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허리케인 자넷

Hurricane Janet
허리케인 자넷
카테고리 5 주요 허리케인(SSHWS/NWS)
Hurricane Janet analysis 28 Sep 1955.png
1955년 9월 28일 허리케인 자넷의 최고 강도에 대한 지표기상 분석
형성된1955년 9월 21일
소멸됨1955년 9월 30일
최고풍속1분 지속: 시속 175mph
최저 압력≤ 914 mbar (hPa); 26.99 inHg
사망률1,023+직접
피해6580만 달러(1955달러)
영향을 받는 영역바베이도스, 윈드워드 제도, 영국 온두라스, 유카탄 반도, 멕시코 본토
1955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의 일부

허리케인 자넷1955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중 가장 강력한 열대성 사이클론이었고 역사상 가장 강력한 대서양 허리케인 중 하나이다.자넷은 또한 1000명의 사망자를 낸 최초의 폭풍우였고 은퇴한 최초의 5급 폭풍우 이름이었다.올해 11번째 열대성 폭풍, 9번째 허리케인, 그리고 4번째 허리케인이었던 자넷은 9월 21일 레터 앤틸리스 동부의 열대성 파도로부터 형성되었다.[nb 1]카리브해를 건너 서쪽으로 이동하던 자넷은 강렬하게 요동쳤지만 시속 282km(175mph)의 강풍을 동반한 5등급 허리케인으로 최고 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전반적으로 강해졌다.강력한 허리케인은 9월 28일 멕시코 체투말 근처상륙했다.유카탄 반도를 넘어 약해진 뒤 캄페체 만으로 옮겨갔으며, 그 곳에서 약간 강화한 뒤 9월 29일 베라크루즈 부근에 최종 상륙했다.자넷은 9월 30일 소멸되기 전에 멕시코의 산악 지형을 빠르게 약화시켰다.

개발 단계에서 자넷은 레터 앤틸리스에 780만 달러의 피해를 입혔고 그레나딘바베이도스에서 189명의 사망자를 냈다.[nb 2]자넷이 카리브해 중부에 있는 동안 정찰기가 폭풍 속으로 날아들어 온 손으로 길을 잃었다.이것은 대서양 허리케인과 관련하여 발생한 유일한 손실이다.유카탄 반도에 상륙한 5등급 자넷은 퀸타나 루영국 온두라스 지역에서 심각한 참상을 일으켰다.멕시코 체투말의 5개 건물만이 폭풍우 이후에도 그대로 남아 있었고, 멕시코 퀸타나루오 에서는 약 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베라크루즈 인근 자넷의 두 번째 상륙에서는 상당한 강물이 범람하면서 이달 초 허리케인 글래디스힐다에 의한 영향이 악화되었다.이 홍수로 인해 탐피코 지역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발이 묶이고 최소 326명이 사망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이 실행한 사상 최대 규모의 멕시코 구호 작전으로 이어졌다.

자넷이 유카탄 반도에 5등급 허리케인으로 상륙한 것은 대서양에서 대륙 본토에 상륙한 최초의 기록적인 사례였다. 자넷 이전에 5등급 강도의 상륙은 섬에서만 일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2]체투말에서 기록된 자넷의 최소 기압은 당시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대서양 열대 저기압과 연관된 육지에 대한 압력이었다.적어도 1,023명이 허리케인 자넷으로 인한 사망과 6,580만 달러의 피해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상사

Saffir-Simpson 척도에 따라 폭풍의 트랙과 강도를 표시하는 지도
지도 키
열대성 저기압(≤38mph, ≤62km/h)
열대성 폭풍(39–73mph, 63–118km/h)
카테고리 1(74~95mph, 119~153km/h)
카테고리 2(96–110mph, 154–177km/h)
카테고리 3(111–129mph, 178–208km/h)
카테고리 4(130–156mph, 209–251km/h)
카테고리 5(최대 157mph, 252km/h)
알 수 없음
스톰형
▲ 열대성 저기압/잔류 저온/열대 교란/장마우울증

약한 열대성 소동은 9월 21일 이른 아침 프랑스 항공과 레터 앤틸리스 동쪽에 있는 이베리아 항공사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이번 소동은 케이프 베르데 인근 열대성 파도에서 비롯됐다는 추측이 나왔지만 기상국은 섬에서 보고가 없어 탐지하기에는 시스템이 너무 약하다고 판단했다.[3]9월 21일 1800 UTC에서 마르티니크에서 동남쪽으로 350마일(56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동안, 이 소동은 기상청이 이 계절의 10번째 폭풍우인 열대성 폭풍 자넷으로 분류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조직화되었다.[4][5][5]분류에 따라 자넷은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재빨리 더욱 격렬해졌다.[4][6]9월 22일, 자넷은 허리케인 강도에 도달했고, 윈드워드 제도를 가로질러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급속도로 심해졌다.[3]이날 1200 UTC까지 자넷은 최대 시속 120mph의 강풍을 동반한 3등급 허리케인 강도에 도달한 뒤 강화에 나섰다.[4]

9월 22일 1700년 UTC 직후 자넷의 은 1등급 허리케인으로 바베이도스 남부를 지나갔다.[7]허리케인으로 정찰 비행한 결과 허리케인 자넷의 눈은 직경 32km에 불과했으며 강풍은 [3]순환 중심에서 120마일(190km) 떨어져 있었다.[6]이 비행은 또한 979mbar(28.9inHg)의 최소 기압도 보고했다.9월 23일 아침 시간에 그레나다 과 카리아코우 사이를 지나자 자넷은 동부 카리브해의 불리한 조건의 지역으로 들어갔다.[3]그 결과 허리케인은 9월 23일 풍속이 UTC 1200mph(140km/h)까지 약해지는 등 체계적이지 않게 되었다.[4][3]미 해군 정찰기가 9월 24일 일찍 허리케인에 진입해 조직력 부족을 보고하고, 우비대가 약한 확실한 순환의 중심을 지적하고 있다.[3]그러나 9월 24일 1200 UTC까지 주요 허리케인 세기를 회복하고 다음날까지 4등급 허리케인 세기를 회복하는 등 양호한 조건에서 다시 진화에 나섰다.[6][4]

