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크 뒤트롱크
Jacques Dutronc자크 뒤트롱크 | |
---|---|
![]() 2010년 1월 프랑스 로리앙의 Dutronc씨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프랑스 파리 | ( 1943년 4월
장르 | |
직업 | 가수. |
기기 |
|
액티브 년수 | 1961년 ~ 현재 |
자크 뒤트롱크(Jacques Dutronc, 1943년 4월 28일 ~ )는 프랑스의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 작곡가, 배우이다.그는 1981년 3월 30일부터 가수 프랑수아즈 하디와 결혼했으며 두 사람은 아들(재즈 기타리스트 토마스 듀트론크, 1973년생)을 두고 있다.그는 또한 자크 랑즈만과 오랫동안 작곡 협력자였다.듀트롱크의 가장 잘 알려진 히트곡으로는 "Il est cinq heures, Paris s'veille" (올 뮤직 가이드가 "그의 최고의 시간"[1]이라고 부른 킹크스의 "Waterloo Sunset"과 비슷한 곡), "Le Responsible"[2] 그리고 "Les Couters"가 있다.
듀트롱크는 록 그룹 엘 토로 엣 레 사이클론스에서 기타를 연주했다.그는 성공적인 솔로 활동을 하기 전에 1960년대에 프랑수아즈 하디를 위해 성공적인 곡을 썼다.그의 음악은 사이키델릭 록과 개러지 록과 같은 스타일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프랑스 팝과 프랑스 록을 통합했다.그는 [3]1973년부터 영화 연기로 활동하기 시작했다.그는 모리스 피알라가 [4]감독한 반 고흐의 주연으로 세자르 남우주연상을 받았다.올 뮤직 가이드에 따르면, 듀트롱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연주자 중 한 명"[3]이지만, 영국,[5] 특히 [6]Instagram과 같은 플랫폼에서의 컬트 추종자들 외에는 "영어를 말하는 영역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고 한다.
초기 생활
자크 뒤트롱은 1943년 4월 28일 파리 9구의 67번지 루 드 프로방스에서 그의 부모 피에르와 마들렌의 고향으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는 국영 석탄 유통 사무소의 매니저였다.자크는 [7]로크루 생레옹 초등학교(현재의 리세), 에콜 드 라 블랑쉬(현재의 드라마 스쿨), 그리고 1959년부터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한 에콜 프로페셔널넬 드 드 드 생 인더스트리엘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직업
1960년대
1960년 듀트롱크는 기타 연주자, 학교 친구인 하디 칼라파테, 드러머 샤를로 베나로흐(나중에 앙드레 크루도로 대체), 가수 다니엘 드레이와 함께 밴드를 결성했다.그들은 1961년 디스케스 보그의 예술 감독인 자크 울프슨을 위해 오디션을 보았고, 그는 그들에게 엘 토로 [8]et 레 사이클론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이 그룹은 "L'Oncle John"과 "Le Vagabond"라는 두 개의 싱글을 발표했지만 듀트롱크가 군복무를 하게 되면서 [9]해체되었다.
1963년 제대한 뒤 듀트롱크는 에디 미첼의 백밴드에서 잠시 기타를 연주했고 보그에서 자크 울프슨의 [10]조수로 일하기도 했다.이 자격으로, 그는 ZouZou, Cléo, Francise Hardy와 같은 아티스트들을 위한 곡을 공동 작곡했습니다.
울프존은 듀트론크에게 소설가이자 루이 잡지의 편집자인 자크 란즈만과 함께 베냐민이라고 불리는 비트닉 가수를 위한 노래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다.벤자민은 1966년에 듀트롱크로 작곡된 곡들과 란츠만-두트롱크로 작곡된 "Cheveux longs" (긴 머리)[11]를 특징으로 하는 EP를 발매했다.그러나 울프슨은 벤자민의 "Et moi, et moi, et moi"라는 노래 녹음에 실망했다.두 번째 버전은 듀트론의 전 밴드 동료 하디 칼라파테가 보컬로 녹음했다.울프슨은 듀트론크에게 자신의 [12]버전을 녹음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지 물었다.이 싱글은 1966년 [13]9월 프랑스 차트 2위에 올랐다.
