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킬 + 하이드
Jekyll + Hyde지킬 + 하이드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2015년 4월 28일 | |||
장르. | ||||
길이 | 1:06:02 | |||
라벨 | ||||
프로듀서 | ||||
잭 브라운 밴드 연대기 | ||||
| ||||
지킬 + 하이드의 싱글 | ||||
지킬 + 하이드(Jekyll + Hyde)는 잭 브라운 밴드의 네 번째 메이저 레이블 스튜디오 앨범이다.2015년 4월 28일 발매되었다.[2]이 앨범의 리드 싱글인 "Homegrowed"는 2015년 1월 12일에 발매되었다.[3]크리스 코넬이 출연한 "헤비 이즈 더 헤드"는 두 달 후 록 형식으로 개봉되었다."Loving You Easy"는 이 앨범의 두 번째 컨트리 발매곡이며, 전체적으로는 세 번째 싱글이다.
프로모션
밴드는 2015년 대학 풋볼 플레이오프 내셔널 챔피언십 프리게임 쇼에서 앨범에 수록된 "Homegrowed"와 "Dress Blues"를 연주했다.[4]2015년 3월 7일, Saturday Night Live에서 밴드는 "Heavy Is the Head"와 "Heavy Is the Head"를 공연했고, 후자는 트랙에서 게스트 보컬을 제공하는 Soundgarden의 프런트맨 Chris Cornell과 함께 공연했다.[5]이 밴드는 2015년 5월 앨범 홍보차 지킬 + 하이드 투어에 나섰다.[5]
상업적 성과
이 앨범은 2015년 5월 3일에 끝나는 주에 미국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1위로 데뷔하여 22만 8천 장의 앨범과 동등한 유닛(전통 판매량 21만 4천 장)을 벌어들여 빌보드 200 차트에서 세 번째 1위를 차지했다.[6]이 앨범은 2015년 9월 11일 RIA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7]2016년 8월 현재 이 앨범은 미국에서 67만 2400장이 팔렸다.[8]
임계수신호
총점수 | |
---|---|
출처 | 순위 |
메타크리트어 | 55/100[9] |
점수 검토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빌보드 | ![]() ![]() ![]() ![]() ![]()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 C+[12] |
뉴욕 타임즈 | 혼합된[13] |
구르는 돌 | ![]() ![]() ![]() ![]() ![]() |
빌보드의 칼 윌슨은 별 5개 중 3.5개를 꼽았다.그의 평론에는 "앨범은 밴드의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다양성에 맞추거나 심지어 앞서기 위한 선의의 노력이며, 음악적 성격의 변화는 그룹의 싱거움 경향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며, 브라운이 비록 의인적이긴 하지만 진실되게 일반적인 목소리를 가리는 역할을 한다.그러나 일부 장기 팬들은 앨범 이름을 빌려주는 두 얼굴의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캐릭터만큼 악랄하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그는 또한 "드레스 블루스"가 가장 강한 트랙이라고 생각했다.[11]Also giving it 3.5 out of 5, Thom Jurek of Allmusic expressed general favor in the variety of stylistic choices, highlighting "Dress Blues", "Junkyard", "Remedy", "Loving You Easy", and "One Day" in particular, adding that "The stylistic range of Jekyll + Hyde proves that ZBB's reach is almost limitless, and this set will more than likely delight그 그룹의 팬들 군단들."하지만 그는 '와일드파이어'와 '내일도 안 온다'의 어쿠스틱 연출을 '불필요하다'고 비판하며 제작이 '너무 밝다'[10]고 생각했다.롤링스톤의 윌 헤르메스는 5명의 스타 중 3명을 출연시키며 앨범에 수록된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칭찬했지만, 일부 곡은 "조금 예측이 가능하다"고 느꼈다.그는 제이슨 이스벨이 쓰고 원래 녹음한 '드레스 블루스'가 가장 강한 트랙이라고 생각했다.