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맥키그
John McKeague존 맥키그 | |
---|---|
![]() 1976년 BBC 인터뷰에서 맥키그 | |
태어난 | 1930 부시밀스, 앤트림 주 |
죽은 | 1982년 1월 29일 벨파스트 앨버트브리지 로드 |
사망원인 | 총상 |
국적 | 영국의 |
직업 | 가게 주인 |
주목할 만한 작품 | 충성파 송서 |
제목 | 붉은손 특공대 대장 |
용어 | 1972–1973 |
전임자 | 신직 |
후계자 | 윈스턴 처칠 리아 |
정당 | 개신교 연합당 얼스터 독립 협회 |
움직임 | 얼스터 프로테스탄트 봉사단 샨킬 디펜스 협회 붉은손 특공대 |
존 던롭 맥키그[1](1930년[1] ~ 1982년 1월 29일)는 울스터의 저명한 충성파였으며 1970년 준군사조직인 레드핸드 특공대의 창설 멤버 중 한 명이었다.[2][3] 북아일랜드의 문제들에 대한 저자들은 맥키그가 킨코라 소년원 스캔들에 연루되었다고 비난했지만 그는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없다.[4] 1982년 1월 벨파스트에서 아일랜드 민족해방군(INLA)에 의해 사살되었다.[5]
맥키그와 이언 페이즐리
부쉬밀스 출신인 앤트림 카운티 출신 맥키그는 오랫동안 반 가톨릭주의로 명성을 떨쳤던 인물로 1966년 이안 페이즐리 자유장로교회의 일원이 됐다.[6] 맥키그와 그의 어머니는 1968년 벨파스트 동부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그는 라벤힐 로드에 있는 페이즐리 자신의 순교자 기념 교회에서 정예가 되었고 울스터 프로테스탄트 봉사단(UPV)의 윌로필드 지부에 합류했다.[6] 벨파스트로 이사하기 전에 그는 이미 두 어린 소년에 대한 성폭행과 관련하여 심문을 받은 적이 있었다. 북아일랜드 사회에서 저명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던 몇몇 친구들의 개입으로 고소는 취하되었다.[7]
맥키그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1969년 말 페이즐리에서 갈라섰다. 맥키그와 함께 살고 있는 한 젊은 남자가 그의 남자친구라는 소문이 무성했지만 맥키그는 자세한 내용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다. 그는 페이즐리로부터 회의에 불려갔다고만 진술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자신이 "망신스러운 사람"이며 자유 장로교 교회를 떠나야 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8] 1969년 북아일랜드 폭동을 수사하는 법원의 일환으로 스카르만 주 판사에게 증거를 제시하면서 파이슬리 판사는 자신과 다른 울스터 헌법방위위원회 지도자들이 맥키그가 1969년 4월 이 단체의 규정 15조를 위반하자 UPV에서 제명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는 무법 행위"라고 말했다.[9] 상황이 어떻든 간에 맥키그는 페이즐리를 자주 비판하면서 두 사람은 쓰라린 적이 되었다.[10]
초기 충성파 참여
매키그와 윌리엄 맥그래스의 타라와의 관계는 로마 가톨릭교를 아일랜드 전체에서 몰아내고 수세기 전에 이 섬에 존재했다고 주장했던 초기 켈트 기독교를 다시 세우려 했던 부분 은밀한 조직이다. 팀 팻 쿠건 맥키그에 따르면,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지만 1966년 타라의 설립자였다.[11] 크리스 무어는 이미 Kincora 추문에 그의 조사에 타라의 McKeague는 멤버지만 그와 맥 그로스 그들의 두 집단 간 거래 무기들을 토의하기 위해 모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회담을 한 다음 Kincora 그가 미성년 소년들은 집에서 어렵게 사는 여러 강간에 연루되었다는 그 McKeague이 되었다 고정 방문객이라고 주장한다.