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슬리 소머빌
Wesley Somerville웨슬리 소머빌 | |
---|---|
![]() | |
출생명 | 윌리엄 웨슬리 소머빌 |
태어난 | 1941년 북아일랜드 타이론 카운티 모이가셀 |
죽은 | 1975년 7월 31일 (33~34세) 북아일랜드 주 다운 카운티 다운의 버스크힐 |
얼리전스 | 얼스터 자원봉사단 |
순위 | 중위 |
구성 단위 | 미드 얼스터 여단 |
갈등 | 더 트러블스 |
윌리엄 웨슬리 소머빌(William Wesley Somerville, 1941년 ~ 1975년 7월 31일)은 울스터 충성파 전투원으로, "문제들"로 알려진 분쟁 기간 동안 불법 울스터 의용군(UVF) 미드 울스터 여단의 중위 계급에 있었다.그의 형(존 소머빌)과 웨슬리가 UDR 얼스터 디펜스 연대의 일원이라는 주장과 함께, 후에 거짓임이 밝혀졌다.소머빌은 카운티 다운의 버스크힐에서 아일랜드 카바레 밴드 더 마이애미 쇼밴드(The Miami Showband)를 매복공격했던 UVF 부대의 일원으로 밴드 멤버 중 3명이 사망했다.소머빌은 해리스 보일과 함께 그들이 밴드의 미니버스에 실었던 폭탄이 조급하게 폭발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그의 형인 존 제임스 소머빌은 밴드 멤버 브라이언 맥코이, 프랜 오툴, 토니 제라히티의 3명의 살인범 중 한 명이었다.
그는 1974년 5월 17일 모나한에서 7명의 목숨을 앗아간 자동차 폭탄을 터뜨린 UVF 팀의 일원으로 알려져 있다.
얼스터 자원봉사단
윌리엄 웨슬리 소머빌은 1941년 타이론 카운티 모이가셀에서 3남 2녀를 둔 아일랜드 교회 가정에서 태어났다.그는 무역업으로 직물 노동자로 UDR 얼스터 디펜스 연대 소속으로 주장되었는데, 나중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그는 UVF 미드 얼스터 여단의 포타드타운 부대 소속으로 불법적인 울스터 충성파 준군사조직인 울스터 자원부대에 입대했다.이 여단은 1972년 빌리 한나가 창설한 것으로, 그는 자신을 초대 사령관으로 임명했다.소머빌은 UVF의 고위 자원봉사자 로빈 잭슨의 절친한 친구였는데,[1] 그는 한나의 총격으로 미들스터 여단의 지휘를 맡았다.잭슨은 조 티어넌과 폴 라킨을 포함한 많은 수사 기자들로부터 1975년 7월 27일 루르간 자신의 집 밖에서 한나를 총으로 쐈다는 혐의를 받았다.[2][3]소머빌은 한나의 장례식에서 잭슨과 함께 사진을 찍었다.[4]
소머빌은 미들 얼스터 UVF와 보안군 일원으로 구성된 느슨한 충성파 극단주의자들의 연합인 글레난 갱단의 핵심 인물이었다.이 그룹은 주로 County Armah 지역과 Mid Ulster 지역에서 운영되었다.팻 피누케인 센터는 더글라스 카셀 교수(전 노스웨스턴대 법학대학원)가 이끄는 국제 조사단과 협력하여 글레난 갱단을 가톨릭 신자들을 대상으로 한 87건의 종파 살해사건과 연계시켰다.[5][6]마틴 딜런에 따르면, 소머빌의 이름은 준군사적 용의자들의 RUC 특별 지부 명단에 있었다.