문화사학자 래리 포르티스는 뒤트롱이 미셸 폴나레프와 함께 같은 시기에 프랑스 음악계에 등장한 것을 "음악적으로 유능하고 비모방적인 흑인 및 흑인영국 영향의 결합으로 간주될 수 있는 최초의 프랑스 록 음악"이라고 묘사했다.Portis에게 Dutronc는 프랑스 샹송의 문학적 전통과 단절된 것을 의미하며,[14] 그는 언어의 구문뿐만 아니라 소리를 창조적으로 사용합니다.
1966년 말에 발매된 듀트롱크의 셀프 타이틀 데뷔 앨범은 백만 장 이상이 팔렸고 아카데미 찰스 크로스의 창립자 [15]중 한 명의 기념으로 특별 그랑프리 뒤 디스케 상을 받았다.두 번째 싱글인 "Les play boys"는 6주 동안 1위를 차지했고 60만 [16]장이 팔렸다.
뒤트롱크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프랑스 음악 스타 중 한 명이었다.그 기간 동안, 그는 7개의 히트 앨범과 20개 이상의 싱글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1967년 "J'aime les filles"와 1968년 [17]"Il est cinq heures, Paris s'eveille"이 더 1위를 차지했다.
음악평론가 마크 데밍에 따르면 "듀트롱크의 초기 히트곡은 거칠었지만 유럽 차고록에서 영리한 연습이었습니다...듀트롱크의 롤모델 밥 딜런과 레이 데이비스처럼 그는 훌륭한 가사가 없어도 충분히 강한 멜로디를 작곡할 수 있었고 그의 밴드는 그들을 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가졌습니다(그리고 사이키델릭과 하드록과 같은 음악시대와 함께 움직이는 상상력은 10년 말에 등장했습니다).[5]
1970년대

1975년까지 듀트롱크의 노래 대부분은 자크 랑즈만과 함께 썼으며, 두 곡만이 듀트롱크가 작곡했다.란즈만의 아내 안 세갈렌도 몇몇 곡에 이름을 올렸다.듀트롱크는 만화책 작가 프레드와 함께 세 곡의 노래를 썼는데, 그의 이야기는 1970년에 상업적으로 발표되기 위해서도 내레이션을 했다.1971년 랑즈만, 프랑크 하벨과 작곡가 장 피에르 부르타이어가 아르센 루팡을 TV로 각색하여 작곡하였다.듀트롱크의 1975년 앨범의 공동 작사 크레딧은 란즈만, 세르게 게인스부르, 장-루프 다바디에로 나누어져 있다.
1973년, "Et moi, et moi, et moi"는 영어 가사로 "Alright Right Alight"로 각색되어 그룹 문고 제리의 영국 3위 히트곡이 되었다.
또한 1973년, 뒤트롱은 장 마리 페리에가 감독한 영화 앙투안 엣 세바스티앙에서 배우로서의 두 번째 경력을 시작했다.두트롱크의 두 번째 영화 "가장 중요한 것: 사랑"은 안제이 줄라프스키가 감독을 맡았고 프랑스에서 큰 흥행을 거두었다.그 후 몇 년 동안 듀트롱크는 장 뤽 고다르, 클로드 렐라우치, 모리스 피알라트가 감독한 영화에 출연하며 그의 연기 경력을 위해 대부분의 에너지를 쏟았다.1977년, 그는 클로드 소테의 '마도'[18]에서의 역할로 세자르상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보도에 따르면 스티븐 스필버그는 뒤트롱크를 그의 세대에서 가장 뛰어난 프랑스 배우로 여겼으며 그를 염두에 두고 쓴 영화 '레이더스 오브 로스트 아크'의 르네 벨록 역을 맡았다.그러나 듀트롱크는 영어가 [19][20]부족하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그 역할을 맡지 못했다.
