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브렘 그루지치

Jevrem Grujić
제브렘 그루지치
Jevrem-grujic-712x1024.jpg
내무부 장관
세르비아 공국
재직중
1859년 7월 23일 – 1859년 8월 4일
모나크밀로시 오브레노비치
선행자밀리보예 요바노비치
성공자블라디슬라프 부조비치
법무부 장관
재직중
1859년 7월 4일 – 1859년 8월 4일
모나크밀로시 오브레노비치
선행자조반 필리포비치
성공자마티자 시믹
법무부 장관
재직중
1860–1861
모나크미하일로오브레노비치
선행자제브렘 그루지치
성공자조르드제 D.세니치
내무부 장관
재직중
1875년 8월 31일 – 1875년 10월 8일
모나크밀란 오브레노비치
선행자다닐로 스테파노비치
성공자류보미르 칼예비치
법무부 장관
세르비아 공국
재직중
1876년 4월 24일 – 1878년 10월 13일
모나크밀란 오브레노비치
선행자스토얀 마르코비치
성공자디미트리제 마티치
개인내역
태어난(1827-11-08)8 1827년 11월
다로사바, 세르비아 공국
죽은1895년 9월 15일 (1895-09-15) (67세)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왕국
배우자젤레나 그루지치
아이들.슬라브코 그루지치
미르카 그루지치
친척들.마벨 그루지치( 며느리)
모교리체 크네예빈 스르비제
소르본 로스쿨
하이데베르크 대학교
직업변호사, 정치인, 외교관
수상흰독수리 훈장
타코보 십자가 훈장

제브렘 그루지치(세르비아어: ееррммрр)));;;; 1827년 11월 8일 ~ 베오그라드, 1895년 9월 15일)는 19세기 중후반 세르비아의 변호사, 정치인, 외교관이었다.[1]그루지치는 세르비아 정계의 최고위급에서 활약하며 새로운 법 제정과 복수의 내각 구성원에 기여했다.세르비아 자유주의의 저명한 사상가로서, 그리고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일원으로서,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왕자의 절대주의 정권과 자주 충돌했다.그의 경력 동안 여러 번 투옥되었고, 대중의 지지는 그루지치를 석방하는 결과를 낳았다.

조기 및 대학원 연구

제브렘 그루지치는 1826년 7월 23일 가부장적 농민 가문의 아란젤로바크 인근 다로사바 마을에서 태어났다.[2]그의 아버지는 상인이자 국가 고위 관료였다.원래 몬테네그로 출신인 그의 조상은 17세기에 세르비아로 이주하여 동명의 마을을 세웠다.[3]그루지치 가문의 창시자인 그루지차 셰스타노비치(Grujichea Schestanovichi)는 세르비아의 반란에 모두 참가했으며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왕자의 1대 통치 기간 동안 만난 대중 집회의 부관이었다.그루지치는 체육관을 졸업한 후 1846년 베오그라드의 리셉에 등록했다.[4]

1847년 제브렘 그루지치는 다른 라이스움 학생들과 함께 세르비아 청년회(Druinaina mladeži srpske)를 설립했는데, 이 협회는 부르샨샤프텐에서 영감을 얻었다.[a]드루지나의 연보인 '네븐 슬로지'에서 제브렘 그루지치는 '국가의 수평'(Obzor države)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그 후 그 기사는 그루지크의 세대가 결국 받아들이고 채택할 세르비아 자유주의의 진술이 되었다.[5]

그루지치는 한 나라의 역할은 국민에게 행복과 행복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그는 교회를 비판하고, 학교와 교육을 찬양하고, 진보에 대한 믿음을 표현했으며, 세르비아의 현재 분위기를 경멸했다.세르비아는 여전히 오스만 제국의 신하였기 때문에 세르비아인은 외적이나 내적 자유를 갖지 못했고 게다가 그것은 어떤 종류의 헌법상의 권리도 박탈당했다.[6]그의 강령의 목표는 외국 정부로부터 세르비아 민족을 해방시키고, 다른 슬라브인들과의 관계 개선이었다.제브렘 그루지치는 "독립적이고 합법적인 세르비아의 자유주 만세"라는 탄성으로 글을 마쳤다.[7][8]

1849년 그는 정부 장학금을 받았고 유럽의 두 명문 대학에서 법을 공부했다.하이데버그와 소르본느.[b]1850년 그는 공부를 계속하기 위해 파리로 건너갔고, 프랑스에서 그는 "Slaves du Sud"라는 책을 출판하여 세르비아 당국들을 격분시켰고, 그들은 그의 학비는 취소되었다.그는 1854년에 로스쿨을 마치고 베오그라드로 돌아왔다.그는 프랑스에 유학한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불릴 만큼 젊은 진보파 '파리시아인' 중 한 명이었다.[9]1858년 란코 알림피치, 조반 일리치 등 서양의 진보적인 학생들과 함께 그루지치는 민족해방과 독립, 언론·종교·교육의 자유를 주창하고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세르비아 국가를 근대화하겠다는 목표를 공언하는 '리버럴 클럽'을 조직하였다.[10][11]그루지치는 문과에 합류하여 대열을 통해 빠르게 나아갔다.

