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naz Fränzl

Ignaz Fränzl
Fränzl c. 1780

이그나즈 프란츨(,[1] 1736년 6월 3일 ~ 1811년 9월 6일)은 독일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 소위 만하임 학파의 2세대 대표자입니다.[2] 1777년 11월 콘서트에서 그의 말을 들은 모차르트는 그의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그는 마법사는 아닐 수도 있지만, 정말 탄탄한 바이올리니스트입니다.[3] 프란츨은 요한 슈타미츠에 의해 설립된 만하임 바이올린 기법을 실제의 기교로 한 단계 더 발전시켰습니다. 꽤 훌륭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그 악기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모차르트프란츨의 더블 트릴을 칭찬했고 그보다 더 좋은 곡은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전기

만하임 궁전 (1755)

이그나즈 프란츨만하임에서 태어나 사망했고, 1747년 바이올리니스트로서 만하임 궁정 오케스트라에 입학했습니다. 1756년의 인사 명단에서 그는 칸나비치, 카를로 주세페 토스키와 함께 최초의 바이올리니스트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만하임 궁정 오케스트라의 많은 동료들이 그러했듯이, 프란츨은 또한 콘서트 스피리투엘에서 공연하기 위해 파리로 몇 차례 여행을 갔습니다.[4] 1774년에 그는 콘서트 마스터로 승격되었고, 1778년에 궁정 오케스트라의 대부분이 뮌헨으로 이전될 때까지 그 자리를 지켰습니다.

바이올린 선생님으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학생들은 그의 친아들 페르디난트 프란츨, 피에르 노 ë 제르바이스, 폴 안톤 윈버거, 그리고 더 유명한 피아노 거장 요한 피터 픽시스의 형제 프리드리히 빌헬름 픽시스 (2세)였습니다.

궁정 오케스트라의 다른 구성원들과 달리, 프란츨은 뮌헨으로 이주하지 않고 만하임에 머물기로 결정했고, 1804년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모차르트가 본 프란츨

모차르트 (1780–1781)

모차르트는 1777년 11월 22일 프란츨이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콘서트는 아마도 만하임 궁전의 리테르살(기사당)에서 열렸을 것입니다. 모차르트는 같은 날 저녁 아버지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오늘은 6시에 갈라 콘서트가 열렸습니다. 저는 (카나비치 부인의 여동생과 결혼한) 그녀가 바이올린으로 협주곡을 연주하는 것을 듣는 기쁨을 누렸습니다.[5] 그는 저를 매우 기쁘게 했습니다. 당신은 제가 단순한 어려움을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는 어려운 음악을 연주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정말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고, 이것이 진짜입니다. 그는 매우 고운 라운드 톤을 가지고 있고, 음이 하나도 없으며, 모든 것이 뚜렷하고 강조가 잘 되어 있습니다. 그는 또한 위아래로 절을 하는 아름다운 스타카토를 가지고 있는데, 나는 그의 것과 같은 이중 트릴을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제 생각에는 마법사는 아니지만, 그는 정말 탄탄한 바이올린 연주자입니다."[6]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K. 315f는 그와 모차르트가 연주할 수 있도록 작곡되었지만 모차르트가 1778년 12월 만하임을 떠났기 때문에 결코 완성되지 않았습니다.[7]

선택한 작품

프란츨의 대부분의 작품은 파리에서 처음 출판되었습니다. 그의 작품은 전체적으로 작은 편입니다. 약 24개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악기입니다.

관현악

  • 2 교향곡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6개의 협주곡

실내악

  • 바이올린과 비올론첼로 두 대를 위한 소나타 6곡
  • 6 현 4중주
  • 현악 4중주로도 연주할 수 있는 플루트 및 현악 3중주(바이올린, 비올라, 비올론첼로)를 위한 3중주.

참고사항 및 참고사항

  1. ^ 그는 9월 3일에서 5일 사이에 사망했을 것입니다. 냉장 보관이 시작되기 전, 특히 여름에는 사망과 매장 사이에 하루나 이틀밖에 경과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2. ^ 항목 „Ignaz Fränzl" 참조: (1949–1987).
  3. ^ (모차르트 1866), pp. 127–128.
  4. ^ (Alfried Weeczorek et alii. 1999), p. 373
  5. ^ 모차르트는 프란츨이 어떤 협주곡을 연주했고 작곡가가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가 만하임 학파의 정신적 지도자인 요한 슈타미츠의 협주곡을 연주했거나 자신의 작곡으로 연주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6. ^ (모차르트 1866), pp. 127–128.
  7. ^ K315f (Anh 56)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2009년 5월 27일 Wayback Machine보관Dennis Pajot의 기사

원천

  • 블루메, 프리드리히, Hrsg. 게쉬치트와 게겐워트의 다이 뮤지크. 알제마인 엔제클로페디에르 뮤지크. 웅게커츠테 엘렉트로니스체 아우스가베어스텐 아우플라주. 카셀: Bärenreiter, 1949-1987.
  • 디터스도르프, 칼 디터스 폰 자서전 – 아들에게 지시합니다. 런던: Richard Bentley and Son, 1896 (첫 번째 독일 판 1801).
  • 모차르트, 볼프강 아마데우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편지. 루트비히 노엘 편집. 레이디 월리스(Lady Wallace) 옮김(Grace Jane Wallace). Vol. 1. 2 vols. 뉴욕: 허드와 휴튼, 1866.
  • 리만, 휴고. 핸드부더 뮤지크게쉬테. 다이 뮤직 디에스 18. 19. Jahrhhunderts. 츠바이테, 폰 알프레드 아인슈타인 뒤르히게센 아우플라주. Bd. II. V Bde. 라이프치히: 브라이트코프 & 헤르텔, 1922.
  • 슬로님스키, 니콜라스, 에드. 베이커의 음악가 전기사전. 제5차 완전 개정판. 1958년 뉴욕.
  • Alfried Wieczorek, Hansjörg Probst, Wieland Koenig, Hrsg. 레벤슬루스트 프뢰미게이트 – 쿠르퓌르트 칼 테오도르 (1724–1799) 취셴 바로크 (Aufklärung). Bd. 2. 2 Bde. 레겐스버그, 1999. ISBN3-7917-1678-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