[14]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기고문에서 카일 앤더슨은 "브라운은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앨범 'C+' 등급을 매겼다.내슈빌 형식주의라는 까다로운 세계에서 그의 밴드를 성공으로 이끈 것은 존경할 만한 전망이다.하지만 이 그룹의 네 번째 스튜디오는 가장 비트가 맞지 않는 여행을 훨씬 뛰어넘어 항상 더 나은 것은 아니지만...브라운의 보컬은 지킬+하이드의 다중인격에도 잘 적응하지만 앨범의 결속력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연속성을 제공할 수 없고, 경계선 구린 도박은 흥미보다는 산만하다.이 앨범은 ZBB가 확실히 범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그러나 어느 순간 실험은 자기 방종으로 변질되고, 브라운은 결코 지킬의 정체성 위기를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그는 '젊고 거칠다'와 '헤비 이즈 더 헤드'가 가장 강한 트랙이라고 생각했다.[12]뉴욕 타임즈의 존 카라마니카는 이 앨범이 "앞으로 나아갈 길을 암시한다"고 말하면서 엇갈린 평을 했다.이 앨범은 당시의 힙합 하이브리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부드러운 록, 컨트리 록, 하드 록, 헤비시 메탈, 빅 밴드 음악, 블루그래스, 그리고 전자 음악 감성의 거대한 혼합물을 제공한다."카라마니카는 브라운의 노래에 대해서도 "여기 '드레스 블루스'에서처럼 상상력이 없는 목소리가 노래를 망칠 수 있고 서정적인 상투적인 상투적인 곡들을 좀처럼 지나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그가 '어느 날'에서처럼 케니 로저스를 소환할 때는 효과적이지만, 오히려 더 자주 부담이 된다."그는 또 "브라운 씨가 마음을 놓을 때도 밴드는 연약한 상자 안에 갇혔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 안간힘을 쓰고 있다"[13]는 음악 편곡에 대해서도 생각했다.
트랙리스트
No. | 제목 | 작성자 | 프로듀서 | 길이 |
---|---|---|---|---|
1. | "아름다운 약" | 젝 브라운, 니코 문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3:11 |
2. | "러빙 유 이지" | 브라운, 문, 알 앤더슨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2:35 |
3. | "레메디" | 브라운, 문, 와이어트 더레트, 케브 모 | 아레나 프로덕션에서 대럴 스콧 | 3:51 |
4. | "자생" | 브라운, 문, 더렛 | 잭 브라운, 제이 조이스 | 3:25 |
5. | "망고 나무"(새라 바릴레스를 맛보기) | 브라운, 문, 안나 하우드 | 아레나 프로덕션에서 스콧, 짐 호크 | 3:41 |
6. | "Heavy Is the Head"(크리스 코넬) | 브라운, 문, 더렛, 존 드리스켈 홉킨스, 지미 드 마르티니, 스콧 | 아레나 프로덕션에서 스콧 | 3:59 |
7. | "달콤한" | 브라운, 문, 더렛 | 브라운, 조이스 | 5:10 |
8. | "캐스터웨이" | 브라운, 문, 듀레트, 코이 보울스, 홉킨스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3:08 |
9. | "내일 네버 컴츠" | 브라운, 문, 더렛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3:58 |
10. | "어느 날" | 브라운, 듀레트, 리치 로빈슨, 사라 듀가스, 크리스티안 듀가스, 맷 망가노 | 아레나 프로덕션에서 CeeLo Green | 3:49 |
11. | 드레스 블루스 (감미로운 보석) | 제이슨 이스벨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5:30 |
12. | "영 앤 와일드" | 브라운, 문, 더렛, 아모스 리, 보울스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3:14 |
13. | "준카드" (핑크 플로이드의 "밖에 누구 없어?"의 요소 포함) | 브라운, 로저 워터스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7:13 |
14. | "당신의 남자가 될 거야(딸을 위한 노래)" | 브라운, 문, 더렛, 보울스, 스콧, 홉킨스 | 아레나 프로덕션에서 스콧 | 5:48 |
15. | "와일드파이어" | 브라운, 에릭 처치, 듀렛, 리즈 로즈, 클레이 쿡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2:46 |
