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코삭스

Jewish Cossacks

코삭스의 여러 가지 분파 중에서 유대인을 그들의 사회로 들어오게 한 문서는 우크라이나의 코삭뿐이었다.

17세기 감정의 변화

폴란드리투아니아시기스문트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하나의 연방으로 병합되었을 때(1569년 루블린 연합에서) 볼히니아, 포딜리아, 나머지 우크라이나 지방은 리투아니아의 대공과 분리되어 폴란드의 직접 통치하에 들어갔다. 자포로즈 코사크족은 일반적으로 종교 문제에 무관심했으며 헤트날리바이코 시대까지 유대인에 대한 특별한 악의를 품지 않았다.[1] 그들은 종종 그들의 회사에 종교적인 유대인들을 포함시켰지만, 브레스트 마주르 이민 연합시기문트 3세 (1587–1632) 통치 기간 동안 폴란드에서 우크라이나에 이르는 유대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도입한 후, 코삭스는 지금 유대인들에게 세례를 주고 싶어했다. 유대인들의 경쟁을 늘 두려워하던 창설된 길드들이 각종 고발과 관련해 두드러진 역할을 했다. 그러나 높은 귀족들은 대체로 유대인의 일부에 의존하여 임대차계약자, 대리인, 재무관리자 등의 역할을 하였고, 이는 박해를 막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역사 기록

코삭 사회는 인종적으로 다양했고, 몇몇 코삭스는 스코틀랜드만큼 멀리 떨어진 곳에서 기원했을지도 모른다. Maxim Kryvonis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용병이었다. 이반 피드코바는 몰다비아 출신이었다. 유대인들은 코사크 계급에 진입하는 메커니즘이 불분명하지만, 코사크 계급에서도 복무했다. 우크라이나의 코사크 연대는 군사 외에 행정적인 목적을 수행했으며 유능한 행정가, 교육받은 외교관, 서기관 등에 대한 요구가 끊이지 않았다. 유대인들은 그들의 읽고 쓰는 능력과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 때문에 그러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2] 코사크족은 17세기 이전에는 종교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17세기 초까지 코사크 계급의 승진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추정된다. 1681년 크림반 칸의 최고참의원인 아마드 칼가(Ahmad Kalga)는 폴란드 대사 피아사친스키에게 로어 드네퍼의 코삭스가 크림반도를 공격했다고 불평했다. 피아사친스키는 코사크족은 폴란드 왕의 대상이 아니며, 따라서 "그들 중에서 모든 신앙, 폴란드, 무스코바이트, 왈라키아인, 투르크인, 타타르인, 유대인 등으로부터 배교된 통제할 수 없는 사막의 로버들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없다"고 대답했다.[3]

조엘 사익스책임자페트로 사이다흐니의 코삭스 대열에 참전했다가 무스코비파와 싸우다 전사한 '영웅 베라크하'를 논한다. 베라크하의 미망인이 재혼을 허락한 광견병 궁정 사건에서 베라크하의 동료 코카인 '모세의 아들 요셉'을 증언한 것은 베라크하가 살해된 전투에서 사하이다니 군대의 코삭 대열에 적어도 11명의 유대인이 있었다고 진술하고 있다.[4] 1637년 일야시(엘리야) 카라미모비치는 등록된 코삭스의 장교 중 한 사람이었으며, 파블류크의 처형 이후 그들의 '스타로스타'(엘데르)가 되었다. 카라미모비치는 카라임(카라이트 유대교의 추종자인 투르크 민족 집단)으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5]

1594년 모세라는 이름으로만 알려진 유대인이 루돌프 2세 황제의 궁정 코사크 특사 스타니슬라프 흐로피츠키의 대리인으로 활동하였다. 크롤로피츠키와 모세 모두 황제와의 조약을 위해 코삭 숙주를 대신하여 선서를 했다.[6] 코삭스의 역사학자 유리 미츠크는 1602년 베레스테예 마을의 유대인이 기독교로 개종하여 자포로즈히안 성주에 합류한 사건을 기술하고 있다. 그의 자녀와 재산은 콰할에게 압류되었고, 그는 시기문트 3세 왕에게 자녀와 재산의 환수에 대한 원조를 신청해야 했다. 그의 탐구는 성공적이었고, 그의 아이들은 그와 함께 했다.[6]