[12] 짐 쿠삭과 헨리 맥도날드는 자신의 멤버쉽이나 그 밖의 다른 그룹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맥키그가 맥그래스와 UPV의 리더 노엘 도허티가 진일보한 극우 음모론적 견해를 공유했다고 주장한다.[13] 마틴 딜런도 맥키그와 타라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있지만, 1966년 울스터 봉사단(UVF) 구성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1960년대 나머지 기간 동안 그 전략을 지시하는 데 도움을 준 맥그래스와 함께 자신이 다수의 그늘진 인물 중 하나였다고 주장한다.[14]
1969년 말 UPV와 UVF의 이중 회원을 갖고 있던 자유 장로교회의 토마스 맥도웰은 발리샨논의 발전소를 폭파하려는 엉터리 시도로 인해 심한 화상을 입고 감전되어 사망했다.[15] 맥도웰의 외투에서 UVF 휘장을 발견한 가르다 시오차나에 의한 조사로 그들은 그의 동료 사무엘 스티븐슨을 심문하게 되었는데, 그는 당시 UPV 회원들과 관련된 일련의 UVF 폭발의 중심 인물로 맥키그를 지목했다.[16] 이 사건은 이전의 폭발이 일어났던 북쪽으로 갔고 1970년 2월 16일 재판이 열렸다. 맥키그는 윌리엄 오웬스(맥키그의 19세 플랫메이트), 데릭 엘우드, 트레버 그레이시, 프랜시스 맬런과 함께 템플패트릭에서 앞서 폭발을 일으킨 혐의로 기소됐다.[17] 이 사건은 검찰 사건의 주요 근거가 된 스티븐슨의 성격에 심각한 의구심이 제기되면서 일단락됐다.[18]
샨킬 디펜스 협회
1968년 맥키그는 양쪽의 깃발이 강제로 제거된 동안 공화당과 충성파 사이의 일련의 사건 이후 매일 밤 아르도인 근처의 우드발레 지역에서 대규모로 모여드는 지역민들 사이에서 평범한 인물이 되었다.[19] 1969년 5월 UPV에서 분리된 맥키그는 텐넨트 스트리트 홀에서 천주교 폭도들에 대한 조직화를 요구하는 충신들의 모임을 연설했다. 이 회의로부터 그는 천주교 폭도들로부터 샹킬로를 지키겠다는 선언된 의도를 가지고 샨킬 방어 협회(SDA)를 설립했다.[20] 그러나 우드발레방호협회와 같은 비슷한 개신교 자경 단체들이 대부분 반응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SDA는 1969년 8월 북아일랜드 폭동 때 문제를 조장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폭포 도로와 크럼린 도로의 가톨릭 가정들에 대한 공격을 주도했다.[21] 그는 현지에서 악명 높은 인물이 되었고, 대개 폭동에 두드러져 지팡이를 짚고 헬멧을 썼다.[22]
SDA의 폭력은 맥키그도 똑같이 폭력적인 언사를 곁들였는데, 그는 이 단체가 '수백 개의 총'을 소유하고 있다고 자랑하고 "우리는 끝까지 전쟁을 끝까지 지켜보겠다"고 다짐했기 때문이다.[22] 그의 호전적인 입장은 그에게 로날드 번팅의 대중적 지지를 얻어냈는데, 그는 맥키그를 좋아하기 때문에 페이즐리와 일찍이 관계를 맺었으나 그 이후 로날드 번팅은 그를 지지했다.[22] 1969년 11월, 맥키그는 폭발을 일으키기 위한 음모의 혐의를 벗었다.[23] 그러나 그는 불법 집회로 3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다.[1] 맥키그가 최초 혐의로 재송금되지 않은 채 그의 주식은 샨킬에 떨어졌다. 샨킬은 벨파스트 동부에서 왔고 그의 평판은 이전 친구 이안 페이즐리의 지지자들에 의해 더욱 어두워졌다.[24] 샨킬을 떠나 그는 도날로드에 SDA와 유사한 단체를 세우려고 시도했으나, 충성스런 페이즐리파였던 기존 지역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부터 페르소나 논 그라타(Persona non graat)로 선언되었다. 이것은 맥키그가 '과일'이라는 소문과 결합되어, 그가 도시의 서부와 남부의 모든 이니셔티브를 버리고 벨파스트 동부에 집중하는 것을 보았다.[24] SDA는 1971년까지 그의 부재에 계속되었는데, 그 때 다른 비슷한 생각을 가진 자경단 단체와 합쳐져서 얼스터 디펜스 협회(Unster Defense Association, UDA).