Chart showing a line which remains steady and suddenly drops near the center of the graph, representing a drop in barometric pressure, before rising again and steadying out.
체투말의 기압계 수치 그래프

중부 카리브해를 횡단하는 동안, 자넷은 바람의 섬 위를 이동하는 동안보다 약간 더 커졌을 뿐인데, 9월 25일까지 중심에서 125마일(201km)의 강풍에 의한 바람이 불어왔다.[6]카리브해를 건너 불규칙하게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4등급 허리케인으로 남았던 9월 25~26일 밤 정찰 비행은 번개가 자주 치고 눈이 잘 보이는 강한 빗줄기를 가리키며 폭풍이 다시 한번 급격히 거세지고 있다는 증거였다.[3]9월 26일 유카탄 반도에 가까워지자 자넷은 전진 속도로 가속하기 시작했다.[6]스노우클라우드 파이브가 허리케인의 눈에 침투하다 실종된 뒤 9월 27일 새벽 또 다른 비행에서는 최소 938mbar(27.7inHg)의 압력으로 185km/h(11mph)를 넘는 바람이 "대량이고 헤아릴 수 없는 양"이라고 보고했다.[3]허리케인은 9월 27일 서부 카리브해에 있는 동안 1200 UTC에서 현대판 사피르-심슨 허리케인 등급 중 최고 등급인 5등급 허리케인 강도로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자넷은 이후에도 계속 강해져 최대 시속 282km의 강풍으로 최고 강도에 도달했으며 강풍은 [4]허리케인 중심부에서 최소 400km 떨어진 곳까지 확대됐다.[6]자넷은 멕시코 체투말의 바로 동쪽에 위치한 멕시코 남부 퀸타나 로에 상륙하기 전 스완상공을 지날 때 최고 강도를 유지했다.그 도시에서는 기압계가 자넷의 눈에 최소 기압 914mbar(27.0inHg)를 가리켰다.[3]당시, 이것은 1935년 노동절 허리케인 뒤에 있는 대서양 상륙 허리케인의 육지에 기록된 두 번째로 낮은 압력이었다.[3] 비록 자넷은 후에 허리케인 딘과 길버트에게 추월당했고, 이 허리케인은 또한 유카탄 반도에 5등급 허리케인으로 상륙했다.[8]

육지 상공에서 자넷은 시속 169km의 강풍을 동반한 2등급 허리케인으로 크게 약해졌다.유카탄 반도를 34km/h로 전진 21mph로 횡단한 후, 9월 28일 1600 UTC까지 캄페체 만으로 허리케인이 나타났다.[4][6]약해진 허리케인은 캄페체 만을 지나 180km/h의 2차 피크 강도로 최소 중심 압력이 950mbar(28inHg)에 도달하면서 약간 더 심해졌다.[4]자넷은 결국 9월 29일 2등급 허리케인으로 베라크루즈에서 북쪽으로 80km 떨어진 곳에 2200 UTC까지 상륙했다.내륙으로 이동한 후 허리케인은 멕시코의 산악 지형으로 인해 급속히 흐트러졌고, 그 결과 기상국은 자넷에 대한 마지막 권고안을 발표했다.[6]약화되는 시스템은 9월 30일까지 열대성 폭풍의 세기로 변질되었고, 이후 그날 0600 UTC까지 멕시코 중부 상공에서 소멸되었다.[4]자넷의 남은 순환은 멕시코 서부 해안에서 오는 10월 1일 열대성 폭풍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후의 불안정한 지역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6]

준비

카리브 제도

자넷이 윈드워드 제도 동쪽에 형성되자,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기상국 사무소는 작은 우주선들이 발전하는 폭풍의 경로에 있는 항구와 선박에 남아 주의할 것을 권고했다.정찰 비행이 처음 제안된 것보다 훨씬 강한 바람을 보고한 후, 9월 22일 세인트 루시아에서 바베이도를 포함한 그르나다에 이르는 레서 앤틸리스 전 지역에 허리케인 경고가 1600 UTC에 발령되었다.세인트루시아 남쪽부터 토바고까지 윈드워드 제도의 모든 섬에 폭풍경보가 내려졌다. 빈센트와 그레나딘 가족.윈드워드 앤틸레스의 모든 경고는 9월 22일 1000 UTC까지 효력을 유지했다.윈드워드 섬에 경고가 내려진 직후인 9월 23일 0200 UTC에서 ABC 섬베네수엘라 파라과나 반도에 폭풍경보가 발령되었다.자넷이 이 섬들의 북쪽을 지나간 후, 9월 25일 아침에 모든 폭풍경보가 해제되었다.기상국은 이후 자메이카에 대한 관심을 경고했지만, 자메이카에 허리케인 관련 주의보는 발령하지 않았다.[6]

