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샹후알라이트
Hsianghualite흐샹후알라이트 | |
---|---|
![]() 활자 지역으로부터 온 흐엉후알라이트.표본크기 1.5 cm | |
일반 | |
카테고리 | 제올라이트 |
공식 (기존 단위) | Li2Ca3(BeSiO4)3F2 |
IMA 기호 | Hsi[1] |
스트룬츠 분류 | 9.GB.05(10 Ed) 8/J.16-10 (8 Ed) |
다나구분 | 77.1.1.5 |
크리스털 시스템 | 등축계 |
크리스털 클래스 | 테타로이드(23) H-M 기호: (23) |
스페이스 그룹 | I231,[2] 원래 4 3 2로[3] 보고됨 |
식별 | |
공식 질량 | 475.4 g/190 |
색 | 흰색 또는 무색 |
수정습관 | 삼면체 또는 도면체 결정체 또는 세밀한 질량[3] |
클라바주 | 없음 |
고집 | 브리틀[4] |
모스 눈금 경도 | 6.5 |
루스터 | 유리성 |
스트릭 | 흰색 |
발데인성 | 투명에서 반투명까지 |
비중 | 2.97 ~ 3.00, 측정[5] |
굴절률 | n = 1.6132[3] |
히샹후알라이트(Hsianghualite)는 리튬, 칼슘, 베릴륨의 텍토실리케이트(framework silicate)로 제올라이트 그룹의 멤버인 불소를 함유하고 있다.1958년에 발견되어 향긋한 꽃이라는 뜻의 지역성형인 허샹화( hang華)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구조
구조는 3차원 구조를 형성하는 사면 조정에서 Be와 Si와의 항문법과 유사하다.[2]그것의 우주 그룹은 I231[2](이전에는 I432로1[3] 보고되었다.단위 셀 매개변수는 a = 12.879 또는 12.897이고,[3][5] Z = 8이다.
환경
베릴륨이 함유된 화강암에 의해 침입한 녹색과 흰색 띠의 변색된 데보니아 석회암 띠의 광채색 정맥 내에서 발생한다.[6]관련 광물로는 불소, 자유, 크리소베리, 타아페이트, 니제라이트가 있다.[2]
지역
흐샹후알라이트는 중국 후난성 린우 현의 샹후알링 광산 형식에서만 발견됐다.
참조
-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 ^ a b c d 게인스 외 연구진(1997) 다나의 신광물학 제8판
- ^ a b c d e 미국 광물학자(1959) 44:1327 황영위, 투 사오후아, 왕궁해, 차오춘린, 유청치(1958)의 영어 추상화티치이옌 7:35(중국어)
- ^ Anthony, John W.; Bideaux, Richard A.; Bladh, Kenneth W.; Nichols, Monte C. (2005). "Hsianghualite" (PDF). Handbook of Mineralogy. Mineral Data Publishing. Retrieved 14 March 2022.
- ^ a b 아메리카 광물학자(1961년) 46:244.A Beus(1960) Akademi Nauk SSSR 1-329(러시아어).
- ^ 로버츠, 캠벨, 랍(1990) 광물백과사전, 제2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