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헨리 타워스
John Henry Towers존 헨리 타워스 | |
---|---|
![]() 타워스 1946년경 | |
태어난 | 미국 조지아 주 로마 | 1885년 1월 30일
죽은 | 1955년 4월 30일 자메이카, 미국 뉴욕 | (70세)
얼리전스 | 미국 |
서비스/지점 | ![]() |
근속년수 | 1906–1947 |
순위 | ![]() |
서비스 번호 | 0-5891 |
보유된 명령 | 미국 태평양함대 미국 5함대 제2의 패스트 캐리어 태스크포스 태스크포스 38 USS 랭글리 (CV-1) USS 머그포드 (DD-105) USS 사라토가(CV-3) |
전투/와이어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수상 | 네이비 크로스(2) 해군 공로훈장 레지오트 오브 메리트 NC-4 메달 |
관계 | 허버트 D. 라일리(사위) |
기타작업 | 대통령, 태평양 전쟁 기념관 대통령, 비행안전위원회 |
존 헨리 타워스(John Henry Towers, 1885년 1월 30일 ~ 1955년 4월 30일)는 미국 해군 4성 장군이자 선구적인 해군 비행사였다. 그는 처음부터 해군 항공의 기술적, 조직적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했고, 결국 항공국장(1939–1942)을 역임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항공모함 기동대를 지휘했고, 1947년 12월 퇴역했다. 그와 마크 미츠쳐는 조기 비행의 위험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초기 해군 항공의 선구자였다. 그는 해군 비행사로는 최초로 국기 계급을 획득했으며 해군이 전함 해군 장교가 장악하고 있던 시기에 해군 항공의 최고위 주창자였다. 타워스는 그의 말년을 항공 연구를 지원하고 항공 산업에 조언하는 데 보냈다.
어린 시절과 경력
존 H. 타워스(John H. Towers)는 1885년 1월 30일 조지아 주 로마에서 윌리엄 마기와 메리(Norton)의 아들로 태어났다. 타워. 로마에서 공립학교를 졸업하고 애틀랜타에 있는 조지아 공과대학에 입학하여 토목공학과정으로 1년을 수료한 뒤 1902년 6월 메릴랜드 주 아나폴리스에 있는 미국 해군사관학교로 발령받았다. 아카데미에 있는 동안, 타워스는 해티라는 별명을 얻었고 카데트 하급 장교 1급에 올랐다.[1]
그의 반 친구들 중에는 롤랜드 브레인포드, 아서 L. 브리스톨, 윌리엄 L. 칼훈, 밀로 F.를 포함한 많은 미래의 영사들도 있었다. 드레이멜, 로버트 L. 고믈리, 윌리엄 A. 글래스포드, 찰스 C 하티건, 오버리 W. 피치, 프랭크 J. 플레처, 아이작 C. 키드, 존 S. 매케인 시니어, 레이 노예스, 페르디난드 L. 라이히무스, 셔우드 A. 태핀더, 러셀 윌슨, 토마스 위더스.[1]
1906년 2월 12일 과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으며, USS 켄터키함에 패스 미드십맨으로 소속되었다. 그 후 타워스는 그레이트 화이트 함대와 함께 전 세계 순항길에 참여했고, 제2차 쿠바 점령 기간에도 쿠바 해역에서 복무했다. 그 후 법률에 의해 요구된 2년간의 해상 근무 후, 그는 1908년 2월 13일 켄터키에 탑승한 동안 엔시그에 임관되었다.
타워스는 1909년 9월 미국 제1전함 미시간호의 피팅과 관련하여 뉴욕조선공사로 근무하게 되었고, 1910년 1월 미시간호가 부임하면서 소방관제담당관, 스포터 등을 역임했다. 이 역량에 재임하는 동안 그는 항공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항공은 현대 해군 포병의 사정거리에서 사격의 낙하를 관찰하기 위해 고고도 관측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타워스는 1910년 11월 항공 훈련을 요청했으나 글렌 커티스가 다음 달 비행을 위해 해군 장교를 훈련시키겠다고 제안했을 때 그의 사격 훈련 능력은 미시간 임무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테오도르 G. 엘리슨은 미국 최초의 해군 비행사가 되었다.[2] 커티스가 샌디에이고에서 비행학교를 동해안으로 옮긴 뒤에야 1911년 6월 27일 뉴욕주 하몬즈포트의 커티스 비행학교에 항공 훈련을 위해 보고하기 위해 미시간에서 풀려난 타워가 있었다.[3]
항공 선구자 커티스와 엘리슨의 지도 아래, 타워스는 1911년 9월 13일 미국 에어로 클럽에서 조종사 자격을 얻어 해군 최초의 비행기인 커티스 A-1 수상기를 조종했다.[2] 1911년 9월, 타워스와 엘리슨은 워싱턴 어빙 챔버스 대위의 명령에 따라 해군사관학교에서 세번 강을 건너는 Md 그린베리 포인트에 최초의 공식 해군 공군기지와 비행 항공부대를 창설했다.[4]
1911년 10월, 타워스는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에서 버지니아주 올드포인트 컴포트까지 A-1을 122분 만에 112마일의 거리를 비행하며 거리 기록을 달성했다. 그는 그 당시에 여러 개의 속도와 고도 기록을 세웠다.