유카탄 반도와 멕시코

기상국은 9월 26일 UTC 1600 UTC에서 처음으로 중앙아메리카 지역을 경계하기 시작했으며, 니카라과 북동부지역과 온두라스 지역의 사람들에게, 온두라스만에 있는 모든 선박과 소형선박과 함께, 디오스 남쪽에 있는 카보 그라시아스 a Dios까지 예방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자넷이 서북서쪽으로 가속하기 시작한 후, 영국 온두라스퀸타나 로에 있는 지역에 허리케인 관련 영향을 경고하였다.중앙아메리카 지역에 대한 공식적인 경고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기상청이 발표한 경고문은 상륙할 때까지 허리케인의 이동 경로에 대한 관심을 경고했다.[6]다가오는 폭풍의 통보가 있은 후 퀸타나 로우의 몇몇 해안 도시들에서 대피가 이루어졌다.사람들은 내륙의 산허리 보호소로 대피했다.[9]허리케인이 유카탄 반도를 통과해 캄페체 만으로 진입한 뒤 기상국은 멕시코 걸프 해안 서쪽 폭풍의 경로에 있는 지역에 경보를 내렸다.당시 자넷은 베라크루즈와 턱스판 사이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었다.지역들은 태풍의 잠재적 홍수와 해안 충돌에 대해 경고 받았다.기상국은 텍사스주 포트오코너 남쪽의 모든 소형선박에게 항구에 남아 있으라고 권고했다.허리케인이 상륙한 후 자넷의 피해 지역 통보가 중단되었다.[6]

임팩트

지역별 사망 및 피해
지역 합계
죽음
손상(미국) 출처
바베이도스 38 500만 달러 [3][10]
영국 온두라스 16 500만 달러 [3][11]
그레나딘 122 380만 달러 [3]
허리케인 사냥꾼 11 해당 없음 [3]
퀸타나루오 500 4천만 달러 [3][11]
소노라 0 1200만 달러 [3]
타마울리파스 326 알 수 없는 [12]
토바고 10 알 수 없는 [13]
베라크루즈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3]
합계: 1,023+ 6580만 달러
출처가 다르기 때문에 총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것의 존재 동안, 레터 앤틸레스, ABC 섬, 그리고 중앙 아메리카의 지역은 자넷의 영향을 받았다.[6]허리케인으로 인해 적어도 6,580만 달러의 피해와 1,02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대부분이 퀸타나 로에서 발생했다.[3][13][11]자넷에 의해 야기된 많은 사망자와 피해들은 1955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이 1942년 그러한 통계에 대한 포괄적인 기록이 시작된 이래 가장 치명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허리케인 시즌이 되도록 도왔다.[3]

소앤틸리스

작지만 빠르게 심해지는 허리케인으로서 자넷은 9월 22일 바베이도스 바로 남부를 지나쳐 1898년 윈드워드 제도 허리케인 이후 57년 만에 처음으로 섬을 강타한 허리케인이 되었다.섬의 남쪽에서 지속되는 최대 바람은 시속 180–190 km/h 110–120 mph로 추정되었다.[3]이 강풍으로 통신선이 끊겨 상업용 케이블 회사와 아마추어 라디오에 의해 통신이 유지되고 있지만,[14] 관계자들은 이 섬에서 정확한 사상자를 집계하지 못했다.[15]나중에 전기가 복구되어 신문들이 폭풍에 관한 정보를 발행할 수 있게 되었다.[16]섬의 주요 수입원인 사탕수수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손실액은 100만 달러를 초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4]부실하게 지은 주택들이 강풍에 부서졌다.[17]약 8,100가구가 허리케인으로 피해를 입었다.[18]파괴된 건물과 나무들이 고속도로를 막았고,[17] 씨웰 공항은 폐쇄될 수밖에 없었다.[19]폭우는 100mm(4인치)로 최고조에 달했고 폭풍우는 2.1m로 해안가의 저지대 가옥을 휩쓸었다.[9]약 2,000명의 사람들이 허리케인 때문에 집을 잃었다.[10]바베이도스의 재산 피해는 500만 달러로 추정됐으며 [10]최소 57명이 사망했다.[11]

9월 23일 자넷은 그레나다와 그르나딘의 카리아코우 사이를 직통으로 지나쳐 섬 사슬에서 122명의 목숨을 앗아갔다.[3]그레나다의 한 공항은 강풍에 흩어진 파편들로 뒤덮여 있었다.공항과 인접한 작은 마을에서 8명이 사망했다.강풍이 불면서 부두와 창고가 파괴되고, 세인트 호텔의 지붕도 풀린 것으로 알려졌다. 조지의, 그레나다.[20]집들도 지붕이 없고, 성내 관공서의 발코니도 있었다.조지는 찢어졌다.[21]섬 내부 지역의 모든 다리가 붕괴되었고,[22] 향신료 작물이 큰 피해를 입었다.[23]육두구 농장의 약 75%가 이 섬의 [24]거의 모든 바나나 및 코코아 작물과 함께 파괴되었다.[25]3척의 배도 현지 항구에 출항했다.[23]성 카레나주 수변지역.조지의 잔해들은 흩어져 있었고, 820피트(250m) 높이의 부두가 무너졌다.[24]성 빈센트는 대부분 파괴되었고 성 빈센트는 파괴되었다.[26]루시아는 심각한 해안 피해를 입었다.[27]그르나딘 전체에서 280만 달러 이상의 피해가 추산되었다.[3]더 남쪽, 스페인 항구에서는 폭풍 대피소로 쓰이던 교회가 무너져 10명이 숨졌다.[13]

허리케인 자넷은 9월 24일부터 25일까지 북쪽으로 지나가면서 강풍으로 ABC 열도를 덮었다.[4]아루바에서는 돌풍이 시속 80km로 최고조에 달해 나무를 뿌리째 뽑았다.그러나 나무 바깥의 피해는 일차적으로 미미미했다.보네르에서는 교각들이 파괴되었고, 섬의 해안 대로가 파손되었다.쿠라소 피스카데라와 바에센베이의 해변 시설은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항구 입구의 부두도 파손됐다.[28]

