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크로비린하

José Craveirinha
호세 크로비린하
José Craveirinha.jpg
태어난(1922-05-28)1922년 5월 28일
마푸토, 모잠비크(당시 루렌소 마르키스, 포르투갈 모잠비크)
죽은2003년 2월 6일(2003-02-06) (80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필명마리오 비에이라, 호세 크라보, 예수이노 크라보, J.C., 아빌리오 코사, 호세 베트리냐
직업작가
국적모잠비컨
장르.

호세 크로비린하(José Cravirinha, 1922년 5월 28일 ~ 2003년 2월 6일)는 모잠비크의 언론인, 이야기 작가, 시인 등으로 오늘날 모잠비크의 가장 위대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1][2]포르투갈어로 쓰여진 그의 시들은 인종차별주의와 모잠비크의 포르투갈 식민 지배와 같은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식민지 전쟁 중 반포르투갈 단체인 FRELIMO의 지지자였던 그는 1960년대에 투옥되었다.[1]네그루트 운동의 아프리카 개척자 중 한 사람이었으며, 1964년부터 1997년 사이에 6권의 시집을 출판하였다.[2]크로비린하도 마리오 비에이라, 호세 크라보, 예수이노 크라보, J. 크레이보, J.C., 아빌리오 코사, 호세 G. 베트리냐라는 가명으로 글을 썼다.

전기

포르투갈인 모잠비크의 루렌소 마르키스에서 태어났고, 포르투갈인 아버지와 룽가족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크로비린하는 포르투갈의 언어와 문화에서 자랐다.

언론인으로서 오브라도 아프리카노(1918–74), 노티시아스, 트리부나, 노티시아스타데, 보즈 모잠비크, 노티시아스 베이라, 디아리오 모잠비크, 보즈 아프리카나 등 수많은 모잠비카 잡지와 신문에 기고하였다.그는 그의 저널리즘을 통해 그 시대의 다른 시인들과 친숙해졌는데, 특히 루이노론하(1909–1943)와 마르셀리노 두스 산토스(1929– ), 노아미 소사(1926–2003) 등이 그였다.[3]그의 작품들은 본질적으로 주로 정치적인 것이었다.그의 작품에서 일관된 주제는 아프리카의 자기 결정권, 아프리카 풍경의 이미지, 아프리카 언어의 영향을 반영한 글쓰기였다.[1]

크로비린하는 식민지 포르투갈 정부에 의해 용인된 단체인 루렌소 마르키스 아프리카 협회에서 1950년대부터 정치 활동을 시작했고, 이후 회장이 되었다.이 시기에 은밀한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고, 포르투갈 통치로부터의 모잠비크 해방을 위한 주도 운동인 FRELIMO의 세포의 일원이 되었다.그는 그의 첫 시집인 치구보를 출판한 지 1년 후인 1965년 파시스트 포르투갈 PIDE 레가임에 의해 독방에 감금되었다.A[4]그는 1969년에 출소했다.[3][1]

1974년 FRELIMO가 정권을 잡았을 때, 국가 언론 담당 부국장으로 임명되었다.모잠비칸 작가 협회(Association of Mozambican Writers) 초대 회장(Association of Mozambican Writers, Associationa dos Escritores Mochambicanos)을 지냈으며, 1982년과 1987협회는 2003년 호세 크로비린하 문학상(프레미오 호세 크로비린하리타투라)을 제정했다.크로비린하는 1991년 루소폰 문학으로 세계 최고 영예인 프레미오 카뮈스상을 받았다.그는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아프리카 작가로 유명하다.[2]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여러 번 고려되었다.2003년 크로비린하 대통령은 모잠비크의 조아킴 치사노 대통령에 의해 '민족 영웅'으로 선언되었는데, 그는 크로비린하의 식민주의 투쟁에 대한 문학적 공헌을 높이 평가했다.

