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Jorge Rafael Videla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Jorge Rafael Videla 1976.PNG
1976년 비델라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군정에 의해 임명됨
재직중
1976년 3월 29일 – 1981년 3월 29일
선행자이사벨 페론
성공자로베르토 에두아르도 비올라
투쿠만 주지사
사실상의
재직중
1970년 8월 4일 – 1970년 12월 10일
선행자호르헤 다니엘 난클라레스
성공자카를로스 알프레도 임보
개인내역
태어난(1925-08-02)2 1925년 8월 2일
메르세데스,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죽은2013년 5월 17일(2013-05-17) (87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마르코스 파즈
휴게소부에노스아이레스 필라르 현충원
정당없음
배우자알리샤 라켈 하트리지
아이들.7
교육콜리오 밀리터리 데 라 나시온
직업군대
서명
병역
얼리전스아르헨티나
지점/서비스Ejercito argentino escudo.png 아르헨티나 육군
근속년수1944–1981
순위GD-EA.png (1991년 이전 epaulette) 중장
명령아르헨티나 육군
전투/와이어내전

비글 갈등

범죄내역
확신반인륜적 범죄
벌칙무기징역
시험준타스 재판
감옥에 갇히다마르코스 파즈 감옥

Jorge Rafael Videla Redondo[1] (/vɪˈdɛlə/; Spanish: [ˈxoɾxe rafaˈel biˈðela]; 2 August 1925 – 17 May 2013) was an Argentine military officer and dictator, Commander in Chief of the Army, member of the Military Junta, and de facto President of Argentina from March 29, 1976 to March 29, 1981.

이자벨 페론축출한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다.대표적민주정부가 복귀한 지 2년 만인 1985년 유괴강제실종, 광범위한 고문, 활동가와 정적들에 대한 사법적 살인 등 자신의 통치하에 벌어진 대규모 인권유린반인륜적 범죄로 '준타스 재판'에서 기소됐다.비밀 수용소에 있는 그들의 가족들뿐 아니라.이 기간 동안 약 13,000명에서[2] 3만 명의[3] 반체제 인사들이 사라졌다.비델라는 또한 불법 유치장에서 어머니를 감금하는 동안 태어난 많은 아기들을 절도하고, 정권 관계자들의 불법 입양을 위해 그들을 넘겨준 죄로 유죄판결을 받았다.[citation needed]그의 변호에서 비델라는 여성 게릴라 억류자들이 고문을 당하거나 처형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임신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고 주장했다.[4]2010년 7월 5일, 비델라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의 군대의 행동에 대한 모든 책임을 졌다.이어 "내전 중 최고 군사권력으로 책임을 인정한다.부하들이 내 명령에 따랐다며 아르헨티나 법원에 말했다.[5]비델라는 또한 알프레도 스트로즈너파라과이에서 그랬던 것처럼, 그리고 휴고 반저볼리비아에서 그랬던 것처럼, 많은 나치 망명자들을 보호했다. 그는 때때로 "팜파의 히틀러"[6]로 알려져 있었다.그는 2008년 10월 10일까지 가택 연금 상태에 있었고, 그 때 그는 군 교도소에 수감되었다.[7]

새로운 재판에 이어, 2010년 12월 22일, 비델라는 의 쿠데타 이후 31명의 죄수들이 사망한 것에 대해 민간인 감옥에서 종신형을 선고 받았다.[8][9]2012년 7월 5일, 비델라는 재임 기간 동안 아이들을 조직적으로 납치한 혐의로 50년형을 선고받았다.[10]이듬해 비델라는 마르코스 파즈 민간인 교도소에서 샤워 중 넘어져 5일 만에 숨졌다.[11]

어린 시절과 가족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는 1925년 8월 2일 메르세데스시에서 태어났다.그는 라파엘 유제니오 비델라 벵골라 대령(1888~1951)과 마리아 올가 레돈도 오제아(1897~1987)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아들 중 셋째로 1923년 홍역으로 세상을 떠난 두 명의 쌍둥이 형제를 기리는 세례로 세례를 받았다.비델라의 가문은 산루이스 지방에서 유명한 가문이었으며, 그의 조상들 중 많은 사람들이 높은 관직을 갖고 있었다.그의 조부 자킨토는 1891년부터 1893년 사이에 산루이스의 총독을 지냈고, 증조부 블라스 비델라는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전쟁에서 싸웠으며, 이후 산루이스에서 유니타리아 당의 당수로 활동했었다.[12]