정치 활동
맥키그는 1969년 도시 동부의 빅토리아 병동을 위한 벨파스트 주식회사 보궐선거에서 민주연합당의 전신인 개신교연합당 후보였으나 당선되지 못했다.[1] 이후 1970년 총선에서 벨파스트 노스(Belfast North)에서 무소속 연방주의자(Independent Unionist)로 나섰으나 득표율 0.75%에 그쳤다.[1] 그는 또한 "의리스트 뉴스"라는 잡지를 제작하기 시작했다.[25] 그 내용의 대부분은 저속한 성격으로 가톨릭 신자들이 게으르고, 지저분하고, 멍청하고, 알콜중독자로 묘사되거나, 여성의 경우 매우 난잡하게 묘사되는 농담과 만화를 담고 있었다.[26]
1971년 그는 논란이 되고 있는 충성파 송서를 출판한 후 증오를 선동한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증오 선동법'에 따라 처음으로 재판을 받게 된 맥키그의 책에는 '머리에 총알을 박고 있는 것보다 더 나은 타이그를 본 적이 없다'[27]는 문구가 들어 있었다. 배심원들이 그의 재판에서 동의하지 않은 후, 그와 공동 피고인은 무죄를 선고받았다.[25] 마틴 딜런은 RUC 특수부가 그의 소아성애자 활동에 대해 입수한 정보를 그에게 동의를 강요하기 위해 사용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그를 처음 대리인으로 영입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듬해 특수부대에 의해 정보부대에 인계되었다.[28]
충성파 무장주의
그의 어머니 이사벨라 맥키그는 1971년 5월 8일, UDA가 벨파스트 알버트브리지 로드에서 가족 상점에 휘발유를 뿌리면서 산 채로 불에 탔다.[29][30] 존 맥키그는 프로이트 뉴스에서 그녀의 죽음에 대해 보도하면서 그녀가 "Ulster의 적들에게 살해당했다"고 주장했다.[25] 사실 UDA는 맥키그가 그들의 지도력과 상의 없이 공격을 개시하고 폭동을 일으킨 느슨한 태도와 10대 파트너들과의 난잡한 동성애를 이유로 모두 맥키그에 싫증이 났다.[31] 에드 몰로니에 따르면 돈에 대한 논쟁은 맥키그와 UDA간의 분열의 중심이기도 했다.[27]
맥키그는 UDA로부터 완전히 탈영하여 1972년 중반에 레드핸드 특공대를 창설하여 주로 동 벨파스트와 노스다운에 있는 다수의 청년들을 모집하였다.[31] 맥키그는 이미 폭동과 일반 장애에 연루된 충성파 젊은이들의 모임인 '타탄 갱단'을 조직하는 데 관여했고, 이를 자신의 새로운 그룹의 근간으로 삼았다.[28] 그의 준군사조직의 다양한 공격에 이어 1973년 2월 그는 최초의 충성스런 내국인 중 한 명이 되었고, 이후 무장강도 혐의로 3년 동안 수감되었다(그가 이의를 제기한 유죄판결). 그는 감옥에 있는 동안 특권법과 교도소 상황에 항의하여 두 번의 단식 투쟁을 시작했다.[32] 그러나 [2]그는 UVF 지도자인 구스티 스펜스가 UVF의 핵심이 된 레드핸드 커미토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으나 맥케이그가 이 운동을 수립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레드핸드 커미토에 대한 운영권을 UVF에 넘겨야 한다는 맥키그의 합의를 확보했다고 주장했다.[33]
마틴 딜런은 영국 군 정보국과 경찰 자료에 따르면 1973년 9월 사우스 벨파스트에서 10살 소년 브라이언 맥더못을 가학적으로 살해한 배후에 맥키그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34] 오르마우 공원에서 토막 내고 시신을 태우는 사건이 발생한 이번 살인은 현지 언론은 사탄 의식의 일환으로 진행됐을 것으로 추측할 정도로 섬뜩했다.[35] 그러나 가레스 멀베나는 맥키그가 맥더모트가 살해당했을 당시 강도죄로 롱 케시에서 복역 중이었다고 주장해 이 비난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36] 1975년 10월 3일, 가톨릭 시민인 앨리스 맥가인니스(Alice McGuinness)가 앨버트브리지 로드에 있는 맥키그의 철물점에서 IRA 폭탄 공격으로 부상을 입었다. 그녀는 3일 후에 죽었다. 맥키그의 누나는 같은 폭격으로 중상을 입었다.[37][38]
