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정책

Incomes policy

경제학에서 소득정책은 경제 전반에 걸친 임금과 물가통제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제정되며, 대개 임금과 가격을 자유시장 [1]수준 이하로 설정하려고 한다.

소득 정책은 전시에는 종종 이용되어 왔다.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2] "최대의 법칙"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사형에 의한) 가격 통제를 시행했지만 성공하지 못했으며, 그러한 조치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시도되었다.1971년 8월 미국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으로 평시 소득 정책이 채택되었다.임금과 물가 통제는 초기에는 효과적이었지만 1973년 1월에 덜 제한적으로 만들어졌고,[3] 나중에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이자 폐지되었다.소득 정책은 2차 세계대전 동안 영국에서 성공적이었지만 전후 시대에는 [4]덜 성공적이었다.

이론.

소득 정책은 "자발적" 임금 및 물가 가이드라인에서 물가/임금 동결과 같은 강제적인 통제까지 다양하다.한 가지 변형은 "세금 기반 소득 정책"(TIPs)으로, 통제에서 허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가격 및/또는 임금을 인상하는 기업에 정부 수수료가 부과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소득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그러나, 가격 신호에 임의로 간섭함으로써, 경제 효율의 달성을 위한 추가적인 장벽을 제공하고, 잠재적으로 시장에서의 상품의 부족과 품질 저하를 초래하며, 대규모 정부 관료들이 시행을 요구하게 된다.그것은 1970년대 [3]초에 미국에서 일어났다.재화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추면 공급은 줄고 수요는 늘어나 [5]품귀현상이 발생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소득 정책이 적어도 약간의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경기 침체에 비해 비용이 덜 든다고 주장한다.다른 사람들은 통제와 가벼운 경기 침체가 비교적 가벼운 인플레이션에 대한 보완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정책은 독점이나 과점, 특히 국유화된 산업에 의해 지배되는 경제 부문과 노동조합에 의해 조직된 상당한 부분의 근로자들에게 신뢰성과 효과를[citation needed] 발휘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를 가지고 있다.이러한 기관들은 임금과 가격 협정의 단체 협상과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본질적으로 통화 현상이며, 그것을 다루는 유일한 방법은 통화 공급을 직접 통제하거나 금리를 바꾸는 것이라고 주장한다.그들은 물가 상승이 중앙은행화폐 창출에 의해 야기된 이전의 통화 인플레이션의 증상일 뿐이라고 주장한다.그들은 완전히 계획된 경제 없이는 소득 정책이 결코 효과가 없을 것이며, 경제의 과잉 자금은 정책으로부터 면제되어 다른 분야를 크게 왜곡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프랑스.

1790년대 프랑스 혁명 동안, 인플레이션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 "최대의 법칙"이 시행되었다.그것은 임금과 식품 [2]가격에 대한 제한으로 구성되었다.많은 반체제 인사들이 이 [6]법을 어겨 처형되었다.이 법은 [6]도입된 지 14개월 만에 폐지되었다.

프랑스는 가격담합과 음식 사재기 범죄를 정부에 대한 범죄로 전환함으로써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국민이 합리적인 비율로 식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명백한 의도와는 달리, Maximum은 대부분 실패였다.일부 상인들은 그들의 상품을 원가보다 낮은 가격에 팔도록 강요당했다(예: 빵을 굽거나 채소를 재배하는 비용)는 개인 용도로나 암시장에서 [7]팔기 위해 그들의 비싼 상품을 시장에서 숨기는 것을 선택했다.그러나 General Maximum은 공공 안전 위원회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로부터 불안정한 정치적 이슈를 우회시키는 데 매우 성공적이었고, 이는 그들이 프랑스 [8]혁명의 완성과 관련된 더 큰 정치적 이슈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주었다.

General Maximum을 창설함으로써,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국민들의 관심을 광범위한 돈과 식량 부족에 대한 정부의 개입에서 소비자와 상인 사이의 싸움으로 옮겼다.General Maximum의 본문은 프랑스 경제의 몰락으로 큰 폭리를 취하고 있는 사업가들을 위해 쓰여졌다.그러나 실제로, 이 법은 궁극적으로 경제 [9]위기로부터 이익을 가장 적게 얻고 있는 지역 가게 주인, 정육점, 제빵사, 농부들을 대상으로 했다.General Maximum과 함께, Robespierre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가난과 배고픔에 대해 누구를 탓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제공했습니다.게다가 피의자의 법과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법을 위반한 상인에 대해 시민이 정부에 알렸을 때, 그들은 시민의 의무를 [10]다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미국

제2차 세계대전 동안, 가격 통제는 전시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한 시도로 사용되었다.프랭클린 루스벨트 정부는 물가 관리국을 설립하였다.그 기관은 사업상의 이익에 다소 인기가 없었고 평화가 회복된 후 가능한 한 빨리 퇴출되었다.그러나 한국 전쟁은 같은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되돌아갔고, 이번에는 물가 안정국(OPS) 에서 가격 통제가 다시 확립되었다.

