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포도주

Israeli wine
이스라엘 포도주

이스라엘 와인은 소규모 부티크 기업부터 연간 1000만 병 이상을 생산하는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수백 개의 와이너리가 생산한다.

포도주성서시대부터 이스라엘 땅에서 생산되어 왔다. 로마 시대에 와인은 로마로 수출되었지만, 이슬람 통치자들 밑에서 생산은 사실상 전멸되었다. 십자군 하에서는 와인 메이킹이 일시적으로 부활되었다.

현대의 이스라엘 와인 산업은 보르도 부동산의 소유주인 에드몽 제임스 로스차일드 남작이 세운 산업이다. 오늘날 이스라엘의 와인메이킹은 5개의 포도 재배 지역에서 이루어진다. 갈릴(골란고원을 포함한 갈릴레)은 높은 고도와 시원한 바람, 뚜렷한 낮과 밤의 기온 변화와 풍부한 수분이 있는 토양, 예루살렘을 둘러싼 유대인 언덕, 베트완에 위치한 심손(삼손)이다.유대 언덕과 해안 평야, 드립 관개 때문에 포도 재배가 가능해진 반건조 사막 지역인 네게브, 그리고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포도 재배 지역인 지크론 야아코프비냐미나 마을을 둘러싼 지중해 연안과 하이파 바로 남쪽에 있는 샤론 평야.[1]

2011년 이스라엘의 와인 수출액은 총 2,670만 달러가 넘었다.[2] 2012년 현재, 이스라엘은 12,355 에이커의 포도밭을 가지고 있다.

역사

고대 및 고전 시대

탈무드 시대 (100–400 CE)의 고대 이스라엘 와인 출판사의 유적

바이터큐어는 성서시대부터 이스라엘 땅에 존재해왔다. 신소학(Deut. 8:8)에서 포도나무 열매는 이스라엘 땅에서 발견된 일곱 가지 복된 과실 중 하나로 등재되었다.[3]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를 잇는 역사적인 와인 교역로를 따라 이스라엘의 위치는 이 지역에 엄청난 지식과 영향력을 가져왔다. 포도주는 포도 재배, 수확, 와인 제조의 이미지가 종교적 이상을 묘사하는 데 종종 사용되면서 초기 이스라엘인들의 종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4] 로마 시대에는 이스라엘에서 온 와인이 가장 많이 찾는 포도주가 빈티지 와인으로 로마로 수출되었는데, 암포라새겨진 와인 제조자의 이름이 날짜가 적혀 있었다.

중세

이슬람 통치 하에서 제한된 위네메이킹은 약 1100년부터 1300년까지 크루세이더 주에서 일시적으로 부활되었지만 이슬람 통치와 그에 따른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복귀는 다시 한번 산업을 소멸시켰다.[3]

모던

오스만 및 영국 시대

1848년 예루살렘의 한 랍비가 현대에 최초로 문서화된 와이너리를 설립했지만 이 창고는 수명이 짧았다. 1870년 최초의 유대인 농업대학인 미크베 이스라엘이 설립되어 바이터리에 관한 강좌가 개설되었다.[4] 현대 이스라엘 와인 산업의 뿌리는 19세기 후반 보르도 부동산의 소유주인 프랑스 남작 에드몽 드 로스차일드(Edmond de Rothchild)가 프랑스 포도 품종을 수입하기 시작했을 때, 그리고 그 지역에 기술적 방법을 알기 시작했을 때라고 할 수 있다. 1882년 하이파 인근 리손 레지온과 지크론 야아코프에 포도원과 포도주 생산 시설을 갖춘 카르멜 위너리를 설립하는 데 일조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가동되고 있는 카르멜은 이스라엘 와인의 최대 생산국이며 와인 제조와 이스라엘 역사에서 많은 기술적, 역사적 진보의 선두에 서 있다.[3]