1980년대
1980년 듀트롱크는 현재 Gaumont Musique의 인 Jacques Wolfson의 지휘 아래 새 앨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울프존은 듀트롱크가 자크 랑즈만과 세르게 게인스부르 둘 다와 함께 글을 쓸 것을 제안했다.녹음 중 울프슨은 란즈만과 게인스부르에게 듀트롱크의 악기 데모 중 하나에 어울리는 대체 가사를 만들자고 제안했다.란즈만은 다른 작가와 경쟁하는 것을 반대했고,[21] 프로젝트에서 손을 뗐다.그 결과로 나온 앨범인 "Guerre et pets" ("전쟁과 방귀" - 톨스토이의 소설 제목에 대한 희곡)는 결과적으로 두 개의 란즈만-두트롱크 작곡을 포함하며, 주로 듀트롱크와 게인스부르에 의해 쓰여졌다.이 앨범의 리드 싱글인 "L'hymne ar l'amour"는 가사가 주로 인종적 욕설로 구성되어 있고(개략적으로 번역하면 "Gook, wog, towle-head, yid"), 앨범은 중간 정도의 상업적 성공에 그쳤기 때문에 거의 방송되지 않았다.1982년의 세스트 파스 뒤 브론즈 후속작인 이 작품은 현재 자크 랑즈만과 이혼한 안네 세갈렌과 함께 쓰여져 냉랭한 평가를 받았다.[22]
듀트롱크의 연기 경력은 1980년대에도 계속되었고, 그는 말레빌과 바벳 슈뢰더의 트리셔스와 같은 영화에 출연했다.1987년, 그는 더 많은 앨범인 C.Q.F.를 발매했다.듀트론치듀트롱크는 한 트랙에서 에티엔 다호, 다른 트랙에서는 코르시카 포크 그룹 I 무브리니의 장 프랑수아 베르나르디니와 함께 작업했지만 대부분의 곡들은 파트너 없이 작곡했다.
1990년대
1992년, 듀트롱크는 모리스 피알라의 전기 영화 반 고흐의 주연으로 세자르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비평가 크리스토퍼 눌은 두트롱크가 "반 고흐의 말년에 나타난 명백한 조울증을 구현하기 위해 그의 앙상한 얼굴, 움푹 패인 눈, 뼈만 앙상한 체격에서 모두 뿜어져 나왔다"고 말했다.영화 내내 앉아 있어야 할 진짜 이유가 바로 불타는 듀트롱크다.[4]
1992년 11월 뒤트롱크는 파리 카지노에서 세 번의 컴백 콘서트를 열었고, 하이라이트는 장 마리 페리에 감독의 영화, 그리고 라이브 앨범 뒤트롱 오 카지노로 개봉되었다.이 무렵 듀트롱크는 새로운 스튜디오 앨범인 Bréves rencontres 작업을 시작했지만 작업은 더디게 진행되었고 1995년까지 [23]발매되지 않았다.
1990년대에 듀트롱크는 패트릭 그랑페레가 만든 두 편의 영화에 출연했고, 니콜 가르시아의 '플레이스 벤돔'[24]에서의 역할로 1999년 세자르상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21세기
듀트롱크는 클로드 샤브롤의 2000년 영화 메르시 푸르 르 쇼콜라에 출연했다.그는 2001 마라케흐 국제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장피에르 아메리스의 쎄스트 [25][26]라비에에서의 역할로 세자르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2002년, 그는 미셸 블랑의 Summer Things에 출연했다.
2003년 듀트롱크는 록 평론가 크리스토퍼 콩테의 앨범인 마담 리존스를 위해 자크 랑즈만과 재결합했다.[27]
2005년, 듀트롱크는 명예 [28]세자르 훈장을 받았습니다.그 이후로, 그는 가브리엘 아기온과 알랭 코르노를 포함한 감독들의 영화에 출연했다.
2010년 듀트롱크는 17년 만에 투어를 마치고 라이브 앨범과 DVD, Et vous, et vous, et vous,[29] et vous로 투어 앨범을 발매했다.
듀트롱크의 41번째 영화, 레스 프란시스는 [30]2014년에 개봉되었다.
2014년 11월, 듀트롱크는 파리 베르시에서 에디 미첼, 조니 핼리데이와 함께 "Les vieilles canailles" ("The Old Gits")라는 이름으로 일련의 콘서트를 열었다.이 공연 이후 듀트롱크는 아들 [31]토마스와 함께 새 앨범 녹음을 시작할 생각이었다고 한다.
