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존 콕크로프트

John Cockcroft
존 콕크로프트 경
Cockcroft.jpg
태어난(1897-05-27)27 1897년 5월
죽은1967년 9월 18일(1967-09-18) (70세)
영국 캠브리지 캠브리지주 캠브리지
국적영국의
모교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
맨체스터 시립 공과대학
케임브리지 세인트존스 칼리지
로 알려져 있다.원자 분열
수상
과학 경력
필드물리학
기관원자력 연구소
논문표면의 분자 흐름의 응축에서 발생하는 현상 (1928)
어드바이저어니스트 러더퍼드
케임브리지 처칠 대학 1기 석사
재직중
1959–1967
성공자윌리엄 호손 경

존 더글러스 콕크로프트 경, OM, KCB, CBE, FRS (1997년 5월 27일 ~ 1967년 9월 18일)는 1951년 원자핵을 쪼개 노벨 물리학상 어니스트 월튼과 공유한 영국의 물리학자였으며, 원자력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크크로프트는 대전왕립 야전 포병대함께 서부전선에서 복무한 후 메트로폴리탄 비커스 트래포드 파크에서 견습생으로 근무하면서 맨체스터 시립 공과대학에서 전기 공학을 공부했으며 그들의 연구 직원이기도 했다.그리고 나서 는 세인트루이스의 장학금을 받았다. 1924년 6월 삼각고사를 치렀던 캠브리지 존스 칼리지 쟁쟁이가 됐다.어니스트 러더포드는 콕크로프트를 캐번디쉬 연구소의 연구생으로 받아들였고, 콕크로프트는 1928년 러더포드의 감독하에 박사학위를 마쳤다.어니스트 월튼과 마크 올리판트와 함께 그는 Cockcroft-Walton 발전기로 알려진 것을 만들었다.콕크로프트와 월튼은 이것을 원자핵의 첫번째 인공분해를 수행하는데 사용했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원자핵을 분열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위업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콕크로프트는 레이더 작업을 하면서 보급부 과학연구 부국장이 되었다.는 또한 원자폭탄이 기술적으로 타당할 수 있다고 계산한 Frisch-Peierls 비망록과 그것을 계승한 MAUD 위원회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된 위원회의 일원이었다.1940년, Tizard 미션의 일환으로, 그는 미국에 있는 그의 동료들과 영국 기술을 공유했다.이후 전쟁 후, SCR-584 레이더 세트와 V-1 비행 폭탄을 격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근접 연기의 형태로 티저드 미션의 열매가 영국으로 돌아왔다.1944년 5월 몬트리올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고, ZEEP와 NRX 원자로의 개발, 그리고 분필연구소의 창설을 총괄하였다.

전쟁 후, 콕크로프트는 하웰원자력 연구 설립소(AERE)의 소장이 되었고, 그곳에서 저전력 흑연 감속형 GLEEP는 1947년 8월 15일 가동되었을 때 서유럽에서 처음으로 가동된 원자로는 1947년 8월 15일에 시작되었다.이는 1948년 영국 실험용 말뚝 0(BEPO)이 그 뒤를 이었다.하웰은 윈드스케일의 원자로와 화학 분리 공장의 설계에 관여했다.그의 지휘 아래 그것은 ZETA 프로그램을 포함한 프론티어 핵융합 연구에 참여했다.윈드스케일 원자로의 굴뚝 스택에 필터를 장착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1957년 윈드스케일 화재 당시 원자로 중 하나의 핵이 점화되어 방사성핵종을 방출할 때까지 콕크로프트의 어리석음으로 조롱되었다.

1959년부터 1967년까지 그는 케임브리지의 처칠 대학 최초의 석사였다.1961년부터 1965년까지 캔버라에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의 총장도 지냈다.

초년

존 더글러스 콕크로프트(John Douglas Cockcroft)는 1897년 5월 27일 영국 요크셔 웨스트 라이딩토드모든에서 방앗간 주인 존 아서 콕크로프트(John Arthur Cockcroft)와 그의 아내 애니 모데 네 필든([1]Anie Maude Fielden)의 장남으로 태어났다.[2]그에게는 에릭, 필립, 키스, 리오넬의 네 남동생이 있었다.[3]그의 초기 교육은 1901년부터 1908년까지 월스덴영국 교회학교에서, 1908년부터 1909년까지 토드모든 초등학교에서, 1909년부터 1914년까지 토드모든 중등학교에서 있었는데,[2][4] 그곳에서 는 축구와 크리켓을 했다.이 학교의 여학생들 중에는 그의 미래의 아내인 유니스 엘리자베스 크랩트리도 있었다.1914년, 그는 요크셔의 웨스트 라이딩이라는 카운티 메이저 장학금을 받고, 그곳에서 수학을 공부했다.[4][5]

