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알링 강
Jialing River지알링 강 | |||||||||
---|---|---|---|---|---|---|---|---|---|
![]() 지알링 분지 | |||||||||
중국어 | 嘉陵江 | ||||||||
문자 그대로의 뜻 | 마운드 강 | ||||||||
|
이전 이름 | |||||||||
---|---|---|---|---|---|---|---|---|---|
![]() 충칭 허촨의 지알링 | |||||||||
바 강 | |||||||||
중국어 | 巴水 | ||||||||
| |||||||||
랑 강 | |||||||||
중국어 번체 | 閬水 | ||||||||
중국어 간체 | 阆水 | ||||||||
| |||||||||
유강 | |||||||||
중국어 | 渝水 | ||||||||
| |||||||||
리틀 리버 | |||||||||
중국어 | 小河 | ||||||||
|
이전에는 수많은 다른 이름으로 [a]알려진 지알링 강은 쓰촨 분지에 있는 양쯔강의 주요 지류다.[2]산시가 흐르는 산시 펑 현의 지알링 계곡에서 따왔다.
지알링 강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이전에는 그 울창한 녹수였다.[3]하류에서 경사가 심한 진로도 눈에 띈다.랑중 장왕 먀오(장페이 신전)에서 입까지 까마귀가 날아갈 때의 거리는 223km(139mi)이다.그러나 그 강 자체는 680 킬로미터(420 mi)를 이동한다.코스의 가장 험난한 부분은 난청 현과 우성 현 사이에 있다.
이름
지알링이라는 이름은 당나라가 되어서야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4]그 이전에는 일반적으로 바(Ba)로 알려졌으나, [4]랑( lang), 유( yu)[citation needed]로도 나타난다.19세기에는 쓰촨족에 의해 진사, 양쯔에 비해 소강[3][5] 또는 소강으로 알려져 있었다.[6][b]
지리
지알링의 출처는 지알린에 있는데, 지알린은 중국어로 "지아嘉陵)의 무덤"이라는 뜻이다.지아는 자오쩌둥 주의 마지막 왕으로, 진이 자오를 무찌른 후 진나라(지금은 간쑤 성 톈수이, 톈수이(天水平,[7] 톈수이)로 불린다.강은 간쑤를 거쳐 간쑤를 거쳐 산시(山西)로 다시 들어온 다음 남쪽으로 건너 쓰촨(四川)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지알링 강의 가장 긴 줄기는 쓰촨성 아바 티베트족 치앙족 자치주의 원천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전체 강의 길이는 1345km(836mi)이다.[8]이 근원은 바야롱 강의 지류로 여겨지는 바오즈오 강의 맨 앞에 위치하며, 그 자체가 지알링 강 계통의 일차 지류이자 주 줄기인 것이다.지알링과 바이롱이라는 지명은 쓰촨의 광위안성에서 만나 양쯔강까지 지알링으로 계속된다.강물은 랑중 쓰촨 분지 바닥에 닿아 충칭으로 들어가는 굽이굽이 노선과 양쯔강과의 분기점으로 이어진다.
주줄기의 일부를 이루는 바룡강 외에도 지알링강의 가장 큰 지류로는 시한강, 푸강(수이허라고도 함), 취강이 있다.시한은 산시에서 지알링과 만나고, 푸와 취는 충칭 허촨에서 각각 지알링의 좌우 둑에 합류한다.
지알링의 코스를 따라 있는 도시로는 톈수이, 바오지, 룽난, 광위안, 랑중, 난청, 충칭 등이 있다.지알링의 유역과 그 지류를 따라 발견된 도시로는 톈수이, 바오지, 롱난, 롱난, 톈양, 쑤닝, 바중, 완위안, 다저우, 광안 등이 있다.
파우나
강에는 총 151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51종의 어류가 양쯔강 유역에 서식하고 있다.[9]
역사
한(漢)과 지알링(지알링) 분지는 고대 바(Ba) 주의 중심지로서, 주요 도시들이 지류의 합류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10]지알링은 추가 기원전 5, 4세기 동안 한나라를 확장했을 때 더 큰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11]
지알링족은 당나라 화가 우도지를 둘러싼 전설 중 하나에 등장한다.우씨는 선종제 카이위안 시대에 지알링의 진로를 묘사하기 위해 임관되어 쓰촨으로 파견되어 그 길이를 여행하였다.짐작컨대 그는 황궁으로 돌아와 기억에서 하루 만에 그것을 완성했다.[12][13]때로는 그의 기술이 리 식순에 의해 좌절되었다고 덧붙이기도 하는데, 리 식순은 그와 동행하여 수많은 준비된 스케치에서 천천히 작업하는 전통적인 관행을 따랐다.[14]그러나 실제 사건에 토대를 두고 있는 정도까지는 아마도 우의 실행 속도만을 반영하고 있을 뿐 스케치에 대한 의존도가 부족하지는 않을 것이다.[15]
1880년경, 충칭의 24개 해운 길드 중 4개는 지알링 해역을 따라 선적하는 것을 우려했다.[16]충칭, 링시, 레즈, 허촨은 모두 조선소를 개발했다.[17]1920년대에는 충칭의 8개 페리 길드 중 5개가 지알링 강을 가로지르는 노선에 진출했다.[18]
1949년 중국 남북전쟁이 끝난 뒤 1970년대 초까지 연중 항해가 가능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준설과 직선을 반복했다.[19]
메모들
참조
- ^ "China", Encyclopædia Britannica, 9th ed., Vol. V, 1878.
- ^ "Jialing River".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12 January 2013.
- ^ a b c Little, Archibald John, Through the Yang-tse Gorges, or, Trade and Travel in Western China, p. 254.
- ^ a b Fan Chengda; et al. (2008), Riding the River Home: A Complete and Annotated Translation of Fan Chengda's Diary of a Boat Trip to Wu (Wuchuan Lu), p. 166.
- ^ a b Parker, Edward Harper, Up the Yang-tse, p. 174.
- ^ 샤브로스키, 103쪽 112쪽
- ^ "天水赵氏肇始地望考释". 寻根. 2012. pp. 117–122.
- ^ "Chinese scientists pinpoint source of Jialing River". China.org.cn. 24 January 2014. Retrieved 26 March 2014.
- ^ "Patterns of Fishes Diversity in Jialing River and Resources Vicissitude in the Middle and Lower Basin". China Pap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rch 2014. Retrieved 12 January 2013.
- ^ Sage, Steven F., Ancient Sichuan and the Unification of China, p. 54.
- ^ 세이지, 페이지 64.
- ^ Strassberg, Richard E. (ed.), Inscribed Landscapes: Travel Writing from Imperial China, p. 35.
- ^ Chen Ju-yen and Late Yuan Painting in Suchou, p. 104.
- ^ Van Briessen, Fritz (1964), The Way of the Brush: Painting Techniques of China and Japan, p. 52.
- ^ Kao Yu-kung, "Chinese Lyric Aesthetics", Words and Images: Chinese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pp. 84–5.
- ^ Chabrowski, Igor Iwo, Singing on the River: Sichuan Boatmen and Their Work Songs, 1880s–1930s, p. 70.
- ^ 차브로스키, 72페이지
- ^ 샤브로스키, 80페이지
- ^ "Inland Navigation", Summary of World Broadcasts: The Far East, Weekly Supplement, Pt. 3, 1974, p.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