스노우클라우드 파이브

9월 26일, 미국 해군 중령 그로버 B가 이끄는 허리케인 사냥꾼 P2V-3W 넵튠 항공기 스노우클라우드 파이브.윈덤은 관타나모 만에서 자넷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되었는데 자넷은 당시 자메이카 남부 4등급 허리케인이었다.[29]700피트(210m) 고도에서 허리케인의 안벽이 침투하자 정찰 비행에서 최종 전송을 받은 뒤 카리브해에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30]승무원 9명과 기자 2명 등 탑승자 11명 전원이 숨졌다.[30]여객기 분실에 이어 카리브해 넓은 해역 상공에서 대대적인 수색 구조작업이 벌어졌으며 수색에 참여한 3000여 명의 인력은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했다.[29]주변 기압이 낮아 비행기의 고도계가 부정확하게 측정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추락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30]1943년 작전이 시작된 이후 4번의 허리케인 정찰기가 소실되었지만, 스노우클라우드 파이브는 대서양 유역에서 허리케인이 발생하여 정찰기가 손실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항공기로 남아 있으며, 나머지 3편은 태평양 태풍의 결과로 발생한다.[31]

유카탄 반도

Aerial black and white image of a destroyed city along the coast. Almost all buildings are flattened.
코로잘타운의 피해

유카탄 반도에 가까워지자 자넷은 9월 27일 5등급 허리케인으로 온두라스 북쪽의 스완 군도를 통과했다.[4]허리케인은 거친 파도를 일으켰고 강풍으로 나무와 안테나가 뿌리째 뽑혔다.돌풍이 시속 160km로 추정되는 시속 100mph를 넘자 섬 관계자들은 해군 지진계 건물로 대피했다.[3][32]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자넷은 섬의 거의 모든 건물들을 파괴했다.미국 기상국과 민간항공국은 폭풍이 지나간 후 이 섬에 사는 82명의 사람들에게 식량과 물자를 요청했다.[33]

퀸타나루오

자넷은 스완 제도를 통과한 뒤 9월 28일 1700 UTC 때 영국 온두라스 코로잘 타운과 멕시코 체투말 사이 유카탄 반도에 상륙했다.[3]당시 시속 282km(175mph)[4]의 강풍을 동반했다.허리케인이 상륙하기 전 2시간 동안 허리케인 강풍이 보고되었으며, 948mbar(28.0inHg) 이하의 압력 수치가 나왔다.[3]자넷 때문에 한반도의 도로와 농작물이 큰 피해를 입었다.[34]엑스칼락에서는 자넷에서 불어오는 강풍으로 항구 인프라가 평평해졌고, 폭풍이 지나간 후에도 단 한 채의 집만이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35]엑스칼락에서 97명이 사망해 항구 인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36]멕시코 체투말은 건물 4개만 남은 채 황폐화됐다.폭풍이 불어 닥치면서 한반도가 탁 트인 바다로부터 도시를 보호했음에도 불구하고 물은 6.5피트(2.0m), 1600피트(490m)의 내륙으로 밀려났다.체투말의 사망자 수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체투말에서 120구의 시신이 수습되었지만 얼마나 많은 시신이 발견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3]허리케인 이후 추가로 1만 명이 집을 잃었고, 밤새 야외에서 잠을 자야 했다.[37]앞서 올해 초 멕시코 걸프만 연안 서부 지역에서 허리케인 글래디스와 힐다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방 구호기관들은 유카탄 반도로 구호활동을 확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8]퀸타나루오에서는 허리케인 자넷이 4000만 달러의 피해와 최소 500명의 사망자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데, 자넷의 영향을 받은 대부분의 지역이다.[3]

영국 온두라스

멕시코와 영국 온두라스의 국경 부근에 상륙하면서 당시 1만5500명의 인구가 살고 있던 후자 식민지의 코로잘과 오렌지워크 지역은 자넷으로부터 심한 참상을 겪었다.강한 허리케인 바람은 영국 온두라스 전역, 특히 민물 크릭 숲 보호구역에 있는 많은 나무들을 쓰러뜨리고 손상시켰다.그곳에서는 전체 나무의 약 30%가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마호가니사포딜라 나무가 피해를 입었다.허리케인 자넷은 또한 농작물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으며 약 263만 1천 달러의 피해를 입혔다.과수, 옥수수, 사탕수수 작물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사탕수수는 폭풍 후 지속되는 피해로 수확량이 2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파인애플 작물과 가축들은 덜 큰 손실을 입었다.허리케인은 벨리즈 구와 몇몇 영국 온두라스의 연안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Corozal과 Orange Walk Districts와 유사하게 옥수수, 나무, 코코넛은 농작물 중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39]

자넷이 상륙한 영국 온두라스의 코로잘 타운에서는 500명이 집을 잃었고 6명이 사망했다.[40]마을 전체 건물의 약 90%가 파괴되었고,[41] 강풍에 통신이 두절되었다.[40]평균 주택가격 2000달러를 기준으로 코로잘 타운 주택의 재산피해는 총 80만 달러로 추산됐다.[39]영국 온두라스의 산타 엘레나 대부분도 강풍에 납작해졌다.[37]벨리즈 시 남쪽에 위치한 더 먼 곳에서는, 비록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바람은 시속 97km로 최고조에 달했다.[42]영국 온두라스의 경우 허리케인의 영향은 퀸타나루오에 비해 덜 치명적이었지만,[43] 식민지 북부 지역에서는 폭풍으로 16명이 사망하고 500만 달러의 피해를 입었다.[3]

멕시코 본토

Sepia-toned helicopter view of a city with roads flooded by water and buildings damaged. Another helicopter can be seen near the middle of the image.
탐피코 홍수 피해 관측 헬리콥터