1970년대 초반에는 인플레이션이 과거 수십 년보다 훨씬 높아져 1970년에 잠시 6%를 넘었고 1971년에는 4%를 웃돌았다.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은 1971년 [3]8월 15일 가격 통제를 실시했다.이것은 대중과[3] 많은 [11]케인즈 경제학자들로부터 널리 갈채를 받았다.같은 날 닉슨은 [3]제2차 세계대전 이후 확립된 브레튼우즈 국제통화관리체제의 종말의 시작인 금으로의 달러 전환도 중단했다.90일간의 동결은 평시에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지만, 그러한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이것은 즉각적인 인플레이션 충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그 당시에 꽤 잘 알려져 있었다.그 제어는 그 충동을 멈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1972년의 선거가 임박했다는 사실은 닉슨의 통제 적용과 [3]달러 전환의 종식에 모두 기여했을 것이다.

90일간의 동결은 1973년에 종료된 1, 2, 3, [12]4단계로 알려진 거의 1,000일의 조치가 되었다.이 단계에서, 규제들은 거의 전적으로 가격 결정력을 [11]가진 대기업과 노동조합에 적용되었다.그러나 요청된 가격 인상 중 93%는 [11]비용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그러한 독점력을 가진 일부 경제학자들은 통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았다(통제의 문제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지만).이런 종류의 통제는 인플레이션 기대를 잠재울 수 있기 때문에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심각한 타격으로 여겨졌다.

첫 번째 통제 물결은 정부가 확장적인 재정 [13][14]및 통화 정책을 사용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그러나 장기적인 영향은 불안정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초기 물가 통제가 완화된 후 억제되지 않은 채 방치된, 지나치게 팽창적인 정책들은 인플레이션 [13][14]압력을 악화시켰다.고기 또한 식료품 가게 진열대에서 사라지기 시작했고 미국인들은 임금이 [3]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하게 하는 임금 통제에 항의했다.

그 이후로, 미국 정부는 소비자 품목이나 노동력에 최고 가격을 부과하지 않았다. (석유와 천연가스 가격 상한선은 1973년 [3]이후 수년간 지속되었다.)높은 인플레이션의 시기에, 통제가 요구되어 왔다; 1980년 전례 없는 인플레이션 동안, 비즈니스는주간은 반영구적인 임금과 물가 [15]통제에 찬성하는 논설로 편집했다.

캐나다

제2차 세계대전온타리오주 오타와에 있는 팰리먼트 힐에서 임금 통제에 반대하는 시위

1974년 총선에서 진보보수당 당수 로버트 스탠필드석유위기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한 대응으로 캐나다 경제에 임금과 물가동결을 제안했다.피에르 트뤼도가 이끄는 자유당 정부는 원래 이 생각에 반대했지만 선거에서 승리한 후 1975년 인플레이션 방지법을 도입했다.이 법은 경제 일부에 대한 임금과 물가 통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1978년까지 시행되었다.1979년 인플레이션 방지 위원회는 해산되었고 인플레이션 방지법은 [16]폐지되었다.

영국

National Board for Price and Incomes는 임금과 물가를 관리함으로써 영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5년 해롤드 윌슨 정부에 의해 만들어졌다.1970년대 칼라한 정부는 노조가 더 적은 임금 인상을 수용하고 기업은 [17]미국의 닉슨 정책을 모방하여 가격 인상을 억제하는 "사회 계약"을 통해 임금과 물가에 대한 갈등을 줄이려 했다.물가 통제는 1979년 마가렛 대처의 당선으로 끝났다.

호주.

호주는 1980년대에 물가소득 협정이라고 불리는 소득 정책을 시행했다.그 협정은 노동조합과 호크 노동당 정부 사이의 협정이었다.고용주는 협정의 당사자가 아니었다.노조는 임금 요구를 제한하기로 합의했고 정부는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약속했다.정부는 또한 사회적 임금에 따라 행동하기로 되어 있었다.가장 광범위하게, 이 개념은 복지뿐만 아니라 교육에 대한 지출 증가를 포함했다.

여러 차례 재협상된 협정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은 감소했다.그러나 노조가 중앙집권적 임금고정에서 기업교섭으로의 전환을 모색함에 따라 협정의 주요 요소 중 상당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화되었다.1989-92년 경기 침체 이후 협정은 주요 역할을 하지 않게 되었고 1996년 노동당 정부가 패배하면서 폐기되었다.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1971년 미국의 가격과 임금 통제를 모방했지만 곧 석유 가격 [17]통제에 초점을 맞추던 정책을 포기했다.