평판과 영향력
프랑스 잡지 Rock & Folk의 1979년 사설에 따르면, 듀트롱은 "1960년대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그에 [32]대해 이야기하지 않고는 그들에 대해 말할 수 없게 된 유일한 가수"라고 한다.1991년, "Il est cinq heures, Paris s'veille"은 르누벨 옵서버퇴르에 의해 Antenne 2에서 TV 특별 방송을 위해 조직된 음악 평론가 투표에서 자크 브렐의 "Ne me kitte pas"[33][34]를 제치고 역대 최고의 프랑스어 싱글로 선정되었다.
듀트롱크의 노래들은 마티외 체디드, 바네사 파라디스, 문고 제리, 에티엔 다호, 실비 바르탄, 마일스 케인, 디바인 코미디, 세르게 게인스부르, 블랙 립스, 진, 그리고 다른 인형들에 의해 커버되었다.[35][36][37][38][39][40]듀트롱크는 코너샵의 노래 "Brimful of Asha"[41]의 가사에도 언급되어 있다.
2015년에는 컬럼비아 레코드에 의해 자크 뒤트롱크의 곡을 해석한 다양한 아티스트가 참여한 헌정 앨범이 발매되었습니다.13곡의 앨범 '조이외르 뒤트롱'은 줄리앙 도레, 가에탄 루셀, 자즈, 조이스타르, 나시(튀소), 바가르, 토마스 뒤트롱크, 애니 코디, 듀오 브리지트, 미렐세크, 프랜시스코, 프랜시스의 공연을 담고 있다.일키스.[42] 그 [43]앨범은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차트화 되었다.
사생활
듀트롱크는 1967년 보그지의 레이블 동료인 프랑수아즈 하디와 사귀기 시작했다.1973년, 그들은 아들 토마스(Thomas)를 두었는데, 그는 자라서 성공적인 재즈와 팝 뮤지션이 되었다.Hardy에 따르면 1981년에 그들은 "세금상의 이유"로 결혼했다.1998년 자크는 영화 'Place Vendome'[44] 촬영장에서 만난 스타일리스트와 사귀기 시작했다.듀트롱크와 하디는 이제 별거 중이지만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45]만나고 있다.
그는 현재 코르시카 [46]몬티첼로 마을 근처에 살고 있다.
2015년, 듀트롱크는 로미 슈나이더와 짧은 교제를 가졌으며 그들이 영화 "가장 중요한 것: 사랑"[47][46]을 촬영하는 동안 지속되었다고 밝혔다.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연도 | 원제목 | 번역. | 작곡가 | 라벨. | 메인 트랙 |
---|---|---|---|---|---|
1966 | Et moi et moi et moi | 앤 미 앤 미 미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 보그 | Et moi et moi et moi 레즈플레이 보이즈 선인장 라 필 뒤 페르 노엘 nous cache tout on nous dit rien Les gens sont fouse, les temps sont flues 미니 미니 미니 라 콤파파데 |
1968 | 파리 세빌의 일 est cinq heures | 5시야, 파리는 깨어있다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안네 세갈렌 | 파리 세빌의 일 est cinq heures 파이스파스파스파사 라그네이션 라 퍼블리시테 레포르메 | |
기회주의자 | 오퍼튜니티스트 | 기회주의자 zing토우트 베르징게 아머투주르 텐드레스 애무 | |||
1969 | 책임감 있는 사람 | 책임 있는 사람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 라벤투리에 로테세데에르 리돌 책임감 있는 사람 | |
1971 | 자크 뒤트롱크 71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장피에르 부르타이어 프레드 | 라르센 르퐁 드 레르 에스트 프레이 레스통스콩갈로아 | ||
1972 | 자크 뒤트롱크 72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세르게 게인스부르 프레드 | 르쁘띠자르댕 엘르 에스트시 | ||
1975 | 자크 뒤트롱크 75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세르게 게인스부르 장루프 다바디 이브 데스카 프랑크 헤르발 | 랄랑테레스 르 테스타무르 젠틀맨 캠브리올레르 Les Roses fané - 제인 버킨과 함께 르 브라 메카니크 | ||