사울 보로보이

1930년대에 히브리어 각본으로 쓰여진 히브리어와 우크라이나어로 쓰여진 많은 문서들이 들어 있는 캐시가 자포로즈 시치의 기록보관소에서 역사학자 겸 언어학자 사울 보로보이()에 의해 발견되었다. 1775년 베드로 테켈리 장군에 의한 시치파괴 이후 모스크바의 국가기록원에 보관되어 있던 문서들은 시치파의 외교정책과 재정정책을 다루었으며, 코삭 사회의 상부층(최소 4명은 보로보이 논문에서 이름으로 언급됨)에 유태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명확히 개종된)할 뿐만 아니라, 나 또한 증명하였다.연대도 마찬가지야

시치 아카이브는 보로보이의 1940년 삼부 박사학위 논문의 기초가 되었다. 1부와 2부는 1940년 각각 레닌그라드에서, 1941년 모스크바에서 출판되었다. 보로보이는 소련의 전후 반유대적 풍토에서는 이 주제로 돌아갈 수 없었고, 그의 논문의 3부는 결코 인쇄되지 않았고 이미 조립된 타이포그래픽 세트는 파괴되었다. 보로보이의 이 문제에 관한 기사는 먼저 소련 학계의 반유대주의자들로부터 공격을 받게 되었는데, 그의 연구는 반유대주의자들이 일반적으로 유태인들에게 적용하는 비겁함과 소심함의 꼬리표를 반박했기 때문이다. 보로보이는 폴란드 내 유대인 사회가 카알족에 의해 소외된 빈곤한 유대인들의 큰 층층 때문에 양극화되었음을 증명했고, 이들 유대인들은 소멸하여 코삭족과 운명을 함께 모색할 것 같았다. 후에 보로보이는 코삭스 쪽 유대인이 존재할 수 있게 만든 계급 관련 반목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부 유대인 사회로부터 비난을 받았다.[6]

18세기 동안

1775년 시히 파괴 이전 시대에 유대인들이 코사크에 합류한 사례는 많이 알려져 있다. 한 주목할 만한 사례는 1765년 시치에서 세례를 받은 사이먼 체르냐프스키다. 이후 캐서린 2세 황후의 궁정에서 시치 사신으로 활동하였다. 모이세이 골린스키가 시치를 통역관으로 섬겼고, 이반 코발레프스키(시치 도착에 앞서 이미 세례를 받은 사람)는 대령 계급에 이르렀다. 일부 유대인들은 10대 점쟁이에 가담했고, 그 중 한 명은 1748년 성전에 합류한 아이지크의 아들 바실 페레크히스트였다. 또 다른 유대인은 2년 후 시치에서 세례로 정확히 같은 성을 받았다. 이반 페레크히스트는 1732년 코삭의 급습 중에 헤더 반 전체와 함께 납치되었다. 야코프 크리자노프스키는 1768년 이전에 코삭이 되었고, 시치 교회에서 집사를 겸직하기도 했다. 그는 많은 언어에 문맹이었으며, 1769년-1774년 러-터키 전쟁 때 페트로 칼니셰프스키의 지휘 아래 두각을 나타냈다.[6]

민속학에서

유대인 백과사전두미로 알려진 우크라이나 서사시에서 마트비 보록호비치(1647)라는 폴코브니크를 언급하고 있는데, 그의 성은 "바룩의 아들"로 읽힐 수 있고, 따라서 그의 유대인 출신을 나타낼 수도 있다고 쓰고 있다.[7] 사실 17세기 폴코브니크 미카일로 보록호비치[]가 있다. 마트비 보로호비치는 또한 흐멜니츠키 봉기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유대인의 코삭 성

등록된 코삭스의 등록 도서에 관한 수잔나 루버의 연구는 유대인의 기원을 나타내는 많은 성을 포함하고 있다.[8] Cossack families of Jewish origin include Hertzyk, Osypov-Perekhrest, Perekhryst, Kryzhanovsky, Markevych/Markovych, Zhydenko, Zhydok, Zhydovynov, Leibenko, Yudin, Yudaev, Khalayev, Nivrochenko, Matsunenko, Shabatny, Zhydchenkov, Shafarevich, Marivchuk, Magerovsky, Zrayitel' and others.[9]

이스릴롭스키 연대

1787년 12월, 캐서린 대왕총애자이자 목사인 포템킨 왕자는 그의 필로-유대주의의 절정인 예루살렘을 해방시키기 위해 유대인 코삭스 연대를 창설했다.[10]

