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데 칼브

Johann de Kalb
요한 데 칼브
Johann de Kalb.jpg
태어난(1721-06-19)1721년 6월 19일
에를랑겐, 브란덴부르크-베이루트, 신성로마제국
(지금의 독일)
죽은1780년 8월 19일 (1780-08-19) (59)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캠던
파묻힌
베데스다 장로교회 야장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캠던
얼리전스 프랑스 왕국
미국
서비스/지점 프랑스 육군
대륙군
근속년수1743-1764
1777–1780
순위소장
전투/와이어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배우자안나 엘리자베스 에밀리에 반 로바이스
서명Appletons' Kalb Johann de signature.jpg

요한 폰 로바이스(Johann von Robais, 1721년 6월 19일 ~ 1780년 8월 19일)는 요한 칼브(Johann Kalb)로 태어난 프랑코니아-프랑스 군 장교로,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대륙군에서 소장으로 복무했다. 그는 캠던 전투에서 영국군과 싸우다가 치명상을 입었다.

조기생활과 교육

칼브는 베이로이트 공국 에를랑겐 인근의 독일 마을 힝텐도르프에서 태어났으며 요한 레온하르트 칼브와 마르가레테 세이츠의 아들이다. 그는 프랑스어, 영어, 그리고 사회적 기술을 배워 1743년 프랑스 육군 루벤달 독일 연대에서 실질적인 군사 위원회를 얻었다.

경력

칼브는 플란더스에서의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뛰어난 영예를 안았다. 7년 전쟁 중 중 중령으로 진급하여 루벤달 연대 해산에 의해 창설된 사단인 어퍼라인 육군에서 채석장 조수로 임명되었다. 1763년 무공훈장을 수상하였고, 남작이라는 칭호로 귀족으로 격상되었다.

1764년, 그는 군대에서 물러났고 천 제조로 재산을 상속받은 안나 엘리자베스 에밀리 반 로바이스와 결혼했다.

그는 프랑스에서 밀론-라 샤펠 샤또를 샀다. 그와 그의 아내인 안네 엘리자베트 에밀 반 로바이스는 3명의 자녀를 두었다: 엘리제 데 칼브(Ellie de Kalb) (Elise Signard d'Ouffierres와 결혼하고 딸 니케트 데 칼브(Nicette de Kalb)를 두었으며, 레이몬드 드 반디에르 드 비트라 다브작과 결혼하여 계속 밀론 라 채플에서 살았다.); 프레데릭 드 칼브(프랑스 혁명 중 사망, 아이 없이 사망)와 캐롤라인 드 칼브(Caroline de Kalb). [1]

1768년, 그는 프랑스를 대표하여 데 처슬의 은밀한 사명을 띠고 미국으로 건너가 식민주의자들의 불만 수준을 결정하였다.[2] 여행 중에 그는 식민지 개척자들과 그들의 "독립 정신"에 대한 존경을 얻었다.

미국 독립 전쟁

1777년 다시 원제인 후작라파예트를 이끌고 돌아와 대륙군에 입대하였다. 그는 자신이 소장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실망하고 화를 냈지만,[3] 라파예트의 영향으로 1777년 9월 5일 프랑스로 돌아가는 길에 알게 된 계급에 임명되었다.

그는 1777–78년 겨울의 대부분을 밸리 포저에 있었고, 패터슨과 러닝드 여단 부대를 지휘했다. 그는 프랑스 법정에 존 아담스를 위한 소개서를 썼다.[4] 드 칼브는 이렇게 썼다.

전반적으로, 나는 참을 수 없는 짜증스러움이 있다. 그 중 당신은 개념을 형성할 수 없다. 그 중 하나는 거의 모든 프랑스 장교들의 상호 질투인데, 특히 나머지 장교들보다 계급이 높은 장교들에 대한 질투심이다. 이 사람들은 그들의 끊임없는 흥미와 뒷담화밖에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가장 비열한 적들처럼 서로를 미워하고, 기회가 닿는 곳마다 서로에게 상처를 입히려고 노력한다. 나는 그들의 사회를 포기했고, 그들을 거의 보지 못했다. 라 파예트는 유일한 예외다. 나는 항상 그와 같은 친절함과 즐거움을 가지고 만난다. 그는 훌륭한 청년이고, 우리는 좋은 친구야... 라 파예트는 많은 사랑을 받고 있고, 그는 워싱턴과 가장 사이가 좋다.[5]

데 칼브 남작의 부상을 보여주는 판화
부상당한 드 칼브 남작을 보여주는 판화

데 칼브는 메릴랜드와 델라웨어 부대의 사단을 지휘하는 임무를 맡았고, 그는 이러한 증원군을 지휘하는 캐롤리나스로 남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는 영국 남부 유세 도중 호라시오 게이츠가 자신을 대신해 지휘관으로 임명됐다는 사실을 알고 실망했다. 게이츠는 1780년 8월 16일 캄덴 전투에서 군대를 참패로 이끌었다. 데 칼브의 말이 그의 밑에서 총에 맞아 땅에 쓰러졌다. 일어나기도 전에 그는 세 차례나 총을 맞고 영국군들에게 거듭 총검을 맞았다.[citation needed] 그의 친구이자 보좌관인 체발리에 뒤 바이슨은 자신의 몸으로 추가 타격을 막으며 중상을 입었다.