1914년 8월에 대전이 발발했다.Cockcroft는 1915년 6월에 맨체스터에서 첫 해를 마쳤다.그는 그곳 장교 훈련대에 합류했지만 장교가 되고 싶지는 않았다.여름 방학 동안 그는 웨일스의 킨멜 캠프에 있는 YMCA 매점에서 일했다.그는 1915년 11월 24일 영국 육군에 입대했다.1916년 3월 29일 제59훈련여단인 왕립 야전포병대에 입대하여 수훈자로 양성되었다.이어 서부전선 서부전선 20사단(빛) 부대 중 하나인 야전포병여단 92번지 B배터리로 발령받았다.[6]

콕크로프트는 힌덴부르크진전제3차 이프르 전투에 참가했다.그는 커미션을 신청하여 합격했다.1918년 2월에 브라이튼으로 파견되어 포병술에 대해 알게 되었고, 1918년 4월에는 노샘프턴셔위든 베크장교후보학교에 파견되어 야전포병 장교로 훈련을 받았다.[7]1918년 10월 17일 왕립 야전포병 소위로 임관했다.[8]

전쟁이 끝난 후, 콕크로프트는 1919년 1월 육군에서 석방되었다.그는 맨체스터 빅토리아 대학교로 돌아가지 않고 맨체스터 시립 공과대학에서 전기 공학을 공부하기로 결정했다.그는 빅토리아 대학교 맨체스터에서 1년을 이수했기 때문에, 이 과정의 첫 해는 건너뛰는 것이 허용되었다.그는 1920년 6월에 BSC를 받았다.그곳의 전기공학과 교수인 마일즈 워커는 메트로폴리탄 비커스와 견습생에 들어가도록 설득했다.그는 1851년 왕실 전시위원회로부터 1851년 전시 장학금을 받았고, 1922년 6월 '교류를 위한 조화 분석'에 관한 MSc 논문을 제출했다.[9]

그러자 워커는 콕크로프트가 세인트루이스의 장학금을 받기 위해 앉으라고 제안했다. 워커의 모교인 캠브리지 존스 칼리지콕크로프트는 30파운드의 장학금과 20파운드의 부르사리를 한정된 자력으로 학부생들에게 수여하는 등 성공적이었다.메트로폴리탄 비커스는 그에게 학위를 마치고 돌아오는 조건으로 50파운드를 주었다.워커와 이모는 316파운드의 잔액을 메웠다.다른 대학을 졸업한 그는 삼각대 1학년을 건너뛰는 것이 허용되었다.그는 1924년 6월 트리포스 시험을 치렀고, 랭글러로 B*를 받았으며, BA학위를 받았다.[10]

콕크로프트는 1925년 8월 26일 토드모든의 브릿지 스트리트 연합 감리교회에서 거행된 의식에서 엘리자베스 크랩트리(Elizabeth Grawtree)와 결혼했다.[4][11]그들에게는 여섯 명의 아이가 있었다.첫번째, 티모시로 알려진 소년은 유아기에 죽었다.그 후 그들은 조안 도로테아(테아), 조슬린, 엘리자베스 필든, 캐서린 헬레나 등 4명의 딸과 크리스토퍼 휴 존을 낳았다.[4]

핵 연구

콕크로프트가 두 살 때부터 스물여덟 살까지 살았던 웨스트요크셔 월스덴의 집

어니스트 러더포드는 마일즈 워커와 메트로폴리탄 비커스의 연구 책임자의 추천으로 콕크로프트를 캐번디쉬 연구소의 연구생으로 받아들였다.[2]콕크로프트는 1924년 성 요한 대학의 재단 장학금과 주 장학금으로 박사학위 학생으로 등록했다.[4]러더포드의 감독 아래, 그는 박사학위 논문인 "표면의 분자 흐름의 응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썼는데,[12] 이 논문은 왕립학회 회보에 게재되었다.[13]그는 1925년 9월 6일에 박사학위를 받았다.[14]이 기간 동안 그는 극저온에서 자기장의 물리학을 연구하고 있던 러시아 물리학자 피터 카피차(Peter Kapitza)의 조수였다.Cockcroft는 헬륨 액화기의 설계와 건설을 도왔다.[2]