지크론 야코프 와이너리, 1945년

이스라엘 최초의 전화기 중 하나가 카르멜에 설치되었고 이스라엘 최초의 수상데이비드 벤구리온은 젊은 시절에 카르멜의 지하실에서 일했다.[5]

이스라엘 독립 후

이스라엘 와인 산업은 근대의 대부분의 역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유대인 사회에 수출된 코셔 와인의 생산에 주로 기반을 두고 있었다. 이들 와인의 품질은 다양했는데, 품질보다 양을 중시하는 고수익 포도밭에서 생산되는 포도주가 많았다. 이 와인들 중 많은 와인들도 어느 정도 달았다.[3] 오늘날 이스라엘의 와인 생산은 프랑스 품종에서 유래한 포도 품종에서 비롯된다.[6] 1960년대 후반, 카멜 와이너리는 건조한 식탁 와인을 만든 최초의 이스라엘 와인이었다.[5] 호주, 캘리포니아, 프랑스의 와인 제조 인재 유입으로 성장 중인 이스라엘 와인 산업에 현대 기술과 기술 노하우가 유입된 것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였다.[3] 1989년 이스라엘 최초의 부티크 와이너리 마갈릿 와이너리가 설립되었다.[6] 1990년대까지 골란고원 와이너리, 도메네 카스텔과 같은 이스라엘 영지들이 국제 와인 대회에서 상을 받고 있었다.[3] 1990년대는 부티크 와이너리 개업에서 후속적인 "붐"을 보았다. 2000년까지 이스라엘에는 70개의 와이너리가 있었고, 2005년에는 140개로 늘어났다.[7]

오늘날 이스라엘 와인의 15% 미만이 성찬용으로 생산되고 있다. 카멜 와이너리, 바칸 와인 셀러, 골란 하이츠 와이너리 등 3대 생산업체가 국내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가장 큰 수출국이다.[3] 레바논으로 심은 에이커의 4분의 1 정도에 불과하지만 이스라엘은 신기술 채택 의지와 수출시장 규모가 커 동부 지중해에서 와인메이킹의 동력으로 떠올랐다. 이 나라는 또한 끊임없이 증가하는 와인을 의식하는 고객들을 위한 국제적인 와인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레스토랑들과 함께 현대 와인 문화의 출현을 목격했다.[8]

기후와 지리

이스라엘 엘라 계곡의 포도밭
Southeast mediterranean annotated geography.jpg

이스라엘은 명백히 지중해성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샌디에이고, 멕시코-미국 국경과 거의 같은 위도를 따라 위치해 있다. 경선 시즌은 두 가지가 있는데, 강수량이 매우 적은 4월부터 10월까지 이어지는 덥고 습한 여름 시즌과 10월 하순에서 3월까지의 춥고 비가 오는 겨울 시즌이다. 겨울 동안, 평균 강수량은 약 20인치(50cm)이며, 일부 지역은 연간 35인치(90cm)나 된다.[4] 골란고원 고원 지대의 일부 포도원은 겨울철에 눈을 볼 수 있다. 건조한 성장기에는 물방울 관개가 생육에 필수적이다. 포도원 관리자들은 가지치기 및 캐노피 관리 기법을 활용해 햇빛으로부터 그늘 생산을 극대화한다. 수확은 종종 밤에 더 서늘한 기온 동안 일어날 것이다.[3] 성장기의 건조함은 축축한 날씨에 번성하는 많은 포도 질환의 보호막 역할을 하며, 포도원 관리자들이 관개를 통해 활력과 수확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4]

