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나 웨스테르디크

Johanna Westerdijk
요한나 웨스테르디크
Johanna Westerdijk - Portrait detail - University Museum Utrecht - 0285-1853.jpg
태어난(1883-01-04)1883년 1월 4일
죽은1961년 11월 15일 (1961-11-15) (78세)
네덜란드 바안
모교암스테르담 대학교
뮌헨 대학교
취리히 대학교(PhD)
과학 경력
필드식물병리학
기관위트레흐트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박사학위 자문위원한스 쉰즈
박사과정 학생마리 베아트리체 숄-슈와르즈; 마리아 뢰니스; 요한 제라르 10 후텐
저자 약어. (보타니)웨스터드.

요한나 웨스테르디크(더치 발음: [joːɦɑnaː ˈʋstrrrdɛik]; 1883년 1월 4일 – 1961년 11월 15일)은 네덜란드의 식물병리학자였으며 네덜란드 최초의 여성 교수였다.[1]

초년기

친구들로부터 '한스'(Dutch 발음: [ɦɑns])라고 불리는 요한나 웨스터디크는 1883년 1월 4일 암스테르담 남쪽의 작은 마을 니우워 암스텔에서 태어나 1961년 11월 15일 네덜란드 바아른에서 78세로 세상을 떠났다.[1][2][1]

웨스테르디크는 부유하고 지적이며 예술적인 의사 집안 출신이다. 베르나르 웨스테르디크(1853–1927)와 알레이다 카타리나 셰퍼(1857–1931)는 세 아이의 장남이다. 초등학교 시절, 그녀는 항상 그녀 시대의 대부분의 소녀들처럼 자수 수업을 듣거나 인형을 가지고 노는 것을 거절했다. 대신에, 그녀는 학교에서 다른 소녀들에게 이야기를 읽는 것을 즐겼다. 그녀는 선생님에게 청소 일을 다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돈을 벌 것이라고 말했다.[1]

교육

그녀는 17살에 중등학교를 졸업하고 암스테르담 여학교를 졸업했다. 그녀는 재능 있는 피아니스트였고 전문 피아니스트가 될 계획이었지만 한쪽 팔의 지속적인 신경염은 이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식물학에 대한 그녀의 관심은 그녀가 유명한 식물학자 휴고 브리스의 강의를 따라 암스테르담 대학에 진학하고 그의 실험실에서 일하게 만들었다.[1]

1904년 생물학 공부를 마친 후 그녀는 뮌헨에서 시간을 보내 이끼와 함께 연구를 진행하기로 결심했고, 1년 후 취리히로 건너가 이끼재생을 연구하면서 1906년 H. Schinz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

경력

웨스테르디크 (c.1948년)

1906년 23세의 나이로 네덜란드의 식물성 동물실험실 윌리 코멜린 숄텐에서 감독직을 제의받았다.[2] 그녀가 감독하는 실험실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식물성 동물학 연구기관이 되었고, 암스테르담에서 바아른의 빌라 자바로 옮겨졌으며, 오늘날까지 왕립 네덜란드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기관으로서 독립적인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3]

1908년 식물성 실험실의 이사로 일하는 동안 그녀는 약 80여 개의 곰팡이 문화의 국제 식물학자 협회의 수집을 담당했다. 그녀의 감독하에 이 수집품은 6,000종의 다른 곰팡이, 효모, 액티노미케트 종으로 구성된 10,000종 이상의 종으로 확대되었다. Centraalburea voor Schimmelcultures라고 명명된 이 컬렉션의 목적은 여전히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배포하기 위해 문화의 다양한 곰팡이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1913년 그녀는 담배, 설탕, 커피, 차 등 병든 다양한 농작물에서 샘플을 채취하고 그 수집을 위해 균류의 문화를 만들곤 했던 부이텐조르그(Buitenzorg, 현재 인도네시아 순다네어로 보고르라고 불리는 도시로부터)의 첫 여성 기부금이 되었다.[2]

그녀의 경력 내내 그녀는 식물 병리학과 근종학 분야의 60개 이상의 출판물을 썼다.[2]

여성과 학생들을 위한 영감

박사님 요한나 웨스테르디크
요한나 웨스터디크가 1917년 새 교수로 즉위한 후 중앙에 있는 단체 초상화

1917년 네덜란드 최초의 여성 교수로 임명되어 위트레흐트 대학교 식물병리학 부교수와 1930년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35년 동안 총 55명의 박사과정 학생들이 그녀의 감독하에 학위를 받았다. 그들 중 거의 절반은 여성이었고, 이는 과학에서 여성의 역사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3]

그녀는 광범위한 식물 질병과 근종학을 다루는 70여 편의 간행물을 썼지만,[2] 그녀의 주된 관심사는 나무의 병원성 질병과 식물의 생리학적 질병과 어떻게 그것들을 통제하는가에 있었다. 그녀의 출판물들 중 몇 권은 질병 관리를 위한 화학 약품의 실험에 관한 것이었다.[1]

