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사격

Indirect fire

간접사격직접사격의 경우처럼 총과 대상 사이의 직시선에 의존하지 않고 발사체를 조준하고 발사하는 것이다.조준은 방위각기울기를 계산하여 수행하며, 사격의 낙하를 관찰하고 새로운 각도를 계산하여 조준을 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

무기를 조준하는 데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

  • 수평면(azimuth)에서,
  • 수직면(경사)에서는 대상까지의 거리(범위)와 추진 전하의 에너지에 의해 제어된다.

발사체 궤적은 대기 상태, 발사체의 속도, 화기와 목표물의 고도 차이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직접 화재 현장에는 이들 중 일부를 보상하는 메커니즘이 포함될 수 있다.권총소총, 기관총, 대전차포, 전차 주포, 유도하지 않는 로켓(미사일, 박격포, 호위병, 로켓포, 다연장로켓포, 일반포, 순항미사일, 탄도미사일 등)과 항공기에 탑재된 총은 주로 di를 위해 고안된 무기의 예들이다.직사 사격

NATO는 간접 화재를 " 조준자가 볼 수 없는 목표물에 배달된 화재"[1]로 정의한다.방위각 및/또는 고도 '임계'는 기악적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따라서 간접 화재는 방위각과 고도 조준경에 '데이터 발사'를 적용하고 이러한 조준경을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간접 화재는 사격 위치에서 표적이 보일 때 사용할 수 있다.그러나 주로 지형으로 인해 대상의 사정거리가 길어지고 화재자에게 보이지 않을 때 사용된다.더 긴 범위는 더 높은 궤적을 사용하며 이론상 최대 범위는 45도의 고도 각도로 달성된다.[2][3][4]

총을 겨누는 병사들에게 보이지 않는 표적에 대한 간접 포격을 호출하고 조정하는 현대 미국 사례

간접 사격은 야전 포병(야전 포병은 원래부터 제1차 세계대전 이후까지 직접 사격 무기였지만, 따라서 유명한 M1897 75 mm와 같은 포탄의 객차에 장착된 총알 방패)과 박격포와 가장 흔히 연관된다.해안 표적에 대한 해군총, 때로는 기관총과 함께 사용되기도 하며 탱크와 대전차포, 그리고 지표 표적에 대한 대공포와 함께 사용되어 왔다.

간접사격의 원래 목적은 포병들이 보이지 않고 적에 의해 교전할 수 없는 '덮인 진지'에서 불을 피우는 것이었다(그것과 포병의 범위가 길어짐에 따라, 방해되는 지형을 모두 지나 목표물을 보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은닉 측면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1차 세계대전에서 똑같이 중요한 것은 같은 목표물이나 목표물 집합에 많은 포전지의 화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능력이었다.이것은 포병 범위가 증가하면서 점점 중요해졌고, 각 배터리의 영향력은 점점 더 커졌지만, 화력 집중이 가능하도록 지휘와 통제 배치가 필요했다.탄도학의 물리적 법칙은 더 크고 무거운 발사체를 발사하는 총이 더 가벼운 포탄을 발사하는 것보다 더 멀리 그들을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0세기 말까지, 가장 흔한 총기의 대표적인 최대 사거리는 약 24~30km로 제1차 세계대전의 약 8km에서 증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커버된 위치는 더 뒤로 이동했고 간접 화재는 화재자들을 이동시키지 않고 사정거리 내의 어떤 지점도 공격받을 수 있도록 진화했다.사격 자세에서 표적을 볼 수 없는 경우에는 표적을 식별하고 사격 낙하에 따라 조준을 교정하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일부 대상의 위치는 다양한 정보 출처(스폿터)에서 본부로 식별될 수 있다. 즉 지상의 관측자, 항공기 또는 관측 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전기 통신의 발달은 보고가 엄청나게 단순화되었고, 널리 분산된 많은 소방관들이 하나의 목표물에 그들의 불을 집중시킬 수 있게 했다.

스마트 탄약이 도입되기 전까지는 발사체의 궤적을 한 번 발사하면 변경할 수 없었다.

역사

궁수들에 의한 간접 화살 화재는 고대 군대에서 흔히 사용되었다.그것은 전투와 체스 둘 다에 사용되었다.[5]

수 세기 동안 코혼 박격포의 고정된 상승 평균 범위는 추진 분말의 양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발사되었다.또한 만약 이러한 박격포들이 내부 요새에서 사용되었다면 그들의 목표물이 그들에게 보이지 않았을 것이고 따라서 간접 화재의 정의를 충족했을 것이라는 것은 타당한 추측이다.[original research?]

