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콤네노스 바타츠

Isaac Komnenos Vatatzes

이삭 콤네노스 바타체스(그리스어: ἰἰααιοοςςςςςςςςμμμμ;;;;;;;;;;;;;;;;;;;;;;;, 1196년 사망)는 비잔틴 귀족이자 군사 지휘관으로 알렉시오스 3세 안젤로스 천황의 사위였으며 세바스토크 작위를 받았다.

인생

이삭 콤네노스 바타체스는 알렉시오스 바타체스의 막내아들로 장군 테오도르 바타체스와 자주색 태생의 에우도키아 콤네네네, 황제 요한 2세 콤네노스(r.118–1143)의 딸이며 마리아 페고니티사의 아들이다.이 부부는 1158년경 마누엘 1세 콤네노스 황제의 주도로 결혼했다.[1]

1190년 이삭은 발칸 산맥 지역에서 아센과 베드로블락-불가리아 봉기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마누엘 카미체스와 함께 제국군의 선봉장을 지휘했고,r. 이삭 2세 앙겔로스(1185–1195, 1203–1204) 황제와 동생 알렉시오스(미래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 1195–1203)가 본체를 지휘했고 세바스토크 연주자두카스가 후위병을 지휘했다.좁은 고갯길을 뚫고 퇴각하는 동안 불가리아인들은 선봉장이 지나가도록 허락했지만, 그 후 나머지 군단 위에 쓰러졌고, 그 군대는 패닉에 빠져 달아났다.[2][3]

비슷한 시기에 알렉시오스 안젤로스의 둘째 딸인 안나 콤네 안젤리나와 결혼했다.[4]1195년 알렉시오스가 동생을 쓰러뜨리고 황제가 되었을 때, 이삭은 사위로서 대관식 행렬에 동행했다.[5][6]그가 새 황제와의 가족 관계에 걸맞은 세바스토크 작가로 승진한 것은 아마 이쯤에서였을 것이다.[7][8]

1195년 여름 불가리아 반군은 세레스 주변 지역을 공격하여 지역 비잔틴 사령관 알렉시오스 아스피에테스를 사로잡았다.이삭은 그들을 반대하는 캠페인을 주도하는 임무를 맡았다.[9][10]당대의 관료이자 역사학자 니케타스 초나테스에 따르면, 반군들은 처음에는 이삭의 군대에 맞서는 것을 주저하고, 스트리트몬 강의 계곡을 습격하기 위해 철수했다.이삭은 급히 그들을 만나려고 하였으나, 그렇게 성급하게 하여, 부하와 말이 모두 지쳐 버렸다. 이삭 자신은 쿠만 군인에게 매복하여 사로잡혔고, 그의 군대는 매를 맞고 세레스에게로 돌아갔다.[11][12][13]이삭은 아센 앞에 끌려가 불가리아의 수도 타르노보로 인도되어 그곳에서 투옥되었다.[14][15]

코나테스가 중계한 한 이야기에 따르면, 이삭은 불만에 찬 불가리아 보야르 이반코에 의해 이후 아센이 암살되는 데 한 역할을 했다.보도에 따르면 이삭은 이반코에게 그의 딸 테오도라의 손을 대가로 약속했다.[16][17]그러나 이삭은 아센이 살해되기 전인 1196년 봄에 여전히 투옥된 채 숨을 거두었다.[18]

가족

오스트리아 공작부인 이삭의 딸 테오도라의 국새

안나 콤네 안젤리나로부터 이삭은 테오도라 안젤리나의 아버지였다.어린 아이임에도 불구하고 테오도라는 이반코가 대신 안나를 탐냈다고 코나테스가 보도하고 있지만, 그의 충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임페리얼 서비스에 들어간 이반코와 약혼했다.[19][20]그녀의 어린 나이 때문에, 만약 결혼이 있다면, 결혼은 결코 완성되지 않았다.테오도라는 콘스탄티노플에 남아 있었고, 이반코는 1199년 반란을 일으켜 일어났으나, 계략에 의해 붙잡혀 투옥되었다.[21][22]1203년 테오도라는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6세와 결혼했다.[23][24]

이삭이 죽은 후, 그의 아내는 1199년/1200년, 니케아 제국의 미래 창시자인 테오도르 라스카리스재혼했다.r.[25][26]

참조

  1.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437–439.
  2. ^ 코나테스 1984, 페이지 236.
  3. ^ 심슨 2013, 페이지 56.
  4. ^ 바조스 1984, 742페이지.
  5. ^ 1984년, 페이지 251.
  6. ^ 바조스 1984 페이지 738.
  7. ^ 페르잔치치 1968년, 페이지 166–167.
  8.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746.
  9. ^ 코나테스 1984, 페이지 255.
  10. ^ 바르조스 1984, 753페이지.
  11. ^ 1984년, 페이지 255–257.
  12.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753–754.
  13. ^ 페르잔치치 1968년, 페이지 167.
  14. ^ 1984년, 페이지 257.
  15. ^ 바조스 1984 페이지 754.
  16. ^ 1984년, 페이지 257–258.
  17.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697.
  18.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697, 754.
  19. ^ 1984년, 페이지 259.
  20.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697, 698.
  21. ^ 1984, 페이지 259–260, 281–282, 284–285.
  22.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704–709.
  23.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697, 742.
  24. ^ 프리저-케이펠러 2011, 페이지 70.
  25. ^ 1984년, 페이지 274, 280.
  26. ^ 바르조스 1984, 페이지 743–744.

원천

  • Choniates, Nicetas (1984).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ēs. Translated by Harry J. Magoulias.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ISBN 0-8143-1764-2.
  • Ferjančić, Božidar (1968). "Севастократори у Византији" [Sebastocrators in Byzantium]. Zbornik Radova Vizantološkog Instituta. Belgrade: Institute for Byzantine Studies of the 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XI: 141–192. ISSN 0584-9888.
  • Preiser-Kapeller, Johannes (2011). "Von Ostarrichi an den Bosporus. Ein Überblick zu den Beziehungen im Mittelalter" [From Ostarrichi to the Bosporus: An Overview of Relations in the Middle Ages]. Pro Oriente Jahrbuch 2010 (in German). Vienna: 66–77.
  • Simpson, Alicia (2013). Niketas Choniates: A Historiographical Stud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7071-0.
  • Varzos, Konstantinos (1984). Η Γενεαλογία των Κομνηνών [The Genealogy of the Komnenoi] (PDF) (in Greek). Vol. B. Thessaloniki: Centre for Byzantine Studies, University of Thessaloniki. OCLC 834784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