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젤리코, 제1대 젤리코 백작

John Jellicoe, 1st Earl Jellicoe
이 페이지는 해군 제독에 관한 것이다.이름이 같거나 유사한 다른 사용자에 대한 페이지는 John Jellicoe(동음이의)를 참조하십시오.
젤리코 백작
John Jellicoe, Admiral of the Fleet.jpg
뉴질랜드 제2대 총독
재직중
1920년 9월 27일 – 1924년 12월 12일
모나크조지 5세
수상윌리엄 매시
선행자리버풀 백작
성공자찰스 퍼거슨 경
상원 의원
타임라인 경
재직중
1925년 7월 1일 – 1935년 11월 20일
세습 귀족
선행자귀족이 생성됨
성공자제2대 젤리코 백작
개인내역
태어난1859년 12월 5일
영국 햄프셔 사우샘프턴
죽은1935년 11월 20일 (1935-11-20) (75)
영국 런던 켄싱턴
병역
얼리전스영국
지점/서비스로열 네이비
근속년수1872–1919
순위해군 원수
명령제1해군주
그랜드 플리트
애틀랜틱 플리트
HMS 드레이크
HMS 센츄리온
전투/와이어영-이집트 전쟁
복서 반란
제1차 세계 대전
수상목욕 훈장 기사대십자사
공로훈장 회원
빅토리아 훈장 기사단
바다 갈란트리 메달

존 러쉬워스 젤리코해군 제독, 제1대젤리코에, GCB, OM, GCVO, DL (1859년 12월 5일 ~ 1935년 11월 20일)은 영국 해군 장교였다.[1]영-이집트 전쟁복서 반란에 참전하였고, 제1차 세계 대전 때인 1916년 5월 주틀란드 전투에서 대함대를 지휘하였다.그가 그 전투에서 함대를 다루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젤리코에는 심각한 실수를 하지 않았고 독일 공해함대는 영국에 대참사가 될 뻔한 상황에서 항구로 후퇴했지만, 영국 해군이 적보다 수적으로 우세했다는 점에서 대중은 더 극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 것에 실망했다.젤리코는 이후 해군참모총장 확대와 호위함 도입 등을 총괄하며 제1해군주장을 지냈으나 1917년 말 경질됐다.1920년대 초에는 뉴질랜드 총독도 지냈다.

초년기

젤리코는 1859년 12월 5일 햄프셔 사우샘프턴에서 태어났다.젤리코에는 로열 메일 스팀패킷컴퍼니의 대위 존 헨리 젤리코와 루시 헨리에타 젤리코(네 킬레)의 아들이었다.그는 로딩딘에 있는 필드 하우스 학교에서[2] 교육을 받았다.젤리코에는 1872년 훈련선 HMS 브리타니아호에서 해군 생도로서 영국 해군에 입대했다.[3]그는 1874년 9월 증기선HMS 뉴캐슬호에서 중선원이 된 뒤 1877년 7월 지중해함대철갑함HMS 아진코트로 이감되었다.[3]1878년 12월 5일 준의원으로 승격된 그는 1880년 지중해 함대의 주력함인 HMS 알렉산드라에 신호 부의로 합류했다.[3]1880년 9월 23일 중위로 진급하여 1881년 2월 HMS 아긴쿠르로 복귀하여 1882년 이집트 전쟁이스마일리아 해군여단의 소총회사를 지휘하였다.[4][3]

초기 경력

젤리코에는 1883년 총기소지 장교 자격을 얻었으며, 1884년 5월 총기소지학교 HMS 우수교직원에 임명되었다.[3]1885년 9월 포병장교로 포병선 HMS 모나크에 입항하였으며, 1886년 5월 지브롤터 근교에서 전복된 기선의 선원을 구출하여 무역위원회 은상장을 받았다.[5]1886년 4월 전함 HMS 콜로서스에 입대한 뒤 1886년 12월 HMS Excellence에서 실험 부서를 맡았고, 1889년 9월 해군장교 조수로 임명되었다.[6]