캄페체 만에서 새우잡이 배 셀레스티노 아리아스엔진 고장으로 자넷이 일으킨 거센 파도에 침몰했다.좌초된 배는 허리케인이 만에서 강하게 불어 견인선이 파손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배가 침몰한 뒤 대피했던 선원들은 모두 구조돼 플로리다주 탬파로 다시 이송됐다.[44]해안을 따라 조수는 평균보다 3-4피트(0.91–1.22m)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텍사스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조수가 평균보다 2피트(0.61m) 높게 나타나 코퍼스 크리스티 인근 해변 도로를 차단했다.[45]

자넷은 9월 29일 2200 UTC에 2등급 허리케인으로 노틀라와 베라크루즈 사이에 있는 멕시코 베라크루즈에 최종 상륙했다.[4]노틀라에서는 허리케인으로 인한 강풍으로 통신이 두절되었다.[46]강풍으로 구호기도 추락해 5명이 숨졌다.[47]탐피코, 타마울리파스 지역에 내린 폭우로 올해 초 허리케인 글래디스와 힐다에 의한 홍수가 더해졌다.그 결과로 발생한 홍수는 멕시코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라고 뉴올리언스의 기상국 사무소에 의해 보고되었다.[3]탐피코에는 16인치(410mm)의 비가 내렸다.[48]홍수로 인해 장티푸스 국소 발병과 이질병이 발생하여 1,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더 이상의 확산을 막기 위해 도시 밖으로 대피했다.[49][50]추가로 3만 6천 명의 사람들이 집중 치료 센터에서 보살핌을 받고 있었다.[50]자넷이 상륙한 곳의 남쪽에 위치했지만, 베라크루즈 지역은 도시의 주요 거리와 항구를 포함한 강한 폭풍우로 인해 침수되었다.[46]허리케인 힐다로 인해 방금 재개장한 후 텍사스주 라레도에서 멕시코시티까지 이어지는 철도를 따라 운행하는 것이 중단되었다.[51]

내륙 더 먼 곳에서는 자넷이 멕시코 중부 산악 지대에 흩어지면서 태풍으로 테메시 강과 파누코 강 유역에 집중호우가 내렸다.[52]파누코 강의 수위는 4주 동안 홍수 단계 이상을 유지했다.[53]탐피코에서는 강이 범람해 사람들이 휩쓸리지 않도록 케이블을 도로를 따라 늘어뜨릴 수밖에 없었다.작은 배들도 거리를 감시하기 위해 보내졌다.[54]일부 소식통에 따르면, 이 홍수로 800명이 사망했으며, 수천 명이 더 도시에서 고립되었다고 한다.[52]타마준찰레몰테즈마 강이 범람했다.[55]이번 비로 콜로니아 라파엘에서는 산사태가 발생해 12명이 숨졌다.[47]폭우는 과달라하라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과달라하라에는 올해 초 열대성 사이클론 피해가 없었다.잘리스코 말타라나에서는 레르마두에로 강이 범람해 마을 주민 800명이 대피할 수밖에 없었다.[54]더 북쪽 소노라에서는 자넷에 의해 피해를 입은 면화 작물이 12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었다.[56]허리케인 글래디스, 힐다, 자넷으로 인한 멕시코의 재산 피해를 합치면 총 2억 달러로 추산되는데, 이는 1955년 정부 국가 예산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다.[57]공식적인 피해나 사망 추정치는 없었지만 자넷 때문에 멕시코 본토에서 최소 1000명이 다치고 10만명이 집을 잃었다.[3][58]

여파

Slightly elevated view of workers constructing an entire neighborhood. The houses are all of similar appearance, with windows and a door.
바베이도스의 이웃 재건축 추진

소앤틸리스

자넷이 바베이도스를 통과한 후 섬은 비상사태로 선포되었다.[16]바베이도스의 구호요원들은 고속도로의 강풍으로 흩어진 잔해들을 치우는 것을 도왔고, 지방 정부는 식량과 건설 자재를 요청했다.[59]자넷이 이 섬에서 저소득 가구에 끼친 광범위한 손상은 1955년 주택법의 통과를 이끌었고, 1956년 국민주택관리공단이 설립되었다.NHA는 보다 강력하고 영구적인 자재로 집을 지을 수 있는 토지를 취득할 책임이 있는데, 이는 유지관리 비용과 허리케인 관련 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새로 설립된 이 단체는 허리케인이 강타한 후 재빨리 집을 다시 짓기 위해 노력했다.[60]

그레나다에서는 자넷이 식량과 물 부족을 겪자 자넷의 여파로 섬의 주지사가 식량 사재기에 대해 긴급 명령을 내렸다.미국 구축함과 영국 호위함이 그레나다에 구호물자를 들여오기 위해 파견됐고, 자메이카와 트리니다드에서 출발한 배들은 섬으로 우회해 보급물자 보내기를 도왔다.[61]이후 영국 정부는 5만 파운드(15만5000달러)를 그르나딘에 구호금으로 보내겠다고 발표했다.[nb 3][63]크라운 에이전트적십자사는 바베이도스와 그레나딘에 구호품을 전달했는데, 여기에는 알루미늄 지붕 시트와 휴대용 전기 발전기가 포함됐다.[64]

