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 8°51'4 ″ S 109°2'3 ″E / 8.85111°S 109.03417°E / -8.85111; 109.03417

USS 랭글리 (CV-1)

USS Langley (CV-1)
1927년 USS 랭글리 진행중
역사
미국
이름.
  • 목성 (1912-1920)
  • 랭글리 (1920-1942)
네임세이크
빌더마레섬 해군 조선소
눕혀짐1911년10월18일
런칭1912년 8월 24일
위탁받은1913년 4월 7일
해체됨1920년 3월 24일
추천인1922년 3월 20일
해체됨1936년 10월 25일
추천인1937년 4월 21일
개명1920년 4월 21일 랭글리
재분류
스트릭큰1942년 5월 8일
신분증
닉네임"가려진 마차"
아너스와
상을 주다
운명.1942년 2월 27일 자바 해안에서 일본의 공습으로 침몰; 8°51'4 ″ S 109°2′3″E / 8.85111°S 109.03417°E / -8.85111; 109.03417
배지
수업개요
선행후무차입증
성공한 사람렉싱턴 클래스
계획된2[1]
완료된1
일반적 특성
클래스 및 유형
변위
  • 19,360톤 (19,671톤) (목성으로서)
  • 12,700 롱톤 (12,904t) (표준, Langley)[2]
  • 13,900 롱톤 (14,123t) (만재, Langley)[2]
길이542 ft (165.2 m)[2]
65 ft 5 in (19.9 m)[2]
초안
  • 27 ft 8 in (8.4 m) (목성으로)
  • 24피트(7.3m)(랭글리로)[2]
설치된 전원
추진력
스피드15.5노트(28.7km/h, 17.8mph)
범위10노트(시속 19km, 12mph)[2]에서 3,500nmi(6,500km, 4,000mi)
보어
  • 장교 163명(주피터)
  • 장교 468명 (랭글리 역)
무장
운반된 항공기
  • 없음(주피터)
  • 36 (랭글리 역)[2]
항공시설
  • 1×엘리베이터
  • 1x 투석기

USS 랭글리 (CV-1/AV-3)는 1920년 콜리어 USS 주피터 (해군함대 콜리어 3호)에서 개조된 미국 해군의 첫 항공모함이자 미국 해군의 첫 번째 터보 전기 추진 함선이었습니다. 다른 콜리어의 전환은 계획되었지만 워싱턴 해군 조약이 부분적으로 건조된 렉싱턴급 전투 순양함 렉싱턴새러토가의 취소를 요구함에 따라 취소되어 항공모함 렉싱턴새러토가로의 전환을 위한 선체를 확보했습니다. 랭글리는 미국의 항공 선구자인 사무엘 랭글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한번 수상기 입찰로 전환한 후, 랭글리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습니다. 1942년 2월 27일, 그녀는 자바로 USAFA P-40의 화물을 운반하던 중, 일본 제21, 23 해군 항공대의[2] 쌍발 일본 폭격기[4] 9대의 공격을 받아 호위대에 의해 좌초될 정도로 심하게 손상되었습니다. 그녀는 또한 그녀의 학급에서 유일한 캐리어였습니다.

시공

대통령 윌리엄 H. 태프트는 1911년 10월 18일 캘리포니아 발레호에 있는 마레 아일랜드 해군 조선소에서 목성의 용골이 깔렸을 때 기념식에 참석했습니다. 그녀는 1912년 8월 24일 부인의 후원으로 출범했습니다. 토마스 F. 1913년 4월 7일 조지프 M 사령관의 지휘 하에 임관했습니다. 리브스.[5] 그녀의 자매선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진 사이클롭스, 프로테우스, 네레우스로, 둘 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이클롭스와 같은 경로로 사라졌습니다.

목성은 미국 해군의 첫 번째 터보 전기 동력 선박이었습니다. 넵튠은 증기 터빈과 기어드 드라이브로 만들어졌지만 두 개의 3중 팽창 증기 엔진을 가진 이전의 사이클롭스에 비해 성능이 떨어졌습니다. 윌리엄 르 로이 에밋(William Le Roy Emmet)이 설계하고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General Electric Company)가 제작한 목성 전기 드라이브는 각각 프로펠러 축에 직접 연결된 두 개의 전기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일 커티스 터빈과 알터네이터 세트로 구동됩니다. 2,000rpm 및 2,200볼트에서 이 세트는 110rpm에서 프로펠러와 함께 14노트(26km/h, 16mph)의 속도를 제공했습니다. 또한 Turbo-Electric Drive는 Cyclops에 해당하는 280톤의 기계에 비해 156톤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6]

