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파스코 그렌펠
John Pascoe Grenfell존 파스코 그렌펠 | |
---|---|
![]() 존 파스코 그렌펠 제독 | |
태어난 | 1800년 9월 20일 영국 런던, Battersea |
죽은 | 1869년 3월 20일 (68세) 영국 리버풀 |
얼리전스 | ![]() ![]() |
서비스/지점 | ![]() ![]() |
순위 | 제독 |
전투/와이어 | 칠레의 독립 페루의 독립 브라질의 독립 시스플라틴 전쟁 라가무핀 전쟁 플라틴 전쟁 |
기타작업 | 외교관 |
서명 | ![]() |
존 파스코 그렌펠(John Pascoe Grenfell, 1800년 9월 20일 ~ 1869년 3월 20일)은 브라질 제국의 영국 장교였다. 그는 처음에 코크란 경과 노턴 준장의 지휘 아래 남미 전역의 선거운동에 대부분의 복무 기간을 보냈다. 그는 영국 정치인 Pascoe Grenfell의 조카였고 존 그렌펠 맥스웰 경의 할아버지였다. 브라질에서 그는 제독의 반열에 올랐으며, 그의 업적으로 로즈 제국 훈장의 기사 대 십자가와 남십자 제국 훈장의 기사가 되었다.[1]
개인사
초년기
존 파스코 그렌펠은 1800년 9월 20일 서리 타이터시에서 존 모엄 그렌펠과 그의 아내 소피아 터너 사이에서 태어났다.[2] 1811년 그는 영국 동인도 회사의 사역에 들어갔고, 1819년 코크란 경의 휘하에 칠레 해군에 입대했다. 그는 칠레 독립 전쟁 중 코크란 경이 벌인 대부분의 분쟁에 참가하여 중위로 올라섰다. 1820년 11월 5일 그렌펠은 남태평양의 마지막 스페인의 주요 군함인 벤간자와 프루바의 추격에 호위함 에스메랄다의 절단 작업에 참가하였다.[3] 1823년 그는 코크란 경을 따라 브라질 독립전쟁에 참전했다. 1823년 8월, 그렌펠은 이제 작은 여단 사령관 돔 미구엘이 벨렘 도 파라로 항해하여 마란함에서 코크란 경이 사용한 것과 유사한 전술을 사용하여 포르투갈군에게 더 큰 함대가 출항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하여 항복하도록 설득했다.[4] 1826년 아르헨티나와의 전쟁 중 그는 제임스 노턴 준장 휘하의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봉쇄하는 편대의 일부로 카보클로 준장을 지휘했다. 7월 29일 아르헨티나 사령관 윌리엄 브라운 제독과 함대함 교전을 하던 중 오른팔을 잃었다.[5] 그리고 나서 그는 회복하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왔다.
만년
1828년 그렌펠은 브라질로 돌아왔고, 1835–36년 동안 그는 리오 그란데 도 술 호수에 있는 배 한 척을 파라포스 반군에 대항하여 지휘했다. 그는 적군을 물리치고 반란군의 항복을 강요하는 데 성공했다. 1841년 후미랄로 승진하였고, 1846년 리버풀 주재 브라질 총영사로 임명되었다. 그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최첨단 증기 프리깃함 돔 아폰소의 건설을 HMS 퓨리 선까지 감독하는 것이었다. 그녀는 볼튼의 벤자민 힉스와 코의 엔진을 가지고 리버풀의 토마스 로이든 앤드에 의해 지어졌다.[6] 1848년 돔 아폰소가 그렌펠, 외교단, 브라질과 프랑스 왕실 가족들과 함께 머세이 강에서 증기 실험을 하고 있을 때, 이 호위함은 리버풀에서 어느 날 불이 난 미국행 이민자 선박 오션 모나크에서 승객 160명을 구조했다.[7] 브라질 정부는 돔 아폰소의 활약에 매우 기뻐하여 그렌펠은 아마조나스라고 불리는 두 번째 증기선 계약을 체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851년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독재자 로사스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자, 그렌펠은 브라질로 다시 파견되어 리오 데 라 플라타에서 그들의 해군력을 지휘하게 되었다. 그해 12월 톤엘레로 전투에서 돔 아폰소를 기함으로 브라질 군대를 싣고 파라나 강을 통과하도록 하는 데 성공하여 로사스를 격파했다. 고마운 브라질 정부는 그를 바이스카운트로 만들 것을 권고했지만, 그렌펠은 브라질 사람이 아니라 영국 시민권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황제는 거절했다.[8] 그러나 그는 부통령으로 승진했고 마침내 제독으로 임명되었다가 리버풀로 돌아와 총영사로서의 역할을 재개했다. 1861년 그는 브라질 정부의 대표로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린 코크란 경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그는 1869년 파리에서 죽었다.