1919년 러더포드는 붕괴하는 라듐 원자에서 방출되는 알파 입자질소 원자를 분해하는 데 성공했다.이 실험과 이후의 실험은 원자핵의 구조를 암시했다.그것을 더 탐구하기 위해서는 핵의 전하를 극복할 수 있을 만큼 높은 속도의 입자를 만들어 내는 인위적인 수단이 필요했다.이것은 캐번디쉬 연구소에서 새로운 연구 라인을 열었다.그는 이 문제에 코카크로프트, 토마스 알리보네, 어니스트 월튼을 할당했다.그들은 Cockcroft-Walton 액셀러레이터로 알려진 것을 만들었다.마크 올리판트는 그들을 위해 양성자 소스를 디자인했다.Cockcroft는 George Gamow양자 튜닝에 관한 논문을 읽었을 때 결정적인 순간이 왔다.Cockcroft는 이러한 현상의 결과,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낮은 전압으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사실, 그는 30만 전자볼트 정도의 에너지를 가진 양자가 붕소 핵에 침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계산했다.Cockcroft와 Walton은 다음 2년 동안 액셀러레이터를 조작했다.러더포드는 그들이 필요한 변압기와 다른 장비들을 구입하기 위해 캠브리지 대학으로부터 1,000파운드의 보조금을 받았다.[2][4][15][16]

Cockcroft는 St의 동료로 선출되었다.1928년 11월 5일 존스 칼리지.[17]그와 월튼은 1932년 3월 고에너지 양자로 리튬베릴륨을 폭격하며 가속기를 가동하기 시작했다.그들은 프랑스 과학자들이 보고한 감마선을 볼 것으로 기대했지만,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다.1932년 2월에 제임스 채드윅은 관찰된 것이 실제로 중성자임을 증명했다.콕크로프트와 월튼은 대신 알파 입자를 찾는 것으로 전환했다.1932년 4월 14일 월튼은 리튬 목표물을 폭격했고 알파 입자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알아챘다.콕크로프트와 그 후 러더포드가 소환되었고, 이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확인했다.그날 저녁, 콕크로프트와 월튼은 러더포드의 집에서 만나, 결과를 발표한 네이처를 위한 서한을 제작했는데, 이 서한은 원자핵의 최초의 인위적인 분해로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18]

7
3
Li
+
p
→ 24
2
He
+ 17.2
메브

이 위업은 원자를 분열시키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18]이 업적으로 콕크로프트와 월튼은 1938년에 휴즈 메달을,[19] 1951년에는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20]그들은 계속해서 양성자, 중수소, 알파 입자를 사용하여 탄소, 질소, 산소를 분해했다.그들은 탄소-11질소-13을 포함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했다는 것을 증명했다.[21][22][23][24][25][26]

Cockcroft-Walton 전압 곱셈 회로

1929년, Cockcroft는 St John's College의 기계 과학 감독관으로 임명되었다.1931년 물리학 감독관으로 임명되었고, 1933년에는 후학 부르사르가 되어 건물 유지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되었는데, 이 중 상당수는 방치되어 있었다.대학 게이트하우스는 데스워치 딱정벌레의 피해를 수리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철거되어야 했고, 코크크로프트는 전기 장치를 교체하는 것을 감독했다.1935년 러더포드는 그를 소련으로 돌아온 카피차 몬드 연구소 부연구부장으로 임명했다.그는 새로운 극저온 장비 설치를 감독했고, 저온 연구를 감독했다.1936년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2][4] 1939년 잭슨 자연철학 교수로 선출되어 1939년 10월 1일에 발효되었다.[4]

콕크로프트와 월튼은 가속기의 한계를 잘 알고 있었다.훨씬 더 좋은 디자인은 그가 사이클로트론이라고 부르는 어니스트 로렌스에 의해 미국에서 개발되었다.카벤디시 실험실은 영리한 물리학을 가진 열등한 가속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인들보다 앞서갈 수 있었지만, 콕크로프트는 러더포드를 압박하여 카벤디시 실험실의 사이클로트론을 얻어냈다.러더포드는 가격표를 물었지만, 오스틴 경으로부터 받은 25만 파운드의 선물 덕분에 로렌스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36인치(910mm)의 사이클로트론을 만들 수 있었고, 새 날개와 함께 그것을 수용할 수 있었다.[4]콕크로프트가 그 일을 감독했다.사이클로트론은 1938년 10월까지 가동되었고, 1940년에 새 날개가 완공되었다.[27]올리판트는 사이클로트론이 충분히 크지 않다고 느꼈고, 버밍엄 대학에서 60인치 크기의 사이클로트론을 만들기 시작했다.1939년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건설이 지연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 완공되면 역시 노후화되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대전 발발 당시 콕크로프트는 보급부 과학연구실 부국장을 맡아 레이더 작업을 했다.1938년 헨리 티저드 경은 영국 공군(RAF)이 항공기를 탐지하고 추적하기 위해 건설한 해안 조기경보레이더 스테이션의 고리인 콕크로프트 체인 홈을 선보였다.이제, 그는 이 시스템이 완전히 작동하도록 돕기 위해 과학자들을 배치하는 것을 도왔다.[29]1940년에 그는 과학 연구 기술 개발을 위한 자문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다.[30]1940년 4월, 그는 Frisch-Peierls 비망록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처리하기 위해 결성된 항공전의 과학 연구 위원회의 일원이 되었다. 이 비망록은 원자폭탄이 기술적으로 타당할 수 있다고 계산했다.이 위원회는 MAUD 위원회에서 계승되었는데, 그 중 Cockcroft도 1940년 6월에 위원이었다.이 위원회는 영국에서 획기적인 초기 연구를 지휘했다.[31]

