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아브나 전투

Battle of Tryavna
트라이아브나 전투
비잔틴-불가리아 전쟁의 일부
Battle of Tryavna Pass.png
날짜1190년 봄
위치
결과 불가리아의 승리
호전성
Coat of Arms of the Bulgarian Empire.PNG 불가리아 제국 비잔틴 제국
지휘관과 지도자
이반 아센 1세 아이작 2세
존 두카스
마누엘 카미체스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사상자 및 손실
알 수 없는 무겁다

트라이아브나 전투(불가리아어: итааааа)는 1190년 불가리아 중부의 트라이아브나 근방의 산속에서 일어났다. 결과는 1185년 아센과 베드로의 반란이 시작된 이래 성취한 성공을 확보한 비잔틴 제국에 대한 불가리아의 승리였다.

분쟁의 기원

1187년 모시아에서 두 번째 선거운동을 하고 러브치(Lovech)의 결실없는 포위전 이후 비잔틴 황제 아이작 2세 안젤로스는 어쩔 수 없이 휴전을 체결하여 사실상 불가리아의 독립을 인정했다. 1189년까지 양측은 휴전을 지켜보았다. 불가리아인들은 이 시간을 행정부와 군대를 더 조직하는 데 사용했다. 제3차 십자군 병사들이 니슈의 불가리아 땅에 이르렀을 때, 아센과 베드로가 비잔틴을 상대로 4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신성로마제국 황제 프레데릭 1세를 돕겠다고 제의했다. 그러나 십자군과 비잔틴의 관계가 원만해졌고, 불가리아의 제안은 회피되었다.

전투

비잔틴인들은 불가리아인들의 행동에 대한 복수를 위해 세 번째 캠페인을 준비했다. 이전의 두 번의 침공처럼 그들은 발칸 산맥의 고갯길을 간신히 넘겼다. 그들은 포모리로 바다 근처를 지나갈 것을 암시하는 허세를 부렸으나, 대신 서쪽으로 향하여 리스키 고갯길을 지나 프레슬라브까지 갔다. 다음으로 비잔틴군은 타르노보에서 수도를 포위하기 위해 서쪽으로 진군했다. 동시에 비잔틴 함대는 쿠만 보조원들의 길을 불가리아 북부 영토에서 막으려고 다뉴브 강에 도달했다.

타르노보의 포위는 성공하지 못했다. 도시의 방어는 아센 자신이 주도했고 그의 군대의 사기는 매우 높았다. 반면에 비잔틴의 사기는 몇 가지 이유로 상당히 낮았다: 어떠한 군사적 성공도 없었고,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특히 군인들의 급여가 체불되었다는 사실이었다. 이것은 비잔틴 진영으로 탈영병을 가장한 요원을 파견한 아센이 사용했던 것이다. 남자는 이삭 2세에게 비잔틴 해군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쿠만 군대가 다뉴브 강을 지나 타르노보 쪽으로 포위망을 다시 체험하기 위해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잔틴 황제는 당황하여 즉시 가장 가까운 고갯길을 통해 퇴각을 요구했다.

불가리아 황제는 상대가 트라이아브나 패스를 통과할 것이라고 추론했다. 비잔틴군은 천천히 남쪽으로 진군했고, 그들의 병력과 수하물 열차는 수 킬로미터에 걸쳐 뻗어 있었다. 불가리아인들은 그들 앞에 있는 고개에 이르러 좁은 협곡 높이에서 매복했다. 비잔틴 선봉대는 불가리아 지도자들이 위치한 중심부에 공격을 집중했지만, 일단 두 주력 부대가 만나 직접 전투가 이어지자 고지대에 주둔한 불가리아인들은 아래 비잔틴군을 바위와 화살로 과시했다. 겁에 질려 비잔틴인들은 헤어져서 흐트러진 퇴각을 시작하자, 불가리아인 한 죄수가 길을 가던 모든 사람들을 학살했다. 이삭 2세는 간신히 도망쳤다. 그의 호위병들은 그들의 군인들을 뚫고 길을 가야 했다. 그래서 그들의 지휘관이 대패에서 도망칠 수 있었다. 비잔틴 역사학자 니케타스 초나테스는 아이작 앙겔로스만이 탈출했고 나머지 대부분은 사망했다고 썼다.

그 전투는 비잔틴인들에게 큰 재앙이었다. 승리한 군대는 비잔틴 황제들의 황금 투구, 왕관, 그리고 비잔틴 통치자들의 가장 귀중한 소유물로 여겨졌던 황실 보물 - 성십자의 한 조각이 들어 있는 견고한 금 사리품 -을 획득했다. 그것은 비잔틴 성직자에 의해 강에 던져졌지만 불가리아 사람들에 의해 회수되었다. 이 전리품들은 나중에 불가리아 보물의 자랑거리가 되었고 공식 행사 동안 수도 타르노보를 중심으로 운반되었다.

여파

그 승리는 불가리아에게 매우 중요했다. 그 순간까지 공식 황제는 피터 4세였지만, 동생의 큰 성공 이후 그해 말 황제로 선포되었다. 공식적으로 피터는 자신의 직함을 보존하고 프레슬라프로부터 통치했지만, 국가는 이제 이반 아센 1세가 통치했다. 그 후 2년 동안 그는 소피아와 니슈를 포함한 서남서의 많은 땅을 정복했다. 그의 군대는 트레이스를 약탈했고 비잔틴인들은 불가리아의 공격에 저항할 힘이 없었다.

참조

  • Йордан Андреев, Милчо Лалков, Българските ханове и царе, Велико Търново, 1996.
  • Magoulias, Harry J., ed. (1984).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ISBN 0-8143-17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