1948년 4월 7일, 호르헤 비델라는 영국계 아르헨티나 물리학과 교수 겸 주터키 아르헨티나 대사인 사무엘 알레한드로 하트리지 파크스(1891~1969)의 딸 알리샤 라켈 하트리지(1827년 9월 28일~2021년[13] 11월 5일), 마리아 이사벨 라코스테 알바레스(1893~1939년)와 결혼했다.[14]그들은 7명의 자녀를 두었다: 마리아 크리스티나(1949), 호르헤 호라시오(1950), 알레한드로 유제니오(1951~1971), 마리아 이사벨(1954), 페드로 이그나시오(1956), 페르난도 가브리엘(1961), 라파엘 파트리시오(1963).이 중 라파엘 패트리시오와 페르난도 가브리엘이 아르헨티나 군대에 입대했다.[12]

군대 경력

비델라는 1942년 3월 3일 국립군사대학(Colegio Milgilic de la Nacion)에 입학하여 1944년 12월 21일 중위로 졸업했다.보병부대의 하급 장교로 꾸준히 승진한 후 1952년부터 1954년 사이에 워 칼리지에 입학하여 자격을 갖춘 참모 장교로 졸업하였다.비델라는 1958년부터 1960년까지 국방부에 근무했고 그 후 1962년까지 육군사관학교를 지휘했다.1971년 여단장으로 승진하여 알레한드로 아구스틴 라누스에 의해 국립군사대학 이사로 임명되었다.1973년 말, 레안드로 아나야 육군 수장은 비델라를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했다.1975년 7월과 8월 비델라는 아르헨티나 국군의 합참의장(에스타도 시장 접속사)을 지냈다.[15]1975년 8월 이사벨 페론 대통령은 비델라를 육군 총사령관에 임명했다.

순위 승진일자
중령 1944년 12월 22일
중위 1947년 6월 15일
제1중위 1949년 11월 3일
선장 1952년 3월 1일
메이저 1958년 7월 18일
중령 1961년 12월 28일
대령 1966년 1월 17일
여단장군 1971년 11월 23일
중장 1975년[16] 10월 20일

쿠데타

1976년 3월 29일,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중장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으로 선서를 맹세했다.

후안 페론 대통령이 사망하자 그의 미망인과 이자벨 부통령은 대통령이 되었다.비델라는 1976년 3월 24일 폭력, 사회 불안, 경제 문제가 가중되는 동안 자신을 축출한 군사 쿠데타를 이끌었다.군정결성되었는데, 그는 육군을 대표하고, 에밀리오 마세라 제독은 해군을 대표하고, 올랜도 라몬 아고스티 준장은 공군을 대표한다.[17]

대통령직

쿠데타 이틀 후, 비델라는 공식적으로 아르헨티나 대통령직에 취임했다.

인권침해

테러리스트는 총이나 폭탄을 가진 사람만이 아니라 서양기독교 문명에 반하는 사상을 퍼뜨리는 사람이다.

Jorge Rafael Videla[18]
1978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중장이었다.

군사 정권은 많은 수의 학생들이 강제적으로 사라진 것으로 기억된다.[19]The military junta took power during a period of terrorist attacks from the Marxist groups ERP, the Montoneros, FAL, FAR and FAP, who had gone underground after Juan Perón's death in July 1974, and violent right-wing kidnappings, tortures and assassinations from the Argentine Anticommunist Alliance, led by José López Rega, Perón's Minister of Soci복지부, 그리고 다른 사형수들볼티모어 선은 1976년 초에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오랜 기간 '아르헨티나의 정원'으로 알려진 정글이 덮인 투쿠만 산에서 아르헨티나가 베트남식 내전에서 아르헨티나와 싸우고 있다.아직까지는 결과가 의문이다.그러나 2000여 명의 좌익 게릴라들과 1만여 명의 병사가 참가하는 이 전투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20]

1974년 말 ERP는 투쿠만 지방에 농촌 전선을 설치했고 아르헨티나 육군2사단 산악여단 제5여단을 도내에 배치했다.1976년 초, 산악여단은 그때까지 ERP 게릴라들과 무장세력에 대항하여 코르도바 시의 전략적 요충지를 경비하는 것을 보류했던 제4공수여단 형태로 강화되었다.[21]

군정 구성원들은 게릴라 위협을 이용해 쿠데타를 승인하고 정부 내의 기간을 "국가 조직 개편 과정"으로 명명했다.모두 293명의 군인과 경찰관이 1975년과 1976년 좌익 테러로 사망했다.[22]비델라는 1976년 2월부터 1977년 4월 사이에 몬토네로스와 ERP의 세 번의 암살 시도를 가까스로 모면했다.[23]

더티 전쟁 당시 자행된 군사 범죄를 심판하는 1985년 재판소의 일부를 구성한 리카르도 라베드라 법무장관은 이후 "불법 진압의 희생자 대다수가 게릴라 무장세력이라고 진심으로 믿는다"[24]고 선언했다.사라진 1만여 명은 몽토네로스의 게릴라, 인민혁명군이었다.[25][26][27]그러나, 게릴라들이 패배한 후 실제로 탄압 운동은 더욱 격렬해졌고 그들이 교회, 노조, 예술가, 지식인, 대학생, 교수들을 목표로 삼았던 이 시기, 군정이 가장 많은 희생자들을 축적했다.[28]