그린베리 포인트의 겨울 날씨로 인해 그들은 비행기를 구획했고 타워스 에탈은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 노스아일랜드로 여행을 갔고 커티스 플라잉 스쿨과 함께 해군 항공기 형태[5] 개발과 개선에 참여했다.
샌디에이고에서 겨울을 난 후 그들은 그린베리 포인트로 돌아갔다. 1912년 10월 6일, 그는 커티스 A-2 수상기에 가솔린 탱크를 추가로 장착하여 6시간 10분 35초 동안 높은 곳에 머물 수 있게 함으로써 미국 지구력 기록을 달성했다. 타워스는 19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체서피크 만 상공에서 물에 잠긴 잠수함을 발견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했다. 이것은 나중에 NC 보트의 설계와 1919년 대서양 제1 건널목 설계로 이어지게 하는데 귀중한 것이었다. 그는 쿠바 관타나모 만 근처에서 함대를 운용하는 동안 1913년까지 그러한 실험을 했다. 덧붙여 그는 해군 항공 정찰, 폭격, 사진, 통신의 가능성을 조사했다.[3]
1913년 5월 8일, 중위. 타워스는 169마일의 장거리 비행을 위해 워싱턴 해군 야드에서 포토맥 강을 따라 내려간 뒤 체서피크 만을 따라 메릴랜드 주 아나폴리스의 미 해군사관학교까지 비행했다. 비행은 3시간 5분이 걸렸다. 고드프리 체발리에는 그의 승객이었다.[6]
1913년 6월 20일, 타워스는 체서피크 만 상공의 항공 사고로 거의 죽을 뻔했다. 그가 라이트 수상기를 타고 승객으로 비행하던 중, 그의 비행기는 갑자기 하강 기류에 휘말려 지구로 곤두박질쳤다. 조종사, 영국 공군. 빌링슬리는 비행기에서 던져져 사망하였다(첫 번째 해군 항공 사망자가 되었다). 타워스는 그의 자리에서 비틀거렸으나 간신히 날개짓 한 개를 잡아 체서피크와 충돌할 때까지 비행기와 함께 머물렀다. 곧이어 글렌 커티스와 인터뷰한 타워스는 이 비극의 상황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그의 보고서와 그에 따른 권고사항은 결국 조종사와 승객들을 위한 안전벨트와 안전벨트의 설계와 채택으로 이어졌다.
1914년 1월 20일, 상급자들에게 항공부대를 더 따뜻한 계층으로 옮겨 달라고 호소한 후, 타워스 중위는 9명의 장교와 23명의 사병을 이끌고 아나폴리스(그린베리 포인트)의 항공부대에서 플로리다 펜사콜라로 7대의 항공기와 휴대용 격납고 및 기타 장비를 이끌고 해군 항공훈련부대를 설치했다. 1914년 4월 20일, 타워스는 첫 번째 해군 항공 부대를 이끌고 함대와 함께 전투에 돌입했다. 그와 다른 두 명의 조종사, 12명의 사병, 3대의 항공기가 탐피코 사건에 대응하여 순양함 버밍엄호를 타고 펜사콜라에서 출항했다.[7]
1915년 1월, 해군은 공식적으로 비행선을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타워스는 1914년 발효일을 기점으로 해군 비행사 3호로 공식 지정되었다.[8] 타워스 중령은, CNO 휘하의 항공 데스크에 배속되어 있는 동안, 1917년에 설계되고 주문된 해군 비행사 배지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9] 1918년 1월 19일 최초의 금빛 해군 비행사 날개의 보급이 시작되었고, 당시 워싱턴의 해군 비행사였던 타워스(Towers)[9]는 빨리는 아니더라도 이른 수령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전쟁이 시작된 직후인 1914년 8월, 타워스는 1916년 가을 미국으로 돌아올 때까지 채워진 부관인 해군 부관장으로 런던으로 발령받았다. 그 8월 타워스 중위는 레지날드 R 중령이 이끄는 해군 사절단의 일환으로 테네시호에 탑승한 미국 구호 원정대에 동행했다. 벨나프, 육군 헨리 S 부차관보가 총지휘한다. 브레킨리지. 이후 타워스는 제1예일 부대를 주창했는데, 이 부대는 해군 항공의 전쟁 참여의 핵심이 되었다.