영국 온두라스와 멕시코

9월 30일부터 영국 온두라스에 구호 및 재건 조치가 제정되었다.[39]48개 마을 재건을 돕기 위한 대규모 재건 프로그램이 정부에 의해 시작되었다.[65]정부는 또 코로잘, 오렌지워크, 벨리즈 행정구역에 대해 주류 판매 금지 등 비상사태를 선포했다.임시 통신선이 재건되었는데, 처음에는 피해 지역과의 공식적인 통신만 허용되었다.코로잘 지역의 피해가 심각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시에 구호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활주로가 건설되었다.코로잘, 루이빌, 오렌지 워크 타운에 있는 식품 저장소는 음식을 배급하는 임무를 맡았다.자넷이 초래한 황폐화 이후 광범위한 질병의 잠재력은 영향을 받는 지역의 장티푸스에 대한 광범위한 예방접종 계획을 강요했다.[39]자메이카 정부는 2만 파운드(5만5000달러)를 구호기금으로 식민지에게 보냈고,[64] 영국 정부는 4만 파운드(11만 달러)를 영국 온두라스를 비롯한 카리브해 지역의 피해 지역에 보냈다.미국은 식민지에 각종 구호물자를 공급한 화물선 USS 안타레스를 보냈다.[39]코로잘 타운에서는 토지 조사관 H.C.에게 350만 달러의 보조금을 주었다.마을을 계획하고 재건할 수 있는 좋은 날씨.[66]

자넷이 이 지역을 강타한 후 식량과 다른 구호물자를 전달하기 위해 미국 해군 구호 비행기가 멕시코 체투말로 보내졌다.[67]앞서 올해 초 허리케인 글래디스와 힐다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는 연방 구호기관들이 구호활동을 유카탄 반도로 확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8]그러나 캄페체 만을 건너 베라크루즈 부근에 상륙한 뒤 멕시코 서부 걸프 해안에서 다시 한 번 구호 조치가 시행됐다.멕시코 공군과 상업 및 민간 항공기, 헬리콥터 등이 출동해 구호물자를 반입하고 난민을 공수했다.[68]미국은 그 당시 멕시코에서 행해진 사상 최대 규모의 구호 활동을 시작했다.구호활동에는 미국 적십자사와 구세군 등 다양한 정부와 구호기관이 참여했다.[69]미 공군과 미 육군은 10월 1일 할링겐 공군기지에서 커티스 C-46 특공대 투입을 시작으로 탐피코 지역에 구호물자를 보내는 합동 구호작전에 들어갔다.[47]미 공군의 다른 군용 수송기 10대는 텍사스에서 식량과 의류를 공급하기 위해 보내졌다.팬아메리칸 월드 에어웨이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보잉 314기를 보내 피해자들을 대피시켰다.[56]경비함정의 식량과 의료용품을 이송하기 위해 미 해군 사이판함으로부터 헬리콥터가 보내졌다.다른 배들도 구호 활동을 돕기 위해 헬기를 배치한 시보니호[70]포함한 보급품 수송에 도움을 주었다.10월 6일까지 탐피코 지역에서 1500명이 구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미 공군이 도시까지 납품한 식자재도 최소 28만파운드(13만kg)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56]그곳에서는 예방책으로 장티푸스 혈청 주사를 투여했다.[12]대통령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는 심장병으로 사망했는데, 일부는 구호 활동을 돕는데 지나친 강조로 인해 사망했다.[71]

자넷이라는 이름은 큰 파괴의 늪으로 인해 기상국에 의해 은퇴되었고, 이름을 은퇴한 일곱 번째 대서양 열대 사이클론이 되었고, 1955년에 은퇴한 네 번째 사이클론이 되었다.[72]

참고 항목

메모들

  1. ^ 주요 허리케인은 Safir-Simpson 허리케인 등급에서 카테고리 3 이상에 해당하는 폭풍이다.[1]
  2. ^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든 피해 총액은 1955년 미국 달러다.
  3. ^ 영국 파운드에서 미국 달러로의 전환은 1955년 9월 29일의 환전일을 가진 통화 변환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62]

