  1. ^ 토마스 E.머레이는 세인트루이스에서 "hoosier"의 사용을 신중하게 분석했다.미주리주 루이스, 그곳은 학대의 단적인 표현이다."후시에가 무엇인가?"라고 묻자, 머레이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 "세인트루이스 사람들은 쉽게 정의되는 많은 특징들을 열거합니다. 그중에는 '게으름', '느림', '느림', '해체', '무책임' 등이 있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세인트루이스에는 몇 가지 명"이라고 말합니다.루이스는 경멸적인 의미나 야유와 같은 부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그는 연령과 인종에 걸쳐 테스트와 인터뷰를 실시했고 결과를 표로 작성했다.그는 그 용어가 에큐메이션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알았다.그는 또한 이 단어가 "어떤 빌어먹을 후지어"에서처럼 거의 중복적으로 종종 수식어와 함께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
    머레이는 이 단어의 역사에 대해 말하고 베이커와 카모니(1975년)를 인용하며 왜 후시어(인디아나에서 "중립적이거나 더 자주 긍정적인" 용어)가 세인트루이스에서 "살아있고 잘 지내야 하는지" 추측한다.루이스는 이 도시의 제1기 모욕이라는 영광스러운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라디오 방송이 머레이가 중단한 곳에서 방송을 시작했다.Fresh Air 프로그램 동안 언어 해설자인 Geoffrey Nunberg는 지역 별명에 대한 질문에 답했다.그는 세인트루이스에서 포스트 디스패치 칼럼니스트( 딕슨도 인용) 일레인 비에츠를 인용했다.루이스 a Hoosier는 "앞마당의 콘크리트 블록 위에 차를 두고 있고 그들의 [5]여동생일 수도 있는 그들의 아내를 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당신이 알아볼 수 있는 사람이다."

레퍼런스

  1. ^ a b c "What is a Hoosier?". Indiana Historical Bureau. Retrieved March 17, 2012.
  2. ^ a b Haller, Steve (Autumn 2008). "The Meanings of Hoosier. 175 Years and Counting". Traces of Indiana and Midwestern History. Indianapolis: Indiana Historical Society. 20 (4): 5. ISSN 1040-788X.
  3. ^ Groppe, Maureen (January 12, 2017). "Don't Call Them Indianians; They're Hoosiers". USA Today. Gannett.
  4. ^ "The Hoosier". Niles' Weekly Register. December 28, 1833.
  5. ^ a b Graf, Jeffrey (November 1, 2000) [Last revised: July 28, 2016]. "The Word Hoosier". Indiana.edu.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3-12. Retrieved March 17, 2012.
  6. ^ 할러(2008), 페이지 6.
  7. ^ Smith, Jonathan Clark (June 2007). "Not Southern Scorn but Local Pride: The Origin of the Word Hoosier and Indiana's River Culture". Indiana Magazine of History. Vol. 103, no. 2. pp. 183–1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6-05. Retrieved 2015-08-19.
  8. ^ a b Webb, Stephen H. (March 2002). "Introducing Black Harry Hoosier: The History Behind Indiana's Namesake". Indiana Magazine of History. Vol. XCVIII. Trustees of Indiana University. Retrieved October 17, 2013.[영구 데드링크]
  9. ^ Piersen, William D. (June 1995). "The Origin of the Word "Hoosier": A New Interpretation". Indiana Magazine of History. Vol. 91, no. 2. 인용처: Graf (2000)
  10. ^ Salem Leader 신문 1846 아카이브
  11. ^ Morris, Harvey (1 December 1921). Washington County Giants, Indiana Historical Society Publications, Vol 7. No. 8 by Harvey Morris. Indiana Magazine of History. Retrieved 28 January 2022.
  12. ^ "Guest Column: It's a "rouguer" nation? The mystery behind Indiana's favorite nickname". Indiana Daily Student. Indiana University Student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4, 2016. Retrieved November 2, 2016.
  13. ^ 인디애나의 역사.교과서. c. 1960년.
  14. ^ a b Johnson, Leland R.; Parrish, Charles E. (2007). Triumph at the Falls: The Louisville and Portland Canal. Louisville: U.S. Army Corps of Engineers. p. 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1, 2021.
  15. ^ Dunn, Jacob Piatt (1907). The Word Hoosier. Indianapolis: Bobbs-Merrill. pp. 16–17. (인디아나 역사학회 간행물 제4권, 1907호)
  16. ^ Graf(2000).
  17. ^ "What's a Hoosier?". www.stlmag.com. 2015-09-17. Retrieved 2020-12-19.
  18. ^ Holleman, Joe. "'Hoosier' deemed funniest slang word in Missouri". STLtoday.com. Retrieved 2020-12-19.
  19. ^ Seely, Mike. "Hoosiers". Riverfront Times. Retrieved 2020-12-19.
  20. ^ Hugill, Stan (1961). Shanties from the Seven Seas. Mystic, Connecticut: Mystic Seaport Museum. ISBN 0913372706.
  21. ^ Elisabeth Andrews (Winter 2013). "The Man Behind the Myth". The College. College of Arts & Sciences, Indiana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3-28.
  22. ^ Sepinwall, Allan. "Review: 'Parks and Recreation' - 'Soulmates': Me and you, Boo". Uprox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1. Retrieved March 1, 2022.
  23. ^ Watkins, Eli; Gray, Noah (July 27, 2016). "Here are the Secret Service codenames for Trump, Pence". CNN. Retrieved March 22, 2017.
  24. ^ "The Pat McAfee Show Podcast - PMS 018". Podcast One. April 13,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4, 2017.
  25. ^ Dickson, Paul (6 November 1988). "DAN QUAYLE VS. MERRIAM WEBSTER".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18 November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