인권단체에 따르면 경찰이나 군에 구금돼 있는 동안 1만5000~3만[29] 명의 아르헨티나가 '망신'한 것으로 추산된다.[29]희생자 중에는 비델라의 장애인 아들 알레한드로를 가르치고 보살피던 프랑스인 수녀 2명(알리스 도몬레오니 뒤켓)이 포함됐다.[30]약 1,500~4,000명의 사람들이 약에 취해 군용 항공기에 실려 알몸으로 옷을 벗고 리오데라플라타와 대서양에 던져져 '죽음의 비행'로 알려지게 되었다.[31][32][33][34]독재정권 기간 내내 비밀리에 수용소에 수감돼 있던 PEN(포더 에제큐티보 나시오날) 수감자 중 1만~1만2000명이[35] 결국 외교적 압력으로 풀려났다.[36]테렌스 로히릭은 실종자 중 "최소한 1만 명이 게릴라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됐다"[37]고 추정했다.

비델라는 아르헨티나 언론인 세페리노 레이토의 저서 '데오시온 파이널'에서 1976년부터 1983년 사이에 8,000명의 아르헨티나가 자신의 정권에 의해 살해된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시신은 국내외에서 시위를 막기 위해 숨겨지거나 파괴됐다.[38]비델라는 또한 여성 게릴라 억류자들이 고문을 받거나 처형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임신하는 것을 허락했지만, 그들은 그렇지 않았다고 주장했다.이들이 감옥에서 낳은 아이들을 빼앗기고, 정권의 군가정에 의해 불법으로 입양되어 수십 년 동안 신원이 숨겨져 있었다.[4]

아르헨티나 인권단체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이 표적으로 삼은 3만 명 가운데 유대인은 1900명에서 3000명 사이였다.[39]이는 유대인이 대상자의 5-12%에 불과하지만 인구의 1%에 불과하기 때문에 불균형한 숫자다.역사학자 대니얼 무치닉은 이를 많은 유대인들이 이 기간 동안 ERP와 FAP와 같은 정치적 활동주의와 무장 저항 단체에 끌리게 된 탓으로 돌렸다.그러나 유대계 아르헨티나인들의 증언은 이들이 유대인임을 표적으로 삼았음을 시사한다.많은 고문 피해자들이 고문실과 심문관 벽에서 반유대적 상투를 외치는 아돌프 히틀러와 스와스티카들의 사진을 보았다고 한다.유대인들도 아르헨티나 군대에 있는 동안 반유대인 괴롭힘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200명에서 300명 사이의 유대인들은 종종 그들의 상급자에 의해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40][41]

1만1000여 명의 아르헨티나 국민이 군사독재 시절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것에 대한 국가로부터 금전적 보상으로 최대 20만 달러까지 신청해 받았다.[42]아삼블라 포르 로스 데레초스 후르모스(APDH 또는 인권 총회)는 '국가 조직 개편' 과정에서 1만2261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고 보고 있다.[43]정치적으로는 모든 입법권이 비델라의 9인 군사정권의 손에 집중되었고, 국가정부에서 중요한 자리는 모두 충성스런 군관들로 채워졌다.

경제 정책

아르헨티나의 독재자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가 부에노스아이레스 팔레르모에서 열린 1976년 '엑스포시시온 농촌' 개막식에 참석했다.

아르헨티나의 새 대통령으로서 비델라는 치솟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경제가 붕괴되는 상황에 직면했다.그는 주로 자유 무역과 규제 철폐 경제 정책을 채택한 호세 알프레도 마르티네스호즈 장관의 손에 경제 정책을 맡겼다.[44]

마르티네스 데 호즈는 자유 시장 경제를 지지하는 페로니즘을 역전시키면서 경제 성장을 회복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물가상승률은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45]

그는 체이스 맨해튼 은행국제통화기금(IMF)에 10억 달러 가까운 대출을 성사시킨 데이비드 록펠러의 개인적 친분을 즐겼다.[46]

그는 모든 가격 통제교환 통제 체제를 없앴다.암시장부족분은 사라졌다.[47]

그는 수출(기존의 금지와 쿼터, 수출세가 폐지되었다)과 수입(기존 금지, 쿼터, 면허를 폐지하고 점차적으로 수입관세를 인하했다.[48]

그의 임기 동안 외채는 4배나 증가했고, 상류층과 하류층의 불균형은 훨씬 더 뚜렷해졌다.[49]이 기간은 10배의 평가절하와 아르헨티나 역사상 최악의 재정위기로 끝났다.[50]

대외 관계

비델라는 1977년 9월 9일 백악관에서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을 만났다.