1980 | 게레 펫 | 전쟁과 방귀 | 자크 뒤트롱크 세르게 게인스부르 앙드레 살벳 루시엔 모리세 | 고몽 | L'hymne l l'amour (moi l'n'ud) 르 템프 드 라무르 매출액 |
1982 | 쎄스트 파스 뒤 브론즈 | That's Not Bronze | 자크 뒤트롱크 안네 세갈렌 | 쎄스트 파스 뒤 브론즈 토레즈고츠당스마 자연 Savez-vous planquer vos sous | |
1987 | C. Q. F. 듀트론크 | 자크 뒤트롱크 샤를리즈 기 압작 | CBS | 레스가르 드 라 나린 아편 - 밤부 포함 | |
1995 | 브르베 렌콘트르 | 짧은 만남 | 자크 뒤트롱크 토머스 듀트롱크 데이비드 맥 닐 린다 레 장 포케 아르노 가루 | 컬럼비아 | Tou les gotsts sont dans ma nature - 아티엔 다호랑 엔트레스 엠시어 단스 랑 후마니테 엘르 메아 리엔 디트 |
2003 | 존재여사 | 존재여사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알랭 루브라노 물루지 조르주 반 파리스 데이비드 맥 닐 | 운쥬르 투 베라 롬므 엣 랑팡 |
기타 주목할 만한 싱글
연도 | 원제목 | 번역. | 작곡가 | 라벨. |
---|---|---|---|---|
1968 | 하이메 레스필 | 나는 소녀들이 좋아요.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 보그 |
1975 | 라 발라드 뒤 봉에데 메샹스 (Claude Lelouch의 영화에서 나온 음악) | 선인과 악인의 발라드 | 필립 라브로 프란시스 라이 | |
르 드라구르 데 수페르마치 | 슈퍼의 유혹자 | 자크 뒤트롱크 자크 랑즈만 |
라이브 앨범
연도 | 원제목 | 번역. | 라벨. |
---|---|---|---|
1992 | 듀트롱코 카지노 | 카지노의 듀트롱크 | 컬럼비아 |
2010 | Et vous et vous et vous | 그리고 너, 너, 너 |
선택필름그래피
연도 | 제목 | 역할. | 감독. |
---|---|---|---|
1974 | 앙투안과 세바스찬 | 세바스티앙 | 장마리 페리에 |
OK 패트론 | 레옹 보닛 | 클로드 비탈 | |
1975 | 가장 중요한 것: 사랑 | 자크 슈발리에 | 안제이 우와프스키 |
1976 | 좋은 것과 나쁜 것 | 자크 | 클로드 렐루치 |
마도 | 피에르 | 클로드 소테 | |
1977 | 비올레트 외 프랑수아 | 프랑수아 | 자크 루피오 |
르퐁 드 미르 | 줄리앙 | 장클로드 트라몽 | |
1978 | 지저분한 몽상가 | 제롬 | 장마리 페리에 |
새비지 스테이트 | 아비트 | 프란시스 지로드 | |
1979 | 사랑하는 사람에게 돌아가다 | 줄리앙 | 장프랑수아 아담 |
우리 둘 | 사이먼 라카사이네 | 클로드 렐루치 | |
1980 | 슬로모션 일명.Every Man for Helf | 폴 고다드 | 장뤼크 고다르 |
1981 | 말레빌 | 콜린 | 크리스티안 드 샬롱 |
1984 | 트리셔스 | 엘릭 | 바르벳 슈뢰더 |
1989 | 나의 밤은 너의 낮보다 아름다워 | 루카스 | 안제이 우와프스키 |
1991 | 반 고흐 | 반 고흐 | 모리스 비알라 |
1992 | 송곳니 송곳니 송곳니 송곳니 | 앙투안 가르델라 | 미셸 드빌 |
1998 | 판매점 | 바티스텔리 | 니콜 가르시아 |
2000 | Merci pour le chocolat | 안드레 폴롱스키 | 클로드 샤브롤 |
2002 | 여름의 물건 | 베르트랑 라니에 | 미셸 블랑 |
2007 | 세컨드 윈드 | 스타니스 올로프 | 알랭 코르노 |
「 」를 참조해 주세요.
참고 문헌
- 미셸 레이디에(2010).자크 듀트롱크: 라 바이오.파리: Seuil. ISBN978-2-02-101287-3
레퍼런스
- ^ Kik, Quint. "Jacques Dutronc (Il Est Cinq Heures, Paris S'Éveille)". All Music Guide. Retrieved 14 September 2011.
- ^ Bush, John. "Dutronc". All Music Guide. Retrieved 14 September 2011.
- ^ a b German, Yuri. "Jacques Dutronc". All Music Guide. Retrieved 14 September 2011.
