옌스 아돌프 제리차우
Jens Adolf Jerichau옌스 아돌프 제리차우 | |
---|---|
![]() 아내 엘리자베트 제리차우바우만 옌스 아돌프 제리차우 | |
태어난 | 덴마크 어센스 | 17 1816년 4월
죽은 | 1883년 7월 25일 덴마크 코펜하겐 | (67세)
휴게소 | 솔베르크 공원묘지 |
국적 | 덴마크어 |
교육 | 덴마크 왕립 미술원 |
로 알려져 있다. | 조각가 |
주목할 만한 작품 | 한스 크리스티안 외스테드 기념비 (1876년) |
움직임 | 신고전주의(초기작) 자연주의(더 늦게 작업) |
수상 | 토르발덴 메달(1847년) |
에밀 옌스 바우만 아돌프 제리차우(1816년 4월 17일 – 1883년 7월 25일)는 덴마크의 조각가였다. 그는 로마에서 잠시 일했던 베르텔 토르발센 직후 세대에 속했으나, 그로부터 물려받은 정적 신고전주의에서 점차 벗어나 보다 역동적이고 현실적인 스타일을 지향했다. 그는 1857년부터 1863년까지 덴마크 왕립미술아카데미에서 교수로 재직했다.[1]
어린 시절과 경력
옌스 아돌프 제리차우는 덴마크 푸넨 섬의 아센스에서 식료품상과 중위 칼 크리스티안 제리차우와 그의 아내 카렌 버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화가 견습생으로 1년 반 동안 일하다가 1831년 왕립미술학교에 입학한 코펜하겐으로 여행을 떠났다. 1833년 모델스쿨에 합격하여 회화학교에 계속 진학하였고, 동시에 두 개의 은메달을 모두 딴 후 화가 빌헬름 에커스베르크(1783–1853)와 함께 사학을 공부하였다. 그리고 1836년 그는 독일 태생의 조각가 헤르만 에른스트 프룬트와 함께 조각하기 시작했다.[2][3]
로마에서의 세월
1837년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제리차우는 로마로 여행을 갔고, 그곳에서 베르텔 토르발센의 작업실에서 약 1년 동안 일했다. 조각 헤라클레스와 헤베(1846년, 나이 칼스베르크 글리토텍의 원본 모델) 등의 초기 작품과 1849년 그의 거대한 그리스도상 등은 토르발센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있는 강력한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되어 있다. 그는 알렉산더 대왕의 록산느와의 결혼을 묘사하면서 코펜하겐의 왕궁 크리스천보그에 있는 프리즈에 대한 근위축제를 통해 자신의 소명을 확립했다. 1864년에 완공된 이 작품은 1884년 크리스천보그 궁전에서 발생한 화재로 훼손되거나 폐허가 된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들 중 다수처럼 후에 불에 탔다.[4]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는 것
세계적인 찬사를 받은 조각그룹 페넬로페(1845~46, 덴마크 국립미술관)와 함께 정적인 신고전주의에서 벗어나 더욱 극적이고 역동적인 스타일로 나아갔다. 그는 또한 팬더 헌터(1846, 덴마크 국립 미술관)와 같은 자연 묘사를 창조했다.[5]
그의 보다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물리학자인 한스 크리스티안 외스테드(1777–1851)를 기리는 한스 크리스티안 외스테드 기념비가 있을 것이다. 그 기념비는 화강암 기단 위에 청동으로 주조되었다. 동상 아래에는 우르드르(과거), 베르산디(현재), 스컬드(미래)의 노르망디 3인이 앉아 있다. 코펜하겐 중심부의 외스테드스파르켄에 위치한 이 기념비는 1876년에 출범했다.[6]
가족
제리차우는 화가 엘리자베트 제리차우바우만 (1819–1881)과 결혼하여 9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들은 작곡가 토랄드 제리차우(1848–1909)와 풍경화가 하랄드 제리차우(1851–1878)와 홀거 H. 제리차우(1861–1900)의 부모였다.[7][8][9]
옌스 아돌프 제리차우는 코펜하겐에서 사망했고 솔베르크 공원 묘지에 묻혔다.[5]
선택한 작품
- 가을 전 아담과 이브(1863년) 니 칼스버그 글리토텍, 코펜하겐
- 스탠딩 고트 (1845) 덴마크 국립 미술관, 코펜하겐
- 목욕 소녀 (1862) 덴마크 국립 미술관, 코펜하겐
- 잠자는 리퍼 (1852) 나이 칼스버그 글리토텍, 코펜하겐
- 죽은 새를 가진 어린 소녀 (1871) 니 칼스버그 글리토텍, 코펜하겐
- 코펜하겐, 덴마크 국립 미술관 팬더 헌터 (1846)
- 코펜하겐, 덴마크 국립 미술관, 슬레이브 걸 (1860)
공공미술
참고 항목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젠스 아돌프 제리차우(스컬프터)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고 문헌 목록
- 니콜라이 뵈그, 에린드링거 og og oom 아돌프 제리차우 (1884년).
참조
- ^ "Jens Adolf Jerichau". Store norske leksikon. Retrieved February 1, 2021.
- ^ "C.W. Eckersberg". Den Store Danske. Retrieved February 1, 2021.
- ^ "Hermann Ernst Freund". Den Store Danske. Retrieved February 1, 2021.
- ^ 뉴욕타임즈 (1883년 7월 26일 ~ ) "오비투사"
- ^ a b "Adolf Jerichau". Dansk Biografisk Leksikon. Retrieved February 1, 2021.
- ^ "H.C. Ørsted". Dansk Biografisk Leksikon. Retrieved February 1, 2021.
- ^ "Elisabeth Jerichau Baumann (1819-1881)". Dansk Kvindebiografisk Leksikon. Retrieved February 1, 2021.
- ^ "Harald Jerichau". Weilbachs Kustnerleksikon. Retrieved February 1, 2021.
- ^ "Holger H. Jerichau". Weilbachs Kustnerleksikon. Retrieved February 1,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