쿠데타는 1975년 10월부터 계획되어 왔으며, 미 국무부는 사형 집행 두 달 전에 준비 상황을 알게 되었다.헨리 키신저는 쿠데타 이후 아르헨티나 군 지도자들과 여러 차례 만나 미국에서 인권 유린에 대한 항의가 커지기 전에 상대국을 빨리 파괴할 것을 촉구했다.[51][52][53]

미 국무부는 아르헨티나를 남미반공산주의 보루로 보고 1976년 4월 초 헨리 키신저가 작성한 포드 행정부가 군사정부에 5천만 달러의 안보지원을 해달라는 요청을 미 의회가 승인했다.1977년 미 국방부는 아르헨티나 군 장교 217명을 양성할 수 있도록 70만달러를 허가했고 1977년과 1978년 미국은 아르헨티나에 예비군 부품 1억2000만달러 이상을 판매했다.[54]

그러나 동시에, 지미 카터 신임 미국 대통령은 인권 문제를 강조했고, 1978년에 의회가 아르헨티나에 대한 미국의 모든 무기 이전을 중단하도록 설득했다.[55]

비델라 정권 시절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 남단 비글 분쟁(픽톤, 레녹스, 누에바 섬 소유에 관한 것)을 둘러싼 중재 재판소의 구속력 있는 보고서와 결정을 거부하고 섬 침공을 위해 술레스타니아 작전을 개시했다.그러나 1978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중재 절차를 열었다.그의 대표인 안토니오 사모레는 전면전을 성공적으로 막았다.

이 갈등은 비델라의 대통령 시절이 지나서야 완전히 해소됐다.1983년 민주통치가 복원되자 칠레와 아르헨티나 사이에 체결된 1984년 평화우호조약(Tratado de Paz y Amistad)은 칠레에 대한 칠레의 주권을 인정한 조약(Tratado de Paz y Amistad)을 국민투표로 서명하고 비준하였다.

비록 비델라는 반공주의자였지만, 그의 정권은 소련과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고, 그의 통치하에 두 나라와의 무역 관계는 확대되었다.[56]

홍보

비델라의 가장 큰 도전 중 하나는 해외에서의 그의 이미지였다.그는 인권에 대한 비판을 반(反)아르헨티나 운동 탓으로 돌렸다.1976년 5월 19일에는 에르네스토 사바토,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호라시오 에스테반 라티(아르헨티나 작가협회장), 레오나르도 카스텔라니 신부 등 아르헨티나 지식인 단체와 오찬을 함께했다.후자는 비델라에게 또 다른 작가인 해롤도 콘티의 실종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57]

1977년 4월 30일, 아즈세나 빌라플러는 13명의 다른 여성들과 함께 카사 로사다 대통령 궁전 앞 마요 광장에서 실종된 아이들의 행방을 알려달라고 요구하며 시위를 시작했다.그들은 마야 광장어머니로 알려지게 되었다.

1979년 군정이 의뢰한 범퍼 스티커.본문데레코 휴머노에 대한 말장난이다."우리 아르헨티나는 정의롭고 인간이다"

1979년 9월 인권 조사 중, 미국간 인권 위원회는 많은 실종과 학대 사례를 들어 비델라 정부를 비난했다.이에 대해 미얀마 군정은 버슨-마르스텔러 광고 대행사를 고용해 피티 컴백을 공식화했다.Los Argentinos somos somos y humanos (문학적으로 "우리 아르헨티나인은 정의롭고 인간적이다")이 슬로건은 25만개의 범퍼 스티커에 인쇄되어 부에노스아이레스 전역의 자동차 운전자들에게 배포되어 약 1만6,117달러의 비용으로 친정(親政) 정서를 자발적으로 지지하는 모습을 만들어냈다.[58]

비델라는 1978년 FIFA 월드컵을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했다.그는 아르헨티나 팬들의 축구 우승에 대한 열정과 군부의 인기를 증명했다.[59]

1980년, 평화 정의 서비스의 지도자 아돌포 페레즈 에스퀴벨은 아르헨티나의 인권 침해의 많은 부분을 전 세계에 보고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만년의 삶과 죽음

비델라는 1981년 3월 29일 로베르토 비올라에게 권력을 양도했다.1982년 4월 7일 비델라는 말비나스 제도의 총독으로 마리오 베냐민 메넨데스 장군의 선서식에 참석했다.[60]군사정권은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패한 뒤 무너질 때까지 계속되었다.민주주의는 1983년에 복원되었다.

새 정부는 1985년 '준타스 재판'으로 불리던 독재 시절 저지른 범죄에 대해 최고위급 장교들을 기소하기 시작했다.비델라는 수많은 살인, 납치, 고문, 그리고 다른 많은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았다.무기징역을 선고받고 1985년 제대했다.