드 칼브를 보자 콘월리스가 그에게 말하였다. `반드시, 장군님을 뵙게 되어 유감입니다만, 그렇게 심하게 다치신 것을 보니, 정말 유감입니다.'[6] 콘월리스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캠든에서 자신의 외과의사들이 데 칼브의 상처를 입은 것처럼 감독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 칼브는 죽어가면서 영국 장교에게 "여러분의 관대한 동정심에 감사하지만, 항상 기도했던 죽음, 즉 인간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군인의 죽음"[7]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는 3일 후에 죽었고 캠덴에 묻혔다.[8]

조지 워싱턴은 사망한 지 몇 년 후 데 칼브의 묘소를 방문했을 때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그래서, 용감한 드 칼브가 누워있다. 먼 땅에서 나와 우리의 전투를 치루고 피를 흘리며 자유의 나무로 물을 주러 온 너그러운 이방인. 하느님께 그는 그 열매를 나누기 위해 살았을 것이다![9]

레거시

조지아주 디케이터에서 일어난 디칼브 흉상

De Kalb는 그의 동시대 사람들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다. 앨라배마, 조지아, 일리노이, 인디애나,[10] 미시시피, 미주리, 뉴욕, 테네시, 텍사스 등 미국의 수많은 마을과 카운티들은 그의 이름을 따서 DeKalb라고 명명된다. 거리로는 뉴욕 브루클린데칼브 애비뉴, 메릭, 뉴욕, 프로이센 왕펜실베이니아 몽고메리빌 사이의 데칼브 파이크(미국 국도 202호선) 등이 있다. 뉴욕 브루클린에서 콜럼버스 기사단은 1906년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남작 드칼브 평의회 #1073을 설립했다. 그의 초상화는 찰스 윌슨 필이 사후에 그렸다.[11] 1886년, 미국 혁명에 대한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메릴랜드 주립 주택의 터에 드 칼브 남작의 기념비가 세워졌다.[12][13]

의 이름을 딴 미 해군의 군함 2척은 남북전쟁 철갑함 드칼브 남작과 제1차 세계대전의 병력 수송함 드칼브였다.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미국 국방부가 운영하는 미국 초등학교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90년대에 문을 닫았다. 2006년부터 데칼브 육군 예비역 소장이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에서 제200대 헌병사령부 본부를 주관하고 있다.

픽션

어쌔신 크리드 III에서 코너의 견습생들을 위한 임무는 데 칼브 남작이 대륙군 내 템플 기사단의 일원이었음을 보여주며, 그가 식민지에서의 템플 기사단 지배로 여겨지는 자산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코너의 견습생들이 군대에서 템플러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데 칼브를 죽였다.

각주

  1. ^ 부차난 1997, 페이지 128
  2. ^ Chisholm, Hugh, ed. (1911). "Kalb, Johann" . Encyclopædia Britannica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 Charlemagne Tower (1894). The Marquis de La Fayette in the American Revolution. J.B. Lippincott Company. pp. 186–189. ISBN 9780836959987.
  4. ^ John Adams, Charles Francis Adams (1852). The Works of John Adams, Second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Little, Brown. p. 9.
  5. ^ Charlemagne Tower (1894). The Marquis de La Fayette in the American Revolution. J.B. Lippincott Company. p. 241. ISBN 9780836959987.
  6. ^ 부차난 1997, 페이지 169
  7. ^ Griswold, Rufus Wilmot; Simms, William Gilmore; Ingraham, Edward Duncan (1856). Washington and the Generals of the American Revolution. J.B. Lippincott. p. 271.
  8. ^ "Johann DeKalb". Find-a-Grave. July 29, 2000. Retrieved March 27, 2015.
  9. ^ Ells, Benjamin Franklin (1849). Death of Baron De Kalb. The Western Miscellany. 1. p. 234. Retrieved March 27, 2015.
  10. ^ Gannett, Henry (1905). The Origin of Certain Place Names in the United States. Govt. Print. Off. p. 103.
  11. ^ "Baron De Kalb". www.nps.gov. Retrieved May 28, 2017.
  12. ^ "De Kalb, Baron Johann statue beside the State house in Annapolis, Maryland by Ephraim Keyser". www.dcmemorials.com. Retrieved May 28, 2017.
  13. ^ "Maryland State Art Collection: Sculpture, Baron Johann DeKalb". msa.maryland.gov. Retrieved May 28, 2017.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