또한 16세기 니콜로 타르타글리아가 포병 사분면(임상계 참조)을 발명한 것이 조준선 대신 계기별 포격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간접 화포를 도입했다는 주장도[according to whom?] 제기될 수 있다.[6]이 악기는 기본적으로 목수가 세운 네모꼴로, 입마개에 고도를 측정하기 위해 둥근 원호와 플럼밥이 놓여 있었다.1561년 출판되어 1908년 3월 레부 데 카논리에에서 재현된 리브레 데 카논리에의 계정을 바탕으로 16세기 부르고뉴인들이 간접적으로 불을 사용했다는 제안이 있다.[7]러시아인들은 1759년 Paltzig에서 비슷한 것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그 당시 그들의 지시는 이것이 정상적인 관행이었음을 보여준다.[8]이 방법들은 아마도 목표물과 일직선으로 배치된 조준점을 포함했을 것이다.[citation needed]관찰자에 의해 조정된 간접 화재의 가장 초기 예는 워털루 전투에서 후구몬트를 방어하는 동안 왕립포병대의 포병 전지가 인접 포병 지휘관이 직접 조준선을 가진 인접 포병대의 교정을 이용하여 전진하는 프랑스군에 대한 간접적인 파편 방어 포격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9]

현대의 간접 화재는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었다.1882년 러시아인 K. G. 국 중령은 간접 배치의 더 나은 방법을 설명한 커버드 포지션의 야전 포격을 출판했다.본질적으로 이것은 각도를 이용하여 표적에 상대적인 어떤 방향에도 있을 수 있는 점을 조준하는 기하학이었다.문제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위 기구의 부족이었다; 상승에 대한 임상계는 이미 존재했다.독일인들은 약 1890년에 안감면을 발명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이것은 총에 장착되는 회전식 개방 광경이었고, 보어에 정렬하여 장착되었으며, 보어로부터 큰 각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일반적으로 전체 원을 그리며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사한 설계가 다음 10년 동안 널리 채택되었다.1900년대 초까지 열린 시야는 때때로 망원경으로 대체되었고, 각도계라는 용어는 영어로 "라이닝 평면"을 대체했다.

비록 안면비행기 조준경은 없지만 국의 방법을 이용한 전쟁에서의 간접사격을 최초로 이론의 여지가 없고 문서화한 것은 1899년 10월 26일 제2차 보어 전쟁 당시 영국 포병들에 의해 이루어졌다.[10]비록 양쪽이 이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충돌에서 초기에 입증했지만, 영국의 지휘관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병들에게 "소심하지 말라"고 명령했고, 포기를 포기하는 것에 대한 군대의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라고 명령했다.[10]영국인들은 독일과 프랑스 총과 함께 즉흥적인 총 호를 사용했다;[7] Boers가 독일과 프랑스 총과 함께 사용한 조준 준비는 불분명하다.

초기 기압 장치는 시야를 들여다보기 위해 레이어(총 조준기)가 이리저리 움직여야 하는 문제에 시달렸다.특히 더 큰 포에 조준점이 전방에 있지 않다면 이는 매우 불만족스러웠다.해결책은 안대를 뒤쪽으로 향하게 하고 시선의 회전 가능한 윗부분을 층 머리 높이 위로 올려놓는 경시 파노라마 광경이었다.독일 괴르츠 1906 디자인은 영국과 러시아 양쪽에 의해 선택되었다.영국인들은 이 악기에 "Dial Sight"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미국은 "파노라믹 망원경"을 사용했고, 러시아는 "Goertz panorama"를 사용했다.

상승은 수평면에서 수직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영 수준을 사용하는 장치인 임상계로 측정했다.이것들은 보어의 축과 평행한 표면에 배치되거나 어떤 형태의 시력 탑재로 물리적으로 통합된 별도의 기구일 수 있다.어떤 총들은 각도가 아닌 거리에서 클라이너미터로 채점했다.클라이너미터에는 "총의 레벨", "거리 눈금", "경사 드럼"과 "총의 사분면"을 포함한 몇 개의 다른 이름들과 몇 개의 다른 구성이 있었다.사범대에서 졸업한 사람들은 총의 종류에 특유했다.

이러한 배열은 20세기 대부분 동안 지속되었는데, 그 후 견고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비용 효과적으로 정확한 자이로스코프가 필요한 방위각과 고도에서 총이나 발사기를 조준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외부 조준점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접 화재를 가능하게 했다.이들 장치는 세 축 모두에 자이로스를 사용하여 현재 표고, 방위각 및 절단 기울기를 결정한다.