얼스터 민족주의
맥키그는 울스터 충성파 중앙조정위원회(ULCCC)의 주도적 인물이 되었고 1976년 울스터 민족주의를 ULCC 대변인 자격으로 공개적으로 지지했다.[25] 맥키그가 의장을 맡은 이 단체의 목적은 UDA와 UVF 간의 충성파 반목이 창립 이후 지속되는 것을 막지는 못했지만 통일된 "Ulster Army" 설립을 목표로 충성파 파라미타들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39]
존 맥클루어와 함께 맥키그는 북아일랜드 독립을 위한 공동의 플랫폼을 찾기 위해 아일랜드 공화당의 루아이리 O 브라다이와 조 케이힐을 접촉해 회담을 시작했다. 코너 크루즈 오브라이언이 이 활동을 발견하고 폭로한 후 이것이 무너졌다.[40] 맥키그는 게리 애덤스를 잠깐 만나 독립 방안을 논의했지만 이 회담은 비생산적이었으며 애덤스를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41] 더 넓은 ULCCC의 승인을 받지 못한 맥키그와 그의 동맹국들, 그리고 공화당의 접촉은 UDA와 다우 오렌지 복지부 모두가 그것이 밝혀졌을 때 조정기구에서 사임하면서 그룹이 붕괴되는 것을 보았다.[42]
맥키그는 이후 북아일랜드의 독립을 지지하기 위해 1979년부터 활동한 단체인 얼스터 독립 협회의 주요 인물이었다. 맥키그는 George Allport의 리더쉽의 부대표를 역임했다.[43]
죽음
1982년 1월, 맥키그는 킨코라를 수사하는 형사들과 성학대에 연루되어 인터뷰를 했다. 교도소로 돌아갈 것을 두려워한 맥키그는 형기를 피하기 위해 소아성애자 반지에 연루된 다른 사람들의 이름을 지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친구들에게 말했다.[44] 그러나 1982년 1월 29일, 맥키그는 ENLA에 의해 동부 벨파스트에 있는 알버트브리지 로드에 있는 자신의 가게에서 총에 맞아 숨졌다.[45] 킨코라 관련자 모두를 공개하겠다는 맥키그의 협박에 따라 정보부대의 지시가 내려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는데, 그의 살해에 대해 이름을 붙일 수 있었던 사람들 중 다수도 요원(흔히 그 무렵 준군사조직에서는 매우 지엽적인 매키그보다 더 효과적이었다)이었다. 이 제안을 지지하기 위해, 잭 홀랜드와 헨리 맥도널드는 매키그 한 명을 쏜 두 명의 무장괴한 중 한 명은 알려진 특수 지부 요원이고 다른 한 명은 군사 정보 연계가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고 진술했다.[46]
참조
- ^ a b c d e WD Flackes & Sydney Elliott, 북아일랜드 A 정치 디렉토리 1968–1993, The Blackstaff Press, 1994, 페이지 222
- ^ a b "Northern Ireland – development of loyalis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11. Retrieved 10 December 2006.
- ^ 마틴 딜런, 더티 워, 200페이지
- ^ 2000년 8월 13일 The Observer, Henry McDonald, "Ulster's's '어린애들'에 대한 정의에 어긋나" 웨이백머신에 2021년 9월 22일 보관
- ^ "Revised and Updated Extracts from Malcolm Sutton data at CAIN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y 2011. Retrieved 10 December 2006.