1917년 5월, 타워스 중령은 해군 항공예비대의 전구인 해군 예비군 비행단의 감독관으로 항해국에 발령받았다. 해군이 항공 사단을 창설했을 때, 해군 본부 본부에서 타워스는 해군 항공 부국장으로 임명되었다. 그 위치에서, 그는 구식 항공기 몇 대와 50명 미만의 조종사로부터 수천 대의 항공기와 항전기로의 증강을 조정했다. 그 후 타워스는 해군 항공 부국장으로 전시 근무한 공로로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10]
전쟁 중, 1919-1939년
전쟁 기간 동안, 타워스는 해군 내부 또는 외부에서 사실상 다른 지원이 없을 때 해군 항공(특히 항공모함 항공)의 선두 주창자였다. 그는 항공기에 의한 최초의 대서양 횡단, 미국 최초의 항공모함인 USS 랭글리함 사령관, 해군용으로 구축된 조직구조인 항공국(BuAer) 내에서 중요한 직위(국장 포함)를 맡는 등 해군 항공의 많은 선구적 발전에 관여했다. 1921년 항공.
대서양 횡단: NC-4, 1919년 비행
1919년 당시 커맨더 타워스는 대서양의 첫 공중 건널목을 제안하고 계획하며 이끌었다.[11] 이 임무에 대한 계획은 실제로 1차 세계 대전 초기에 시작되었는데, 당시 연합군의 선박은 잠수함 전쟁으로 위협을 받았으나 전쟁이 끝나기 전에는 달성할 수 없었다. 비행 원정은 1919년 5월 8일 NC-1, NC-3, NC-4로 지정된 커티스 NC 플라잉보트 3척이 뉴욕 해군 공군기지 로커웨이를 떠나 [12]메사추세츠주 채텀과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에 중간 기착한 뒤 1919년 5월 15일 뉴펀들랜드 트레파시에 도착했다.
5월 16일 그들은 아조레스로 가는 여정의 가장 긴 다리를 위해 떠났다. NC-1과 NC-3는 모두 짙은 안개 때문에 거친 바다에 착륙할 수밖에 없었고, 둘 다 다시 이륙할 수 없었다. NC-1은 이후 물을 타기 시작했고 선원들은 그리스 화물선 이오니아에 의해 구조되었다.[13] 타워스를 포함한 NC-3의 승무원들은 상 미겔 섬의 폰타 델가다까지 200마일이 넘는 거리를 급유하면서 52시간 동안 NC-3를 침몰시켰다. NC-4는 5월 27일 리스본에 도착하여 대서양 횡단보도를 완성했다. 이 작전에 대한 그의 지도력으로, 타워스는 그의 두 번째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 그는 또한 1919년 6월 3일 포르투갈 정부에 의해 탑과 검의 훈장이 되었다.[14] 10년 후, 타워스와 NC-4의 승무원들은 의회 금메달을 받았다.[15]
바다 및 해안 배치, 1920년대와 1930년대
1919년 가을과 1922년 그리고 1923년 늦겨울 사이에, 타워스는 바다에서 – 아로스톡 USS의 집행관, 그리고 항공기 입찰로 재설계된 오래된 구축함 USS 머그포드의 지휘관으로 일했다. 그 후, NAS 펜사콜라에서 행정관으로 근무한 후, 그는 1923년 3월부터 1925년 9월까지 2년 반 동안 런던, 파리, 로마, 헤이그, 베를린의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며 해군 부관장으로 근무했다.
1925년 가을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항공국 소속으로 비행선 선난도 USS 셰난도호의 분실을 조사하는 조사 재판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타워스는 1927년 1월부터 1928년 8월까지 해군 최초의 항공모함인 USS 랭글리를 지휘했다. 그는 1927년 12월 휘발유 라인에 불이 붙어 운반선에 탔을 때 '위험 앞에서 냉정함과 용기'로 표창을 받았다. 타워스는 개인적으로 폭발로 인한 화염을 진압하기 위한 활기차고 성공적인 노력을 주도했고 따라서 대재앙을 피했다.