비델라는 5년 동안 수감되었다.1990년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은 비델라와 많은 다른 수감자들이 군사정권의 전 멤버들을 사면했다.메넴은 또한 테러로 기소된 좌익 게릴라 지휘관들을 사면했다.메넴 대통령은 대국민 TV 연설에서 "나는 법안에 서명했다. 그래서 우리는 평화, 자유, 정의 속에서 나라를 재건하기 시작할 것이다"라고 말했다.우리는 길고 잔인한 대립에서 비롯되었다.아물어야 할 상처가 있었다."[61]

비델라는 1998년 한 판사가 데사파레시다 실비아 퀸텔라의 아이와 인민혁명군(ERP) 지휘관 마리오 로베르토 산투초와 베니토 우르테아가의 실종 등 더러운 전쟁 중 아기 납치 혐의를 유죄로 인정하면서 잠시 감옥으로 돌아갔다.[62]비델라는 카세로스 감옥의 옛 부분에서 38일을 보냈다.건강상의 문제로 그는 후에 가택 연금으로 이송되었다.[63][64]

2003년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대통령 당선 이후, 아르헨티나에서는 비델라 통치의 불법성을 보여주기 위한 노력이 다시 널리 퍼졌다.정부는 더 이상 비델라를 나라의 합법적인 대통령이 된 것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그의 초상화는 사관학교에서 제거되었다.2003년 의회는 독재 정권 하에서 범죄에 대한 기소를 종식시킨 레이푼토 파이널을 폐지했다.2005년 아르헨티나 대법원은 이 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정부는 반인륜적 범죄에 대한 기소를 다시 시작했다.

2006년 9월 6일, 노르베르토 오야르비데 판사는 메넴 대통령이 내린 사면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65]2007년 4월 25일 연방법원은 비델라의 대통령 사면을 기각하고 인권 유린에 대한 그의 유죄 판결을 복원했다.[66]

그는 2010년 7월 2일 자신의 통치하에 사망한 31명의 죄수의 죽음과 관련된 인권침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8]사흘 뒤 비델라는 자신의 통치 기간 중 군의 행동에 전적인 책임을 지고 "내전 중 최고 군사권력으로 그 책임을 인정한다.부하들이 내 명령에 따랐지."[5]2010년 12월 22일 재판이 종료되었고, 비델라는 유죄를 선고받고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67]재판 직후 민간인 교도소로 이송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67]마리아 엘바 마르티네스 판사는 판결을 내리면서 비델라가 "국가 테러리즘의 징후"[68]라고 말했다.재판 과정에서 비델라는 "어제 적들이 권력을 잡고 거기서부터 아르헨티나에 마르크스주의 정권을 세우려 한다"고 말한 바 있다.[69]

2012년 7월 5일, 비델라는 군사 정권에 의해 억류된 부모들의 아기를 훔치는 계획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유죄판결을 받고 50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법원 판결에 따르면 비델라는 "신분을 교체할 뿐 아니라 미성년자의 절도, 유착, 은닉죄에서도 공범"[70]이었다.이 아이들은 불법 입양을 이유로 군가정에 넘겨졌고, 이들의 신원은 숨겨져 있었다.이 기간 동안 약 400명의 아이들이 도난을 당했는데, 감옥에서 출산을 하고 나중에 "사라졌다"는 엄마들로부터 종종 도난 당했다.2019년 6월까지 이들 입양아 중 130명이 신분을 회복했다.[71]

2013년 5월 17일, 비델라는 마르코스 파즈 감옥에서 복역 중 자연사했다는 보고를 받았다.[72][73]부검 결과 그는 5월 12일 교도소 샤워장에서 미끄러져 다발성 골절과 내부 출혈로 사망했다.[74]2009년 군의 판결에 따르면 그는 (그리고 다른 인권침해로 유죄판결을 받은) 군 장례를 치를 자격이 없었다.그의 가족에 의해 사적인 의식이 거행되었다.[75]

정치 나침반 전체의 인권단체들은 비델라가 사라진 사람들과 납치된 아이들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숨졌다고 비난했다.재판을 받은 공직자들 중 실종자들의 운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 사람은 한 명도 없다.비델라는 그가 테러분자들이 파괴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 뉘우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76]

몇몇 아르헨티나 정치인들은 그의 죽음에 대해 논평했다.급진시민연합리카르도 라베드라 부대표는 비델라는 독재자로 기억될 것이라고 밝혔고 헤르메스 빈너는 정부 희생자들에게 애도를 표했다.[77]에르난 롬바르디 부에노스아이레스시 문화부 장관은 아르헨티나의 민주주의가 독재자에게 시도하고 형을 선고했다고 칭찬했다.[77]리카르도 알폰신은 비델라가 감옥에서 죽은 것은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78]1980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아르헨티나 출신의 아돌포 페레즈 에스퀴벨은 "비델라의 죽음은 그 누구도 기쁘게 해서는 안 되며 우리는 더 나은 사회를 위해 더 정의롭고 더 인간적인 일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79]

후안 마누엘라 아발 메디나 주니어는 "비델라가 아르헨티나 국민들이 부인한 채 공동감옥에서 기소, 선고, 투옥됐다"[80]고 기뻐했다.비델라가 사망할 당시 그는 아르헨티나의 생존 독재자 두 명 중 한 명이었다.독재정권에서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레이날도 비그노네 대통령이 2018년 3월 7일 별세했다.