전함 HMS 빅토리아호 침몰

1891년 6월 30일 사령관으로 진급된 젤리코에는 1892년 3월 지중해 함대HMS 산스 파릴 함대에 합류했다.[6]1893년 전함 HMS 빅토리아호(지중해함대 총사령관의 기함인 조지 트라이온 경)로 이양되어, 1893년 6월 22일 HMS 캠퍼다운과 충돌할 때 승선하여 레바논 트리폴리에서 난파되었다.[6]그 후 그는 1893년 10월 새로운 주력 기종인 HMS 라밀리에 임명되었다.[6]

1897년 1월 1일 대위로 승진한 젤리코에는 해군장교위원회 위원이 되었다.[7][6]1900년 6월 복서 반란북경 공관을 구제하기 위한 세이모어 원정 때 전함 HMS 센투리온의 함장과 에드워드 시모어 제독의 참모장을 지냈다.[6]그는 베이창[8] 전투 중에 중상을 입고 죽을 것이라고 말했으나 주치의와 목사를 생활로 혼란시켰다.[9]그는 '욕탕 훈장 동행자'로 임명되었고, 중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 독일 레드 이글 훈장 2등석을 수여했다.[10]센투리온은 1901년 8월 영국으로 돌아왔고, 다음 달에는 젤리코에 선장과 선원들이 휴가를 떠났다.[11]1902년[12] 2월 해군 제3함대사령관과 해군통제관이 되었고, 1903년 8월 북아메리카와 서인도제역에서 장갑 순양함 HMS 드레이크를 지휘하게 되었다.[6]

해군 경력

하이 커맨드

젤리코에 선장은 중국 역의 기함인 HMS 센투리온을 지휘하며(현대식 담뱃갑에 묘사한 것은 그가 제독이 되기 훨씬 전부터 대중의 눈에 띄었음을 보여준다).
제독, 또는 프랑스인들이 그를 알고 있듯이: 아미랄리시메 젤리코에, 그의 경력 초기에 선장으로서 보여졌다.

존 피셔 제독의 후견인으로서 젤리코에는 1905년 해군 헌병대장이 되었고, 1906년 2월 10일 HMS 드레드노트의 진공을 계기로 왕립 빅토리아 훈장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06년 3월 8일 국왕 보좌관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13][14]1907년 2월 8일 후방 제독으로 진급한 그는 새로운 드레드노트형 전함과 인피니티급 전함 건설을 지원하며 해군 현대화를 위한 자금을 열심히 추진했다.[15][16]는 F를 지지했다. C. 드레이어의 총기 규제 시스템 개선은 군함용 사격 솔루션을 계산하기 위한 기계식 컴퓨터의 일종인 드레이어의 "화재 통제 테이블"의 채택을 선호했다.[17]젤리코에는 해군 군수품 생산물이 육군성에서 해군장으로 이관되도록 주선했다.[18]

젤리코에는 1907년 8월 대서양함대의 2인자로 임명되어 전함 HMS 알베말레에 깃발을 게양했다.[16]그는 1907년 8월 3일 솔렌트에서 열린 의 고향 함대 사열을 계기로 왕립 빅토리아 훈장 기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19]그는 1908년 10월 해군 제3해군 사령관지휘관으로 부임했으며, 1910년 5월 에드워드 7세의 장례식에 참석한 뒤 1910년 12월 대서양함대 총사령관이 되어 전함 HMS 프린스에 깃발을 게양했다.[20][16]1911년 6월 19일 국왕 조지 5세의 대관식 때 배스 훈장 기사단장으로 진급했고, 1911년 9월 18일 부제독 서열에서 확인했다.[16]는 1911년 12월 HMS 헤라클레스 전함에 깃발을 게양하고 1912년 5월 제2전투비행단장으로 임명되어 1912년 8월 1일 영국 연료 엔진 위원회(Royal Committee on Fuel and Engine)에 가입했다.[21]그는 1912년 12월에 제2해왕이 되었다.[16]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될 때 윈스턴 처칠 해군 제독은 조지 캘러헌 내무함대[16] 사령관(1914년 8월)을 해임했다.젤리코에는 1914년 8월 4일 제독으로 진급하여 전임자의 대우에 경악했지만 캘러헌 제독 대신 이름이 바뀐 대함대의 지휘권을 배정받았다.[16]그는 1915년 2월 8일 배스 훈장 기사 대십자사로 진급되었다.[22]