공격 혐의
동생 존 제임스와 다른 남자와 함께, 소머빌은 두 명의 빵가게 남자들을 납치한 혐의로 기소되었다.납치 혐의는 던간논의 모우른 크레센트에서의 폭탄 공격과 관련이 있었다.[7]레이먼드 머레이는 로빈 잭슨이 1973년 10월 28일 밴브리지의 문간에서 가톨릭 노조원 패트릭 캠벨을 총으로 쏴 숨지게 했을 때 그와 동행했다고 주장했다.[8]캠벨의 미망인이 신원 확인 퍼레이드에서 잭슨을 살인범으로 지목했지만, 1974년 1월 4일 벨파스트 치안 판사 법정에서 그에 대한 살인 혐의가 취하되었다.[9]
전 영국 왕립 얼스터 경찰특공대(RUC) 특수 순찰대 장교 존 위어는 진술서에서 서머빌이 1974년 5월 17일 모나한에서 무경고 자동차 폭탄을 터뜨린 UVF 팀의 일원이라고 밝혔다.이 폭발로 총 7명이 사망했다.90분 전, UVF의 벨파스트와 미드 울스터 여단 소속 부대원들은 러시아워에 붐비는 더블린의 도심에서 차량 폭탄 세 대를 폭파시켰으며, 빌리 한나와 로빈 잭슨은 폭탄 테러팀 중 한 팀을 이끌었다고 한다.세 번의 공격으로 총 26명이 사망했다.위어의 진술서는 헨리 바론 아일랜드 대법관이 1974년 더블린과 모나한 폭탄테러에 의뢰한 공식 수사 결과인 2003년 바론 보고서에 실렸다.위어는 모나한 폭격팀의 리더로 알려진 스튜어트 영이 소머빌과 그의 동생 존 제임스가 공격을 도왔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10]소머빌의 특별지부 파일에는 1974년 콜리슬랜드의 카톨릭 주택지에 대한 공격이 실패했던 또 다른 폭탄 테러에 연루되었다는 주장도 포함되어 있다.[11]
마이애미 쇼밴드 공격

소머빌은 더블린 기반의 카바레 밴드인 마이애미 쇼밴드의 복병을 수행한 미드 울스터 UVF 부대의 일원이었다.1975년 7월 31일 이른 시간, 영국 육군 제복을 입은 UVF 무장괴한들은 카운티 다운주 뉴리에서 북쪽으로 7마일 떨어진 부스크힐의 시내 중심 A1 도로에 가짜 군용 차량 검문소를 설치했었다.언론인 마틴 딜런에 따르면, 적어도 5명의 총잡이들의 성 볼룸 밴브리지에서 그것의 미니 버스(트럼펫 연주자 브라이언 진짜로 움직이)을 누가 나가서 도랑 도레미파 옆에 줄을 선 그곳은 bandmembers 주문한 무장한 남자들에 의해 지정되었는지에 대한 공연 후에 그 UDR.[12]그 밴드는 다시 더블린으로 운전을 하고 있었다의 멤버 있었다.cin밭을 갈다총잡이 한 명이 이름과 주소를 받아 적는 동안 소머빌과 해리스 보일은 미니버스 운전석 아래에 10파운드짜리 시한폭탄을 설치했다.[13]마틴 딜런은 자신의 저서 '더티 워(The Dirty War)'에서 이 밴드를 임시 IRA를 위해 폭탄을 밀수하는 공화당 동조자로 묘사할 목적으로 아일랜드 공화국의 국경을 넘어 폭발하려는 의도라고 제안했다.[14]폭탄이 한쪽으로 기울자 타이머로 쓰이는 시계의 어설픈 땜질 때문에 장치가 섣불리 폭발해 미니버스를 산산조각 내고 반대 방향으로 내던져진 소머빌과 보일이 순식간에 숨졌다.그 폭발의 모든 힘을 다한 두 사람의 머리는 산산조각이 나고 팔다리는 찢어졌다.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에 타 몸통 하나가 완전히 새까맣게 타 버렸다.베이시스트 스티븐 트래버스는 그 후 사망한 폭격기 중 한대의 시신의 사진을 보여주었고 그는 그것을 묘사했다: "그것은 머리도 없었고, 단지 검은 몸통도 없었고, 머리도 다리도 팔도 없었다."[13]소머빌에 남아 있는 얼마 남지 않은 것은 나중에 현장에서 100야드 떨어진 들판에서 발견되었다; 유일하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신체 부위는 "포르타다운 UVF"[15]라는 문신이 새겨진 절단된 팔이었다.