1940년 8월, Cockcroft는 Tizard 미션의 일부로 미국을 여행했다.영국은 많은 신기술을 개발했지만 이를 충분히 활용할 산업 역량이 부족했기 때문에, 비록 그 나라가 아직 전쟁을 치르지는 않았지만, 그것을 미국과 공유하기로 결정했다.[32]Tizard 미션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는 전쟁 동안 이루어진 가장 위대한 과학적 진보들 중 몇 가지가 포함되어 있었다.공유 기술, 특히 레이더 기술은 상당히 개선 공동 자전관 버밍햄에서 미국 역사학자 제임스 피니 백스터 III가 근접 fuze, 프랭크 위 틀은의 제트 엔진의 세부 사항은에"가장 고가품 화물 우리 나라에 가져와"[33]설계로 올리펀트의 그룹에 의해 디자인된 포함그Frisch-Peierls는 원자폭탄의 실현 가능성을 기술하고 있다.이것들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로켓, 슈퍼차저, 포경, 잠수함 탐지 장치를 포함한 많은 다른 물품들도 운송되었다.그는 1940년 12월에 영국으로 돌아왔다.[32]

귀국 직후 콕크로프트는 햄프셔주 크라이스트처치에서 방공연구개발설립(ADRDE) 책임자로 임명됐다.[4]그의 초점은 적기를 격추시키는 데 레이더의 사용에 있었다.GL Mk. III 레이더는 표적 추적 및 예측 레이더로 개발되었으나 1942년경에는 미국에서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SCR-584 레이더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코크크로프트는 렌트-리스에 따라 취득할 것을 권고하였다.자신의 주도하에 테스트를 위해 SCR-584 세트를 취득했고, 1943년 10월 셰피섬에서 시행된 실험에서는 SCR-584가 우수하다는 것이 결정적으로 입증됐다.이로 인해 콕크로프트는 보급부에서는 매우 인기가 없었지만, 독일군이 V-1 비행폭탄을 배치할 계획이라는 첩보를 입수했다.1944년 1월 1일, 로널드 위크 경은 워싱턴에 134 SCR-584 세트에 대한 긴급 요청을 보냈다.[34]

근접 연료

근접 연기앨런 버튼에 의해 개척되었다.적기 근처에 있을 때 포탄이 폭발할 수 있다면 거의 빗나간 것이 직격탄에 가까운 효과에 가깝다는 생각이었다.기술적 문제는 레이더 세트를 소형화하고, 총통에서 발사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었다.두 번째 문제는 독일군에 의해 해결되었다; 가속을 견딜 수 있는 밸브가 있는 고장 난 독일 폭탄이 인양되었다.[35]티저드 미션에 의해 미국인들에게 계획이 주어졌지만, 1942년 2월 찰스 드러먼드 엘리스 휘하의 크라이스트처치에 팀이 창단된 영국에서 작업은 계속되었다.일은 순조롭게 진행되었고, 1943년까지 생산은 아직 2년 남았다.1943년 11월 미국을 방문했을 때, Cockcroft는 Merle Tuve와 함께 미국 근접 퓨즈를 영국용으로 개조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그 결과, 1944년 1월 16일, QF 3.7인치 AA 총기에 대한 15만 개의 연료가 명령되었다.이 연료는 1944년 8월 V-1 비행폭탄을 발사하기 위해 제때에 도착했고, 이 중 97%를 격추시켰다.[34]그의 공로를 위해 1944년 6월 대영제국 훈장이 되었다.[36]

1943년 8월, 퀘벡 협정은 영국 튜브 합금 프로젝트를 맨해튼 프로젝트에 포함시켰고, 맨해튼 프로젝트를 통제하기 위해 연합 정책 위원회를 설립했다.[37]최종 합의서는 1944년 5월 20일에 작성되었다.그 아래, 미국인들은 캐나다중수성 원자로를 건설하는 것을 돕고, 부식과 방사성 물질이 물질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문제에 대한 기술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다.조사된 우라늄 슬러그는 영국인들이 스스로 연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만, 그들은 플루토늄 화학이나 야금에 대한 세부사항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38]걸림돌은 몬트리올 연구소장 한스 폰 할반(Hans von Halban)이었는데, 그는 가난한 행정가였으며 캐나다인들과 잘 일하지 못했으며,[39] 미국인들로부터는 보안 리스크로 간주되었다.[40]1944년 4월 워싱턴에서 열린 연합정책위원회 회의에서 영국인 피험자가 아닌 몬트리올 연구소 과학자들이 떠나기로 합의하고, 1944년 5월 콕크로프트가 몬트리올 연구소의 새 소장이 된다.[41]