항공국에서 해안에 근무한 후, 타워스는 계획 부서의 책임자를 이어받았고, 후에 부국장을 역임했다. 타워스는 1931년 6월 해리 E. 야넬 제독 휘하의 사령관, 항공기, 전투부대의 참모진에 합류했다. 그는 1941년 12월 일본군에 의해 대규모로 복제된 작전인 1932년 2월 하와이 제4차 합동 군사훈련 때 진주만에서 성공적인 "공격"을 계획했던 참모들 중 한 명이었다.
1933년 6월과 1939년 6월 사이에, 타워스는 해안과 해안에 있는 다양한 빌렛을 채웠다. 그는 1934년 해군 전쟁 대학에서 수석 과정을 수료했고, 샌디에이고의 해군 공군 기지를 지휘했고, 다시 컴에어배트 포스의 참모에서 근무했고, 항공모함 사라토가를 지휘했고, 항공국 부국장이 되었다. 1939년 6월 1일 후방 제독 계급과 함께 항공국장으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타워스는 항공국장으로서 해군의 항공기 조달 계획을 조직했고, 극동과 대서양에 전운이 몰려들었다. 그의 지도하에 해군의 항공기는 1939년 2000대에서 1942년 3만9000대로 늘어났다. 그는 또한 엄격한 시범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했고 지상 지원 임무를 위해 훈련된 예비역 장교들을 설립했다. 타워스 재임 기간 동안 해군 항공 활동에 배속된 인원은 약 25만 명으로 최고점에 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작전 사령부

1942년 10월 6일 제독으로 진급한 타워스는 태평양 함대의 공군 사령관이 되었다. 그는 이 전단을 통해 함대의 발전, 조직, 훈련, 보급 등을 감독했으며, 일본 함대의 파멸과 궁극적으로는 태평양에서의 미국의 승리를 상징하는 전략을 개발하는 데 일조했다. "건전한 판단력과 예리한 지략"으로, 타워스는 연이어 레종 유공자 훈장과 공로훈장을 받았다.
이후 타워스는 태평양 지역 부사령관과 태평양함대 부사령관(DCINCPOA)의 겸직으로 승진했다. 이 자격으로 체스터 니미츠 제독의 해군항공정책, 함대물류, 행정문제 수석고문을 지냈다.[16]
1945년 8월, 타워스는 태평양함대 제2고속항공모함 기동대와 기동대 38호를 지휘하게 되었다. 그는 전쟁이 끝난 후 이 직책을 맡았다.
전후근무
1945년 11월 7일, 그는 5함대 사령관으로서 전함 USS 뉴저지호에 탑승한 자신의 깃발을 부러뜨렸다. 1946년 2월 1일 그는 항공모함 베닝턴함을 기함으로 태평양함대 사령관으로 레이먼드 스프란스 제독을 해임하고 1947년 3월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
1946년 트루먼 대통령은 여러 개의 합동 또는 통일된 명령의 수립을 요구하는 제1차 개요 명령안(현재의 통일 명령안)에 서명했다. 1947년 1월 1일, 새로운 미국 태평양 사령부는 타워스 제독을 초대 사령관으로 하는 최초의 통일된 명령 중 하나로 우뚝 섰다. 그는 1947년 1월 1일 – 1947년 2월 28일에 재배치되기 전까지 불과 두 달 동안 태평양 사령관을 지냈다. 타워스 제독은 태평양함대 사령관 겸 태평양사령관 겸 사령관으로 이중모트를 받았다.
타워스는 1947년 3월부터 12월까지 해군 총회 의장을 맡은 후 1947년 12월 1일 퇴역했다.