정치 경력

제브렘 그루지치는 1858년에 열린 세인트 앤드류의 날 총회(Svetoandrejska skupshtina)의 중심 인물로, 후에 알렉산더 카라조르제비치 왕자를 제패시켰다.이것은 그가 정치에 입문하는 것을 의미했고 후에 그는 세르비아의 의회 제1법 통과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그는 1868년부터 1878년까지 자유당의 당수로 활동했다.여러 세르비아 정부에서 장관을 지냈고 콘스탄티노플, 런던, 파리 등에서 세르비아 공관장을 지냈다.[13]그러나 그의 노골적인 자유주의는 그를 괴롭히고 또한 투옥시켰다.[14]

이른바 '고법재판소 판결'[c] 때 마즈스토로비치 음모 관련자들을 석방한 혐의로 징역 3년과 시민권 박탈 2년을 선고받은 5명의 고등법원 판사(조반 필리포비치, 조반 미치치치, 마린코 라도바노비치, 조반 니콜리치와 함께) 중 한 명이었다.[15]1864년 7월 초에 체포되어 카라노바크 감옥에서 1년을 보낸 후 1865년 9월 초에 석방되었는데, 이때 여론의 강한 압력에 눌려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왕자가 사면하였다.[16]

1876년 그루지치는 스테브차 미하일로비치 제2정부에 법무부 장관이 되었다.

1877년에는 당대 최고의 영예인 타코보 1급 십자가 훈장을 수여받았고, 1892년에는 파리의 세르비아 대사 시절 백독수리 2급 훈장을 수여하며 외교·정치적 경력의 막바지에 이르렀다.[17]

제브렘 그루지치는 1895년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회고록은 1922-23년 왕립 세르비아 아카데미에 의해 3권으로 출판되었다.[18]

패밀리 및 레거시

베오그라드의 스베토고르스카 17번지에 위치한 세르비아 역사문화기념물 제브렘 그루지치의 집

제브렘과 그의 아내 젤레나는 아들이 있었다: 파리의 소르본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슬라브코 그루지치 박사는 당시 아테네의 외교관 페트로그라드, 워싱턴과 런던의 대사, 그리고 그가 죽은 곳에서 세르비아 외교차관이었다.[19]그는 미국인 메이블 던롭 그루지치와 결혼했다.그녀는 돈을 모았고 살로니카 전선에서 싸우는 세르비아 군인들을 위해 여러 개의 원조 기금을 마련하는 것을 도왔다.베오그라드 대학 도서관 '스베토자르 마르코비치'가 건립된 것은 카네기 국제평화기금이 베오그라드에 '카네기 도서관'을 짓기 위해 세르비아 정부에 10만 달러의 선물을 승인하기로 합의했을 때 슬라브코와 마벨 그루지치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20]

제브렘 그루지치의 집은 문화, 역사, 건축, 도시경관의 가치로 단층 가족 별장, 1896년 신축된 네오르네상스 양식으로 1961년 문화재로 지정되었고, 1979년 세르비아 공화국에게 매우 중요한 문화재로 지정되었다.[d]

출판된 작품

  • Slave du Sudle Serbe avec les Croates et les Bulgares (1853)
  • 우스포메네 (기억) (1864)
  • 자피시 (쓰기) 3권, (1922–1923)

메모들

  1. ^ 세르비아 내 세르비아 학생들의 유일한 조직인 '드루시나 믈라데시 srpske'는 '드루시나 믈라데시 srpske'였다.합스부르크 왕정의 세르비아 학생들은 그들끼리 협력하는 조직을 만들었지만, 그들의 통일은 1848년의 혁명과 그에 따른 보수적인 반응에 의해 저지되었다.
  2. ^ 제브렘 그루지치는 세르비아에서 태어났지만 '지역적인' 관료적이고 지적인 엘리트들을 양성하기 위해 국가 부르주아에 대한 교육을 위해 해외에 파견된 1세대 학식 세르비아인에 속했다.
  3. ^ 왕자와 의회는 오로지 고등법원 판사들을 위해 특별법원을 설립했다; 특별법원은 증거를 만드는 것에 의존할 필요가 없었지만, 판사들의 자유로운 유죄 판결에 따라 판결을 내릴 수 있었다.제브렘 그루지치는 절차의 적법성을 인정하지 않고 침묵할 정도로 모든 절차가 짜여져 있었다.
  4. ^ 그 집은 공산정권에 의해 몰수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난 2세기 동안 원래의 유산은 그대로 보존되어 왔다.