이스라엘은 뉴저지 주와 대략 크기가 같으며, 북쪽/동북쪽, 서쪽으로는 지중해, 남서쪽으로는 이집트와의 국경으로 이어지는 사막, 요르단 강사해, 요르단과의 국경과 함께 요르단과의 경계선이 그 나라의 동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5] 레바논과 시리아 접경지역인 레바논 산맥에서 남쪽의 브엘세바아라드까지 전국에 걸쳐 덩굴이 자란다. 미즈페 라몬 고원에일라트 북쪽 사막의 네오트 스마다르에서도 작은 농장이 발견된다.[4] 이스라엘 윈메이킹의 대부분은 갈릴리, 샤론 평원, 삼손, 골란 고원, 그리고 서안의 유대 산기슭 등 보다 온화한 북쪽 기후에서 일어난다.[3]

이스라엘 전역에는 토양의 종류지형이 다르기 때문에 광범위한 마이크로 클라이마이트가 있다. 대부분의 지역은 석회암을 기반으로 한 토양으로 마를과 단단한 돌로마이트 층이 있다. 토양의 색깔은 타보르 산 근처의 유대와 갈릴레이의 붉은 테라 로사에서부터 카르멜 산에서 지크론 야아코프까지 이어지는 산맥의 회색까지 다양하다. 해양 퇴적물은 해안 평원의 암토빈야미나-기바트 아다라트룬 주변의 높은 기슭에서 발견된다. 골란 고원과 상하 갈릴레이 지역의 일부 지역은 수세기 동안 화산 활동과 용암 흐름에 의해 생성된 점토와 터프현무암 퇴적물이 상당 층을 이루고 있다. 바람에 날린 침전물 퇴적물은 네게브 지역의 황토충적 모래 토양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4]

포도주 지역으로서의 이스라엘

이스라엘에서 와인 산업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던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지난 20년은 길의 변화를 예고한다. 80년대 후반 이스라엘에는 성찬용으로 주로 삶은 와인을 만드는 와이너리가 두어 개밖에 없었다. 그것이 이스라엘산 와인을 삶은 와인으로 오인하고 이스라엘은 다른 많은 나라들처럼 아직 와인 지역으로 간주되지 않고 인정받는 이유의 일부다. 지난 20년 동안 이스라엘의 와인 산업은 엄청나게 성장했고 오늘날에는 이스라엘의 모든 지역에서 크기가 다른 300여 개의 와이너리가 있다.[1][9]

헤몬 산에 있는 이스라엘 포도원에서 온 야덴 포도주

이스라엘 포도주는 갈릴리(골란고원, 상갈릴리, 하갈릴리 등의 하위 지역을 포함한다), 예루살렘 시를 둘러싼 유대 언덕, 유대 언덕과 해안 평야 사이에 위치한 삼손 지역, 네게브 사막 지역, 샤론 평야를 포함하는 쇼므론 지역 등 5개 지역에서 생산된다.지중해 연안 근처와 하이파 바로 남쪽에 있다. 2012년 현재 이스라엘에는 5만 의 포도밭이 있다.[10] 이스라엘에 심은 포도원의 80% 이상이 쇼므론, 삼손, 갈릴리 지역에 있다.[3]

골란은 이스라엘이 지배하는 영토에서 가장 높은 포도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포도원은 갈릴리 바다에서 헤몬산 방향으로 4,000피트(1,200m) 이상 심어져 있다.[8] 골란고원에는 총 1600에이커(647ha)를 경작하는 7개의 이스라엘 와이너리가 있다. 여기에는 4개의 부티크와 야덴, 감라, 골란 라벨이 국제적인 명성을 누리고 있는 샤토 골란, 바젤레 하골란, 골란 하이츠 와이너리가 포함된다.[11]