16. | "Tomorrow Never Comes"(음향 버전) | 브라운, 문, 더렛 | 인 더 아레나 프로덕션 | 4:36 |
총 길이: | 1:06:02 |
인원
라이너 노트로 컴파일됨.[15]
잭 브라운 밴드
- Zac Brown – 리드 보컬, 어쿠스틱 기타, 전기 기타, 밴조, 프로그래밍
- Coy Bowles – 전동 기타, 슬라이드 기타, 공명 기타, Hammond 오르간, Wurlitzer 전기 피아노
- 클레이 쿡 – 배경 보컬, 피아노, 키보드, 전기 기타, 멜로트론, 해먼드 오르간, 우쿨렐레, 클라비넷, 페달 스틸 기타, 펜더 로즈, 워리처 전기 피아노, 글로켄스피엘, 내셔널 기타
- 대니얼 드 로스 레이즈 – 타악기
- Jimmy De Martini – 배경 보컬, 바이올린, 바이올린, 바이올린, 현, 첼로, 통기타
- Chris Fryar – 드럼
- John Driskell Hopkins – 배경 보컬, 바리톤 기타, 통기타, 전기 기타, 밴조, 우쿨렐레
- Matt Mangano – 어쿠스틱 베이스 기타, 베이스 기타, 직립 베이스, 어쿠스틱 기타, 전기 기타
추가 음악가
- Sara Bareilles – 듀엣 보컬(5번 트랙)
- 비니 시슬레스키 – 트럼펫(5번 트랙)
- 크리스 코넬 – 듀엣 보컬(6번 트랙)
- 도널드 던레이비 – 전동 기타(6번 트랙)
- 벨라 플렉 – 밴조(9, 13번 트랙)
- 배리 그린 – 트롬본(5번 트랙)
- Steve Herrmann – 트럼펫(5번 트랙)
- 존 힌치 – 트럼펫(5번 트랙)
- Jim Hoke – 테너 색소폰(5번 트랙), 플루트(5번 트랙)
- 바이런 하우스 – 직립 베이스(16번 트랙)
- 보석 – 배경 보컬 (11번 트랙)
- Jay Joyce – 타악기(4번 트랙), 프로그래밍(4번 트랙)
- Randy Leago – 바리톤 색소폰(5번 트랙)
- Michael McGoldrick – Uilean 파이프(3번 트랙), 아일랜드 플루트(3번 트랙), 페니휘슬(3번 트랙)
- Niko Moon – 배경 보컬(트랙 1, 프로그래밍 3, 13)
- 미키 라파엘 – 하모니카 (16번 트랙)
- Darrell Scott – 어쿠스틱 기타 (트랙 3, 16), 전동 기타 (트랙 3, 6), 밴졸린 (트랙 3, 6), 페달 스틸 기타 (트랙 6, 16), 배경 보컬 (트랙 6, 14), "음향 현악기" (트랙 14), 피아노 (트랙 16)
- Ben Simonetti – 프로그래밍(트랙 1, 2, 3, 10, 12), 트럼펫(트랙 10)
"Remedy"와 "I'll be Your Man"의 합창단: 대럴 스콧, 모린 머피, 사라 듀가스, 존 코완, 오데사 세틀레스, 릭 존스, 제이슨 에스크리지
기술
- Brandon Bell – 엔지니어링(트랙 3, 6, 8, 11, 13, 14, 15), 혼합(트랙 11, 14, 15)
- Chris Bellman – 마스터링(모든 트랙)
- Mario Borgatta – 믹스 어시스턴트 (트랙 13)
- Zac Brown – 생산(트랙 4, 7)
- 마틴 쿡 – 엔지니어링 (트랙 13)
- Paul Cossette – 엔지니어링(7번 트랙)
- 리치 코스티 – 혼합(트랙 13)
- Nicholas Fournier – 엔지니어링 (트랙 13)
- CeeLo Green – 생산(10번 트랙)
- Jason Hall – 혼합(4번 트랙), 엔지니어링(4번 트랙, 7번 트랙)
- Jim Hoke – 프로덕션(5번 트랙)
- 아레나 프로덕션 – 프로덕션(4, 7을 제외한 모든 트랙)
- Jay Joyce – 생산(트랙 4, 7), 혼합(4트랙)
- 카일 레닝 – 엔지니어링(5번 트랙)
- 숀 펠란 – 엔지니어링 (트랙 10)
- Anthony Ruotolo – 엔지니어링(5번 트랙)
- Andrew Schps – 혼합(4, 9, 11, 13, 14를 제외한 모든 트랙)
- Darrell Scott – 프로덕션(트랙 3, 5, 6, 14)
- Ben Simonetti – 엔지니어링(트랙 1, 2, 5, 6, 9, 10, 12, 16), 혼합(9번 트랙)
- 카일 스티븐스 – 엔지니어링(6번 트랙)
- Tom Syrowski – 엔지니어링(6번 트랙)
차트
주간 차트
| 연말 차트
|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캐나다(음악 캐나다)[28] | 금 | 40,000^ |
미국(RIAA)[29] | 금 | 672,400[8] |
^ 출하량은 인증만으로 계산된다. |
참조
- ^ (PDF) https://www.countryaircheck.com/pdf_publication/Issue_463%20-%20August%2031,%202015.pdf. Retrieved 2016-09-19.