가족
그렌펠은 몬테비데오에서 마리아 돌로레스 마시니와 결혼했다. 그들은 8명의 자녀를 두었다: 존 그랜빌(1829–1866), 마리아 돌로레스(1831–?), 소피아(1833–1898),[9][10] 마리아 엠마(1833–?), 알프레드(1839–1874), 플로라(1841–1874), 해리 트레멘히어(1845–1906) 그리고 토마스 코크레인(1847–49).
명예
비제목 귀족훈장
- 브라질 장미 훈장 그랜드 크로스.[11]
- 브라질 남십자 훈장 장교.[11]
군장의 예
참조
- ^ 스튜어트, 찰스 새뮤얼, 브라질, 라플라타, 크루즈 개인 기록 335페이지
- ^ "Col. Harold Maxwell GRENFELL, CMG MVO, b: 1870 – Taplow, England". grenfell.history.users.btopenworl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12. Retrieved 15 June 2012.
- ^ 베일, 태평양의 브라이언 코크란: 스페인 아메리카의 행운과 자유, I B 타우리스, 2008년
- ^ 베일, 브라이언 독립 아니면 죽음! 영국 해군과 브라질 독립, I B 타우리스, 1996
- ^ 베일, 브라이언 A 전쟁 베트윅트 영국인: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와의 리버 플레이트 1825-30, I B 타우리스, 2000
- ^ 리버풀 대학교 특별 컬렉션 '그렌펠 논문' G/472
- ^ [1] 삽화 런던 뉴스, 1848년 9월 2일
- ^ 베일, 브라이언, 2017년 네이비 레코드 소사이어티 해군 미셀라니 8세의 '강판 속의 브라질 해군의 J P 그렌펠 선장'
- ^ I8603: Sophia Grenfell ( – 1898년 8월 19일) Wayback Machine에 2007년 9월 30일 보관
- ^ "Deaths January 1849". Liverpool Journal. 20 January 1849.
- ^ a b c d 1869, 페이지 163.
참고 문헌 목록
- Haring, Carlos Guilherme (1869). Almanak Administrativo, Mercantil e Industrial (Almanaque Laemmert) (in Portuguese). Rio de Janeiro, Rio de Janeiro: Eduardo & Henrique Laemmert.
- Morais, Eugênio Vilhena (2003). O Duque de Ferro: novos aspectos da figura de Caxias (in Portuguese). Rio de Janeiro, Rio de Janeiro: Biblioteca do Exército. ISBN 978-85-7011-329-0.
- Rodrigues, José Honório (1975). Independência: revolução e contra-revolução (in Portuguese). 3. Rio de Janeiro, Rio de Janeiro: Livraria Francisco Alves Editora.
- 베일, 태평양의 브라이언 코크란: 스페인 아메리카의 행운과 자유, 런던, I B 타우리스, 2008년
- 베일, 브라이언 독립 아니면 죽음! 영국 해군과 브라질 독립, 런던, I B 타우리스, 1996
- 베일, 브라이언 A 전쟁 베트윅트 영국인: 런던, I B 타우리스, 2000년 런던, 리버 플레이트 1825-30에서 아르헨티나와 대결한 브라질
- 베일, 브라이언, 2017년 네이비 레코드 소사이어티 해군 미셀라니 8세의 '강판 속의 브라질 해군의 J P 그렌펠 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