포도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

수 세기 동안 이슬람 통치 기간 동안, 알코올 생산은 이슬람 식이법의 일부로 금지되었다. 이슬람 율법에 따라 국내에서 재배된 고대 포도원은 포도주를 생산하는 데 쓰이지 않고 엄밀히 식용으로 쓰였다.[12] 아랍 지리학자 알 무카다시(985 CE)는 팔레스타인 최고의 건포도는 헤브론의 북동쪽과 남서쪽에 각각 놓여 있는 베이트 ʻ아뉴두라에서 재배한 포도에서 나온 것이라고 썼다.[13] During European settlement in the country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the names of the varieties of grapes grown by Arab husbandmen included names such as Hevroni, Dabouki, Marawi (also known as Hamdani), Halbani, Sharwishi, Jandali amongst the whites and Zeitani, Karkashani, Razaki, Karashi, Balouti (Baladi) and Bituni amongst the reds.[14] 대부분은 주로 아랍인에 의해 베들레헴이나 헤브론 지역에서 재배되었으며, 그 이름들은 아랍의 기원을 반영한다. 이 품종들은 당시 존재했던 몇 안 되는 유대 와이너리에 팔렸다.[15] 오늘날 와인 산업은 주로 19세기 후반에 수입된 프랑스 포도 품종을 생산한다. 가장 널리 심어진 품종으로는 카베르네 소비뇽, 샤도네이, 메를롯, 소비뇽 블랑 등이 있다.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신흥 품종으로는 캐버넷 프랑, 게우르츠트라미네르, 무스카트 카넬리, 리슬링, 사이라 등이 있다. 어느 정도 심어진 다른 품종으로는 에메랄드 리슬링, 알렉산드리아의 무스카트, 그리고 교차하는 아르가만 등이 있다.[3]

이스라엘 와인 생산의 주요 관심사는 이 지역의 따뜻한 기후가 만들어내는 자연적으로 높은 당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산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더 높은 고도에 있는 포도밭은, 더 낮은 해안 평야와는 반대로, 필요한 산성 균형을 가진 와인을 더 일관되게 생산하고 있다.[3] 카베르네 소비뇽은 지금까지 가장 큰 노화 잠재력을 보였다. 이스라엘 메를롯의 부드러운 식감과 잘 익은 타닌은 시장에서 와인의 인기를 더욱 높였다. 이스라엘에서 자란 샤도네이는 테루아르에 대한 반성과 포도밭 토양의 특별한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스스로 보여주었다. 그것은 또한 메소드 샴페노이즈에 따라 만들어진 이스라엘의 스파클링 와인 생산에 사용되는 1차 포도주이기도 하다.[4]

생산 수치 및 소비량

2012년 현재 이스라엘 와인 산업은 레드, 화이트, 로제, 스틸, 스파클링, 디저트 와인 등 다양한 스타일로 연평균 3600만 병의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10] 이스라엘에는 35개의 상업 와이너리와 250개가 넘는 부티크 와이너리가 있다.[2] 생산량 기준으로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10대 와이너리는 카르멜, 바칸, 골란고원, 테퍼버그 1870년, 비냐미나 와인 셀러, 갈릴산, 티슈비 와이너리, 타보르, 레카나티, 달튼 와이너리 등이다.[10] 전국 생산량의 75%가 상위 5개 생산자에서 나오는 등 산업은 상당히 집중돼 있다.[16]

이스라엘 사람들의 연간 와인 소비량은 1인당 평균 4.6L이다.[17]

에노투어리즘

이스라엘의 관광과 에노투어리즘 전반을 촉진하기 위해 지크론 야아코프빈야미나 사이의 경사지에 150에이커(0.61km2) 규모의 와인파크가 조성될 것이라고 2008년 초 발표되었다.[18]

와인 비평가들의 평가

야티르 숲의 병, 2005

2005년부터 2012년까지 매년 이스라엘의 대표적인 와인 비평가인 다니엘 로고프(Daniel Rogov)와 하레츠(Haarettz)의 푸드 앤 와인 비평가(Food & Wine Review for Haaretz)는 자신의 로고프(Rogov's Guide to 이스라엘 와인)에서 이스라엘 와인의 순위를 매겼다. 2012년 판에서, 로고브는 150개가 넘는 이스라엘 와이너리의 2500개 이상의 와인을 묘사하고 분류하고 순위를 매긴다.[19]

