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판
Indian Plate인도판 | |
---|---|
![]() | |
유형 | 작은 |
좌표 | 34°25°55°N 73°32°13°E/34.43194°N 73.53694°E좌표: 34°25°55°N 73°32⁄13 †E / 34.43194°N 73.53694°E / |
대략적인 면적 | 1,190,000km2(4,600,000평방마일)[1] |
움직임1 | 북동쪽 |
속도1 | 연간 26~36mm (1.0~[citation needed]1.4인치) |
특징들 | 인도 아대륙, 인도양, 히말라야 |
1아프리카 판에 대한 상대 |
인도판 또는 인도판은 동반구의 적도를 가로지르는 작은 구조판이다.원래 고대 곤드와나 대륙의 일부였던 인도는 1억 년 전 곤드와나의 다른 파편들과 떨어져 [2]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인접한 호주판과 융합하여 단일 인도-호주판을 형성한 후,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인도와 호주는 최소 3백만 년 이상 [3]분리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인도판은 남아시아의 대부분(즉, 인도 아대륙)과 인도양 아래 분지의 일부(중국 남부와 인도네시아 [4][5]서부를 포함)를 포함하며, 라다크, 코히스탄,[6][7][8] 발루치스탄까지 확장되지만 포함되지는 않는다.
플레이트의 이동
대략 1억 4천만 년 전까지만 해도 인도판은 현대 아프리카, 호주, 남극 대륙, 남아메리카와 함께 곤드와나 대륙의 일부를 형성했다.곤드와나는 이 대륙들이 서로 다른 [9]속도로 떨어져 나가면서 갈라졌고, 이 과정이 인도양의 [10]개방을 이끌었다.
약 1억 년 전 백악기 후기에 인도판이 마다가스카르와 인도의 곤드와나에서 갈라진 후 인도판이 마다가스카르에서 갈라졌다.그것은 매년 [9]약 20센티미터(7.9인치)의 속도로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5천 5백만 년 [11]전 신생대 에오세 시대에 아시아와 충돌하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그러나 일부 저자들은 인도와 유라시아 간의 충돌이 훨씬 더 늦은 3천 5백만 [12]년 전에 일어났다고 주장한다.만약 충돌이 55에서 50Mya 사이에 일어났다면, 인도판은 3,000에서 2,000km (1,900에서 1,200mi)의 거리를 차지했을 것이고, 알려진 어떤 판보다 더 빠르게 움직였을 것이다.2012년에는 대히말라야의 고자기파 데이터를 사용하여 히말라야의 지각축소량(약 1,300km 또는 800마일)과 인도와 아시아 간의 수렴량(약 3,600km 또는 2,200마일)[13]의 차이를 조정하는 두 가지 충돌을 제안했다.이 저자들은 인도에서 건너온 곤드와나 북부의 대륙 조각이 북쪽으로 이동해 약 50Mya에 대히말라야와 아시아 사이의 "소프트 충돌"을 시작했다고 제안한다.이어 25Mya 부근에서 인도와 아시아의 '경추돌'이 발생했다.대히말라야 조각과 인도 사이에 형성된 해양 분지의 침강은 히말라야의 지각 단축 추정치와 인도와 아시아의 고지자기 데이터 사이의 명백한 차이를 설명한다.그러나 제안된 해양 분지는 ~120Mya의 핵심 시간 간격에서 ~60Mya까지의 고지자기파 데이터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았다.티베트 남부에서 이 임계 시간 간격에 대한 새로운 고자기적 결과는 이 대인도양 유역 가설과 이와 관련된 이중 [14]충돌 모델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2007년 독일 지질학자들은[9] 인도판이 이렇게 빠르게 움직이는 이유를 이전에 곤드와나를 구성했던 다른 판들보다[15] 두께가 절반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제안했다.곤드와나를 한때 갈라놓았던 맨틀 기둥은 인도 아대륙의 하부를 녹여 다른 [9]지역보다 더 빨리 그리고 더 멀리 움직일 수 있게 했을 수도 있다.오늘날 이 기둥의 잔해는 마리옹 핫스팟(프린스 에드워드 제도), 케르구엘렌 핫스팟, 레위니언 [10][16]핫스팟을 형성하고 있습니다.인도가 북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도판의 두께는 데칸과 [10]라즈마할 트랩과 관련된 핫스팟과 마그마 돌출부를 통과하면서 더욱 퇴화할 수 있습니다.인도판이 열점을 통과하는 동안 방출된 엄청난 양의 화산 가스는 일반적으로 소행성 [17]충돌로 인해 발생한 백악기-팔레오겐 대멸종의 한 원인이 된 것으로 이론화 되었다.
하지만, 2020년, 옥스포드 대학과 알프레드 베제너 연구소의 지질학자들은 새로운 판운동 모델이 백악기 말기의 모든 중앙해령에서 증가된 이동 속도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판구조론의 현재 이론과 양립할 수 없는 결과이며 플룸푸시 가설의 반박이다.페레스 디아스는 인도판의 가속화된 움직임은 백악기-팔레오진 경계 주변의 지자기 반전 타이밍의 큰 오류로 인한 착시이며, 시간 척도의 재보정은 그러한 가속도가 [18][19]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결론지었다.
인도와 네팔의 경계를 따라 유라시아 판과 충돌하면서 티벳 고원과 히말라야 산맥을 만든 조산대가 형성됐다.
인도판은 현재 연간 5cm(2.0인치)의 속도로 북동진하고 있으며 유라시아판은 연간 2cm(0.79인치)의 속도로 북진하고 있다.이로 인해 유라시아 판이 변형되고 인도 판이 연간 [citation needed]4mm(0.16인치)의 속도로 압축됩니다.