참조

  1. ^ Goldenburg, Stan (June 1, 2012). "A3) What is a super-typhoon? What is a major hurricane? What is an intense hurricane?".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4.5.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Atlantic Oceanographic and Meteorological Laboratory. Retrieved February 18, 2013.
  2. ^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Category 5 MONSTERS!".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Retrieved February 2, 2013.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Dunn, Gordon E.; Davis, Walter R.; Moore, Paul L. (December 1, 1955). "Hurricanes of 1955" (PDF). Monthly Weather Review. Weather Bureau Office, Miami, Florid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3 (12): 315–326. Bibcode:1955MWRv...83..315D. doi:10.1175/1520-0493(1955)083<0315:HO>2.0.CO;2. Retrieved January 21, 2013. 321-323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Atlantic hurricane best track (HURDAT version 2)" (Database). National Hurricane Center. February 9, 2022. Retrieved March 30, 2022.
  5. ^ a b "Hurricane Janet Tenth of Season". The Lewiston Daily Sun. Miami, Florida. Associated Press. September 22, 1955. p. 10. Retrieved January 21, 2013.
  6. ^ a b c d e f g h i j k l m United States Weather Bureau. Bulletins and Advisories Issued by Weather Bureau Airport Station, San Juan, Puerto Rico, Weather Bureau Office, Miami, Florida, and Weather Bureau Office, New Orleans, Louisiana on Hurricane "Janet" (PDF) (Preliminary Repor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pp. 1–14. Retrieved January 21, 2013.
  7. ^ Staff writer (September 20, 2010). "Remembrance service for Janet's victims". The Barbados Advoca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2-15. At the service, it was recalled that the natural disaster struck the island on September 22, 1955. The death toll was recorded at 33, with an additional two persons missing at sea. One hundred and fifty people were injured needing hospital treatment. Over 8 000 homes were destroyed and 20,000 people made homeless.
  8. ^ Franklin, James L. (January 31, 2008). Hurricane Dean (PDF). Tropical Cyclone Report (Preliminary Report).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s National Hurricane Center. Retrieved January 21, 2013.
  9. ^ a b Longshore, David (2008). Encyclopedia of hurricanes, typhoons, and cyclones (New ed.). New York: Facts on File. p. 269. ISBN 978-0-8160-6295-9.
  10. ^ a b c "Hurricane Force Wanes, 2000 on Isle Homeless". Spokane Daily Chronicle. Vol. 70, no. 2. Spokane, Washington. Associated Press. September 24, 1955. p. 1. Retrieved January 24, 2013.
  11. ^ a b c d Centre for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of Disasters. "EM-DAT: The Emergency Events Database".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12. ^ a b "Rising Waters Push Tampico Toll to 326". The Portsmouth Times. Vol. 104, no. 170. Portsmouth, Ohio. Associated Press. October 6, 1955. p. 1,11. Retrieved February 1, 2013.
  13. ^ a b c "Thousands Homeless as Hurricane Janet Smashes Barbados". Saskatoon Star-Phoenix. Saskatoon, Saskatchewan. Associated Press. September 23, 1955. p. 6. Retrieved January 24, 2013.
  14. ^ a b "Janet's Winds Smash Island". The Milwaukee Journal. Vol. 73. Milwaukee, Wisconsin. Associated Press. September 22, 1955. p. 2. Retrieved January 24, 2013.
  15. ^ "Damage High on Island as Hurricane Janet Hits". Spokane Daily Chronicle. Vol. 70, no. 1. Spokane, Washington. Associated Press. September 23, 1955. p. 2. Retrieved January 24, 2013.
  16. ^ a b "Over 100 Perish When Hurricane Janet Lashes Barbados; Losses Heavy". Ellensburg Daily Record. Vol. 46, no. 72. Ellensburg, Washington. Associated Press. September 23, 1955. p. 1. Retrieved January 24, 2013.
  17. ^ a b "Hurricane Janet Whirling Westward". Eugene Register-Guard. Vol. 89, no. 265. Eugene, Oregon. Associated Press. September 23, 1955. p. 2. Retrieved January 24, 2013.
  18. ^ "Hurricanes & Tropical Storms". The Caribbean Disaster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0. Retrieved January 25, 2013.
  19. ^ "'Janet' Hits Barbados, Thousands Homeless". The Milwaukee Sentinel. Milwaukee, Wisconsin. Associated Press. September 22, 1955. p. 1. Retrieved January 24, 2013.
  20. ^ "Janet Sweeps Path of Death". Pittsburgh Post-Gazette. Pittsburgh, Pennsylvania. Associated Press. September 23, 1955. p. 1. Retrieved January 24, 2013.
  21. ^ "Palm-dotted isle in ruins". The Leader-Post. St. George's, Grenada. Reuters. September 26, 1955. p. 12. Retrieved January 25, 2013.
  22. ^ "Janet Leaves 108 Dead in West Indies". Sarasota Herald-Tribune. Miami, Florida. Associated Press. September 23, 1955. p. 1. Retrieved January 24, 2013.
  23. ^ a b "Storm Havoc in Barbados". The Glasgow Herald. Glasgow, Scotland. The Glasgow Herald. September 24, 1955. p. 5. Retrieved January 24, 2013.
  24. ^ a b Cindy, Kligmore; Moore, Alan (2008). "Hurricane Janet". Grenada, St Vincent & the Grenadines Adventure Guide (2nd ed.). Hunter Travel Guides.
  25. ^ "Rush Supplies to Stricken BWI Islands". Saskatoon Star-Phoenix. Port of Spain, Trinidad. Reuters. September 27, 1955. p. 21. Retrieved January 25, 2013.
  26. ^ "Saint Vincent's history with tropical systems". Hurricanecity.com. Retrieved December 8, 2010.
  27. ^ NEMO Secretariat (September 20, 2005). "NEMO remembers Hurricane Janet". Saint Luci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Organis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6, 2011. Retrieved December 8, 2010.
  28. ^ "Hurricane Climatology of the Netherlands Antilles and Aruba" (PDF). Hurricanes and Tropical Storms in the Netherlands Antilles and Aruba (Report). Meteorological Service of the Netherlands Antilles and Aruba. April 2010. pp. 28–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pril 2, 2012. Retrieved May 12, 2013.
  29. ^ a b "The Lost Hurricane Hunters 4: September 26th, 1955". Wunderground. Retrieved January 21, 2013.
  30. ^ a b c Bill, Murray (26 September 2009). "1955: Hurricane Janet and the Hurricane Hunters". The Alabama Weather Blog. Retrieved January 24, 2013.
  31. ^ Swanson, Bob (October 23, 2005). "Answers archive: Hurricane history and climatology". USA Today. Retrieved January 24, 2013.
  32. ^ "Hurricane Janet Blasts Swan Island, Points Toward Yucatan". Meriden Record. Miami, Florida. Associated Press. September 27, 1955. p. 17. Retrieved January 25, 2013.