오늘날 이스라엘 와이너리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와인 상을 수상했기 때문에 전세계 와인 산업으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 세계 와인계에서 이스라엘 와이너리의 첫 업적 중 하나는 2001년 그들의 화이트 와인이 최고의 신상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을 때 Domaine du Castel에 의해 만들어졌다. 2012년 골란 하이츠 와이너리는 와인 마니아 잡지로부터 와인 스타상을 받았다.[20] 골란하이츠 와이너리는 2011년 비니탈리 대회에서 최우수 와인 생산자 타이틀로 그란 비니탈리 특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와인 옹호자인 로버트 파커는 이스라엘 와인 중 90점 이상을 받은 많은 이스라엘 와인을 [21]5년 이상 평가해 왔다. 야티르 와이너리의 야티르 포레스트 와인은 7회 연속 90점 이상을 기록했으며, 도메인 뒤 카스텔의 그랜드빈 와인도 같은 성과를 거뒀다. 유단 힐즈의 플람 와이너리의 캐버넷 매장량은 프랑스 라 레뷔 뒤 빈 프랑스 잡지 100개 우수 와인 리스트에 포함됐다.

갈릴산 와이너리는 프랑스 비넥스포 2011에서 열린 2011년 시타델 드 빈 대회에서 2개의 상을 받았다. 영국의 중요 와인 평론가가 쓴 휴 존슨 와인 포켓북에서는 2008년 이후 최고 등급인 [22]도메 뒤 카스텔 와이너리가 4성, 야티르 와이너리 3-4성을 각각 받았다. 휴 존슨은 또한 Domaine du Castel의 그랜드 빈 와인을 전 세계에서 그가 가장 좋아하는 200개의 와인 중 하나로 선정했다.

이스라엘의 빨강, 흰자, 로제 또한 로버트 파커오즈 클라크에게 찬사를 받았다. 파커는 2007년 처음 이스라엘 와인을 심사할 때 최고 100점 만점에 90점 이상 14점을 수여해 세계 최고 등급을 매겼다.[23] 클라크는 자신의 포켓 와인 2010에 두 개의 이스라엘 와이너리인 도메인 뒤 카스텔과 야티르 와이너리를 포함시켰다. 와인스펙터 매거진 편집장인 킴 마커스는 1990년대 이스라엘의 와이너리에 감명을 받지 못했지만 2008년에는 특히 레드 와인을 중심으로 품질이 엄청나게 향상됐다고 썼다.[24]

인증에 의한 제조자

코셔 와인

코셔로 간주되기 위해 포도주는 포도가 으스러질 때부터 관찰력이 뛰어난 유대인에 의해서만 취급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와인을 삶거나 저온 살균하는 경우, 그 후에 그것은 그 정통성을 잃지 않고 그 누구에 의해서도 취급할 수 있다.[25] 또한, 코셔 와인은 이싱글라스, 젤라틴 또는 카제인과 같은 비코셔 성분이나 피니싱제를 포함할 수 없다.[26] 비록 모든 이스라엘 와인이 정숙한 것은 아니지만, 사실상 이스라엘의 모든 대형 생산자들은 정숙한 인증을 받았다.

아랍 크리스천 와인 제조업체(비 코셔)

적어도 두 명의 이스라엘 아랍 와인 생산자가 있는데, 둘 다 기독교인이다. 레바논과의 국경 부근에 있는 아스카르 와이너리와 자스칼라 와이너리를 각각 운영한다. 카프르 야시프의 와이너리는 이크리트 기독교 마을 사람들의 후손들에 의해 운영된다. 자스칼라 와이너리는 지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와인은 코셔가 아니며 생산자들은 나자렛, 하이파, 라말라, 예루살렘, 에이커와 같은 곳의 아랍 식당과 텔아비브의 코셔가 아닌 레스토랑에 모두 만족한다. 이스라엘 요리사 요탐 오톨렌기는 그들의 고객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27]