비델라는 그의 생이 끝날 때까지 로마 가톨릭 신자로 남아 있었다.[81][82][83][84][85]

참고 항목

참조

  1. ^ "Tte. General Jorge Rafael Videla Redondo, Presidente de Argentina".
  2. ^ "Una duda histórica: no se sabe cuántos son los desaparecidos". 6 October 2003.
  3. ^ "40 years later, the mothers of Argentina's 'disappeared' refuse to be silent". TheGuardian.com. 28 April 2017. Retrieved 23 March 2018.
  4. ^ a b ABC (27 June 2012). "El exdictador Videla llama terroristas a las madres de los bebés robados en Argentina – ABC.es". www.abc.es.
  5. ^ a b "Argentina's Videla: 'Troops followed my orders' BBC news". Bbc.co.uk. 6 July 2010. Retrieved 27 December 2010.
  6. ^ "Jorge Videla, el Hitler de la Pampa elmundo.es". www.elmundo.es. Retrieved 25 July 2021.
  7. ^ Rosario Gabino (10 October 2008). "Argentina: Videla a la cárcel". BBC News. Retrieved 27 December 2010.
  8. ^ a b 2010년 12월 23일 알자지라 영어의 전 아르젠티나 지도자에 대한 종신형(비디오)
  9. ^ Popper, Helen (22 December 2010). "Former Argentine dictator Videla jailed for life". Reuters. Retrieved 23 December 2010.
  10. ^ "El dictador Videla, condenado a 50 años de cárcel por el robo de niños". Retrieved 5 July 2012.
  11. ^ "비델라 무리오 골페 카베자 쿠안도 레스발로 두차", 코메리시오
  12. ^ a b 서안-뮬레이로:엘 딕타도르.에드 수다메리카나(2001)
  13. ^ "Alicia Hartridge, Jorge Rafael Videla's wife, died". Zyri. 5 November 2021. Retrieved 1 March 2022.
  14. ^ Who's Who in Latin America: Part V, Argentina, Paraguay and Uruguay (in Spanish).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0741-1.
  15. ^ "Estado Mayor Conjunt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07.
  16. ^ "Ascenso a Teniente General en 1975". Diarioperfil.com.ar. Retrieved 27 December 2010.
  17. ^ 대부분의 다른 나라와 달리 아르헨티나 국군의 경우 육군 중장(테니엔테 장군), 해군 제독(알미란테), 공군 준장(알미란테)의 계급이 같아 별 3, 4성급에 가깝다.아르헨티나의 군사 계급들을 보라.
  18. ^ J. 패트리스 맥셰리약탈 국가: 중남미의 콘도르 작전과 위장 전쟁.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페이지 1. ISBN 0742536874
  19. ^ 연필의 밤, 위키백과 참조
  20. ^ 1976년 1월 18일, 볼티모어 선 제임스 넬슨 굿셀, 아르헨티나에서 "베트남 전쟁"이 증가하고 있다.
  21. ^ "아르헨티나 폭력으로 사망한 경찰관 5명" 타임즈-유니온 (1975년 8월 21일)
  22. ^ Wright, Thomas C. (2007). State Terrorism in Latin America: Chile, Argentina,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Rowman and Littlefield. p. 102. ISBN 978-0-7425-3721-7.
  23. ^ "Argentine president escapes third assassination attempt". The Montreal Gazette. 19 February 1977. Retrieved 27 December 2010.
  24. ^ 아마르관장, 하비에르 비고 레기자몬, 68쪽, 에디시오네스 파스코, 2001
  25. ^ "Paso 1 - SELECCIONAR PRODUCTO". seguro.orbyt.es. Retrieved 20 August 2019.
  26. ^ A 32 años de la caída en combate de Mario Roberto Santucho y la Dirección Histórica del PRT-ERP. Cedema.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11. Retrieved 12 July 2012.
  27. ^ Heinz, Wolfgang S.; Frühling, Hugo (27 July 1999). Determinants of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by State and State Sponsored Actors in Brazil, Uruguay, Chile and Argentina: 1960 – 1990. Martinus Nijhoff Publishers. ISBN 9041112022 – via Google Books.
  28. ^ 알렉산더 미카베리제(2013년).잔학 행위, 학살 및 전쟁 범죄: 백과사전.ABC-CLIO. 페이지 28.ISBN 1598849255
  29. ^ "Alice Domon". en.gariwo.net.
  30. ^ 토마스 C.라이트(2006년).중남미 국가 테러: 칠레, 아르헨티나, 국제인권(라틴 아메리카 실루엣).Rowman & Littlefield. 페이지 160. ISBN 0742537218