- ^ a b Null, Christopher (29 December 2006). "Van Gogh". AMC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12. Retrieved 14 September 2011.
- ^ a b Deming, Mark. "Et Moi et Moi et Moi: Jacques Dutronc 1966–69". All Music Guide. Retrieved 14 September 2011.
- ^ @tronc_heads (29 August 2021). "tronc_heads" – via Instagram. 누락 또는 비어 있음(도움말)
- ^ 레이디어 (2010), 36–52페이지
- ^ Leydier (2010), 페이지
- ^ Leydier (2010), 76페이지
- ^ 레이디어 (2010), 81-82페이지
- ^ "Benjamin – Mon Ami D'autrefois". Discogs.
- ^ Neuhoff, Eric (18 July 2011). "Et moi, et moi, et moi de Jacques Dutronc: La France en chanson". Le Figaro.
- ^ "Hits of the World". Billboard. 17 September 1966. p. 44.
- ^ Portis, Larry (2004). French Frenzies: A social history of pop music in France. College Station, TX: Virtualbookworm. p. 147.
- ^ "Jacques Dutronc biography". RFI 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anuary 2014.
- ^ "Hits of the World". Billboard. 7 January 1967. p. 39.
- ^ "Hits of the World". Billboard. 27 April 1968. p. 53.
- ^ "César Awards, France (1977)". IMDB.
- ^ 짐 스미스(2003년).조지 루카스.런던:버진 북스, 120페이지
- ^ 그리고 드롤 뒤 시네마.파리: 르쉐 미디, 2013년.
- ^ Leydier (2010). 페이지 185.
- ^ Leydier (2010). 페이지 187.
- ^ 레이디어(2010), 페이지 242
- ^ "César Awards, France (1999)". IMDB.
- ^ "Edition 2001: Palmarès".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de Marrake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anuary 2012.
- ^ "César Awards, France 2002)". IMDB.
- ^ Conte, Christophe (30 April 2003). "Jacques Dutronc - Madame l'Existence". Les Inrockuptibles.
- ^ "Tautou film tops Cesar prize nods". BBC News. 25 January 2005.
- ^ "Jacques Dutronc - Et Vous, et Vous, et Vous". All music.
- ^ "Les Francis". Mars Distribution.
- ^ "Johnny Hallyday, Jacques Dutronc & Eddy Mitchell ŕ Paris-Bercy les 5, 6 et 7 novembre 2014". Chartsinfrance.net. 14 April 2014. Retrieved 29 June 2014.
- ^ 레이디어 (2010). 페이지 184
- ^ "Jacques DUTRONC vainqueur des 45 tours". Institut National de l'Audiovisuel.
- ^ "Best title". Le Soir. 2 February 1991. p. 28.
- ^ "Sylvie Vartan official website". Sony Music.
- ^ Larkin, Collin (2006).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70.
- ^ "L'été en musique avec Le Live: -M-". Le Figaro. 12 July 2013.
- ^ "Le Responsable/The Responsible Jacque Dutronc Cover". Miles Kane official website.
- ^ "Bang Goes the Knighthood". Discogs.
- ^ "Gainsbourg Confidential". Discogs.
- ^ "Brimful Of Asha meaning explained". Cornershop. 8 August 2003. Retrieved 12 July 2021.
- ^ iTunes - 다양한 아티스트의 Joyeux 기념일자 M'sieur Dutronc
- ^ Lescharts.com: 다양한 아티스트의 Joyeux 기념일자 M'siur Dutronc
- ^ Leydier (2010), 페이지 253
- ^ "Francoise Hardy, Thomas Dutronc: Mér-fils, face-a-face", Psychologies, 2009년 3월파리: SELMA.
- ^ a b "Jacques Dutronc ac am Vanity Fair" (Jacques Dutronc raconte am am mour secret avec Romy Schneider) (Jacques Dutronc는 Romy Schneider와의 비밀 연애에 대하여)" (프랑스어) 미셸 데니소트 데니소의 2015년 2월 17일
- ^ "Jacques Dutronc Raconte sa relociation avec Romy Schneider"(Jacques Dutronc는 Romy Schneider와의 관계에 대해 말한다) 2014년 1월 23일 엘르 카디자 무사우(프랑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