1772년 폴란드의 번째 분할은 많은 수의 유대인들을 러시아 제국으로 끌어들였다. 캐서린은 포템킨에게 새로 취득한 땅에 크리체프라는 이름의 거대한 땅을 주었다. 그래서 포템킨은 처음으로 유대인과 접촉하게 되었다. 포템킨은 흑해 주변의 텅 빈 남방 스텝들을 정착민들로 채우는 작업에 착수하고 있었고, 그는 즉시 폴란드와 지중해에서 온 유대인들을 새로운 정착지로 끌어들이려고 노력했는데, 특히 유리병에 적극적인 유대인들이었다. 그는 이 유대인들을 자포로즈 사람들이 남긴 빈 소굴에 다시 정착시켰다. 그는 또한 신학을 논할 랍비들의 한 동무도 그의 주위에 모였다.

특히 부유한 상인이자 학자였던 조슈아 자이틀린이 그의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러시아 황후의 부부와 야물카와 링글렛의 랍비라는 두 남자는 함께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며 함께 탈 것이다. Zeitlin은 '포템킨과 형제처럼 그리고 친구처럼 함께 걸었다. 그는 러시아에서 실천하는 유대인이 이전이나 그 이후 어느 누구도 성취하지 못한 지위를 얻었고, 자랑스럽게 냉정하지 않고 광견병적 학문과 경건함에 젖어있었지만, 여전히 왕자의 궁정에 우뚝 서 있었다. 포템킨은 지틀린을 귀족이라는 칭호를 붙여 '법정 상담자'로 승진시켰다. 러시아 유대인들은 그를 '하사르 자이틀린'(제이트린 영주)이라고 불렀다."[10]

성서 이스라엘인들의 전투력에 대해 자이틀린과 그의 변덕스러운 랍비들과 논의한 후, 왕자는 유대인들을 무장시키기로 결정했다. 포템킨은 자신의 사유지에서 유대인 기병대대를 양성했었다. 러-터키 전쟁이 시작되자 그는 정교회를 위해 콘스탄티노플을 해방시키고 싶었고,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을 해방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생각을 지지했다.

포템킨은 유대인 코삭스의 이스라엘롭스키 연대를 창설했다. 그들은 브런즈윅의 독일인 퍼디난드 공작의 지휘를 받았다. 18세기 세계주의 도엔과 필로인 세미테 왕자는 다음과 같이 썼다. '포템킨 왕자는 유대인 연대를 기르는 특이한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그는 그의 주인인 합스부르크 황제 요셉 2세에게 편지를 썼다. '그는 그들을 코삭스로 만들 작정이다. 그 무엇도 나를 더 즐겁게 하지 못했다.'[10]

곧 유대인 코사크 2개 중대가 투르크군을 향해 순찰 중이었으나 리뉴는 성공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7개월간의 훈련 끝에 그는 슬프게도 그의 희귀한 실험을 끝내기로 결심했다.

이 문제는 모스크바의 주 군사 기록 보관소에 포템킨 연대를 확증할 문서가 없기 때문에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유대인 코사크 중 일부는 베레크 요제레비츠 대령을 따라 나폴레옹의 폴란드 기병대 형성에 가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10] 요제레비치는 나폴레옹의 1809년 선거 운동 중 헝가리인들의 야간 매복으로 사망했다. 포템킨 연대의 퇴역군인들이 그의 가장 유명한 승리들 중 일부에서 황제를 위해 싸웠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0]

유대계 폴란드 코삭스

폴란드의 위대한 시인 아담 미키에비치(프랑크리스트 가문의 후예였던)는 크림 전쟁에서 영국, 프랑스, 터키와 나란히 러시아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후사르인 유대인 코사크 연대(Hussars)를 결성하는 것을 도왔다. 이 랜서들은 세바스토폴 외곽의 러시아인들과 반체제 인사인 코삭스와 함께 싸웠다.