서비스이력

콜리어

1913년 10월 16일 마레섬의 목성

해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한 목성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미 해병대 분견대에 착수하여 1914년 4월 27일 멕시코 마자틀란에 있는 태평양 함대에 보고하여 베라크루즈 사태의 긴장된 시기에 멕시코 태평양 연안에서 미국의 해군력을 강화했습니다. 그녀는 10월 10일 필라델피아로 출발할 때까지 태평양 연안에 머물렀습니다. 도중에 콜라이어는 콜럼버스의 날에 파나마 운하를 통해 증기를 뿜어 태평양에서 대서양으로 운반하는 첫 번째 선박이었습니다.[5]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전에, 그녀는 대서양 함대 보조 사단에 소속된 대서양과 멕시코 만을 순항했습니다. 이 배는 1917년 4월 6일 버지니아 노퍽에 도착했고, 해군 해외 수송국에 배속되어 1917년 6월과 1918년 11월 두 번의 프랑스 화물 항해로 그녀의 석탄 작업을 중단시켰습니다. 첫 번째 항해는 7명의 장교와 122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해군 항공단을 영국으로 수송했습니다.[7] 유럽에 도착한 최초의 미국 항공 분견대로, 5년 후 랭글리초대 행정관이 된 케네스 위팅 중위가 지휘했습니다.[7] 1919년 1월 23일 주피터는 노퍽으로 돌아와 3월 8일 프랑스 브레스트로 항해하여 승리한 퇴역 군인들의 미국 귀환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유럽 해역에서 석탄 수송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8월 17일 노퍽에 도착한 배는 서해안으로 이송되었습니다. 1919년 7월 11일 항공모함으로의 전환이 승인되었고, 12월 12일 버지니아주 햄프턴 로드로 항해하여 1920년 3월 24일 퇴역했습니다.[5]

항공모함

목성버지니아주 포츠머스에 있는 노퍽 해군 조선소에서 미국 최초의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습니다. 1920년 4월 11일, 그녀는 미국의 천문학자, 물리학자, 항공학 개척자, 항공기 엔지니어인 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Samuel Pierpont Langley)를 기리기 위해 랭글리(Langley)로 이름을 바꾸었고, 그녀는 선체 번호 CV-1을 받았습니다. 1921년 초, 제1차 세계 대전의 기억은 군함 건조에서 군축으로 여론을 흔들고 있었습니다. 1921년 11월 12일 워싱턴 해군 조약 제8조는 존재하거나 건조 중인 실험용 항공모함에 대한 면제를 규정했습니다. 1922년 2월 6일에 워싱턴 해군 조약이 체결되었고, 1922년 3월 20일에 랭리는 해상 항공 실험을 수행할 목적으로 추천되었습니다. 지휘관은 케네스 휘팅 사령관으로, 3년 전 미 해군 일반위원회에 처음으로 콜리어 전환을 제안했습니다.[8][5]

Langley는 미국 최초의 항공모함으로서 미국 해군 항공의 몇 가지 중요한 사건의 현장이었습니다. 1922년 10월 17일 버질 C 중위. 그리핀은 전신 나무 데크에서 발사된 첫 비행기인 Vought VE-7을 조종했습니다.[9][10] 비록 비행기가 배에서 이륙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고, 비록 랭글리가 비행갑판이 설치된 첫 번째 배는 아니었지만, 이 발사는 현대 미국 해군에게 기념비적으로 중요했습니다.[5] 미래에 해군의 선봉장이 될 것을 해군에 소개하면서 항모 시대가 탄생했습니다. 9일 후 랭글리가 진행 중인 가운데 고드프리 쿠르첼스 체발리중장39B 항공기로 첫 착륙을 했습니다.[10] 11월 18일, 휘팅 사령관은 항공모함 갑판에서 발사된 최초의 비행사였습니다.[5][11][12]