When Fisher (First Sea Lord) and Churchill (First Lord of the Admiralty) both had to leave office (May 1915) after their quarrel over the Dardanelles, Jellicoe wrote to Fisher: "We owe you a debt of gratitude for having saved the Navy from a continuance in office of Mr Churchill, and I hope that never again will any politician be allowed to usurp t그는 운동하기 위해 자신이 맡은 일을 한다.[18]

젤리코는 1916년 5월 주틀란드 전투에서 영국 대함대를 지휘했는데, 이는 비록 우유부단하기는 하지만 가장 큰(그리고 유일한 주요) 레게넌트 충돌이었다.[16]일부 역사학자들은 젤리코에를 너무 조심스럽다고 묘사하고, 다른 역사학자들은 전투 지휘관 데이비드 비티 제독이 다양한 전술적 오류를 범했다고 비난하면서, 전투 중 그가 대함대를 다룬 것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23]젤리코에는 전투 중 큰 실수를 하지 않은 것이 분명한데, 한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독일 공해함대T를 보이는 대로 "횡단"할 수 있도록 항구로 회항하는 대함대를 정확하게 배치했다.[24]독일 함대는 포탄으로 큰 피해를 본 뒤 180도 방향을 틀어 전투를 피해 향했다.[25]당시 영국 국민들은 영국 해군이 1805년 트라팔가르 해전 규모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한 데 대해 실망감을 표시했다.[16]처칠은 나중에 젤리코에를 "오후에 전쟁에서 패배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주의력을 선호한 젤리코에의 결정이 전략적으로 옳다는 것을 암시했다.[16]1916년 5월 31일 공로훈장 일원으로 임명되었고[27], 1916년 6월 17일 왕립 빅토리아 훈장 기사단(Knight Grand Cross of Royal Victorian Order)으로 진격하였으며,[26] 1916년 9월 15일 프랑스 군단(French Legion of Honor) 대십자 훈장을 수여하였다.[28]

제1해군주

1918년 글린 필팟의 제1대 젤리코 백작 존 젤리코에

젤리코는 1916년 11월에 제1해군주로 임명되었다.[16]그의 임기 중 영국은 독일의 무제한 U-Boat 전쟁으로 기아 위기에 처했다.[29]

1916년 11월 전쟁 위원회(Jellicoe, 1915~16년 전략을 논의한 내각 위원회)에서 젤리코를 비롯한 참석한 해군들은 로이드 조지에게 호위함들이 적 함정의 목표물을 너무 크게 제시했으며, 상선 명장들은 호위함에 '정류장'을 둘 기강이 부족하다고 말했다.1917년 2월 모리스 핸키는 로이드 조지가 과학적으로 조직된 호위함의 도입을 촉구하는 각서를 썼는데, 헨더슨 사령관과 그와 접촉하고 있던 해운부 관리들의 설득을 받은 거의 확실히 그랬다.로이드 조지와의 조찬회(1917년 2월 13일)를 마친 뒤 카슨(제독의 제1군주)과 젤리코에·더프 해군장은 '실험을 지휘한다'는 데 동의했다.그러나 1917년 8월이 되어서야 호위함은 일반용이었고, 그 무렵에는 이미 U보트에 대한 선적손실이 4월 정점에서 떨어지고 있었다.[30]

젤리코에는 6월과 7월 제3차 Ypres 공세 계획회의에서 U보트를 격파하기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조언하는 등 계속 비관적인 견해를 보였다.그러나 로이드 조지가 원했던 대로 7월에 젤리코를 제거하는 것은 처칠(아직도 다르다넬 족의 탓으로 돌린)이 군수 장관으로 복귀한 것에 대한 보수당의 분노를 감안할 때 정치적으로 불가능했을 것이다.8월과 9월에 로이드 조지는 제3의 Ypres와 이탈리아로의 자원 이양 가능성에 몰두하고 있었고, 신임 해군 제독군주 에릭 캠벨 게데스 경은 해군 참모진을 개혁하고 있었다(Wemys를 위한 제1해군 부관직을 신설하는 것을 포함).게드스와 로이드 조지는 10월 26일 발포르카슨(전 해군 제1대 사령관)을 만나 노르웨이의 호송차량에 대한 독일군의 공격에 대한 "비밀적이지만 절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해 행동하지 못하자 얄리코에를 해임하는 문제를 논의했으나, 로이드 조지가 곧 카포레 전투에 몰두함에 따라 다시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tto최고 전쟁 위원회 설립게데스는 프랑스의 군사 운송을 담당하는 이전 직장으로 돌아가고 싶었고, 12월쯤에는 로이드 조지가 젤리코를 해고하거나 게데스를 잃어야 할 것이 분명했다.[31]