1954년 2월 NRXNRU를 사용한 ZEEP 원자로(건설 중, 배경)

1944년 8월 24일, 본격적인 NRX 원자로를 진행하기 전에 격자 치수, 피복재, 제어봉 등과 관련된 몬트리올 연구소의 계산을 시험하기 위해 소형 원자로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이것은 제로 에너지 실험 말뚝에서 ZEEP라고 명명되었다.[42]몬트리올 시내에 원자로를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캐나다인들은 오타와에서 북쪽으로 180km 떨어진 오타와남쪽 둑에 있는 온타리오 주 칠크 리버에 있는 부지를 선정했고 그로브스는 승인했다.[43]1944년 분필강연구소가 문을 열었고, 1946년 7월 몬트리올연구소가 문을 닫았다.[42] ZEEP는 1945년 9월 5일에 임계치에 도달하여 [44]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운용되는 최초의 원자로가 되었다.[45]더 큰 NRX는 1947년 7월 21일에 뒤따랐다.[44]다른 원자로의 5배에 달하는 중성자속도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연구용 원자로였다.[46]원래 1944년 7월 8MW의 출력으로 설계되었으며, 스테인리스강으로 피복한 우라늄봉을 교체하고 중수에 의해 경수로 냉각되는 등의 설계변경을 통해 10MW로 출력을 높였다.[47]

콕크로프트는 1945년 9월 10일, 칠크리버 연구소에서 일했던 영국의 물리학자 앨런 넌 메이(Alan Nunn May)가 소련의 첩보원이라는 통보를 받고 충격을 받았다.1947년 8월, 콕크로프트는 후에 그가 후회한 행동인 Nunn May의 10년 징역형을 줄여줄 것을 촉구하는 청원서에 서명한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48]

전후

1945년 4월, Cockcroft와 Oliphant는 RAF Harwell에 정착하면서 영국의 유사한 설립지를 스카우트했다.[49]콕크로프트는 1945년 11월 9일 하웰에서 원자력 연구 설립(AERE)의 이사직을 제의받았다.공식 발표는 1946년 1월 29일이었지만 발표 두 달 전, 그리고 캐나다 정부에 통보되기 전에 뉴스가 유출돼 외교사건이 빚어졌다.콕크로프트는 후계자가 발견될 때까지 출발하지 않기로 합의했으며, 1946년 9월 30일까지는 칠크레강에서 하웰로 출발하지 않았다.그러는 동안 그는 새 실험실의 직원을 모집했다.맨해튼 프로젝트의 로스 알라모스 연구소클라우스 푸흐스 박사는 이론물리학 책임자가 되었고, 로버트 스펜스 몬트리올 연구소 부소장이 화학 책임자가 되었으며, H.W.B. 스키너 일반물리학 책임자가 되었으며, 오토 프리슈 핵물리학과 존 던워스 원자로물리학 책임자가 되었다.[50]푸치는 이후 1950년 2월 3일 소련 스파이로 체포되었다.[51]

흑연 저에너지 실험용 말뚝을 의미하는 저전력 흑연감속 GLEEP는 몬트리올 연구소가 설계한 것으로 1947년 8월 15일 착공 당시 서유럽에서 가동한 최초의 원자로가 됐다.1948년 7월 3일 AERE가 설계한 6MW급 연구용 원자로인 BEPO가 그 뒤를 이었다.영국에서는 중수를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BEPO는 흑연 감속 원자로로 설계되고 건설되었다.[52][53]하웰은 윈드스케일의 원자로 설계와 그곳의 화학 분리 공장에 관여했다.[4]1946년 8월 원자력법(McMahon Act)의 통과는 영국이 더 이상 미국의 원자력 연구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이는 1946년 2월 알란 넌 메이 간첩 혐의로 체포된 데 일부 원인이 있다.[54]Cockcroft는 Modus Vivendi로 알려진 1948년 1월 7일에 발표된 미국인과 보다 비공식적이고 서명되지 않은 새로운 협정을 협상하는 것을 도왔다.그 합의 하에 그가 희망했던 새로운 협력은 터무니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55]영국의 독자적인 핵 억지력의 발달로 1958년 원자력법이 개정되었고, 1958년 미-영 상호방위 협정에 따라 미국과 영국의 핵 특별 관계가 재개되었다.[56]