폭발에 이어 나머지 UVF 괴한들이 도로 위 아래 들판으로 날려버린 5명의 밴드 멤버들에게 총격을 가했다.트럼펫 주자 브라이언 맥코이, 리드 싱어 프랜 오툴, 기타리스트 토니 제라기티 등 3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13]베이시스트 스티븐 트레버스는 살아남았지만 덤 총알에 맞아 중상을 입었다.[13]색소폰 연주자 데스 매칼리아는 가벼운 부상만 입었을 뿐 뉴리의 RUC에게 공격에 대해 경고할 수 있었다.
여파

UVF 지도부는 테러 발생 12시간 후 성명을 발표하고 사망자들의 신원을 확인하고 살해를 정당화했다.Somerville과 Boyle은 UVF 준군사 장례식을 받았다.소머빌의 유해가 모이가셀 공원에 있는 그의 집을 떠나자 관 위로 총성이 발사되었고, 전투복을 입은 50명의 남자들이 관이 킬리만 묘지로 지나갈 때 경례를 했다.[16]종교적 분열을 넘어서는 마이애미 쇼밴드의 인기와 살인의 본질에 대한 혐오감은 처음에는 소머빌과 보일의 장례식이 완전한 준군사적 대우를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켰지만 결국 그들은 그렇게 했고 두 장례식은 모두 약 3,000명의 조문객들을 끌어 모았다.[17]
제임스 맥도웰, 토마스 크로지에, 그리고 존 제임스 소머빌(웨슬리의 동생)은 살인죄로 유죄를 선고받고 메이즈 감옥 안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맥도웰과 크로지어는 살인이 일어났을 당시 UDR 군인들을 섬기고 있었다.팻 피누카네 센터가 의뢰한 국제 조사 위원회는 마이애미 쇼밴드 공격의 주요 가해자는 로빈 잭슨이었다고 결론지었다.비록 잭슨은 그 공격에 뒤이어 RUC에 연행되어 심문을 받았지만, 그는 기소되지 않고 풀려났다.[18]1990년대 초 잭슨의 뒤를 이어 미드 울스터 UVF 준장으로 활동한 의리주의자 봉사단 리더 빌리 라이트는 소머빌과 보일이 자신의 롤모델로 활동했으며 이들의 폭력적인 죽음이 15세에 그가 UVF에 가입하도록 영감을 줬다고 주장했다.[19]
2005년 7월 30일, 소머빌과 보일을 기념하는 벽화와 기념패가 포르타다운의 킬리코메인 사유지에서 공개되었다.이날 제막식에는 100명과 16명의 충성파 밴드, UVF 의장대가 참석해 성지 곳곳을 행진했다.명패에는 두 사람이 "전투 중에 살해당했다"[20]고 적혀 있다.
그의 고향인 모이가셀에서, 소머빌은 모이가셀 공원의 한 주택의 벽면에 있는 기념비적인 명패에 의해 영예를 안는다.이 명판에는 "그는 얼스터를 위해 죽었다"[21]고 적혀 있다.