랭글리의 특이한 특징은 5인치 포 사이의 선미에 수송용 비둘기 집을 마련하는 것이었습니다.[13] 비둘기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메시지 수송을 위해 해상 비행기에 실려 왔으며, 랭글리에서 운항하는 항공기에 실려 갈 예정이었습니다.[13] 이 비둘기들은 랭글리가 개조를 하는 동안 노퍽 해군 조선소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14] 비둘기들이 운동을 위해 한 번에 몇 마리씩 풀어주기만 하면 배로 돌아왔지만, 랭글리탕헤르 섬에 정박하는 동안 무리 전체가 풀려났을 때 비둘기들은 남쪽으로 날아가 노퍽 조선소의 크레인에 자리를 잡았습니다.[14] 비둘기들은 다시는 바다에 가지 않았고 이전 비둘기 집은 행정관의 숙소가 되었습니다.[13] 그러나 렉싱턴새러토가의 개조를 위한 초기 계획에는 비둘기를 위한 칸이 포함되었습니다.[14]

1923년 1월 15일, 랭글리카리브해에서 항공모함 착륙을 위한 비행 작업과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6월, 그녀는 시민과 군 고위 인사들 앞에서 열린 비행 전시회에서 시연하기 위해 워싱턴 D.C.로 향했습니다. 그녀는 6월 13일 노퍽에 도착하여 대서양 연안과 카리브해를 따라 훈련을 시작하여 연말까지 그녀를 데리고 갔습니다. 홍보 크루즈는 바하버, 메인, 포틀랜드, 메인, 포츠머스, 뉴햄프셔, 글로스터, 매사추세츠, 보스턴, 뉴욕에 정차했습니다. 항구에 입항하고 정박한 후, 랭글리는 관심 있는 민간인들이 볼 수 있도록 이착륙 일정을 발표했습니다. 비록 비행사들이 도시 위를 비행하는 일부 대형을 만들었지만, 사람들은 배의 이착륙을 보는 것에 더 관심이 있었습니다. 비행기는 바람이 거의 없거나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이륙할 때 갑판에서 비행 속도에 거의 도달하지 못했지만 조종사들은 물에 도달하기 전에 비행 갑판에서 52피트(16m) 떨어진 동안 비행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고 확신했습니다.[15] 1924년, 랭글리는 더 많은 기동 훈련과 전시회에 참가했고, 수리와 개조를 위해 노퍽에서 여름을 보냈습니다. 그녀는 그해 말에 서해안으로 출발했고, 태평양 전투 함대에 합류하기 위해 11월 29일에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 도착했습니다.[5]

1927년, 랭글리관타나모만 해군기지에 있었습니다.[16] 그 후 12년 동안 그녀는 캘리포니아 해안과 하와이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함대 부대 훈련, 실험, 조종사 훈련 및 전술 함대 문제에 종사했습니다.[5] 랭글리는 1929년 해군 항공 플라잉 플리트에 관한 무성 영화에 출연했습니다.[17]

씨플레인 입찰

1937년 수상기 입찰로 전환한 랭글리

1936년 10월 25일, 그녀는 정비와 수상기 입찰로 전환을 위해 캘리포니아의 마레 아일랜드 해군 야드에 들어갔습니다. 비록 그녀의 항공모함으로서의 경력은 끝났지만, 그녀의 잘 훈련된 조종사들은 다음 두 항공모함인 렉싱턴사라토가[5](각각 1927년 12월 14일과 11월 16일에 취역)에게 매우 귀중한 것으로 증명되었습니다.

랭글리는 1937년 2월 26일에 개조를 완료하고 4월 11일에 선체 번호 AV-3를 배정받았습니다. 그녀는 항공기 정찰대에 배치되어 시애틀, 워싱턴, 시트카, 알래스카, 진주만,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서 근무를 시작했습니다. 1939년 2월 1일부터 7월 10일까지 대서양 함대와 함께 잠시 배치를 위해 출발한 후, 9월 24일 마닐라에 도착한 아시아 함대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5]

제2차 세계 대전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는 순간, 랭글리는 필리핀 캐비테 앞바다에 정박했습니다.[5][18] 12월 8일, 일본의 필리핀 침공 이후, 그녀는 카비테를 떠나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의 발릭파판으로 향했습니다. 자연 경보 상태에서 (전날 진주만 공격이 있었다) 300발이 금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전에 하늘에 있는 물체에 발사되었습니다.[19] 일본군의 진격이 계속되자 랭글리는 1942년 1월 1일 다윈에 도착하면서 호주로 향했습니다.[18] 그녀는 그 후 미국-영국-네덜란드-호주 해군 사령부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1월 11일까지 랭글리는 다윈에서 대잠초계기를 운용하는 데 호주 왕립 공군을 도왔습니다.[5][18]