  33. ^ "Janet's Winds Lash Coast of Mexico". Toledo Blade.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29, 1955. p. 1. Retrieved January 25, 2013.
  34. ^ Kennedy, Paul P. (September 28, 1955). "Hurricane Janet Rips Into Yucatan".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p. 30. Retrieved January 25, 2013.
  35. ^ "Hurricane Janet Flattens Seaport; Uncounted Dead". The Telegraph-Herald.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27, 1955. p. 1. Retrieved January 25, 2013.
  36. ^ "Janet Dying But Toll in Life Heavy". The Times-News.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October 1, 1955. p. 1. Retrieved January 30, 2013.
  37. ^ a b "Hurricane Bears Down on Mexico". Greensburg Daily Tribune. Mexico City, Mexico. United Press International. September 29, 1955. p. 16. Retrieved January 25, 2013.
  38. ^ a b "Janet May Grow Larger; Death Toll 200 on Yucatan". St. Petersburg Times.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29, 1955. p. 14. Retrieved January 25, 2013.
  39. ^ a b c d e "Hurricane Janet : Progress report no. 1 (27th/28th September, 1955)". University of Florida Digital Collections. November 11, 1955. Retrieved January 26, 2013.
  40. ^ a b "'Killer' Janet Slaps Yucatan". The Spokesman-Review. Associated Press. September 28, 1955. p. 15. Retrieved January 25, 2013.
  41. ^ "5 Dead, Town Razed". Spokane Daily Chronicle. Albuquerque, New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28, 1955. p. 1. Retrieved January 25, 2013.
  42. ^ "Janet Roaring Across Yucatan". Ocala Star-Banner. Miami, Florida. Associated Press. September 28, 1955. p. 9. Retrieved January 25, 2013.
  43. ^ "Hurricane Janet Hits Coast Near Vera Cruz; Storm's Toll About 400". Ellensburg Daily Record.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29, 2013. p. 1. Retrieved January 25, 2013.
  44. ^ "Janet Sinks Tampa Boat; Sailor Saved". St. Petersburg Times. Tampa. Florida. September 30, 1955. p. 1. Retrieved January 30, 2013.
  45. ^ Rhodes, C.E. (1955). Tropical Storms of the North Atlantic, September 1955. United States Weather Bureau. pp. 326–328.
  46. ^ a b "Mexico Flooded as Mountains Repulse Janet". The Free Lance-Star. Mexico City. Associated Press. September 30, 1955. p. 1. Retrieved January 30, 2013.
  47. ^ a b c "Janet Kills 17 More Before Blowing Out". St. Petersburg Times.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October 2, 1955. p. 7A. Retrieved January 30, 2013.
  48. ^ "Deluge Floods Coastal Areas". The Spokesman-Review.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30, 1955. p. 12. Retrieved January 30, 2013.
  49. ^ "'Janet' Blowing Out; 400 Dead". The Milwaukee Sentinel.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 September 29, 1955. p. 7. Retrieved January 30, 2013.
  50. ^ a b "Mexico Coast Faces New Flood Threat". The Portsmouth Times.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30, 1955. p. 1,4. Retrieved January 30, 2013.
  51. ^ "Floods Delay Reports of Janet's Mexico Toll". Sarasota Herald-Tribune.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30, 1955. p. 8. Retrieved January 30, 2013.
  52. ^ a b Erickson, Ralph Loren. "Preventative Medicine in Military Operations Other Than War" (PDF). Historic Perspective on the Principles of Military Preventive Medicine. U.S. Army Medical Department. p. 89. Retrieved January 31, 2013.
  53. ^ "Hurricane in Mexico Takes Terrible Toll". The Dispatch.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October 1, 1955. p. 1. Retrieved January 30, 2013.
  54. ^ a b "Record Floods Sweep Tampico". Toledo Blade'.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October 4, 1955. p. 2. Retrieved January 30, 2013.
  55. ^ "Mexican Floods Still Grow". The Robesonian. Mexico City. Associated Press. October 3, 1955. p. 5. Retrieved January 30, 2013.
  56. ^ a b c Rutledge, Jack (October 6, 1955). "US Aid To Mexico As Rains Continue Floods". The Robesonian.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p. 23. Retrieved February 1, 2013.
  57. ^ "New Floods in Mexico". St. Joseph News-Press.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30, 1955. p. 15. Retrieved January 30, 2013.
  58. ^ "Record-Breaking Mexican Floods Are Rising Fast". Spokane Daily Chronicle. Tampico, Mexico. Associated Press. October 3, 1955. p. 1. Retrieved January 30, 2013.
  59. ^ "Janet Poses Threat for Venezuela". The Times-News. Miami, Florida. Associated Press. September 24, 1955. p. 1. Retrieved January 24, 2013.
  60. ^ Watson, Mark R.; Potter, Robert B. (2001). "The Work of the Barbadian Housing Authority: 1955–1973". Low-cost housing in Barbados : evolution or social revolution? (1. ed.). Kingston: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Press. p. 90. ISBN 978-976-640-048-4.
  61. ^ "Hurricane Aid Rushed to Grenada". The Leader-Post. Port of Spain, Trinidad. Reuters. September 27, 1955. p. 1. Retrieved January 25, 2013.
  62. ^ "Converter in the past". Fxtop.com. Retrieved February 2, 2013.
  63. ^ "Hurricane Kills 350 and Roars on Into Mexico". Evening Times. September 29, 1955. p. 5. Retrieved January 25, 2013.
  64. ^ a b "More Deaths in Storm". The Glasgow Herald. September 30, 1955. p. 7. Retrieved January 31, 2013.
  65. ^ "To Rebuild Villages". The Montreal Gazette. Corozal, British Honduras. October 18, 1955. p. 2. Retrieved February 13, 2013.
  66. ^ "Hurricane Janet". Corozal, Belize: Coroz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9, 2012. Retrieved March 3, 2013.
  67. ^ "Janet Has Been Here". The Victoria Advocate. October 5, 1955. p. 1. Retrieved February 1, 2013.
  68. ^ "Aid Rushed To Victims of Janet's Fury". The Telegraph-Herald.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September 30, 1955. p. 6. Retrieved February 1, 2013.
  69. ^ "Tampico Toll 326". The Leader-Post.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October 6, 1955. p. 1. Retrieved February 1, 2013.
  70. ^ "Eastern Mexico Battles Floods". Ocala Star-Banner.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October 3, 1955. p. 7. Retrieved February 1, 2013.
  71. ^ "Camancho, Ex-President O Mexico, Dies". Meriden Record.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October 13, 1955. p. 2. Retrieved February 1, 2013.
  72. ^ National Hurricane Center (April 13, 2012). "Tropical Cyclone Naming History and Retired Names". United State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Retrieved January 3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