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M. 라일
John M. Lyle존 M. 라일 | |
---|---|
![]() | |
태어난 | 1872년 11월 13일 |
죽은 | 1945년 12월 20일 |
국적 | 캐나다인 |
모교 | 예일 대학교 |
직업 | 건축가 |
연습 | 아틀리에 라일 1906-1943 |
건물들 | 로열 알렉산드라 극장 |
프로젝트 | 1911-1937년 토론토에 있는 많은 Dominion Bank 지점들에서 일했다. |
디자인 | 노바스코샤 은행 본점 로열 알렉산드라 극장 |
존 매킨토시 라일(John MacIntosh Lyle, 1872년 11월 13일 ~ 1945년 12월 20일)은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건축가, 디자이너, 도시계획가, 교사 등으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까지 활동하였다. 그는 보아트 스타일의 캐나다 건축가였으며 몇몇 캐나다 도시에서 시티 뷰티풀 운동에 참여하였다. 1920년대에 그는 독특한 캐나다식 건축 양식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개발하기 위해 일했다.
전기
라일은 1872년 11월 13일 아일랜드 앤트림 카운티의 코너에서 태어났다.[1] 그는 1878년 어린 시절 캐나다로 건너와 온타리오 주 해밀턴에서 자랐다. 그곳에서 그의 아버지인 새뮤얼 라일 박사가 중앙장로교회 목사로 있었다. 라일은 해밀턴 미술학교에 다녔다. 그는 1894년 프랑스 파리에 있는 에콜 데 보-아츠에 입학하면서 예일 대학교에서 건축가로 훈련받았다. 졸업 후, 그는 1896년 하워드 & 콜드웰의 뉴욕 건축 파트너십과 함께 작품을 찾았다. 이후 라일은 뉴욕 공공도서관 본점 설계에 관여했던 Carrere and Hastings의 뉴욕 회사와의 제휴사가 되었고, Beaux-arts Arts Architects 협회의 회원이 되었다.
1904년 존 라일은 온타리오주 뉴마켓의 베이뷰 에비뉴 16945번지에 있는 피커링 칼리지에서 본관 건물(현재의 로저스 하우스)의 건축을 설계하고 감독했다.
라일은 1905년 캐나다로 돌아와 온타리오 주 토론토의 로얄 알렉산드라 극장에서 작업을 시작했다. 1906년에 그는 토론토에 아틀리에 라일을 설립했다.
1920년대 동안 라일은 영국 및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전통적 디자인과 7그룹으로 알려진 캐나다의 후기 인상주의 화가들로부터 영감을 받은 석재, 금속, 석고, 프레스코, 유리, 모자이크 꽃과 모티브를 통합하여 독특한 캐나다 건축 양식을 개발하려고 노력했다.[1]
1926년 온타리오 건축협회는 라일이 토론토 영 가에 있는 쏜튼-스미스 빌딩(1922년)을 설계한 것에 대해 명예의 금장을 수여했다. 2년 후, 그는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온타리오 미술관의 회장으로 재직했다.
라일의 프로젝트 대부분은 토론토와 온타리오의 다른 지역(그리고 대부분 은행, 특히 도미니언 뱅크)에 있었지만 뉴브런즈윅, 알버타, 노바스코샤에서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그는 미국의 두 건물(프로비던스, RI, 또 다른 시카고에서 1개 건물)에 대한 경쟁 제안을 제출했지만, 어느 것도 얻지 못했다.[2]
존 M. 라일은 1945년 12월 20일 토론토에서 사망했다.
라일의 가장 잘 알려진 공헌은 1907년 보-아츠 스타일로 완공된 로열 알렉산드라 극장이다. 1963년에 보수되었고, 여전히 이 도시의 소중한 예술 공연장 중 하나로 남아 있다.