랭글리 육군 공군 조종사 및 지상 승무원과 함께 극동 공군 제13추격비행단(임시)의 32대의 P-40 전투기 화물을 픽업하기 위해 프리맨틀로 갔습니다.[18] 프리맨틀에서 랭글리와 화물선 씨위치는 멜버른에서 실론 콜롬보로 막 도착한 호송 MS.5에 군대와 물자를 싣고 결국 인도와 버마로 향했습니다. 호송대는 미국 육군 수송대 윌러드 A로 구성되었습니다. 홀브룩과 호주군은 경순양함 USS 피닉스의 호위를 받으며 던트룬카툼바를 수송합니다. MS.5는 2월 22일 프리맨틀을 출발했습니다.[5][20] 콜롬보, 랭글리, 씨위치로 가는 도중, ABDACOM은 호송대를 떠나 자바 트질랏합으로 비행기를 인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진행하도록 지시했습니다.[5][20]

랭글리는 1942년 2월 27일 자바 앞바다에서 어뢰를 타고 침몰했습니다.

2월 27일 새벽, 랭글리는 그녀를 호위하기 위해 트질랏자프에서 파견된 구축함 USS 휘플USS 에드잘과 함께 방문했습니다.[5][18] 그날 아침 늦게, 일본 정찰기가 이 대형의 위치를 알아냈습니다. 11시 40분경, 일본 해군 항공대의 다카오 코쿠타이 소속의 미쓰비시 G4M "베티" 폭격기 16대가 아다치 지로(Adachi Jiro) 중위가 이끄는 Betty 폭격기로부터 발리의 덴파사르 비행장을 벗어났습니다. 그리고 15대의 A6M2 레이젠 전투기가 호위했습니다. 일본 폭격기들은 모든 폭탄을 한꺼번에 투하하기보다는 부분적인 살보를 방출하는 공격을 가했습니다. 랭글리는 중간 고도에서 수평으로 폭격했기 때문에 폭탄이 풀릴 때 조타기를 바꿔 첫 번째와 두 번째 폭격 패스를 피할 수 있었지만, 세 번째 패스에서 폭격기들은 전술을 바꿔 랭글리가 돌릴 수 있는 모든 방향을 틀어 잡았습니다. 그 결과, 랭글리는 60 킬로그램과 250 킬로그램 (130과 550 파운드)의 폭탄 혼합물에서 5 대의 안타와 3 대의 가까운 실수를 가져갔고,[21] 16 명의 승무원이 사망했습니다.[22][note 1] 탑사이드가 화염에 휩싸였고, 조타가 손상되었으며, 배가 좌현까지 10° 리스트를 개발했습니다.[5][18] 랭글리는 그녀의 엔진룸이 물에 잠기면서 물에 빠져 죽었습니다. 13시 32분에 배를 포기하라는 명령이 통과되었습니다.[5]

13시 58분에 생존한 승무원과 승객들(휘플은 308명과 에드잘 177명을 구조했다)을 이륙시킨 후, 호위 구축함들은 출발하여 14시 29분에 랭글리 선체에 4인치(100mm) 포탄 9발과 어뢰 2발을 발사하여 랭글리가 적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시작하여 약 08°51'04 ″ 109°0에서 절단했습니다.2′03″E / 8.85111°S 109.03417°E / -8.85111; 109.03417 (USS Langley (AV-3)).[18] 석유회사 USS 페코스로 이송된 후, 일본의 항공모함 항공기에 의해 호주로 향하던 페코스가 침몰하면서 랭글리 승무원들 중 많은 사람들이 실종되었습니다. 페코스의 전체 승무원과 랭글리 생존자 630여 명 중 232명이 구조됐고, 400여 명은 이 지역에서 일본 잠수함이 구조 활동을 방해해 방치돼 숨졌습니다. 미국 아시아 함대미국-영국-네덜란드-호주 사령부의 망망한 선박들의 정확한 사상자 수는 수집이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너무 많은 연합군 군함들이 네덜란드 동인도 작전으로 침몰했기 때문입니다. (최소 총 24척) 그리고 그 선박들 중 많은 수는 이미 다른 침몰 선박들의 생존자들을 구조한 후에 또한 침몰되었기 때문입니다. 몇 시간 며칠 [24][25]후에 일본인들에게 랭글리가 수송 중인 USAAF 제13추격비행단(잠정)에 배속된 33명의 조종사 중 31명은 츠질랏합으로 끌려가기 위해 에드잘에 남아 있었지만, 페코스의 조난 요청에 대응하던 중 같은 날 일본 군함에 의해 침몰하면서 길을 잃었습니다.[18] 해군 인사국에 따르면 랭글리에서 온 총 288명의 미 해군 장교와 승무원들이 실종되었고 나중에 랭글리페코스의 침몰 이후 사망을 선언했습니다. 원래 랭글리에 있던 USAAF 조종사 31명을 포함하면 랭글리에서 총 319명이 사망했습니다.[26]