내보내기 문제

'주단 언덕'이나 '골란 고원'에서 나오는 와인 등 여러 가지 와인은 실제로 해외에서 법적 분쟁의 대상이 되는 이스라엘 점령 지역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28][29]

평화여성연합이 작성한 2011년 보고서에서, 연구원들은 모든 이스라엘의 주요 와이너리가 골란고원요르단강 서안의 점령지에서 수확한 포도를 사용한다고 결론지었다.[30] 세금 감면 혜택을 틈타 페타 티크바에 있는 오래된 와이너리에서 성장한 이스라엘 최대 생산업체인 바칸 와인 셀러스가 웨스트뱅크의 바칸 산업단지에 공장을 세웠다. 2011년까지 서안지구에는 골란고원 14곳이 아닌 이스라엘 기업가들이 운영하는 와이너리가 29곳으로 추산됐다.[31] 요르단강 서안 작전 중 가장 규모가 큰 작전 중 하나는 팔레스타인이 소유하거나 소유하는 토지에 있는 쉴로, 엘리, 레흐림, 마알레 레보나의 정착지로 제한되는 지역에 있다.[32] 야티르 와이너리의 경우, 기술적으로는 이스라엘이 인정하는 경계 내에 위치하지만, 포도는 베이트 야티르, 카르멜, 마온, 수시아와 같은 분단을 가로질러 서안 정착촌에서 재배된다.[33]

2015년 11월 유럽연합(EU)은 결제 제품이 '메이드 인 이스라엘'[34]이라는 라벨을 사용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 7월 2019년에 연방 법원이 캐나다의 거짓 표시의 불만 데이비드 Kattenberg, 홀로코스트 survivors,[35]의 아들에 의해 만들어진에 대해 후속 조치가 판쳐 와인의 이스라엘 정착들에 'Israeli'으로 생산되는"착각과 믿을 수 없는 false입니다."다고 판결했다.[34]Kattenberg의 원래 항의는 캐나다 식품 검사 기관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CFIA)는 몇 시간 안에 기각될 뿐, CFIA는 캐나다-이스라엘 자유무역협정(CIFTA)이 국내 소비자 보호법을 위반했다고 단언했다.[35]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한 골란고원은 이스라엘이 갈릴리의 하위구역으로 여기지만 이스라엘 동북쪽에 제대로 위치해 있다. 골란고원 국제법상의 법적 지위가 수출시장에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한 예로, 코셔 와인에 대한 국내 수요에 이어 스웨덴의 국유 독점 주류 소매업체인 시스템볼라게트가 판매대와 판매 카탈로그에 '메이드 인 이스라엘'로 다수 골란하이츠 와인을 판매했다. 시스템볼라게트는 고객의 불만과 스웨덴 외무부와의 협의에 따라 '이스라엘 점령 시리아 영토에서 제조'[36]라고 라벨을 붙인 선반을 변경했다. 그러나 이것은 일부 고객들과 국회의원들로부터 더 많은 불만을 야기시켰다. 시스템볼라게트의 해결책은 단순히 제품 원산지를 선반과 카탈로그에서 모두 삭제하여 와인을 "기타 원산지"로 분류하는 것이었다.[37][38] 실제 병들은 논란 내내 변함이 없었고, 제작자의 영어 라벨을 달고 다녔다.

2013년 2월 12일 데르 슈피겔은 이스라엘이 골란 제품을 '메이드 인 이스라엘'이라고 거짓으로 표기하고 있다며 와인을 예로 들었다.[39]

2019년 6월 유럽사법재판소(European Court of Justice) 주창자는 웨스트뱅크에서 이스라엘 와인의 원산지 확인 요건을 포기한 2018년 프랑스 법원의 결정이 무효라는 권고적 법률 의견을 제시했다.[40] 구속력 있는 결정은 2019년 11월 12일로 연기되었는데,[41] 이 때 법원은 소매업자들이 동예루살렘을 포함한 점령지에서 식품을 팔 때 라벨에 명시해야 하며,[42] 그것들이 이스라엘 정착촌에서 생산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43][44][45]