러시아의 내전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이어진 남북전쟁(1918–1920) 동안 많은 유대인들이 붉은 코삭(Red Cossack)과 붉은 군대의 기병 연대, 그리고 흰 코삭스에서 모두 복무했다. 코토프스키 여단의 그러한 레드 코삭스 연대 중 하나는 무정부주의자 숄롬 슈워츠바드의 지휘를 받았다. 한편 유대인 학생들도 바실리 체르네초프가 이끄는 화이트 돈 코삭스의 대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대대 전체 연대를 '유위시 군단'이라고 불렀다. 체르네초프 코삭스(체르네초프츠시)는 돈 지역의 볼셰비키에 대해 무력 저항을 개시함으로써 두각을 나타냈다.[11]

참조

  1. ^ 유대인 백과사전 - 코삭스, 얼리 업리스
  2. ^ Боровий С. А. Євреї в Запорозькій Ciчi. //Праці Інституту єврейської культури ВУАН. - К., 1930.
  3. ^ (코스토마로프, L.C. 페이지 55)
  4. ^ (1601; 하카비, 「루스키 예브레이」 1880, 페이지 348; 응답자 베이잇 차다쉬 헤이스하노트 (שו"""" הישש יש),),),), 57)
  5. ^ (코스토마로프, L.C. 페이지 135)
  6. ^ a b c d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3-27. Retrieved 2010-09-29.{{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7. ^ 유대인 백과사전-일코삭스, 코삭 타락의 불만
  8. ^ "ЄВРЕЇ-КОЗАКИ - Козацтво - Web-журнал "Інтелектус" - "Патентбюро"".
  9. ^ Мішалов М. Українські кобзарські думи. До питання виникнення розвитку та сучасного стану українського кобзарського епосу. — сдее, 1990년 (우크라이나) 미살로 M. 우크라이나 코바자르 뒤미. 우크라이나 코바자르 에포의 개발과 현대적 상태에 관한 문제에 관하여 - 1990년 시드니
  10. ^ a b c d e 2000년 9월 16일 The Spectator에서 러시아의 유대인 대우에 관한 Simon Sebag Montefiore - 2008-01-17 웨이백 기계보관
  11. ^ http://slavakazakam.ru/donarm5?start=12 2012-03-25 Wayback Machine White Cossack Resistance to Bolsheviks에 보관

원천

  • Евреи-казаки в начале XVII в. // Киевская старина. – 1890. – № 5. – с. 377-379(러시아어)
  • 이오크호보도바, A. "유위시 자포로지안과 하지베이 요새" 베스티니크(러시아어)
  • Borovoy, S. «Евреи в Запорожской Сечи (по материалам сечевого архива)» («Истор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Л., 1934, т. 1) (in Russian)
  • Kostomarov, M. Ruina, istoricheskaia monografiia iz zhizni Malorossii 1663–1687 gg. (The Ruin: A Historical Monograph on the Life of Little Russia from 1663 to 1687, 1st edn in Vestnik Evropy, nos 4–9 [1879] and nos 7–9 [1880]),
  • 슈라이버, M 2002년 선홀드 유대인 백과사전 (제3판), 뉴욕
  • Serhii Plokhy. 초창기 우크라이나의 코삭과 종교.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1
  • 유대인 백과사전 - 코삭스
  • 유대인 자포로지아인 (러시아어)
  • 몬테피오레, 사이먼 세백 "코셔 코삭스" 스펙터클. 2000년 9월 9일
  • 코셔 코삭스
  • Головний Apxiв давніх актів у Варшаві. - Ф. «Apxiв Замойських». - № 3048. - p. 286.: «Mycyk J. Zyd na Siczi Zaporoskej w XVII w. // Biulatyn Zudowskego Instytutu Istorycznego w Polsce. - Warszawa, 1993. - p. 65-66.
  • Horn M. Powinnosci wojenne zydow w Rzeczy Potpolitej W 16세, XVII wiku. - 와르자와, 1978년.

- 페이지 103.

  • 루버 S. 자포로게르 코자켄 데스 17 자흐우덜츠 나흐 페르소나멘 1983년 베를린 - 페이지 100
  • арх ио -а---пп ро. - ие -, 1914. - ие. III. - т.4. - p 45. - 페이지 100-102.
  • сччсййййчч п п п п п п п п п прруу. - к, 1992. - 페이지 99-100.
  • еер рр ир ир ор apч apч apч apч apxi apxi apxi apxi apxi уxi уxiрі 229). - -. 229. - on 232. - -ар. - -рр. 199.
  • иааа і. I. е е е е у у у у у у у у у у у у у у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 p. 8.
  • Скальковський А. О. Історія Нової Ciчi або останнього Коша Запороэького. -Дніпропетровськ, 1994. - p. 192.
  • Apxiв Коша Нової Запорозької Ciчi. Опис справ. 1713-1776. - К., 1994. - С. 77.
  • Боровий С. А. Євреї в Запорозькій Ciчi. //Праці Інституту єврейської культури ВУАН. - К.,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