참조

  1. ^ 자피시 제브레마 그루지차(Pred Svetoandreesku skupshtinu), 제1권 베오그라드:세르비아 왕립 학원, 1922년
  2. ^ B. 베슬린, срп ии ир ира у 19.веу – геааа, ире,,, сррч пс, пррч п п пеее in, "ббооопп in in in inп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in 2003 2003 2003 2003 2003 2003 2003 in, 2003, 67-68, 페이지 71, 73.
  3. ^ Vujović, B. (1966). Dom Jevrema Grujića (in Serbian). Zavod za zaštitu spomenika kulture grada.
  4. ^ Balazs Trencsenyi; Michal Kopecek (1 January 2006). Discourses of Collective Identity in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p. 154. ISBN 978-963-7326-60-8.
  5. ^ Roumen Daskalov; Diana Mishkova (2013).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Political Ideologies and Institutions. BRILL. p. 121. ISBN 978-90-04-26191-4.
  6. ^ Serbia, RTS, Radio televizija Srbije, Radio Television of. "Политичке идеје у Срба". www.rts.rs.
  7. ^ J. 리스티치, споааањиииииииииеее,,,,,,,,,,,,,,,,, I, 1848년-1860년, 베오그라드 1887년, 페이지 30
  8. ^ 세르비아 자유주의자들과 19세기 중반의 국회 투쟁,
  9. ^ Roumen Daskalov; Diana Mishkova (2013).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Political Ideologies and Institutions. BRILL. p. 118. ISBN 978-90-04-26191-4.
  10. ^ Stoianovich, Traian (1959). "The Pattern of Serbian Intellectual Evolution, 1830-1880".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1 (3): 242–272. doi:10.1017/S0010417500000256. JSTOR 177875.
  11. ^ D‚nes, I.Z. (2006). Liberty and the Search for Identity: Liberal Nationalisms and the Legacy of Empire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p. 405. ISBN 978-963-7326-44-8.
  12. ^ Roumen Daskalov; Diana Mishkova (2013).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Political Ideologies and Institutions. BRILL. p. 158. ISBN 978-90-04-26191-4.
  13. ^ "Embassy of the Republic of Serbia in Great Britain". Embassy of the Republic of Serbia in Great Britain. 1918-12-10.
  14. ^ Balazs Trencsenyi; Michal Kopecek (1 January 2006). Discourses of Collective Identity in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ISBN 978-963-7326-60-8.
  15. ^ Michael Boro Petrovich (1976). A history of modern Serbia, 1804-1918. Harcourt Brace Jovanovich. p. 311. ISBN 9780151409501.
  16. ^ 드루카 블라다 밀로샤 이 미하일라 1858-1868 [밀로시와 미하일로의 제2규칙] (Beograd 1923, 재인쇄 Beograd 1990) 조바노비치.
  17. ^ Acović, Dragomir (2012).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Belgrade: Službeni Glasnik. p. 564.
  18. ^ Grujić, Jevrem (1922). Zapisi Jevrema Grujića: Pred Svetoandrejsku skupštinu. Budućnost.
  19. ^ Balázs Trencsényi; Maciej Janowski; Monika Baar (26 February 2016). A History of Modern Political Thought in East-Central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p. 638. ISBN 978-0-19-105695-6.
  20. ^ Maja Herman-Sekulić (2016). Ma Belle: Mabel Grujić, the First American Lady of Serbia. Geopoetika Publishing. ISBN 978-86-6145-252-9.

추가 읽기

  • Dušan T. Bataković (2010). Serbie et France - atypique alliance de 1870 à 1940 (in French). SANU. ISBN 978-86-7179-061-1.
  • Srpski permissam u XIX veku".Zbornik Matice srpske za istoriju 67/68 (2003), Branko Beshlin, 59–104.
  • "프랑쿠스키 우티카지 우 스르비지 1835-1914: 체티리 제네라시제 파리즐리야"Zbornik Matice srpske za istoriju 56 (1997), 73–95.
  • Jovan Milićević (1964). Jevrem Grujić (in Serbian). Nolit.
  • 제브렘 그루지치, 자피시 제브레마 그루지차.프레드 스베토안드레슈쿠 스쿠프티누 vol.나, (Belgrade:Srpska Kraljevska Akademia, 1922), 페이지 130–131.
  • "세르비아 정부: 1805-2005" 라도시 루시치, 596쪽.ISBN 978-86-17-13111-9 , Belgrade, 2005년 "교과서 및 교재 연구 기관"에 의해 출판됨.코비스.SR 124721676

외부 링크

관청
선행자
조반 필리포비치
세르비아의 법무부 장관
1859
성공자
마티자시미치
선행자
자기 자신
세르비아의 법무부 장관
1860–1861
성공자
조르제 D.세니치
선행자
스토얀 마르코비치
세르비아의 법무부 장관
1876–1878
성공자
선행자
밀리보예 요바노비치
내무부 장관
1859
성공자
블라디슬라프 부조비치
선행자
다닐로 스테파노비치
내무부 장관
1875
성공자
외교관직
선행자 영국 주재 세르비아 대사 특명 전권대사
1887–1889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