- ^ a b 에드 몰로니, 페이즐리: Demagogue에서 민주당으로?, 2008년 Poolbeg, 페이지 152
- ^ 몰로니, 페이즐리, 152-153페이지
- ^ 몰로니, 페이즐리, 페이지 154
- ^ 패트릭 매리넌, 페이즐리: 분노의 사나이, 앤빌 북스, 1973, 페이지 198~199
- ^ 몰로니, 페이즐리, 페이지 159
- ^ 팀 팻 쿠건, 더 트러블즈, 허친슨, 1995, 페이지 156
- ^ 크리스 무어, 킨코라 스캔들: 북아일랜드의 정치적 은폐와 음모, 마리노 북스, 1996, 페이지 86
- ^ Jim Cusack & Henry McDonald, UVF, Poolbeg, 1997, 페이지 67
- ^ 마틴 딜런, The Trigger Men, Mainst Publishing, 2003, 페이지 106-07
- ^ 쿠삭 & 맥도날드, UVF, 페이지 28~31
- ^ UVF, Cusack & McDonald, 페이지 31
- ^ UVF, 쿠삭 & 맥도날드, 페이지 33
- ^ 쿠삭 & 맥도날드, UVF, 페이지 35
- ^ 북아일랜드의 토마스 헤네시: The Origins of the Troubles, Gill & Macmillan, 2005, 페이지 254
- ^ 헨리 맥도널드 & 짐 쿠삭, UDA – Inside the Heart of Penguin Areland, 2004, 페이지 11
- ^ 북아일랜드 헤네시 268페이지
- ^ a b c 피터 테일러, 충성파, 블룸즈베리, 2000년, 페이지 77
- ^ "CAIN website, "Abstracts on Organisations – '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11. Retrieved 10 December 2006.
- ^ a b 맥도날드 & 쿠삭, UDA, 페이지 15
- ^ a b c d Flackes & Eliott, 북 아일랜드, 223 페이지
- ^ Steve Bruce, The Edge of the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페이지 62
- ^ a b 몰로니, 페이즐리, 페이지 153
- ^ a b 딜런, 방아쇠 인간, 페이지 109
- ^ 더 에이지, 1971년 5월 8일
- ^ "CAIN: Sutton Index of Deaths 19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pril 2016. Retrieved 25 July 2009.
- ^ a b 쿠삭 & 맥도날드, UVF, 페이지 94
- ^ 히스토리 아일랜드, "봄베이 거리의 부처" 페이지 66 (패트릭 마우메 기사) 2009년 7월
- ^ Roy Garland, Gusty Spence, Blackstaff Press, 2001, 페이지 151
- ^ 마틴 딜런, 샨킬 버처즈, 페이지 23
- ^ 딜런, 방아쇠 인간, 페이지 104
- ^ 멀베나, 타탄 갱스 및 파라밀리터리: 충성파 백래시, 페이지 73
- ^ "CAIN website da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ly 2009. Retrieved 1 November 2009.
- ^ 히스토리 아일랜드, 2009년 7월/8월, 페이지 66('Patrick Maume'의 브리핑 라이프')
- ^ 맥도날드 & 쿠삭, UDA, 페이지 100-101
- ^ "Irish Republican Information Service No. 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06. Retrieved 21 June 2012.
{{cite web}}
: CS1 maint:bot : 공화당 신페인의 원래 URL 상태 미상(링크) - ^ 패트릭 비숍 & 에이먼 말리, 임시 IRA, 코기, 1994, 페이지 389
- ^ Flackes & Eliott, 북 아일랜드, 페이지 334
- ^ "CAIN: Abstracts of Organisat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11. Retrieved 20 June 2012.
- ^ 딜런, 방아쇠 인간, 페이지 118–119
- ^ 딜런, 방아쇠 인간, 페이지 119
- ^ Jack Holland & Henry McDonald, INLA – Torc, 1994, 페이지 199–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