콕크로프트의 지휘 아래, AERE는 전후에 ZETA 프로그램을 포함한 프론티어 핵융합 연구에 참여하였다.조지 패짓 톰슨 경은 1946년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핵융합 연구를 시작했다.이후 앨리본의 지시에 따라 앨더마스턴에 있는 AP 전기 산업 연구소로 이관되었다.연구는 피터 토네만 박사 휘하의 옥스퍼드 대학에서 독자적으로 시작되었다.1951년, Cockcroft는 옥스퍼드 그룹이 하웰로 이전되도록 주선했다.콕크로프트는 투네만 하웰 그룹의 ZETA(제로 에너지 열핵 조립체)와 알리보네의 AEI 그룹의 작은 스셉트르(Sceptre by AEI) 건설을 승인했다.제임스 L. 로스 알라모스 연구소의 터크의 그룹도 융합을 연구하고 있었고, 콕크로프트는 1958년에 이루어진 그들의 결과를 함께 발표하기로 미국인들과 합의를 보았다.돌파구가 임박했다는 콕크로프트의 끊임없는 낙관에도 불구하고, 핵융합 파워는 여전히 이해하기 힘든 목표로 남아 있었다.[57]

콕크로프트의 어리석음

윈드스케일 원자로의 2개의 굴뚝 스택, Cockcroft의 필터들이 눈에 띄게 부풀어 오른 모습

AERE 이사로서, Cockcroft는 Windscale 플루토늄 생산 원자로의 굴뚝 스택을 고성능 필터와 함께 많은 비용을 들여 장착할 것을 주장하였다.그것은 테네시주 오크리지에 있는 X-10 흑연 원자로 근처에서 우라늄 산화물이 발견되었다는 보고에 대한 반응이었다.스택을 설계한 후에 그것들을 맞추기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필터는 굴뚝 꼭대기에서 덩어리로 발음되었다.

원자로는 사용 중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었고, 따라서 필터에 걸릴 미립자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또한, 오크 리지(Oak Ridge)의 우라늄 산화물은 원자로가 아닌 화학 공장에서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따라서 이 필터는 "Cockcroft's Belief"로 알려지게 되었다.그러나, 1957년의 윈드스케일 화재에 두 원자로 중 하나의 핵이 점화되었을 때, 필터는 훨씬 더 나쁜 방사성 물질의 방출을 막았다.1960년대 국방부의 미래 과학고문 테렌스 프라이스는 "사고 이후 어리석다는 단어가 적절해 보이지 않았다"[58][59]고 언급했다.

만년

1961년 1월 평화 원자들상을 받은 콕크로프트

1959년 1월 24일, 케임브리지의 처칠 칼리지가 대학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이틀 후, 신탁관리국은 Cockcroft가 그것의 첫 번째 마스터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인문사회과학도 가르치겠지만 전체 학생의 70%가 과학기술 관련 과목을 공부하게 된다.콕크로프트는 첫 번째 동료들을 지명했고, 그는 초기 공사를 감독했다.예배당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케임브리지의 전통처럼 1961년 대학 입구에서 짓겠다는 계획은 확고한 무신론자인 프란시스 크릭을 동료로서 즉각 사임하게 했다.최초의 학부생들이 1961년에 도착하였고, 아직 미완성인 이 대학은 1964년 6월 5일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에 의해 정식으로 개교하였다.[60]

콕크로프트는 1954년부터 1956년까지 물리학 연구소의 회장이었고, 영국 과학 진흥 협회의 회장이었다.그는 1961년부터 1965년까지 캔버라에서 호주 국립대학 총장을 역임했는데, 이것은 학위 수여식을 위해 1년에 한 번 방문하는 것을 포함하는 큰 상징적인 직책이다.그는 1944년에 러더포드 기념 강연을 했다.그는 CERN 평의회의 영국 대표자일 뿐 아니라 과학 산업 연구부의 핵물리 소위원회 위원장이었다.[4]

월튼, 휴즈 메달, 1951년 노벨 물리학상과 함께, 코카크로프트는 수년에 걸쳐 수많은 상과 상을 받았다.1948년 1월 기사총각이 되었다.[61]이것은 정상이었다: 과학자들은 거의 기사도적 명령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그는 1953년 5월에 배스 기사단의 기사단장이 되었다.[62][63]아마도 이것은 드문 일이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보통 공로훈장 회원이 되는 것을 더 큰 영광으로 여겼다; Cockcroft는 1956년 12월에 공로훈장 회원이 되었다.[64]그는 또한 1954년에 로열 메달을 받았습니다, 패러데이 메달 1955년, 미국 자유 훈장 1947년에 건설되었으며로 원자력 평화 이용 상 1961,[4]에 그는 프랑스의 슈발리에 드 라 Légion d'Honneur 1952,[65]에 나이트 사령관 기사단 그리스도의 포르투갈에 의해의 1955년과 대십자 훈장 국민 훈장 알폰소의 수여되었다.X1958년 스페인.[4]