네덜란드 식품소비자제품안전청은 2020년 이미 '메이드 인 이스라엘'에서 '메이드 인 이스라엘(Made in 이스라엘, 유대와 사마리아)'로 이름이 바뀐 키랴트 아르바(헤브론 인근)에서 생산된 와인을 판매한 기독교 시온주의 단체 '크리스텐 보르 이자엘'에 경고한 바 있다.[46]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Miquel Hudin (2014), An introduction to Israeli wine, Hudin.com
  2. ^ Jump up to: a b "Wine exports up 5.5% in 2011". Ynet. February 24, 2012.
  3.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J. 로빈슨 (edd) "옥스퍼드 와인의 동반자" 제3판 페이지 364-365 옥스퍼드 대학 출판 2006 ISBN 0-19-860990-6
  4. ^ Jump up to: a b c d e f g A. 도미네 (edd) 와인 pg 742-745 울만 출판 2008 ISBN 978-3-8331-4611-4
  5. ^ Jump up to: a b c Marcus, K. (September 30, 1998). "Israel Awakens". Wine Spectator.
  6. ^ Jump up to: a b K. 마커스 "이스라엘의 태양 속의 순간" 와인 관중, 2008년 6월 30일
  7. ^ T. 스티븐슨 소더비의 와인 백과사전, 페이지 438, 도링 킨더슬리 2005 ISBN 0-7566-1324-8
  8. ^ Jump up to: a b H. Johnson & J. Robinson The World Atlas of Wine pg 265 Mitchell Beazley 출판 2005 ISBN 1-84000-332-4
  9.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4-19. Retrieved 2013-01-13.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10. ^ Jump up to: a b c "Wines of Israel". Israel Expor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stitute. 2012.
  11. ^ Howard G Goldberg (June 11, 2007). "Future Once Again in Question for Golan Heights Wineries". Retrieved 2009-11-13.
  12. ^ 아담 몬테피오레, 이스라엘의 포도 품종 (역사) 2013. 포도는 밥 짓는사용되는 잎과 마찬가지로 신선하게 먹었다. 어떤 포도는 포도로 건포도를 만들었고, 어떤 포도는 과일 시럽을 끓여서 만든 과일 시럽인 "dibs"를 주로 대추나 건포도에서 나온 것이다.
  13. ^ 무카다시,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시리아 설명, ed. 가이 르 스트레인지, 1886년 런던, 페이지 69
  14. ^ cf.
  15. ^ 아담 몬테피오레, 이스라엘의 포도 품종, (역사) 2013
  16. ^ עמית, יריב (February 29, 2012). חצי הכוס הריקה. calcalist (in Hebrew).
  17. ^ Ahren, Raphael (August 19, 2011). "My Israel Wine Tours: Drinking and driving - the acceptable way".
  18. ^ "Israel seeks to become wine tourism destination". Globes. 2008-01-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0-05. Retrieved 2008-01-17.
  19. ^ "The Ultimate Rogov's Guide". Toby Pr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2-03.
  20. ^ "Announcing Wine Enthusiast's 2012 Wine Star Award Winners - Wine Enthusiast Magazine - Web 2012". Winemag.com. Retrieved 2013-03-26.
  21. ^ Woodard, Richard (2008-01-03). "Parker heaps praise and points on Israel". decanter.com. Retrieved 2013-03-26.
  22. ^ "Hugh Johnson on Israeli Wine". Wines-israel.co.il. 2011-08-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9-09. Retrieved 2013-03-26.