관련 이슈

미국의 마리넬런스 상병은 사격 전에 박격포의 방향과 고도를 표시한다.

총이나 발사대를 조준할 수 있기 전에, 총은 알려진 방위각 또는 적어도 목표 지역을 향해야 한다.처음에는 조준점과 목표 영역 사이의 각도를 추론하거나 추정하여 방위 시야에 설정한다.그리고 나서 각 총은 조준점에 놓이게 되는데, 이 각도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조준되도록 한다.그러나 포병의 경우 감독(영국) 또는 조준원(미국)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기구가 널리 보급되어 결국 모든 군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군대에서 총의 방향을 정하는 일차적인 방법이 되었다.방향과 필요한 방향을 가리킨 후에, 총은 하나 이상의 조준점에 각도를 기록했다.

간접 화재는 목표물에 총기를 할당하고 그들의 화재를 지휘할 수 있는 명령과 통제 배치가 필요하다.후자는 지상 또는 항공 관측자 또는 기술 장치 및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관찰자들은 조준을 교정할 수 있도록 총성이 떨어지는 곳을 보고한다.제1차 세계 대전에서 항공기의 중요한 임무는 - 공기보다 무겁거나 풍선 둘 다 - 포격을 탐지하는 것이었다.해군의 경우 여러 척의 배가 같은 표적을 향해 사격하고 있어 특정 배에서 발사되는 총탄의 낙하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각 배마다 다른 색상의 염료가 자주 사용되어 발견을 도왔다.[11]

화재는 "조정"되거나 "예단"될 수 있다.조정(원래 "범위")은 목표물에 대한 총탄의 낙하를 교정하기 위해 어떤 형태의 관찰이 사용됨을 의미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가능한 이유로 필요할 수 있다.

  • 총과 대상 사이의 지리공간적 관계를 정확히 알 수 없다.
  • 현재 조건에 대한 양질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다.
  • 목표물이 움직이거나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원래 "지도 사격"이라고 불리는 예상 화재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소개되었다.사격 데이터는 현재 지배적인 조건에 대한 보정을 포함하도록 계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목표 위치를 총기 위치와 관련해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요구하는 사항이다.

조정 및 예측 화재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전자는 예측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후자는 일부 상황에서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간접 화재를 위해 배터리의 총의 방향을 바꾸는 방위각에는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원래 "0"은 6400밀리미터, 360도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향총이 가리키는 방향은 무엇이든지 간에 설정되었다.발사 데이터는 이 영점으로부터의 편향 또는 전환이었다.

또 다른 방법은 총의 방향이 정해지는 실제 그리드 베어링에 조준을 설정하는 것이었고, 사격 데이터는 목표물에 대한 실제 방위였다.후자는 실수의 원인을 줄이고, 총이 정확하게 놓여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1950년대 후반까지 대부분의 군대는 방위법을 채택했는데, 주목할 만한 예외는 미국이었다.

참고 항목

각주

  1. ^ AAP-6 NATO 용어집정의
  2. ^ John Matsumura (2000). Lightning Over Water: Sharpening America's Light Forces for Rapid-Reaction Missions. Rand Corporation. p. 196. ISBN 0-8330-2845-6.
  3. ^ Michael Goodspeed (2002). When Reason Fails: Portraits of Armies at War: America, Britain, Israel and the Future.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24. ISBN 0-275-97378-6.
  4. ^ Jeff Kinard (2007). Artillery: An Illustrated History of its Impact. ABC-CLIO. p. 242. ISBN 978-1-85109-556-8.
  5. ^ Gabriel, Richard A. (2007). The Ancient World. Greenwood Press. p. 74. ISBN 978-0-313-33348-4.
  6. ^ 포병: 그것의 기원, 전성기 그리고 쇠퇴, Brigadier O. F. G. Hogg, 1970, C.허스트 앤 컴퍼니
  7. ^ a b 인도의 반란에서 대전에 이르는 왕실 포병의 역사, 1899–1914, 존 헤드램 소령, 1934년
  8. ^ "붉은 전쟁의 신" 소련 포병 로켓군, 크리스 벨라미, 1986년
  9. ^ 모든 역경에 맞서라! 극적인 라스트 스탠드 액션.페레트, 브라이언.캐셀 2000.ISBN 978-0-304-35456-6: Hougoumont 조치의 계정에서 논의되었다.
  10. ^ a b Frank W. Sweet (2000). The Evolution of Indirect Fire. Backintyme. pp. 28–33. ISBN 0-939479-20-6.
  11. ^ DiGiulian, Tony (2 March 2021). "Definitions and Information about Naval Guns - Ammunition Definitions - Splash Colors". NavWeaps.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