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아니스 모스코스

Ioannis Moskos
요아니스 모스코스
Crucifixion by I.Moskos (1711).jpg
태어난1635/44
죽은1721
베네치아
국적그리스어
움직임크레탄 스쿨
배우자에르기나 클라롯사노풀라

요아니스 모스코스(그리스어: :ιάνηηη μόκςς, 1635-44 – 1721년)는 베네치아를 이주한 그리스의 화가였다.모스코스라는 이름을 가진 다른 두 명의 매우 유명한 화가들은 같은 시기의 엘리아스 모스코스레오 모스코스를 중심으로 활동했다.레오 모스코스는 베네치아 제국 곳곳을 자주 여행했으며 이오아니스와 비슷한 시기에 베네치아에 있었다.그는 엘리아스 모스코스의 아들이 아니다.모스코스 화가들은 어떤 관계를 가졌을지 모르지만 문서화는 불가능하다.요아니스는 전통적인 마네라 그레카와 베네치아 스타일로 그림을 그렸다.그의 예술은 마이클 다마스키노스안드레아스 파비아스를 닮았다.는 산 조르지오 데이 그레치 교회에 소속되어 있었다.그는 전세계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그림들을 남겼다.그의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은 십자가 죽음이다.[1][2][3][4][5]

역사

요아니스 모스코스는 1635년에서 1644년 사이에 레딤노에서 태어났다.그는 1650년대에 베니스로 이주했다.이오아니스에 관한 유일한 기록은 베니스에서의 결혼이다.그는 유명한 화가 필로테오스 스코우포스에 의해 산 조르지오 데이 그레치에서 결혼했다.그는 레짐노 출신의 에르기나 클라롯사노풀라라는 여자와 결혼했다.유명한 화가인 에마뉘엘 티아네스도 이 교회에 소속되어 있었다.그의 형인 유명한 화가 콘스탄티노스 츠자네스가 그와 함께 있었다.레오스 모스코스는 세가지 세례에 참여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같은 시기에 베네치아에 있었다.이오아니스의 서명된 작품 외에는 다른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일부는 산 조르지오 데이 그레치에 위치해 있었다.역사학자들은 그의 서명된 작품들을 화가의 예술적 스타일과 배경을 확립하는데 사용해 왔다.예를 들어 그의 십자가형안드레아스 파비아스의 유명한 작품에 비유될 수 있다.그의 스타일은 마이클 다마스키노스를 닮기 시작했다.[2]

드라코풀루와 하쯔다키스는 이오안니스엘리아스 모스코스의 아들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 왜냐하면 두 개의 문서화된 화가의 유언장이 있기 때문이다.대중 매체와 교과서는 그런 증거가 없는 엘리아스 모스코스의 아들로 이오아니스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첫 번째 유언장에서 엘리아스 모스코스는 1660년대 동안 그의 형 조지에게 재산을 남겼다.마지막 유언장에서 그는 두 자녀인 조지와 마리아에 대해 언급한다.네오헬레닉 연구소에 따르면 그의 그림 중 44점이 살아남았다.[6][7]

갤러리

주목할 만한 작품

  • 바티칸 박물관 바티칸 시티에서의 예수회 발표
  • 콘스탄티누스와 헬레나 박물관 세팔루 이탈리아
  • 십자가상 (모스코스)

참조

  1. ^ Eugenia Drakopoulou (June 24, 2021). "Moskos Ioannis". Institute for Neohellenic Research. Retrieved June 24, 2021.
  2. ^ a b Hatzidakis & Drakopou 1997, 페이지 203–205.
  3. ^ Speake, Graham (2021). Encyclopedia of Greece and the Hellenic Tradition. London And New York: R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p. 444.
  4. ^ Acheimastou-Potamianou, Myrtalē (1998). Icons of the Byzantine Museum of Athens. Athens, Greece: Ministry of Culture, Archaeological. p. 266. ISBN 9789602149119.
  5. ^ Chatzēdakēs, Manolēs (1985). Icons of Patmos Questions of Byzantine and Post-Byzantine Painting. Athens Greece: National Bank of Greece. p. 192.
  6. ^ Hatzidakis & Drakopou 1997, 페이지 198-205.
  7. ^ Tsokkoy, Κ. Α. (2008).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Philosophical School Refugees of the Cretan War (PDF). Thessaloniki, Greece: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p. 167.

참고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