젤리코에는 1917년 12월 게드스에 의해 다소 갑작스럽게 해고되었다.[29]크리스마스 이브에 휴가를 떠나기 전에 그는 게데스로부터 사임을 요구하는 편지를 받았다.게데스의 편지에는 그가 아직 건물 안에 있고 대화를 나눌 수 있다고 적혀 있었지만, 할시 젤리코에 제독과 상의한 후, 서면으로 "서비스를 위해 최선인 일을 할 것"이라고 대답했다.그 움직임은 이틀 후에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32]

의회가 앉아 있지 않던 크리스마스 휴일은 최소한의 소란으로 젤리코를 제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게데스는 휴일에 왕과 대함대 사령관 베티 제독과 문제를 해결했다. 베티 제독은 처음에 젤리코에에게 그의 "dismay"에 대해 편지를 썼고 게데스와 대화하기로 약속했지만, 한 달 동안 그에게 다시 편지를 쓰지 않았다.다른 시로드들은 (젤리코에가 그렇게 하지 말라고 충고했지만), 특히 게데스가 회의에서 (12월 31일) 10월 26일 회의에서 발포르와 카슨이 특별히 젤리코에의 해임을 권고했다고 제안했을 때, 발포르의 부인에 대해서는 강경하지 않았지만,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젤리코에 대한 생각이 낮은 장군들로부터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결국 시 로드는 자리를 지켰고, 카슨은 아일랜드의 홈 룰을 놓고 1월에 사임하면서 전쟁 내각의 일원으로 남아 있었다.[33]

비록 그 결정이 게드스 혼자라고 행세했지만, 그는 해군 추정치 토론회에서 자신이 "정부의 결정" 즉, 전쟁 내각에 그 문제를 상정해 본 적이 없는 로이드 조지의 "결정"을 전달해왔다는 것을 빠뜨렸다(191818년 3월 6일.의원들은 즉시 그의 전표를 입수했고 보나르법률(보수당 대표)은 같은 토론에서 자신 역시 사전 지식이 있었다고 인정했다.[34]

젤리코에 제1해 경은 1917년 4월 21일 레오폴트 벨기에 훈장 그랜드 코르돈(Grand Cordon)을 수상함에 따라 러시아 성 훈장(St.[35] 조지, 1917년 6월 5일 제3교시,[36] 1917년[37] 8월 11일 이탈리아 군사령부 대십자사, 1917년 8월 29일 일본 욱일승천장 대 코르돈.[38]

만년

전쟁후

레지날드 그렌빌 에베스가 그린 젤리코의 1935년 초상화.

젤리코에는 1918년 3월 7일 스카파 플로우의 비스카운트 젤리코에가 만들어졌다.[39]

1918년 6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따라 독일군이 러시아 흑해함대를 징발하려 한다는 우려 속에 로이드 조지는 젤리코를 지중해 연합 해군사령관으로 제안했다.프랑스인들은 연합해군사령부에 찬성했지만 이탈리아인들은 찬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제안은 아무 것도 나오지 않았다.[40]

젤리코에 경, 1924년

젤리코에는 1919년 4월 3일 함대 제독으로 진급되었다.[41]1920년[42] 9월 뉴질랜드 총독이 되었고, 뉴질랜드의 마소닉 그랜드 로지 그랜드 마스터를 역임하기도 했다.[43]영국으로 돌아온 후, 그는 1925년 7월 1일 사우샘프턴 카운티에서 사우샘프턴의 얼 젤리코에와 비스카운트 브로카스 백작이 되었다.[44]그는 1932년에 햄프셔의 부중위로 임명되었다.[45]그는 1935년 11월 20일 런던 켄싱턴자택에서 폐렴으로 사망하고 세인트 대성당에 안장되었다.[29]

레거시

1919년, "잠자라, 파도 아래! 레퀴엠"은 목사의 말과 함께 쓰여졌다.알버트 햄의 알프레드 홀과 음악은 "Viscount Jellicoe 제독에게 바쳐졌다."[46]