은퇴
퇴임 후, 타워스는 태평양 전쟁 기념관 사장, 팬아메리칸 월드 에어웨이즈 사장 보좌관, 비행 안전 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 타워스 제독은 성에서 죽었다. 1955년 4월 30일 뉴욕 자메이카 알반스 병원은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영예와 상
1961년, 타워스는 1928년부터 은퇴할 때까지 해군 비행사 중 가장 원로로서 그레이 이글상 두 번째 수상자로 추증되었다. 1966년 국립항공 명예의 전당, 1973년 국제항공우주 명예의 전당, 1981년 해군 항공 명예의 전당, 2004년 조지아 항공 명예의 전당에 안치되었다.[17]
밥 라스무센이 그린 조지아 로마의 탑상
그가 선수 생활 동안 획득한 훈장과 메달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해군 비행사 배지 | |||||||||||||
첫 번째 배를 젓다 | 5/16인치 별 1개를 가진 네이비 크로스 | 해군 공로훈장 | 레지오트 오브 메리트 | ||||||||||
---|---|---|---|---|---|---|---|---|---|---|---|---|---|
두 번째 배를 젓다 | NC-4 메달 | 쿠바 평화 훈장 | 멕시코 서비스 메달 | ||||||||||
3번째 배를 젓다 | 제1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 미국 방위군 훈장 | 아메리칸 캠페인 메달 | ||||||||||
4일 배를 젓다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캠페인 메달 2개의 3/16인치 서비스 스타를 가지고 |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 해군 점령 훈장 | ||||||||||
5일 배를 젓다 | 대영제국 훈장 | 에어포스 크로스 (영국) | 탑과 검의 사령관 (포르투갈) |
네임스케이크
베트남전에서 행동을 목격한 유도탄 구축함 USS 타워스(DDG-9)가 그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올렸다. 달 위의 분화구는 아폴로 17호 임무에 의해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8] 플로리다 주 잭슨빌에 있는 잭슨빌 해군 공군 기지의 타워스 필드는 리처드 B의 공군 기지와 마찬가지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러셀 지역 공항, 로마, 조지아.[19] 진주만 미 태평양함대 사령부에 위치한 수영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Lucky Bag - USNA Class of 1906". United States Naval Academy. Retrieved July 10, 2018.
- ^ a b Reynolds, Clark G. (1986). "Young Jack Towers". Proceeding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Supplement (April): 2–8.
- ^ 레이놀즈, 클라크(1991) 제독 존 H. 해군 항공 패권을 위한 투쟁의 탑
- ^ "Towers, John Henry". www.history.navy.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2-31. Retrieved 2016-01-15.
- ^ http://home.earthlink.net/~htcopercooper/probage5.htm
- ^ http://www.history.navy.mil/branches/ww1av.htm
- ^ http://www.history.navy.mil/avh-1910/APP01.PDF
- ^ a b [2]
- ^ Awarding of Medals in the Naval Service. U.S. Senate Subcommittee on Naval Affairs. 1920. p. 57. Retrieved October 14, 2020.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6-18. Retrieved 2009-08-14.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현재 관문 국립휴양구역의 해체 및 일부
- ^ 항공 역사 웹사이트
- ^ "Ordens Honoríficas Portuguesas" [Portuguese Honorary Orders]. Presidency of the Portuguese Republic (in Portuguese). Retrieved 2018-04-26.
- ^ 웨이백 머신 타워스(Wayback Machine Towers)에 보관된 2012-09-16 첫 대서양 횡단 비행의 승무원에게 수여된 의회 금메달은 NC-4의 승무원과 함께 수여되었다.
- ^ "Decorations, Navy Distinguished Service Medal - All Hands, The Bureau of Naval Personnel Information Bulletin; January 1946; page 57" (PDF). navy.mil. United States Navy Websites. Retrieved 11 February 2017.
- ^ "Admiral John H. Towers". Georgia Aviation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 2017. Retrieved October 9, 2018.
- ^ Isakson, Johnny (May 20, 2009). "Congressional Record, Volume 155 Issue 78 (Wednesday, May 20, 2009)". Congressional Record. 155 (78). Retrieved 28 January 2012.
- ^ http://romenews-tribune.com/view/full_story/5697870/article-Rome-native-Towers-featured-in-new-book[permanent dead link]?
- 이 글에는 공용 도메인에서 온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미국 해군 전투함 사전.
- 레이놀즈, 클라크 G. 제독 존 H. 타워: 해군 항공 패권을 위한 투쟁. 아나폴리스: 1991년 해군 연구소 출판부.
외부 링크
- 알링턴 국립묘지
- 해군사적센터에서 본 USS 타워스(DDG-9)의 제독탑과 선박 역사에 관한 전기적 정보
- 존 H. 타워스 신문 (의회 도서관)
- Text of Georgia SR-942, General Towers. 본문에는 Towers의 Georgia 뿌리와 해군의 업적을 간략하게 낭송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결의안은 조지아 주 의사당에 타워스 초상화를 설치하는 것을 승인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