1962년 5월 캐나다 사스카툰에 있는 서스캐처원 가속기 실험실에서 콕크로프트(왼쪽)

콕크로프트는 1967년 9월 18일 케임브리지 처칠 대학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그는 그의 아들 티모시와 같은 무덤에 있는 케임브리지의 어센션 묘지 교구에 묻혔다.1967년 10월 17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추도식이 열렸다.[66]

영국에서 여러개의 건물들 그 뒤를 뉴욕 박물관 단지는 캠브리지 대학의 콕크 로프트 빌딩, 강의 극장과 여러 하드웨어 실험실로 구성된;[67]의 콕크 로프트원 Daresbury 연구소에서 체셔에;[68]은 브라이튼 대학교의 콕크 로프트 건물은[69]과 콕크 로프트. 이름이 붙여져t의 uilding그는 살포드의 대학이다.[70]의 이름을 딴 호주 국립대학교 체육공학연구학교의 가장 오래된 건물인 콕크로프트 건물이다.[71]

콕크로프트의 논문은 케임브리지의 처칠 기록 보관 센터에서 열리며 일반인들이 열람할 수 있다.여기에는 그의 연구서적, 통신서류, 사진(Schilk River, CKFT 26/4의 건설을 묘사한 수십 장), 논문과 정치 논문이 포함되어 있다.[72]