  31. ^ 캘빈 심스(1995년 3월 13일).아르헨티나, '더러운 전쟁' 포로들을 바다에 버리는 것에 대한 이야기뉴욕타임즈.2015년 9월 23일 회수됨
  32. ^ 에드 스타커(2012년 11월 27일).'죽음의 비행'의 희생자들: 약에 취해 항공기에 버려졌지만 잊혀지지는 않았다.인디펜던트.2015년 9월 23일 회수됨
  33. ^ 테레사 보(2012년 11월 29일).아르헨티나2015년 9월 25일 웨이백 머신 '죽음의 비행' 재판을 연다.알자지라 아메리카.2015년 9월 23일 회수됨
  34. ^ 데테니도스-아파레시도스: 프레사스 y 프레소스 폴리티코스 데스데 트렐루 디타두라, 산티아고 가라뇨, 베르너 펜토트, 26페이지, 편집 비블로스, 2007
  35. ^ 정치적 부당성: 브라질, 칠레, 아르헨티나의 권위주의와 법치주의, 앤서니 W. 페레이라, 134페이지, 피츠버그대 프레스, 2005년
  36. ^ Roehrig, Terence (2001). Prosecution of Former Military Leaders in Newly Democratic Nations: The Cases of Argentina, Greece, and South Korea. McFarland Publishing. ISBN 9780786410910.
  37. ^ (네덜란드어로) "Oud-dictator Videla: onder mijn bewind duizenden mensen vermoord," Polkskrant(2012년 4월 14일)
  38. ^ "Jorge Rafael Videla, Argentinian dictator who killed Jews, dies". Jewish Telegraphic Agency. 19 May 2013. Retrieved 4 January 2016.
  39. ^ "Videla and the Jews of Argentina: The Closing of a Painful Circle". Haaretz. 22 May 2013. Retrieved 4 January 2016.
  40. ^ "Jews targeted in Argentina's dirty war". The Guardian. 24 March 1999. Retrieved 4 January 2016.
  41. ^ 중남미 국가 테러: 칠레, 아르헨티나, 그리고 국제적인 인간 토마스 C.라이트, 페이지 158, Rowman & Littlefield, 2007
  42. ^ 라스 시프라 데 라 게라 수키아: 그라시엘라 페르난데스 메이지데즈, 리카르도 스니트코프스키, 엘리사 소모일로비치 요르헤 푸사조, 32페이지, 아삼블라 포르 로스 데레초스 후마노스, 1988년
  43. ^ "Jorge Rafael Videla president of Argentina".
  44. ^ "Argentina - Military government, 1966–73". Encyclopedia Britannica.
  45. ^ "Lo que pienso de Martínez de Hoz". 6 November 2017.
  46. ^ http://martinezdehoz.com/words/Los_anios_de_Martinez_de_Hoz_por_Juan_Alemann.pdf[bare URL PDF]
  47. ^ "José Alfredo Martinez de Hoz - Biografía".
  48. ^ 루이스, 폴아르헨티나 자본주의의 위기.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출판부, 1990.
  49. ^ 아르헨티나: 세계은행 프레스, 1993년 부실에서 성장으로.
  50. ^ "Military Take Cognizance of Human Rights Issue" (PDF). National Security Archive. 16 February 1976.
  51. ^ "Kissinger approved Argentinian 'dirty war'". The Guardian. 6 December 2003. Retrieved 19 March 2015.
  52. ^ Blakeley, Ruth (2009). State Terrorism and Neoliberalism: The North in the South. Routledge. pp. 96–97. ISBN 978-0415686174.
  53. ^ 아르헨티나 쿠데타 30주년 기념일: 새로운 기밀 해제된 억압과 미국의 군사 독재 지지.Gwu.edu.2010년 8월 6일 회수.
  54. ^ 윌리엄 마이클 슈미들리 "인권과 냉전: 아르헨티나 '더러운 전쟁' 중단 캠페인," 냉전 역사 (2012) 12#2 페이지 345–365 온라인
  55. ^ "La alianza entre la Junta argentina y la URSS". Libertad Digital. 24 March 2019.
  56. ^ "Una sesión de homenaje" (in Spanish). Página/12. 7 September 2009. Retrieved 27 December 2010.
  57. ^ http://edant.clarin.com/diario/2006/03/23/elpais/p-01501.htm , Clarin, 2006년 3월 23일
  58. ^ 1978년 월드컵 이야기 – BBC 기사 저자: 조나단 스티븐슨 (BBC 스포츠 발표자)2010년 5월 18일 발행.2013년 5월 19일 검색됨
  59. ^ https://www.infobae.com/sociedad/2022/04/03/malvinas-40-anos-la-ceremonia-de-asuncion-de-menendez-el-general-que-penso-que-no-iba-a-una-guerra/
  60. ^ 1989년 10월 9일 뉴욕타임즈 "아르헨티나 장교들의 분노"
  61. ^ "Videla durmió en su domicilio luego de 38 días de detención". La Nacion. Lanacion.com.ar. 17 July 1998. Retrieved 27 December 2010.
  62. ^ "'Dirty War' arrest". BBC News. 10 June 1998.