네덜란드와 벨기에

네덜란드의 폴더 모델VNO-NCW 등 고용주 단체FNV노조, 정부 3자 협력이라는 특징이 있다.이들 회담은 사회경제위원회(네덜란드: Sociaal-Economicy Raad, SER)에 구체화되어 있다.SER는 노동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중심 포럼 역할을 하며, 종종 노동 갈등을 해소하고 파업을 피하는 오랜 합의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핀란드에서도 유사한 모델이 사용되고 있다.즉, 포괄적 소득 정책 협정과 집단 노동 협정의 보편적 타당성이다.

현재의 폴더 모델은 1982년 바세나르 협정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노조, 고용자, 정부는 한편으로는 근로시간 단축과 임금 삭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용 증대를 포함한 경제 활성화를 위한 포괄적인 계획을 결정했다.

폴더 모델은 널리,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성공적인 소득 [18]관리 정책으로 간주된다.

이 모델은 벨기에에서도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명칭(「폴더」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북부를 구성하는 지역)이 됩니다.

뉴질랜드

1982년 당시 총리이자 재무장관인 롭 멀둔은 대중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으로 임금, 물가, 금리를 동시에 동결했다.이 조치들은 이후 멀둔의 후임자인 데이비드 랭과 로저 더글러스 재무장관에 의해 폐지되었다.

짐바브웨

2007년 로버트 무가베 정부는 초인플레이션 [19]때문에 짐바브웨에 가격 동결을 단행했다.그 정책은 부족만 초래했다.

레퍼런스

  1. ^ Rothbard, Murray. "Price Controls Are Back!". Making Economic Sense. Retrieved 2008-11-03.
  2. ^ a b "The Maximum". George Mason University. 29 September 1793. Retrieved 2008-11-03.
  3. ^ a b c d e f g h Yergin, Daniel; Joseph Stanislaw (1997). "Nixon Tries Price Controls". Commanding Heights. Retrieved 2008-11-03.
  4. ^ 군사력의 임금: 소득정책, 헤게모니, 영국좌파의 쇠퇴, 데이비드 퍼디, 2006
  5. ^ Irons, John (2001-06-24). "Price Controls and California Electricity". ArgMax Econom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0. Retrieved 2008-11-06.
  6. ^ a b White, Andrew Dickson (1912). "The French Revolution". Fiat Money: Inflation in Fra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8, 2008. Retrieved 2008-11-03.
  7. ^ 다로우, M. "도시의 경제 테러:몬타우반에서는 일반 최고치입니다."프랑스 역사 연구 1991, 517-19페이지
  8. ^ 다로우, M. "도시의 경제 테러:몬타우반에서는 일반 최고치입니다."프랑스 역사 연구 1991, 523-25페이지
  9. ^ 다로우, M. "도시의 경제 테러:몬타우반에서는 일반 최고치입니다."프랑스 역사 연구 1991, 503-05 페이지
  10. ^ 다로우, M. "도시의 경제 테러:몬타우반에서는 일반 최고치입니다."프랑스 역사 연구 1991, 511페이지
  11. ^ a b c Frum, David (2000). How We Got Here: The '70s. New York, New York: Basic Books. pp. 298–99. ISBN 0-465-04195-7.
  12. ^ http://www.presidency.ucsb.edu/ws/index.php?pid=3868 Richard Nixon의 4단계 가격 통제 발표 연설, 1973년 6월 13일
  13. ^ a b Morris, Charles R. (7 February 2004). "The Nixon Recovery".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5 April 2018.
  14. ^ a b 프리드먼, 리언 / 레반트로서, 윌리엄 F.리처드 M. Nix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1, 232 페이지 ISBN 0-313-27653-6, ISBN 978-0-313-27653-8
  15. ^ Frum, David (2000). How We Got Here: The '70s. New York, New York: Basic Books. p. 292. ISBN 0-465-04195-7.
  16. ^ "Wage & Price Controls". The History Project. Retrieved 7 April 2011.
  17. ^ a b Frum, David (2000). How We Got Here: The '70s. New York, New York: Basic Books. p. 313. ISBN 0-465-04195-7.
  18. ^ Woldendorp, Jaap; Keman, Hans (2007). "The Polder Model Reviewed: Dutch Corporatism 1965—2000". Economic and Industrial Democracy. 28 (3): 317–347. doi:10.1177/0143831X07079351. S2CID 52990197.
  19. ^ "IRIN Africa ZIMBABWE: Price controls devastating rural economy Zimbabwe Food Security". 2007-07-2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