메모들

  1. ^ Allibone, T. E. (1967). "Sir John Cockcroft, O.M., F.R.S".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40 (479): 872–873. doi:10.1259/0007-1285-40-479-872. PMID 4862179.
  2. ^ a b c d e f Allibone, T. E. "Cockcroft, Sir John Douglas (1897–1967), physicist and engineer".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2473.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3.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2.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liphant, M. L. E.; Penney, L. (1968). "John Douglas Cockcroft. 1897–1967".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14: 139–188. doi:10.1098/rsbm.1968.0007. S2CID 57116624.
  5.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4-5.
  6.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5-7.
  7.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10-15.
  8. ^ "No. 3099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5 November 1918. p. 13089.
  9.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15-19.
  10.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20–25.
  11.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34.
  12. ^ Cockcroft, John Douglas. "On phenomena occurring in the condensation of molecular streams on surfaces". University of Cambridge. Retrieved 4 September 2016.
  13. ^ Cockcroft, J. D. (1 June 1928). "On Phenomena Occurring in the Condensation of Molecular Streams on Surfac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19 (782): 293–312. Bibcode:1928RSPSA.119..293C. doi:10.1098/rspa.1928.0099. ISSN 1364-5021.
  14. ^ Hartcup & Alibone 1984,
  15.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37-42.
  16. ^ Gamow, George (March 1928). "Zur Quantentheorie des Atomkernes". Zeitschrift für Physik. 51 (3): 204–212. Bibcode:1928ZPhy...51..204G. doi:10.1007/BF01343196. ISSN 0044-3328. S2CID 120684789.
  17.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43.
  18. ^ a b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50-53.
  19. ^ "Award winners : Hughes Medal". Royal Society. Retrieved 4 September 2016.
  20. ^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51". Nobel Foundation. Retrieved 4 September 2016.
  21. ^ Cockcroft, J. D.; Walton, E. T. S. (1 June 1932). "Experiments with High Velocity Positive Ions. (I) Further Developments in the Method of Obtaining High Velocity Positive Io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36 (830): 619–630. Bibcode:1932RSPSA.136..619C. doi:10.1098/rspa.1932.0107. ISSN 1364-5021.
  22. ^ Cockcroft, J. D.; Walton, E. T. S. (1 July 1932). "Experiments with High Velocity Positive Ions. II. The Disintegration of Elements by High Velocity Proto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37 (831): 229–242. Bibcode:1932RSPSA.137..229C. doi:10.1098/rspa.1932.0133. ISSN 1364-5021.
  23. ^ Cockcroft, J. D.; Walton, E. T. S. (1 May 1934). "Experiments with High Velocity Positive Ions. III. The Disintegration of Lithium, Boron, and Carbon by Heavy Hydrogen Io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44 (853): 704–720. Bibcode:1934RSPSA.144..704C. doi:10.1098/rspa.1934.0078. ISSN 1364-5021.
  24. ^ Cockcroft, J. D.; Walton, E. T. S. (1 January 1935). "Experiments with High Velocity Positive Ions. IV. The Production of Induced Radioactivity by High Velocity Protons and Diplo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48 (863): 225–240. Bibcode:1935RSPSA.148..225C. doi:10.1098/rspa.1935.0015. ISSN 1364-5021.
  25. ^ Cockcroft, J. D.; Lewis, W. B. (2 March 1936). "Experiments with High Velocity Positive Ions. V. Further Experiments on the Disintegration of Bor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54 (881): 246–261. Bibcode:1936RSPSA.154..246C. doi:10.1098/rspa.1936.0049. ISSN 1364-5021.
  26. ^ Cockcroft, J. D.; Lewis, W. B. (2 March 1936). "Experiments with High Velocity Positive Ions. VI. The Disintegration of Carbon, Nitrogen, and Oxygen by Deutero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54 (881): 261–279. Bibcode:1936RSPSA.154..261C. doi:10.1098/rspa.1936.0050. ISSN 1364-5021.
  27.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368–71.
  28. ^ Clarke, Dr N. M. "The Nuffield Cyclotron at Birmingham". University of Birmingham. Retrieved 2 May 2013.
  29.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89–90.
  30.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94.
  31.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120–124.
  32. ^ a b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96–103.
  33. ^ "Radar". Newsweek. 12 January 1997. Retrieved 4 September 2016.
  34. ^ a b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108–111.
  35.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96.
  36. ^ "No. 36544".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 June 1944. p. 2586.
  37. ^ Hewlett & Anderson 1962 페이지 277–280.
  38. ^ Hewlett & Anderson 1962 페이지 281–284.
  39. ^ 에이버리 1998, 184–185 페이지.
  40. ^ Gowing 1964, 페이지 206–207, 209–214.
  41. ^ Goldschmidt, Bertrand. "How it All Began in Canada – The Role of the French Scientists". Canadian Nuclear Society. Retrieved 6 May 2016.
  42. ^ a b Laurence, George C. "Early Years of Nuclear Energy Research in Canada" (PDF). Retrieved 19 May 2016.
  43. ^ Jones 1985, 페이지 246–247.
  44. ^ a b 2015년 마감, 페이지 102-104.
  45. ^ 맨해튼 구역 1947, 페이지 9.23.
  46. ^ Fidecaro, Giuseppe (4 December 1996). "Bruno Pontecorvo: From Rome To Dubna (personal recollections)" (PDF). Università di Pisa. Retrieved 15 April 2016.
  47. ^ 맨해튼 구역 1947 페이지 9.9–9.10.
  48.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133–134.
  49.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136–137.
  50.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139–146.
  51. ^ 하트컵 & 앨리본 1984, 페이지 158.
  52.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146–147.
  53. ^ Gowing & Arnold 1974a, 페이지 379–382.
  54. ^ 고잉 & 아놀드 1974년 페이지 105–108.
  55.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222–223.
  56. ^ Gott, Richard (April 1963). "The Evolution of the Independent British Deterrent". International Affairs. 39 (2): 238–252. doi:10.2307/2611300. ISSN 1468-2346. JSTOR 2611300.
  57.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201–204.
  58. ^ Leatherdale, Duncan (14 November 2014). "Windscale Piles: Cockcroft's Follies avoided nuclear disaster". BBC. Retrieved 3 September 2016.
  59.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211.
  60.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250–258.
  61. ^ "No. 3816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30 December 1947. p. 2.
  62. ^ Hartcup & Alibone 1984, 페이지 193.
  63. ^ "No. 3986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6 May 1953. p. 2943.
  64. ^ "No. 40960".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8 December 1956. p. 4.
  65. ^ "No. 39462". The London Gazette. 8 February 1952. p. 789.
  66. ^ 하트컵 & 알리본 1984, 페이지 284.
  67. ^ "Cockcroft Building". University of Cambridge. Retrieved 5 September 2016.
  68. ^ "Cockcroft Institute". Cockcroft Institute. Retrieved 5 September 2016.
  69. ^ "Presentation Notes: Cockcroft Building, University of Brighton". University of Brighton. Retrieved 5 September 2016.
  70. ^ "New £3m Megalab unveiled". University of Salford. Retrieved 5 September 2016.
  71. ^ "Cockcroft Build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September 2016. Retrieved 5 September 2016.
  72. ^ "The Papers of Sir John Cockcroft". Churchill Archives Centre, ArchiveSearch. Retrieved 30 September 2021.{{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참조

추가 읽기

  • Cathcart, Brian (2005). The Fly in the Cathedral: How a Small Group of Cambridge Scientists Won the Race to Split the Atom. London: Penguin. ISBN 978-0-14-027906-1. OCLC 937140229.

외부 링크

학무실
새 제목 케임브리지 처칠 대학 석사
1959–1967
성공자
선행자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총장
1961–1965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