  63. ^ "Argentine junta head has 'stroke'". BBC News. 17 December 2004.
  64. ^ "Argentine junta pardons revoked". BBC News. 6 September 2006.
  65. ^ "Argentine court overturns "Dirty War" pardon". Reuters. 25 April 2007. Retrieved 26 April 2007.
  66. ^ a b "Argentina former leader Jorge Videla jailed for life". BBC News Online. 22 December 2010. Retrieved 23 December 2010.
  67. ^ Yapp, Robin (22 December 2010). "Former Argentine dictator Jorge Videla sentenced to life in prison". The Telegraph. London. Retrieved 23 December 2010.
  68. ^ Barrionuevo, Alexei (23 December 2010). "Argentina: Ex-Dictator Sentenced in Murder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3 December 2010.
  69. ^ "Former dictators found guilty in Argentine baby-stealing trial". CNN. 5 July 2012. Retrieved 5 July 2012.
  70. ^ "Abuelas presentó al nieto 130 El video completo de la conferencia de prensa". PAGINA12. 13 June 2019.
  71. ^ "Argentina ex-military leader Jorge Rafael Videla dies". BBC News. 17 May 2013. Retrieved 17 May 2013.
  72. ^ "Murió el ex dictador Jorge Rafael Videla (Spanish)". 17 Ma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3. Retrieved 17 May 2013.
  73. ^ "비델라 무리오 골페 카베자 쿠안도 레스발루 두차"(비델라는 샤워 중 미끄러지면서 머리 부상으로 사망), 엘 코메리치오.
  74. ^ "Jorge Rafael Videla no recibirá honores militares en su funeral" [Jorge Rafael Videla will not receive military honors at his funeral]. La Nación (in Spanish). 17 May 2013. Retrieved 17 May 2013.
  75. ^ https://www.google.com/hostednews/afp/article/ALeqM5jdVtth9mBUym2rP1okLzHthpeLBg?docId=CNG.47556ec0e280709b323068b02fa2807e.e01 , Agence-France Prese
  76. ^ a b "Los políticos hablan de la muerte de Jorge Rafael Videla" [Politicians talk about the death of Jorge Rafael Videla]. La Nación (in Spanish). 17 May 2013. Retrieved 17 May 2013.
  77. ^ "Ricardo Alfonsín sobre Jorge Rafael Videla: "En la Argentina hubo justicia"" [Ricardo Alfonsín about Jorge Rafael Videla: "In Argentina there was justice"]. La Nación (in Spanish). 17 May 2013. Retrieved 17 May 2013.
  78. ^ "Pérez Esquivel: "La muerte de Jorge Rafael Videla no debe alegrar a nadie"" [Pérez Esquivel: "The death of Jorge Rafael Videla should not delight anyone]. La Nación (in Spanish). 17 May 2013. Retrieved 17 May 2013.
  79. ^ "Videla murió juzgado, condenado y preso en una cárcel común" [Videla died prosecuted, sentenced and imprisoned in a common cell]. Télam (in Spanish). 17 May 2013. Retrieved 17 May 2013.
  80. ^ "General Jorge Rafael Videla: Dictator who brought terror to Argentina". Independent.co.uk. 17 May 2013.
  81. ^ "DefesaNet - America Latina - VIDELA - Epitáfio de um general".
  82. ^ "Jornalista revela como o Pe. Bergoglio conseguiu a libertação de sacerdotes sequestrados pelos militares argentinos na ditadura".
  83. ^ "8 coisas que talvez você não saiba sobre delírios místicos de líderes latino-americanos". 20 January 2019.
  84. ^ "In pictures: Jorge Rafael Videla". BBC News. 17 May 2013.

외부 링크

군청
선행자 합참의장
1975년 7월-8월
성공자
선행자 육군 총사령관
1975–1978
성공자
정치국
선행자 투쿠만 주지사
1974년 8월-12월
성공자
선행자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1976–1981
성공자
스포츠 포지션
선행자 FIFA 월드컵을 연 사람
1978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