크로비린하는 문학적인 찬사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작품이 인쇄되는 것을 주저했고, 식민지 이전과 후기의 그의 작품 대부분은 아직 출판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그의 아내 마리아는 1977년 10월에 죽었다.크로비린하는 1988년 마리아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된 그녀의 사후 수많은 시를 썼고, 1998년 제2판에서는 훨씬 더 완전한 형식으로 썼다.[4]

크로비린하도 축구를 하고 다른 선수들을 지도했다.2000년 올림픽에서 육상에서 금메달을 딴 마리아루르데스 무톨라를 위해 미국에서 체육 장학금을 주선했고, 아들 스텔리오도 전국 멀리뛰기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크로비린하는 2003년 남아프리카 요하네스버그에서 치료를 받던 중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상품

  • 1959년 루렌소 마르키스
  • Centro de Arte e Cultura da Beira, 1961년, "Premio Reinaldo Ferreira"
  • "Prémio de Ensaio", Centro de Arte e Cultura da Beira, 1961년
  • "Prémio Alexandre Daskalos", Casa dos Estudantes do Império, 포르투갈 리스본, 1962년
  • 1975년 이탈리아 프레미오 나시오날 데 포에시아 데 이탈리아
  • "Premio Lotus", Afro-Asiáticos, 1983년 아프리카상 드 에스크리토스
  • 모잠비크 정부의 "나싱웨아 메달" 1985년
  • Mediumha de Mérito, Secretaria de Estado da Cultura de Sang Paulo, 1987년
  • 1990년 브라질 오뎀 나시오날두 크루지루 두 술
  • "Premio Camões", Afro-Asiáticos, 1991년, Aconsiasang de Escritores Afro-Asiacos, Afro-Asiacos,
  • "프레미오 비다 리터리아", AEMO - Associiaschang de Escritores Mochambicaos, 1997년
  • 1997년 포르투갈의 Grau de Comendador da Ordem Invante Dom Henrique
  • 1997년 모잠비크 주, 오뎀 드 아미자데 에 파즈
  • 1999년 모잠비크 "프레미오 콘사그라상 펀닥 - 루이 드 노론하"
  • "아프리카의 프레미오 목소리" 오드프론트/레퍼드 출판사 - 수에시아, 2002
  • 우니베르시데 에두아르도 몬달레인 - 모잠비크, 2002년 "Grau de Dutor Honoris Cosa"
  • 메달하 데 오로 다 코무나 데 콘체시오 (브레시아)
  • 포르투갈의 메달하 데 우로 두 무니시피오 데 알제주르
  • 포르투갈의 메달하 데 우로 두 프라임루 두 무니시피오 데 신트라

출판된 책

  • 치구보(시).리스본: Casa dos Estudantes do Império, 1964; 2d Ed.마푸토:INLD, 1980.
  • 칸티코 un dio di Catrame (시, 2개 국어를 사용하는 포르투갈어-)이태리어의조이스 루수(Joyce Lussu)의 번역과 서문.이탈리아 밀라노: 리리치, 1966년.
  • 카링가나 우아 카링가나(시, "에라 우마 베즈").루렌소 마르키스 [마푸토]:아카데미카, 1974년; 2D 에드.마푸토:INLD, 1982.
  • 셀라 1 (시)마푸토:INLD, 1980.
  • 이즈브라니(선정된 작품, 러시아어로)소련 모스크바: 몰로도야 그바르디야, 1984.
  • 마리아(시).리스본, 포르투갈:ALAC (Africa Litatura Arte e Cultura), 1988.
  • 보글리오 에세레 탐부로(시).베네치아, 이탈리아:Centro Internazionale 델라 그라피카 디 베네치아 - Coop, 1991.
  • 바발라제 다스 히에나스(시).마푸토: AEMO, 1997.
  • 하미나 e 아웃트로스 콘토스(시).마푸토:1997년 은지라
  • 콘택토 e outras cronicas.마푸토:센트로 문화 포르투게스, 1999
  • 포에시아 토다(시).포르투갈의 리스트보아:카미뉴, 2000년
  • 오브라 푸에티카(시).마푸토: UEM, 2002.
  • 디케터(시).스톡홀름: 오드프론트, 2002.
  • 시아스프리상(시).마푸토:Njira, 2003.
  • 포에시아 에로티카(시).마푸토:Texto Editores, 2004.

각주

a^ 나중에 시구보로 변경된 철자와 함께 출판됨.이 용어는 룽가어(龍家語)에서 따온 것으로 룽가 민족의 무사춤을 가리킨다.[4]

참조

  1. ^ a b c d "José Craveirinha".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
  2. ^ a b c Appiah, Kwame Anthony; Gates, Henry Louis, eds. (2010). Encyclopedia of Africa. Vol. 2.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76. ISBN 9780195337709.
  3. ^ a b c "Mozambique: Death of Jose Craveirinha". AllAfrica. 6 February 2003. Retrieved 29 December 2015.
  4. ^ a b c Leite, Ana Mafalda (2007). "Exile and Death in José Craveirinha's Later Poetry". Research in African Literatures. Indiana University Press. 38 (1): 8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