수상 및 장식

주피터로서[27]
Bronze star
멕시코 공로훈장 제1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Transport" 걸쇠로
애즈 랭글리[27]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미국 국방부 훈장
"플릿" 걸쇠로
아시아 태평양 캠페인 메달
2개로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USS Langley (AV-3)는 아시아 태평양 전역에서 두 개의 별을 획득했습니다. 1941년 12월 8일부터 1942년 5월 6일까지 필리핀 제도 작전을 위한 작전, 1942년 1월 23일부터 2월 27일까지 네덜란드 동인도 제도 작전을 위한 작전.[27]

참고 항목

인용문

메모들

  1. ^ 일부 영어 소식통들은 로스코에[23] 의존하는데, 이 공격은 일본 제21, 23 해군 항공대의 9대의 아이치 D3A1 "발" 급강하 폭격기 때문이라고 잘못 보고 있지만, 랭글리의 자체 행동 보고서는 공격자들을 쌍발 수평 폭격기로 언급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독일융커 Ju 86 폭격기와 비교했습니다. 그리고 여러 번의 통과는 각각 하나의 폭탄을 가진 잠수 폭격기가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입니다.[citation needed][original research?]

참고문헌

  1. ^ "H-069-1: "The Covered Wagon": USS Langley (CV-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22. Retrieved 3 June 2022.
  2. ^ a b c d e f g h i 포드2001, 페이지 330
  3. ^ 메시머, 드와이트 (1983). 전쟁의 전당포: USS 랭글리 호와 USS 페코스 호의 손실. 아나폴리스, MD: 미국 해군 연구소.
  4. ^ USN 2009.
  5.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Langley I (AC-3)".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Navy Department,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6. ^ JASNE 1912, p. 1093.
  7. ^ a b 테이트 1978, 페이지 62
  8. ^ van Deurs, George (1986). "The Aircraft Collier Langley". Proceeding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Supplement (April): 24–27.
  9. ^ "First of Many: The Aircraft Carrier USS Langley". portsmouthnavalshipyardmuseum.com. 4 June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April 2022. Retrieved 24 April 2022.
  10. ^ a b 테이트 1978, 페이지 66
  11. ^ 테이트 1978, 페이지 67
  12. ^ 캐터필트는 이미 선박에서 항공기를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헨리 C. 1915년 순양함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머스틴으로
  13. ^ a b c 테이트 1978, 페이지 65
  14. ^ a b c 프라이드 1979, 89페이지
  15. ^ Pride, Alfred M. (1986). "Pilots, Man Your Planes". Proceeding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Supplement (April): 28–35.
  16. ^ "U.S. Navy National Museum of Naval Aviation photo No. 2003.001.323". collections.naval.aviation.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15. Retrieved 26 April 2015.
  17. ^ Kaplan, Philip (2013). Naval Air: Celebrating a Century of Naval Flying. Pen and Sword. p. 67. ISBN 978-1-78159-24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March 2024. Retrieved 26 April 2015.
  18. ^ a b c d e f g h Birkett, Gordon. "P-40's in Australia – Part 5" (PDF). www.adf-serials.com.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23. Retrieved 16 May 2013.
  19. ^ Made, Foster (6 December 2018). "Laundry, Shooting at Venus, and Surviving Two Back-To-Back Ship Sinkings Part 1". The National Museum of the Pacific W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23. Retrieved 5 March 2023.
  20. ^ a b 길 1957, 페이지 601-602.
  21. ^ 자바해 1943.
  22. ^ 메시머 1983.
  23. ^ 로스코 1953, p. 102
  24. ^ "H-003-3: The Valor of the Asiatic Fleet". history.navy.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pril 2022. Retrieved 20 March 2022.
  25. ^ "Pecos I (AO-6)". history.navy.m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May 2023. Retrieved 20 March 2022.
  26. ^ https://www.naval-history.net/WW2UScasaaDB-USNBPbyDate1941-42.htm Wayback Machine2023년 8월 25일 보관. 2023년 8월 25일 회수
  27. ^ a b c Navsource 2016.

서지학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