공식 전기 작가인 레지날드 베이컨 제독이 그를 U보트의 정복자로 묘사하려는 시도는, 존 그리그의 견해에 따르면, 주요 결정은 다른 남자들에 의해 취해진 것이기 때문에, 터무니없는 것이다.베이컨은 또한 해고당시의 면책점까지 승격한 것은 고의적인 스누브라고 주장했지만, 사실 BEF의 전 총사령관인 존 프렌치 경은 당시 면책점일 뿐이었다(그와 젤리코 모두 그 뒤를 이어 얼스가 되었다), 피셔는 결코 남작 이상이 아니었다.젤리코에가 해임된 직후 로저 케이예스대체한 도버 순찰대의 지휘로 게드스에 의해 그 자신이 경질된 상태였기 때문에 베이컨의 중립성은 의심스러울 수도 있다.[40]

가족

젤리코는 1902년 7월 1일 슬로운 가의 홀리 트리니티 교회에서 찰스 케이저 경의 딸 플로렌스 그웬돌린 케이저와 결혼했다.그의 형 프레데릭 젤리코에(1858–1927) 목사가 예배를 맡았다.[47]Lord and Lady Jellicoe는 아들과 5명의 딸이 있었다.[6]그의 아들 조지 젤리코에 제2대 젤리코에 백작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군 생활을 했고, 그 후 그는 국회의원과 사업가였다.[48]

명예

리본 바(불완전)

Order of the Bath UK ribbon.png Galó de l'Orde del Mèrit (UK).svg Royal Victorian Order ribbon sm.jpg SGM(UK)ribbon.jpg

Egypt Medal BAR.svg Third China War Medal BAR.svg 1914 1915 Star ribbon bar.svg British War Medal BAR.svg

Victory Medal ribbon bar.svg King George V Coronation Medal ribbon.png GeorgeVSilverJubileum-ribbon.png Ord.Aquilarossa-COM.png

Legion Honneur GC ribbon.svg Grand Crest Ordre de Leopold.png BEL Croix de Guerre WW1 ribbon.svg OrderStGeorge3cl rib.png

Cavaliere di gran croce OMS BAR.svg JPN Kyokujitsu-sho Paulownia BAR.svg Croix de Guerre 1914-1918 ribbon.svg Navy Distinguished Service ribbon.svg Khedives Star.png

피어즈

  • 1918년 3월[39] 7일 오크니 카운티 스카파의 비스카운트 젤리코에
  • Southampton 카운티의 Southampton의 Earl Jellicoe and Viscount Brocas – 1925년[44] 7월 1일

영국령

  • 목욕 기사단(GCB) – 1915년[22] 2월 8일(KCB: 1911년 6월 19일,[49] CB: 1900년[50] 11월 9일)
  • 상훈장(OM) – 1916년[51] 5월 31일
  • 기사단 빅토리아 훈장 (GCVO) – 1916년[52] 6월 17일 (KCVO: 1907년 8월 3일;[19] CVO: 1906년[13] 2월 13일)