요하네나 웨스터디크는 기자들에 의해 쾌활한 태도와 유머감각을 지닌 젊고 자연스럽고 소박하고 강한 여성으로 묘사되었다. 그녀는 또한 그녀의 가까운 친구들에 의해 파티, 술, 춤을 좋아하고 결혼에는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4]

제자들의 진도를 시험해 보고 싶을 때, 그녀는 멋쟁이 아가씨들에게 둘러싸인 화려한 제과점에 데리고 가서, 갑자기 "좋아, 이제 황색병이나 다른 병에 대해 내게 말해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이냐" 등의 질문을 던지곤 했다. 그녀는 또한 새로운 박사학위 수여식 때마다 자신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곳에서 깃발이 게양되고 흰색, 빨간색, 파란색 활을 목에 두른 세 마리의 거위가 건물 주변을 행진하곤 했다. 의사와 지도교수는 1헥타르 반 헥타르 정원에 나무를 심곤 했다. 이 전통은 전설적이 되었다.[4]

바아른에서 박사학위를 연구한 모든 사람들은 요한나 웨스테르디크가 실무를 위해 방 입구 위 돌에 새긴 "정신을 위해 예술은 일과 파티를 섞는 것"이라는 실험실의 슬로건의 영향과 분위기에 영감을 받았다.[2]

웨스테르디크는 현재 국제대학원 여성으로 알려진 국제대학여성연맹에서 활동했다. 그녀는 1932년부터 1936년까지 그 단체의 회장으로 일했다.[citation needed]

엘름병 연구

1922년 마리 베아트리체 슈바르츠(왼쪽)와 요한나 웨스터디크(Johanna Westerdijk).

1920년대에 그녀는 엘름스(Dutch elm병)에서 새로운 치명적인 혈관질환을 이해하는 일에 관여하여 네덜란드의 여러 자치단체에서 돈을 모금하였고,[5] 그녀는 그녀의 첫 박사과정 학생인 마리 베아트리체 슈바르츠에게 할당하였다.[3]

슈바르츠는 곰팡이가 엘름들을 죽이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건강한 엘름들을 분리하여 접종했다.[6] 후에 J. 웨스터디크는 또 다른 학생 크리스틴 요한나 부이스만을 슈바르츠로부터 오피오스토마 노보울미가 이 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하도록 했다. Buisman은 질병 내성을 위해 엘렘을 추가로 번식시켰지만 불행히도 그녀가 개발한 엘렘은 Neutria sp에 의해 야기된 또 다른 곰팡이병에 매우 취약했다.[7]

영예와 상

에포니모스종

웨스테르디크에 경의를 표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종의 균종이 명명되었다.

레거시

1907년 요한나 웨스터디크는 CBS(Centraalbureau voor Schimmelcultures)의 감독이 되었다. 요한나 웨스테르디크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17년 2월 10일 연구소를 웨스테르디크 풍갈 생물다양성 연구소로 개칭했다.[12]

참조

  1. ^ a b c d e f Kerling, L. C. P.; ten Houten, J. G.; de Bruin-Brink, G. (1986). "Johanna Westerdijk: Pioneer Leader in Plant Pathology". Annual Review of Phytopathology. 24 (1): 33–41. doi:10.1146/annurev.py.24.090186.000341. PMID 19099363.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ten Houten, J. G. (1 July 1963). "Johanna Westerdijk, 1883-1961". Journal of General Microbiology. Microbiology Society. 32 (1): 1–9. doi:10.1099/00221287-32-1-1. ISSN 0022-1287. PMID 14047439. 2015년 3월 9일 검색됨
  3. ^ a b c Sticklen, M. B., & Sherald, J. L. (2012). 네덜란드의 느릅나무 질병 연구: 세포와 분자 접근법. 스프링거 사이언스 & 비즈니스 미디어
  4. ^ a b 콰세, P. (2008) 화려한 고립에서: 윌리 코멜린 숄텐 식물성 식물성 연구소의 역사 (본 11). 암스테르담 대학 출판부.
  5. ^ 브래지어, C. M. (1991) 현재 네덜란드 느릅나무 질병 유행성의 원인 물질인 오피오스토마 novo-ulmi sp. 11. 115(3), 151-161명
  6. ^ "D'Arcy, (2005) C. J. Pathogen Biology".
  7. ^ 윌슨, C. L. (1975) 네덜란드 느릅나무 병과의 오랜 전투. 수목원예학 저널
  8. ^ (네덜란드어로) "Eerste vroouwelike hogleraar 교수 Johanna Westdijk overleden", Utrechch Nieuwsblad, 1961. 2015년 3월 9일 검색됨
  9. ^ Frisvad, Jens C.; et al. (2004). "New ochratoxin A producing species of Aspergillus section Circumdati" (PDF). Studies in Mycology. 50: 30.
  10. ^ Crous, Pedro W.; et al. (2017). "Fungal Planet description sheets: 558–624". Persoonia - Molecular Phylogeny and Evolution of Fungi. 38: 240–384. doi:10.3767/003158517X698941. PMC 5645186. PMID 29151634.
  11. ^ IPNI. Westerd.
  12. ^ "CBS-KNAW". www.westerdijkinstitute.nl.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