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티시
Irtysh이르티시 | |
---|---|
![]() 이르티시 분수령 | |
위치 | |
나라 | 몽골, 중국, 카자흐스탄, 러시아 |
물리적 특성 | |
출처 | |
• 위치 | 중국 신장 알타이 산맥 망타이치아타판 고개 인근 |
• 좌표 | 47°52′39″N 89°58′12″E / 47.8750°N 89.97000°E |
• 고도 | 2,960 m(9,710 ft) |
입 | Ob |
• 좌표 | 61°05′24″N 68°49′15.60″E / 61.09000°N 68.8210000°E좌표: 61°05′24″N 68°49′15.60″E / 61.09000°N 68.8210000eE / |
길이 | 4,248km(2,480mi) |
분지크기 | 164만3000km2(634만4000sqmi) |
방전 | |
• 평균 | 2,150 m3/s(76,000 cu ft/s)(토볼스크 인근) |
분지형상 | |
진행 | 오브→카라 해 |
그 이르 티쉬(올드 튀르크 어파:𐰼𐱅𐰾:𐰇𐰏𐰕𐰏, romanized:Ertis 몽골 ügüzüg,[1]:Эрчис мөрөн, Erchis mörön,[2]"erchleh","획획 돌다", 러시아:Иртыш, 카자흐:Ертіс, Ertis, هرتىس, 중국:额尔齐斯河, pinyin:É'ěrqísī hé, Xiao'erjing:عَعَرٿِسِ حْ, 위구르 족:إيرتيش, Әртиш, Ertish, 타타르:키릴 자모 Иртеш, 라틴어 İrteş, 아랍어 ﻴﺋرتئش, 시베리아 타타르:Эйәртеш, Eya'rtes'.)은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의 강. 오브의 주요 지류로 세계에서 가장 긴 지류이기도 하다.
이 강의 원천은 몽골과의 국경에서 가까운 쯔가리아(중국 신장 북부)의 몽골 알타이(Altai)에 있다.
이르티슈의 주요 지류로는 토볼, 데미얀카, 이심 등이 있다. Ob-Irtysh 시스템은 서 시베리아와 알타이 산맥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아시아의 주요 배수 분지를 형성한다.
지리
카라-이르티쉬(Vast Irtysh, 카라는 투르크어로는 광대한 것을 의미하지만 또한 검은색을 의미한다. 그러나 중국 신장 몽골 알타이 산맥의 맥락과 지리적 용어로 보통 광대한 것으로 언급)에서는 이르티슈가 카자흐스탄의 자이산 호수를 통해 북서쪽으로 흐르며, 이심 강과 토볼 강을 만난 뒤 러시아 서부 시베리아 칸티만시스크 인근의 오브 강과 4,248km(2,640mi)를 지나 합류한다.
블랙 이르티쉬(카자흐의 카라-이르티쉬, 또는 러시아어의 체르니 이르티쉬)라는 명칭은 일부 저자들이, 특히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에서, 자이산 호수로 들어가는 원천으로부터 강의 상류 쪽으로 적용하고 있다. 흰 이리시라는 용어는, 흑 이리시(Black Irtysh)와 반대로, 자이산 호수 아래의 이르티시를 가리키는 말로, 과거에 가끔 사용되었는데,[3] 지금은 이 용어가 대부분 구식이다.
주요 지류
이르티슈의 가장 큰 지류는 근원에서 입으로 다음과 같다.
경제용도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에서는 4월부터 10월 사이에 유조선, 여객선, 화물선이 무빙기 동안 강을 항해한다. 국영 이르티시 강 해운회사의 본사가 있는 옴스크(Omsk)는 서시베리아에서 가장 큰 강항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 강의 카자흐스탄 부분에는 현재 부크타마르, 우스트카메노고르스크, 슐빈스크 등 3개의 주요 수력발전소가 있다. 42m(138ft)의 강물이 우스트카메노고르스크 댐을 우회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깊은 잠금장치다.[4] 댐을 몇 개 더 건설할 계획이 있다.
이르티슈의 중국 측에도 케케투오하이 댐(47°10′51″N 89°4) 등 3개의 댐이 건설되었다.2′35″E / 47.18083°N 89.70972°E), the Kalasuke (喀腊塑克) Dam (47°08′14″N 88°53′15″E / 47.13722°N 88.88750°E),[5][6] and the Project 635 Dam. 또한 이르티슈의 오른쪽 지류에는 부르친 청후어 댐과 부르친 샨커우 댐이 있고, 또 다른 오른쪽 지류인 하바 강에는 부르친 강과 질레불레이크 댐과 하바 강 샨커우 댐이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구소련의 계획자들과 과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논의된 북강 역전 제안은 이르티쉬(그리고 아마도 오브스의)의 물 중 일부를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수난 지역에 보낼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일부 버전에서는 토볼(토볼스크)의 입과 한티만시스크의 오브와의 합체 사이의 구간에서 이르티쉬의 흐름 방향이 뒤바뀌어 '반(反)이르티슈'[7]가 만들어졌을 것이다. 이러한 거대한 지하간 이동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지만, 1962년에서 1974년 사이에 카자흐스탄의 건조한 스텝 지대와 국가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인 카라간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더 작은 이르시-카라간다 운하가 건설되었다. 2002년에는 이시마와 카자흐스탄의 수도 누르술탄에 운하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파이프라인이 건설되었다.