{{cite web}}
:누락 또는 비어 있음title=
(도움말) - ^ "News". Zac Brown B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5-08. Retrieved 2015-04-24.
- ^ Dunkerley, Beville (2015-01-12). "Zac Brown Band, 'Homegrown' Is First Single From New Label Partnership". Rolling Stone. Retrieved 2015-04-24.
- ^ "Zac Brown Band to Headline College Football Tailgate". Tasteofcountry.com. Retrieved 2015-04-24.
- ^ a b Dunkerley, Beville (2015-03-05). "Zac Brown Band Announce New Album 'Jekyll + Hyde' and Tour Dates". Rolling Stone. Retrieved 2015-04-24.
- ^ Keith Claufield (May 6, 2015). "Zac Brown Band Earns Third No. 1 Album on Billboard 200 Chart". 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Retrieved May 8, 2015.
- ^ "RIAA – Gold & Platinum: Zac Brown Band albums". RIAA.com.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Retrieved September 19, 2015.
- ^ a b Bjorke, Matt (August 29, 2016). "Top 10 Country Album Sales Chart: August 29, 2016". Roughstock.
- ^ "Jekyll + Hyde Reviews". Metacritic.com. Retrieved 4 May 2015.
- ^ a b Jurek, Thom. "Jekyll + Hyde". Allmusic. Retrieved 4 May 2015.
- ^ a b Wilson, Carl (28 April 2015). "Album Review: Zac Brown Band Captures Its Onstage Madness With 'Jekyll + Hyde'". Billboard. Retrieved 4 May 2015.
- ^ a b Anderson, Kyle (28 April 2015). "Jekyll + Hyde by Zac Brown Band: EW review".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4 May 2015.
- ^ a b Caramanica, Jon (28 April 2015). "Review: Zac Brown Band's 'Jekyll + Hyde'".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4 May 2015.
- ^ a b Hermes, Will (28 April 2015). "Jekyll + Hyde review". Rolling Stone. Retrieved 4 May 2015.
- ^ Jekyll + Hyde (CD booklet). Zac Brown Band. John Varvatos/BMLG/Southern Ground/Republic. 2015. B0022962-02.
{{cite AV media notes}}
: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 ^ "Australiancharts.com – Zac Brown 밴드 – 지킬 + 하이드"헝 메디엔.2015년 5월 9일 회수
- ^ "잭 브라운 밴드 차트 히스토리 (캐나다 앨범)"빌보드.
- ^ "Swisscharts.com – Zac Brown 밴드 – 지킬 + 하이드"헝 메디엔.2015년 5월 11일 회수.
- ^ "공식 앨범 차트 상위 100위"공식 차트 회사.2015년 5월 03일 회수
- ^ "잭 브라운 밴드 차트 히스토리 (빌보드 200)"빌보드.
- ^ "잭 브라운 밴드 차트 히스토리 (톱 컨트리 앨범)"빌보드.
- ^ "Top Canadian Albums – Year-End 2015". Billboard. Retrieved July 17, 2020.
- ^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2015". Billboard. Retrieved July 17, 2020.
- ^ "Top Country Albums – Year-End 2015". Billboard. Retrieved July 17, 2020.
- ^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2016". Billboard. Retrieved July 17, 2020.
- ^ "Top Country Albums – Year-End 2016". Billboard. Retrieved July 17, 2020.
- ^ "Top Country Albums – Year-End 2017". Billboard. Retrieved July 17, 2020.
- ^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Zac Brown Band – Jekyll + Hyde". Music Canada.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Zac Brown Band – Jekyll + Hyde".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