라일은 캐나다 왕립 군사대학에서 화강암과 인디애나 석회암 기념 아치를 설계했는데, 그 두 개의 커다란 청동 판에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전 카데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The stone was laid by Governor-General of Canada, His Excellency Viscount Byng, of Vimy, CGB KCMG MVO 25 June 1923; Nominal rolls of Cadets and Staff, pamphlets concerning the Arch, the RMCC Review of May 1923, Canadian coins and stamps and the Roll of Honour of the College are in a sealed copper box.[3]
작동하다
프로젝트 | 위치 | 날짜 | 메모들 | 출처 | 이미지 |
---|---|---|---|---|---|
로열 알렉산드라 극장 | 토론토 킹 스트리트 웨스트 284 | 1907 | 보아트 | W | ![]() |
중앙장로회 | 온타리오 주 해밀턴 | 1908 | 보-아츠 | ||
코발트 역 | 온타리오 주 코발트 | 1910 | |||
존 B. 매클런 하우스 | 토론토 7 오스틴 테라스 | 1911 | 조지아 부활. John Bayne Maclean을 위해 제작됨. 2011년 타운하우스로의 전환 과정에서 파사드는 유지(잔류 구조물 철거, 1950년 이후 변경)되었다. | ||
매클런 출판사 | 토론토 | 1913 | 철거됨 | ||
존 라일 스튜디오 | 토론토 | 1920 | 보-아츠 2006년에 One Bedford 콘도를 위한 길을 만들기 위해 전면이 아닌 모든 것이 철거되었다.[4] | ||
손턴 스미스 빌딩 | 토론토 영가로340번길 | 1922 | 보-아츠 라일은 1926년 온타리오 건축가협회의 명예훈장을 받았다. | ||
기념 아치 | 캐나다 온타리오 킹스턴 왕립 군사 대학 | 1923 | 보-아츠 | ||
노바스코샤 은행 | 오타와 스파크스 가 123번지 | 1923 | 보-아츠 | [1] | |
유니언 역 | 토론토, 프런트 스트리트 웨스트 | 1915–1927 | 보-아츠 스타일로, 캐나다에서 가장 기념비적인 기차역이다. G.A. 로스와 R.H. 맥도날드, 휴 존스(CPR), 존 M. 라일. | W | ![]() |
Gage Park 기념 분수 | 해밀턴, 게이지 파크 | 1927 | 보-아츠 | ||
노바스코샤 은행 | 캘거리, 125 8번가 SW | 1929 | 보-아츠 | [2] | |
노바스코샤 은행 본점 및 핼리팩스 본점 | 노바스코샤 핼리팩스 홀리스 가 1709번지 | 1929–1931 | 보-아츠 (르네상스에 영감을 받은 건축물의 드문 예) | [3] [4] | |
러니메데 도서관 | 토론토 | 1930 | 토론토 공공 도서관의 한 분관. 캐나다에 있는 영어와 프랑스 식민지 건축의 요소들을 통합하고 장식을 위해 캐나다 이미지를 사용한다. | ![]() | |
코완 하우스 | 토론토 로렌스 공원 174 테딩턴 파크 애비뉴 | 1931 | 튜더 리바이벌. 산업가 프레데릭 코완을 위해 지어졌다.[5] | ||
휘트니 홀 | 토론토 대학교 | 1930-31 | 조지아 부흥 대학 거주지. | ||
토마스 B. McQuesten High Level Bridge | 온타리오 주 해밀턴 | 1932 | Beaux-Arts 기념비적인 입구 다리로, City Beautiful 운동의 특징인 Hamilton 시로 들어간다. | ||
노바스코샤 은행 본점 | 토론토 | 1951 | 1928년에 디자인되었고 라일이 죽은 후에 변형된 디자인으로 지어졌다. |
참조
- ^ a b Hunt, Geoffrey (4 March 2015). "John MacIntosh Lyle". The Canadian Encyclopedia. Historica Canada.
- ^ http://www.dictionaryofarchitectsincanada.org/architects/view/1449[bare URL]
- ^ 메모리얼 아치
- ^ "The John Lyle Studio". 5 December 2010.
- ^ 미스터리 유럽인은 1750만 달러에 '캐슬' 집을 산다.
- 마틴 일라이 웨일 상 에세이: 온타리오 호수의 보-아트: 존 M. 라일과 캐나다 메모리얼 아치의 왕립 군사 대학. 1994년 12월(19:4) 페이지 88-99.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존 M. 라일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1800-1950년 캐나다의 건축가 전기사전
- 캐나다의 역사적 장소
- 온타리오 주 기록 보관소 존 M. 라일 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