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J. 발렌틴

John J. Ballentine
존 J. 발렌틴
Vice Adm. John J. Ballentine.jpg
태어난(1896-10-04)1896년 10월 4일
오하이오 주 힐즈보로
죽은1970년 5월 21일 (1970-05-21) (73세)
메릴랜드 주 베데스다[1]
얼리전스 미국
서비스/지점미국 해군
근속년수1917–1954
순위제독
보유된 명령해군 공군 대서양
제6함대
캐리어 디비전 1
캐리어 디비전 SEVEN
USS 벙커
USS 롱아일랜드
VT-2B
VO-11
VT-20
전투/와이어제2차 세계 대전
수상실버스타

존 제닝스 발렌타인(John Jennings Balentine, 1896년 10월 4일 ~ 1970년 5월 21일)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호위함 USS 롱아일랜드함대함 벙커 힐을 지휘한 미국 해군 초기의 비행사였다.전쟁이 끝난 후, 그는 미국 6함대해군 공군 대서양을 지휘했다.

조기생활과 교육

존 발렌틴은 오하이오주 힐즈보로에서 태어나고[1] 자랐다.[2]그는 조지 맥클렐랜드 발렌틴과 오라(에킨스) 발렌틴의 아들이었다.힐즈보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메릴랜드 아나폴리스미국 해군 사관학교에 임명되어 1917년 1918년 졸업했다.[3][2]

경력

발렌타인은 임관 후 네브라스카 전함에 배속되었다.1919년 2월부터 1920년 5월까지 전함 USS 애리조나에서 복무했다.[3]

발렌틴은 1920년 11월 22일 해군 공군 기지 펜사콜라에서 비행 훈련을 받은 후 해군 비행사로 임명되었다.[3]1923년, 그는 버지니아 달그렌해군 인증장에서 칼 노든의 시제품 폭격[1] 조준경의 첫 번째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도왔다.[4]

발렌타인은 1926년 4월 연료함 제이슨이 서비스하는 필리핀 인근에서 6대의 수상기 어뢰전폭기를 운용한 어뢰중대 T20(VT-20)의 지휘를 맡았다.1927년 5월부터 8월까지 관찰비행대 ENVEL(VO-11)의 지휘관으로 근무했으며, 존 러셀 블레이클리 제독의 지휘 아래 중국[3] 근교에서 운용 중인 신시내티, 리치먼드, 마블헤드로 구성된 경순양함 사단 3에 6대의 해군이 배치되었다.[5]

1930년 6월 5일 중령으로 진급한 발렌타인은 1931년 7월부터 1932년 12월까지 어뢰 및 폭격기 2중대(VT-2B)를 지휘했다.[6][7]그의 편대는 USS 사라토가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3]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돌입한 후 발렌타인은 1941년 12월 26일부터 1942년 4월 18일까지 호위함 USS 롱아일랜드의 제2대 사령관으로 근무했다.1942년 6월 30일 대위로 진급했다.[8]발렌타인은 태스크 그룹 34.2 사령관 어니스트 D의 참모장을 역임했다.맥워터는 1942년 11월 연합군의 프랑스 북아프리카 침공 당시 USS 레인저호에 탑승했다.[9]

발렌타인은 1943년 5월 25일부터 1944년 2월 5일까지 함대 항공모함 USS 벙커 의 초대 사령관을 지냈다.1943년 11월 길버트 제도 선거 운동 중 그의 행동으로 실버스타 상을 받았다.[10]후방 제독으로 승진한 발렌타인은 그 다음 해군 공군 태평양 참모총장을 지냈다.[11]그는 이후 1945년 6월 27일 항공모함 7사단의 지휘를 맡았다.본 옴므 리차드호가 태스크포스 38의 일원으로 일본 근교에서 작전을 수행하면서 발렌타인은 1945년 8월 19일까지 이 역할을 계속하였다.[12]

전쟁이 끝난 후, 발렌타인은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지중해의 캐리어 디비전 1을 지휘했다.[4]그의 주력함은 1947년부터 1948년까지 USS 미드웨이USS 프랭클린 D였다. 1948년부터 1949년까지 루즈벨트.[3]1949년 11월 1일 부제독으로 진급했다.[13]그 후 발렌타인은 1949년부터 1951년까지 미 6함대, 1951년부터 1954년까지 해군 공군 대서양을 지휘했다.[4]

발렌틴은 1954년 5월 현역에서 은퇴할 당시 제독으로 진급했다.[13]

개인적인

1922년 발렌틴은 캐서린 하워드 쉴드와 결혼했다(1900년 5월 11일~1981년 12월 28일).[14]발렌타인 부부는 은퇴 후 버지니아 도그에 살았다.그는 1970년에 베데스다 해군병원에서 사망했다.[1]발렌타인 부부는 1929년 9월 15일 출생 직후 사망한 두 아들 존 제닝스 발렌타인 주니어(1923년 8월 5일~2007년 6월 5일)와 함께 버지니아주 포트콘웨이에마뉘엘 성공회 묘지에 안장돼 있다.[15]

참조

  1. ^ a b c d "John J. Ballentine, Retired Admiral, 73". The New York Times. 23 May 1970. p. 22. Retrieved 4 July 2020.
  2. ^ a b Lucky Bag. U.S. Naval Academy. 1918. p. 117. Retrieved 4 July 2020.
  3. ^ a b c d e f "John J. Ballentine, Admiral, USN" (PDF). Early and Pioneer Naval Aviators Association. 15 April 2007. Retrieved 2020-07-06.
  4. ^ a b c "John J. Ballentine papers".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4 July 2020.
  5. ^ Register of the Commissioned and Warrant Officers of the United States Navy and Marine Corps (PDF). U.S. Bureau of Naval Personnel. 1 January 1928. p. 10. Retrieved 7 July 2020.
  6. ^ Register of the Commissioned and Warrant Officers of the United States Navy and Marine Corps (PDF). U.S. Bureau of Naval Personnel. 1 January 1932. p. 62. Retrieved 7 July 2020.
  7. ^ Grossnick, Roy A. (1995).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Aviation Squadrons. Vol. 1. Naval Historical Center, U.S. Department of the Navy. p. 46. ISBN 9780945274292. Retrieved 5 July 2020.
  8. ^ Register of the Commissioned and Warrant Officers of the United States Navy and Marine Corps (PDF). U.S. Bureau of Naval Personnel. 1 July 1945. p. 18. Retrieved 4 July 2020.
  9. ^ "80-G-30209 North African Invasion, 1942". U.S.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1 November 1942. Retrieved 4 July 2020.
  10. ^ "John Jennings Ballentine". Military Times. Retrieved 4 July 2020.
  11. ^ "80-G-220346 Four of Fighter Squadron Seventeen's (VF-17) "Aces"". U.S.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2 March 1944. Retrieved 4 July 2020.
  12. ^ "ADM John Jennings Ballentine". Military Hall of Honor. Retrieved 4 July 2020.
  13. ^ a b Register of the Commissioned and Warrant Officers of the United States Navy and Marine Corps (PDF). U.S. Bureau of Naval Personnel. 1 January 1957. p. 567. Retrieved 4 July 2020.
  14. ^ "Catherine Sheild Ballentine". Find A Grave. Retrieved 4 July 2020.
  15. ^ "John Jennings Ballentine, Jr". Find A Grave. Retrieved 4 July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