기념 논란
2014년 마이애미 쇼밴드 대학살의 생존자인 스티븐 트래버스는 소머빌을 찬양하는 모이가셀의 중심가에 현수막을 세운 것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트레버스는 이 현수막이 영구히 남아 있어 아이들이 소머빌처럼 자라기를 바란다면 모이가셀 부모에게 질문을 던질 수 있기를 희망했다.[22]2016년 트레버스는 소머빌의 미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이 현수막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을 만나겠다고 제안했다.[23]2017년 한 남성이 현수막을 철거하고 훔친 뒤 체포됐다.[24]모야셀 주민 대변인은 모야셀 주민들이 이 현수막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 현수막이 돌아오면 다시 수리될 것이라고 말했다.대변인은 또한 이 현수막은 아무런 사고 없이 매년 세워져 왔다고 말했다.소머빌의 친척들은 PSNI에 현수막을 철거할 것을 요청했다.[25]하지만, 나중에 새로운 현수막이 만들어지고 세워졌을 때, PSNI는 그 현수막이 범죄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합법적이라고 말했다.이것은 Stephen Travers에 의해 심하게 비판되었다.모이가셀 주민회의 대변인은 지역사회가 새 현수막에 만족하고 있으며 소머빌이 테러리스트라는 인식을 거부하고 그를 모이가셀의 개신교 문화의 일부라고 선언했다고 말했다.[26]
참조
- ^ 던달크 케이 선술집 폭파사건 조사위원회 중간보고. 페이지 99
- ^ 티어넌, 조(2000년)더블린 폭탄 테러와 살인 삼각지대아일랜드:머시어 프레스. 페이지 110-111
- ^ 라킨, 폴(2004)아주 영국식 지하드: 북아일랜드에서의 담합, 음모, 은폐.벨파스트:창백한 출판물 너머. 182 페이지
- ^ 맥필미, 숀(1998년).위원회: 북아일랜드의 정치적 암살.콜로라도 주 볼더:로버츠 리네하트 출판사. 페이지 316 ISBN978-1-57098-211-8
- ^ 북아일랜드의 종파 살인에 관한 독립 국제 패널 보고서, 2006년 10월 24일 회수
- ^ 1970년대 중반 남부 아르마흐/미드 얼스터 지역의 담합.2011년 10월 24일 검색됨
- ^ 북아일랜드의 종파 살인에 관한 독립 국제 패널 보고서, 2006년 10월. 페이지 112.2011년 10월 24일 검색됨
- ^ 머레이, 레이먼드(1990).아일랜드의 SAS.아일랜드:머시어 프레스 133 페이지
- ^ 바론 보고서(2003년).페이지 259
- ^ 오이라크타스의 집들, 정의, 평등, 국방, 여성 권리에 관한 공동 위원회, 더블린과 모나한 폭탄 테러에 대한 독립 조사 위원회의 중간 보고서 (The Barron Report)2003년 12월. 페이지 145-146
- ^ 마틴 딜런, The Trigger Men, Mainstand, 2003, 페이지 25
- ^ 딜런, 마틴(1991)더티 워.런던:화살. 페이지217
- ^ a b c d 테일러, 피터(1999년).충성파.런던:블룸스베리 출판사, 페이지 147-149
- ^ 딜런, 마틴(1991)더티 워.런던:화살책. 페이지198-199
- ^ 딜런, 마틴(1999년).신과 총: 교회와 아일랜드 테러리즘.뉴욕: 루트리지.페이지 59
- ^ 마이애미 쇼밴드 대학살-스티븐 트레버스와 닐 페처스톤호 하셰트 북스 아일랜드 페이지 166
- ^ Jim Cusack & Henry McDonald, UVF, Poolbeg, 1997, 페이지 163
- ^ 북아일랜드의 종파 살인에 관한 독립 국제 패널 보고서, 2006년 10월. 페이지 68 2011년 10월 24일 회수
- ^ 딜런, 마틴(1999년).신과 총: 교회와 아일랜드 테러.pp.58-60
- ^ 조나단 매코믹의 벽화 디렉토리
- ^ [1] Google 지도
- ^ '모이가셀이 그들의 충성파 킬러 포스터를 수치심의 표시로 간직하게 하라' 타이론 타임스 2014년 7월 20일
- ^ '미아미 쇼밴드 생존자' 2016년 8월 8일 '의리파티스트 문화그룹'
- ^ '모이가셀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웨슬리 소머빌 현수막을 훔친 혐의로 체포된 후 긴장의 맹세' 타이론 타임즈
- ^ '로얄리스트 마을에서는 UVF 살인범의 현수막을 다시 붙이길 원한다' 벨파스트 텔레그래프(Belfast Telegraph
- ^ '코 타이론 마을에서 UVF 살인범을 추모하는 교체 현수막 합법: PSNI' 벨파스트 텔레그래프 2017년 7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