In China, a short canal was constructed in 1987 (water intake at 47°26′31″N 87°34′11″E / 47.44194°N 87.56972°E) to divert some of the Irtysh water to the endorrheic Lake Ulungur, whose level had been falling precipitously due to the increasing irrigation use of the lake's main affluent, the Ulungur River.[8] 20세기 말엽과 2000년대 초에는 훨씬 더 큰 프로젝트인 이르티시-카라마이-우뤼무치 운하가 완성되었다. 중국의 물 사용 증가는 카자흐스탄과 러시아 환경론자들 사이에 상당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9][10] 2013년 카자흐스탄 어업 연구진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총 이르티쉬 물 사용량은 연간 약 3입방 킬로미터(0.7 cu mi)로, 그 결과, 강의 "자연적" 흐름(9km3 중 6km3)의 약 2/3에 불과하다.[11]
도시들
어티쉬를 따라 있는 주요 도시들은 근원에서 입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브리지스

7개의 철교가 이르티슈에 걸쳐 있다. 이 도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에 위치해 있다.
- 세레브란스크에서 하류 약 15km(오스크멘에서 지랴노프스크까지 막다른 지선)
- 오스만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에 있는 세메이
- 남시베리아 철도(Nur-Sultan to Barnaul)의 파블로다르.
- 셸락 근처, 중시베리아 철도선(срее line line line line line))))))))))))))))
- 옴스크,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있어 1896년에 개통된 이 다리는 강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다.
- 토볼스크, 티우멘수르굿 선상에
중국 신장 구이툰-베이툰 철도가 알타이 시 쪽으로 연장됨에 따라 베이툰 어티슈를 지나는 철도 교량도 건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어티쉬 강을 가로지르는 수많은 고속도로 다리가 중국, 카자흐스탄, 러시아에 존재한다.
2004년 개통된 고속도로 다리인 이르티슈 하류의 마지막 다리는 강이 오브와 합류하기 직전 칸티만시스크에서 찾을 수 있다.
역사

많은 몽골과 투르크 민족들이 수세기 동안 강둑을 점령했다. 657년 당나라 장군 수딩팡이 이르티시 강 전투에서 서투르크계 카가나테의 콰한 아시나 헬루를 무찌르며 서투르크를 상대로 한 당군의 유세가 종식되었다.[12] 헬루의 패배는 카가나테를 종식시키고, 신장에 대한 당 지배를 강화했으며, 서부 투르크에 대한 당수주의로 이어졌다.[13]
15세기와 16세기에 이르티쉬의 하류 및 중류 항로는 시비르의 타타르 칸국 안에 있었다. 그 수도인 카슐리크(일명 시비르)는 토볼(오늘날의 토볼스크가 위치한 곳)의 어귀에서 상류 몇 킬로미터 떨어진 이르티쉬 강에 위치했다.
시비르 칸국가는 1580년대에 러시아인에 의해 정복되었다. 러시아인들은 옛 타타르 마을들 옆에 요새와 마을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시베리아 최초의 러시아 마을들 중 하나는 토볼이 전 카슐리크에서 하류인 이르티슈로 추락할 때 1587년에 세워진 토볼스크였다.[14] 더 동쪽으로는 1594년 타라가 건국되었는데, 대략 태가 벨트(북쪽으로는)와 남쪽으로는 스텝의 경계에 있었다.[15]
17세기 몽골 오이랏 민족에 의해 형성된 즈웅가르 칸국(Dzungar Khanate)은 러시아의 남쪽 이웃이 되었고, 상부 이르티슈를 지배하였다. [16] 러시아가 베드로 대왕 시대에 드진가르족과 대립한 결과, 러시아인들은 1716년 옴스크, 1718년 셈팔라틴스크, 1720년 우스트카메노고르스크, 1752년 페트로파블롭스크 등의 도시를 세웠다.[17]
중국 청 제국은 1750년대에 Dzungaria를 정복했다. 이로 인해 러시아 당국의 국경지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1756년 오렌부르크 주지사 이반 넬류예프는 자이산 호수의 합병까지 제안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중국의 성공으로 무산되었다.[18] 러시아(1759년)에서는 자이산 호수를 출발해 어티슈 강을 따라 서시베리아로 항해하는 중국 함대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1764년 러시아 원정대가 자이산 호수를 방문하여, 이런 강가의 침략은 있을 것 같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이산 호수 북쪽의 부흐타마 강에 러시아 피켓 연쇄가 설치되었다.[19] 이리하여 이르티시 분지에 있는 두 제국 사이의 경계가 대략 묘사되어, 양쪽에 (sparse)의 초소가 쇠사슬로 연결되어 있었다.