  23. ^ Blackburn, Nicky (January 3, 2008). "Israel's wine industry gets international recognition from US critic". Israel 21c Innovation News Service. Retrieved 2009-12-16.
  24. ^ 이스라엘의 포도밭 건배
  25. ^ Rabinowitz, Nahum. "Dear Rabbi, How Do You Make Kosher Wine?". Orthodox Union Kosh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6-05.
  26. ^ Haruni, Alex. "Kosher Wine, what's that all about?". Dalton Wine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7-02.
  27. ^ 미리암 버거, '이스라엘의 아라브 와이너리는 각 잔마다 팔레스타인 투쟁이 있음을 말해준다' 가디언, 2019년 10월 4일
  28. ^ 금지된 과일: 이스라엘 와인 산업과 누가 이익을 보는 직업? 2011년 4월 22-24페이지.
  29. ^ 로니트 베레드, '이스라엘 와이너리 가이드, 점령의 언더톤과 함께' 하레츠 2021년 5월 16일
  30. ^ 금지된 과일: 이스라엘 와인 산업과 누가 이익을 보는 직업? 2011년 4월 페이지 5
  31. ^ 금지된 과일: 이스라엘 와인 산업과 누가 이익을 보는 직업? 2011년 4월 페이지 10
  32. ^ 금지된 과일: 이스라엘 와인 산업과 누가 이익을 보는 직업? 2011년 4월 페이지 14
  33. ^ 금지된 과일: 이스라엘 와인 산업과 누가 이익을 얻는가?, 2011년 4월 페이지 27-28
  34. ^ Jump up to: a b 라파엘 아렌 "정제 와인은 '메이드 이스라엘'이라고 표기할 수 없다, 캐나다 법원 규칙' The Times of Esrael 2019 7월 29일
  35. ^ Jump up to: a b 달리아 하투카, 2017년 10월 31일 "캐나다인들이 '이스라엘의 상품'이라는 라벨이 붙은 와인 위에 서 있다"
  36. ^ Oliver Styles (June 8, 2006). "Sweden ignites Israeli wine row". Retrieved 2009-11-13.
  37. ^ "Sells Wine from Occupied Area". September 21,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4, 2011. Retrieved 2009-11-13.
  38. ^ "Row over Golan Heights wine". The Local. June 5, 2006. Retrieved 2009-11-15.
  39. ^ "EU to use legal loophole to ban settlement goods - Israel News, Ynetnews". Ynetnews.com. Retrieved 2013-03-26.
  40. ^ 노아 란다우, '프랑스는 정착지에서 이스라엘 포도주에 라벨을 붙여야 한다, EU의 대변인 세이즈,' 하레츠, 2019년 6월 13일.
  41. ^ 라파엘 아렌 "이스라엘은 곧 있을 EU 판결로 인해 정착지 표기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돼 초조해하고 있다" 타임즈 오브 이스라엘, 2019년 10월 30일 보도했다.
  42. ^ '이스라엘 정착상품은 EU의 최고 법원 규칙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도이체벨레 2019년 11월 12일.
  43. ^ 스톤, 벨 트레우, '이스라엘 불법 정착지에서 나온 제품들은 EU의 최고 법원 규칙인 라벨을 붙여야 한다' '인디펜던트, 2019년 11월 12일'
  44. ^ AP통신, '이스라엘 정착촌 제품들은 반드시 라벨을 붙여야 한다, EU 법원 규칙' 2019년 11월 12일 가디언.
  45. ^ DPA, Noa Landau, 'EU States Must Labeling Products From 이스라엘 정착촌, 최고 법원 발표' 하레츠, 2019년 11월 12일.
  46. ^ "Kamervragen over dreigende NVWA-boete voor Israël Producten Centrum". CIDI (in Dutch). 2020-07-15. Retrieved 2020-09-27.

추가 읽기

  • 벤조셉, 마이클, 이스라엘 와인의 성경, 모단 출판사, 모단 출판사, (2002) ISBN 965-7141-28-1
  • Rogov, Daniel, Rogov's Guide to 이스라엘 & World Kosher Wines 2011, The Toby Press LLC, (2011) ISBN 978-1-59264-333-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