영국식 장식

영국의 메달

국제주문

국제 장식

참조

  1. ^ "Historic Figures: Admiral John Jellicoe (1859–1935)". BBC History. Retrieved 3 December 2020.
  2. ^ Rowland, Richard (2015). A History of St Aubyns 1895–2013. WASP Publishing. ISBN 978-1513604336.
  3. ^ a b c d e 히스코트, 페이지 128
  4. ^ "No. 24876". The London Gazette. 24 August 1880. p. 4623.
  5. ^ "Auction 26 Orders, Decorations and medals". San Georgio. April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3. Retrieved 1 December 2012.
  6. ^ a b c d e f g h 히스코트, 페이지 129
  7. ^ "No. 26809". The London Gazette. 1 January 1897. p. 3.
  8. ^ "No. 27235". The London Gazette. 5 October 1900. p. 6098.
  9. ^ 베이컨, 페이지 109
  10. ^ "Admiral Sir John Jellicoe". The Independent. 19 October 1914. Retrieved 1 December 2012.
  11. ^ "Naval & military intelligence". The Times. No. 36565. London. 20 September 1901. p. 8.
  12. ^ "Naval & Military intelligence". The Times. No. 36737. London. 9 April 1902. p. 10.
  13. ^ a b "No. 27885". The London Gazette. 13 February 1906. p. 1037.
  14. ^ "No. 27897". The London Gazette. 23 March 1906. p. 2061.
  15. ^ "No. 27993". The London Gazette. 8 February 1907. p. 899.
  16. ^ a b c d e f g h i j k 히스코트, 130페이지
  17. ^ 브룩스, 페이지 135
  18. ^ a b 그리그 2002, p371-2
  19. ^ a b "No. 28048". The London Gazette. 6 August 1907. p. 5390.
  20. ^ "No. 2840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6 July 1910. p. 5481.
  21. ^ "No. 28632". The London Gazette. 2 August 1912. p. 5721.
  22. ^ a b "No. 29066". The London Gazette. 12 February 1915. p. 1443.
  23. ^ 브룩스 232-237페이지
  24. ^ 마시, 621페이지
  25. ^ 마시, 645페이지
  26. ^ "No. 2975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5 September 1916. p. 9070.
  27. ^ "No. 29629".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0 June 1916. p. 6063.
  28. ^ "No. 2975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5 September 1916. p. 9081.
  29. ^ a b c 히스코트, 페이지 131
  30. ^ 그리그 2002, p49, 51, 53
  31. ^ 그리그 2002 페이지 373
  32. ^ 그리그 2002, p371-3
  33. ^ 그리그 2002, p374-5
  34. ^ 그리그 2002, p374
  35. ^ a b c "No. 30029".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0 April 1917. p. 3821.
  36. ^ a b "No. 30116".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5 June 1917. p. 5591.
  37. ^ a b "No. 30227".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0 August 1917. p. 8208.
  38. ^ a b "No. 30258".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9 August 1917. p. 8989.
  39. ^ a b "No. 30565". The London Gazette. 8 March 1918. p. 2989.
  40. ^ a b 그리그 2002, p372
  41. ^ "No. 31327". The London Gazette. 6 May 1919. p. 5653.
  42. ^ "No. 31983". The London Gazette. 16 July 1920. p. 7577.
  43. ^ "Grand Master & Past Grand Masters". The New Zealand Freemas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13. Retrieved 1 December 2012.
  44. ^ a b "No. 33063". The London Gazette. 3 July 1925. p. 4448.
  45. ^ "The London Gazette" (PDF). 29 April 1932. p. 2795. Retrieved 20 April 2017.
  46. ^ "수면하라, 파도 아래! 레퀴엠"이라는 목사의 말이 적혀있다.알버트 햄의 알프레드 홀과 음악.위니펙, 매니토바:1919년 월리, 로이스 앤 코퍼레이션
  47. ^ "Court Circular". The Times. No. 36809. London. 2 July 1902. p. 10.
  48. ^ Ure, John. "Jellicoe, George Patrick John Rushworth, second Earl Jellicoe and Baron Jellicoe of Southampton (1918–2007)".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98592.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49. ^ "No. 28505".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9 June 1911. p. 4588.
  50. ^ "No. 27246". The London Gazette. 13 November 1900. p. 6927.
  51. ^ "No. 2975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5 September 1916. p. 9070.
  52. ^ "No. 29629".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0 June 1916. p. 6063.
  53. ^ "Court News". The Times. No. 36738. London. 10 April 1902. p. 4.
  54. ^ "No. 2975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5 September 1916. p. 9081.
  55. ^ "No. 13501". The Edinburgh Gazette. 16 September 1919. p. 3098.
  56. ^ "No. 13407". The Edinburgh Gazette. 21 February 1919. p. 985.
  57. ^ Applin, Arthur (1915). Admiral Jellicoe. C. A. Pearson Ltd, London. p. 34. OCLC 681198465.

원천

추가 읽기

외부 링크

군청
선행자 해군 제3해군 사령관
1908–1910
성공자
선행자 대서양 함대 부대 지휘부
1910–1911
성공자
제2해군주
1912–1914
성공자
새 명령어 총사령관, 그랜드 플리트
1914–1916
성공자
선행자 제1해군주
1916–1917
성공자
관청
선행자 뉴질랜드 총독
1920–1924
성공자
영국의 귀족
새로운 창조 젤리코 백작
1925–1935
성공자
비스카운트 젤리코
1918–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