19세기 중엽 국경지역의 상황은 A씨의 보고서에 기술되어 있다. Abramof (ru; 1865). 자이산 지역은 양당으로부터 청나라의 일부로 인정받았지만, 매년 시베리아 코삭호스트가 파견한 어로 탐험에 의해 이용되어 왔다. 여름 원정은 1803년에 시작되었고, 1822년–25년 자이산 호수 전체와 흑이르티쉬 어귀까지 범위가 확장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이르티슈 상부에 청이 주둔하는 것은 대부분 추구차크에서 코삭스의 어장 중 하나(바타브스키 피케트)로 청 암반이 매년 방문하는 것에 국한되었다.[20]
이르티시 분지에 있는 러시아와 청 제국의 국경선은 1860년 북경 협약에 의해 중국의 현대적인 러시아와 카자흐스탄과의 국경과 상당히 유사한 노선을 따라 세워졌다.[21] 협약에 따른 실제 국경선은 추구차크 의정서(1864년)가 그어 자이산 호수가 러시아 쪽에 남게 되었다.[22][23] 1862-77년 둥간 반란 때 이르티슈 유역에 청 제국의 군사 주둔이 무너졌다. 주오 쫑탕에 의한 반란과 신장 재조명 이후, 이르티슈 유역의 러시아와 청 제국의 국경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1881년)에 의해 러시아에 유리하게 더욱 약간 조정되었다.
문화참고
어티쉬 강은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의 1866년 소설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GULAG 군도에서의 범죄와 처벌의 에필로그의 배경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 장 '하얀 고양이'는 이 강을 따라 있는 조지 텐노의 수용소로부터의 탈출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기타 용도
- 러시아 옴스크의 축구팀 FC 이르티시 옴스크.
- 카자흐스탄 파블로다르의 축구팀 FC 이르티시 파블로다르.
- 베링해협 수영 2013에서 사용된 러시아 군 병원선 이르티쉬( (ирш)호.
참고 항목
메모들
- ^ [1] 비티그 크즈: 」"이르티슈 강 이름, 2020년 9월 20일."
- ^ 몽골의 비밀사
- ^ 1865년 Abram of 1865, 페이지 65, 그리고 65 페이지 이전의 지도.
- ^ "Waterways World: Latest".
- ^ "Xinjiang Kalasuke 140MW Hydroelectric Project".
- ^ 考察调研组专家考察在建的喀腊塑克水利枢纽工程 (A group of experts visits the Kalasuke Dam), 2010-08-05
- ^ Skornyakova, V. A.; Timasheva, I. Ye. (1980), "The possibl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anti-Irtysh and problems of rational nature management", Soviet Geography, 21 (10): 638–644, doi:10.1080/00385417.1980.10640361
- ^ Petr, T., ed. (1999), Fish and Fisheries at Higher Altitudes: Asia, Issue 385 of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ISSN 0429-9345, Food & Agriculture Org., p. 257, ISBN 978-9251043097 (1979년 베스니크 모스코프스코고 유니버시티타에 발표된 원문의 영문 번역).
- ^ 카자흐스탄: 중국이 웨이백 기계에 2017년 11월 7일 보관된 국경을 넘는 강을 잘못 사용했다고 환경론자들이 말한다. 2006년 7월 16일 굴노자 사다지모바에 의해.
- ^ Sievers, Eric W. (2002), "Transboundary Jurisdiction and Watercourse Law: China, Kazakhstan and the Irtysh" (PDF), Texas International Law Journal, 37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09-21, retrieved 2013-09-19
- ^ Kulikov, Evgeny Vyacheslavovich (Куликов Евгений Вячеславович) (2013-08-23), Adapting of fisheries management to the changing Irtysh water basin hydrological regi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9-25, retrieved 2013-09-21
- ^ Jonathan Karem Skaff (2009). Nicola Di Cosmo (ed.). Military Culture in Imperial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pp. 181–185. ISBN 978-0-674-03109-8.
- ^ James A. Millward (2007).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Columbia University Press. p. 33. ISBN 978-0-231-13924-3.
- ^ Forsyth, James (1994),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4, ISBN 9780521477710
- ^ March, G. Patrick (1996), Eastern Destiny: Russia in Asia and the North Pacific, ABC-CLIO, p. 31, ISBN 978-0275956486
- ^ 포사이스 1994, 페이지 37, 125–127
- ^ 1994년 포사이스 페이지 128
- ^ 1865년 Abramof, 페이지 65
- ^ 1865년 Abramof, 페이지 66
- ^ 1865년 Abram of 1865, 페이지 62–63; 65 페이지 이전 지도에 표시된 경계도 참조한다.
- ^ 조약의 러시아어 본문 제2조 및 제3조
- ^ (지도 참조)
- ^ "The Lost Frontier – Treaty Maps that Changed Qing's Northwestern Boundaries_The Changing Borders". npm.gov.tw.
문학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이르티시 강과 관련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다. |
- 대소련 백과사전
- Abramof, A. (1865), translated by John Michell, "The lake Nor-Zaysan and its neighborhood", Journal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 35: 58–69, doi:10.2307/3698078, JSTOR 3698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