지리
인도판의 서쪽은 오웬 파단 지대라고 불리는 아라비아판과의 변환 경계이고 중앙 인도 능선이라고 불리는 아프리카판과의 발산 경계입니다.판의 북쪽은 히말라야 산맥과 힌두쿠시 산맥을 형성하는 유라시아 판과의 수렴 경계로, 메인 히말라야 [citation needed]추력이라고 불립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Sizes of Tectonic or Lithospheric Plates". Geology.about.com. 2014-03-05. Retrieved 2016-01-13.
- ^ Oskin, Becky (2013-07-05). "New Look at Gondwana's Breakup". Livescience.com. Retrieved 2016-01-13.
- ^ Stein, Seth; Sella, Giovanni F.; Okai, Emile A. (2002). "The January 26, 2001 Bhuj Earthquake and the Diffuse Western Boundary of the Indian Plate" (PDF). Geodynamics Series. American Geophysical Union: 243–254. doi:10.1029/GD030p0243. ISBN 9781118670446. Retrieved 2015-12-25.
- ^ Sinvhal, 지진 재해의 이해, 52페이지, 타타 맥그로 힐 교육, 2010, ISBN 978-07-014456-9
- ^ Hars K.Gupta, 재해관리, 85페이지, Universities Press, 2003, ISBN 978-81-7371-456-6
- ^ M. Asif Khan, Nanga Parbat Syntaxis and Western Himalaya, 375페이지, 런던지질학회, 2000, ISBN 978-1-86239-061-4
- ^ Srikrishna Prapnachari, 프레임 디자인의 개념, 152페이지, Srikrishna Prapnachari, ISBN 978-99929-52-21-4
- ^ A. M. Celarl Shengör, 태티안 지역의 구조 진화, 스프링어, 1989, ISBN 978-0-7923-0067-0
- ^ a b c d 친절한 2007
- ^ a b c 쿠마르 외 2007년
- ^ 2001년 스코틀랜드
- ^ Aitchison, Ali & Davis 2007
- ^ van Hinsbergen, D.; Lippert, P.; Dupont-Nivet, G.; McQuarrie, N.; Doubrivine, P.; Spakman, W.; Torsvik, T. (2012). "Greater India Basin hypothesis and a two-stage Cenozoic collision between India and Asi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9 (20): 7659–7664. Bibcode:2012PNAS..109.7659V. doi:10.1073/pnas.1117262109. PMC 3356651. PMID 22547792.
- ^ Qin, Shi-Xin; Li, Yong-Xiang; Li, Xiang-Hui; Xu, Bo; Luo, Hui (2019-01-17). "Paleomagnetic results of Cretaceous cherts from Zhongba, southern Tibet: New constraints on the India-Asia collision".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73: 42–53. Bibcode:2019JAESc.173...42Q. doi:10.1016/j.jseaes.2019.01.012. ISSN 1367-9120. S2CID 134469511.
- ^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및 남극 대륙의 암석권 뿌리의 두께는 300~180km(190~110mi)이다. (Kumar 등 2007) Kumar 등 2007도 참조, 그림 1
- ^ Meert, J.G.; Tamrat, Endale (2006). "Paleomagnetic evidence for a stationary Marion hotspot: Additional paleomagnetic data from Madagascar". Gondwana Research. 10 (3–4): 340–348. Bibcode:2006GondR..10..340M. doi:10.1016/j.gr.2006.04.008.
- ^ Schulte, Peter; et al. (5 March 2010). "The Chicxulub Asteroid Impact and Mass Extinction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PDF). Science. AAAS. 327 (5970): 1214–1218. Bibcode:2010Sci...327.1214S. doi:10.1126/science.1177265. ISSN 1095-9203. PMID 20203042. S2CID 2659741.
- ^ Pérez-Díaz, L.; Eagles, G.; Sigloch, K. (2020). "Indo-Atlantic plate accelerations around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A time-scale error, not a plume-push signal". Geology. 48 (12): 1169–1173. Bibcode:2020Geo....48.1169P. doi:10.1130/G47859.1.
- ^ Andrews, Robin George (14 April 2021). "The New Historian of the Smash That Made the Himalayas". Quanta Magazine. Retrieved 15 April 2021.
레퍼런스
- Aitchison, Jonathan C.; Ali, Jason R.; Davis, Aileen M. (2007). "When and where did India and Asia collid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 (B5): B05423. Bibcode:2007JGRB..112.5423A. CiteSeerX 10.1.1.1008.2522. doi:10.1029/2006JB004706. ISSN 0148-0227. Retrieved January 12, 2016.
- Chen, Ji (January 4, 2005). "Magnitude 9.0 off W coast of northern Sumatra Sunday, December 26, 2004 at 00:58:49 UTC: Preliminary rupture model". U.S. Geological Surve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5, 2005. Retrieved 28 December 2004.
- Kind, Rainer (17 October 2007). "The fastest continent: India's truncated lithospheric roots" (Press release). Helmholtz Association of German Research Centres. Retrieved 2 October 2019.
- Kumar, Prakash; Yuan, Xiaohui; Kumar, M. Ravi; Kind, Rainer; Li, Xueqing; Chadha, R. K. (18 October 2007). "The rapid drift of the Indian tectonic plate". Nature. 449 (7164): 894–897. Bibcode:2007Natur.449..894K. doi:10.1038/nature06214. ISSN 0028-0836. PMID 17943128. S2CID 4339656.
- Scotese, Christopher R. (January 2001). "The collision of India and Asia (90 mya – present)". Paleomap Project. Retrieved 28 December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