쥘 시겔
Jules Siegel쥘 시겔 | |
---|---|
![]() 시겔, 1966년 | |
태어난 | 1935년 10월 21일 | )
죽은 | 2012년 11월 17일 | (77세)
직업 | 소설가, 언론인, 그래픽 디자이너 |
모교 | 코넬 대학교 헌터 대학교 |
년 활동 | 1964–2012 |
쥘 시겔(Jules Siegel, 1935년 10월 21일 ~ 2012년 11월 17일)은 소설가, 언론인, 그래픽 디자이너로 록 음악을 진지한 예술로 취급한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록에 대한 그의 글은 전체 생산량의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1] 그의 작품은 수년간 플레이보이, 베스트 아메리칸 단편 소설, 미국 도서관의 글쓰기 로스앤젤레스, 그리고 다른 많은 출판물에 실렸다. 그는 가끔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서평을 기고했고, 기자들을 위한 이메일 토론 목록인 뉴스룸-l을 관리했다.
브라이언 윌슨, 밥 딜런, 토마스 핀촌, 그리고 다른 저명한 미국인에 대한 그의 기사는 그의 개인적인 지인과 피실험자들과의 광범위한 직접 인터뷰에 근거한 주요 (그리고 종종 독특한) '굿바이 서핑, 헬로 갓!'은 여러 차례 무협화음을 냈으며 브라이언 윌슨이 자신의 '신에게 보내는 십대의 교향곡' 스마일 완성을 위해 고군분투한 내용을 담은 책마다 주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배경
시겔은 1953-54년 학기 동안 핀촌과 함께 코넬 대학에 다녔고 1959년 헌터 칼리지에서 영어와 철학 학위를 받았다. 그는 닉슨과 케네디 선거캠프에서 모두 일하면서 정치에 관여했다. 그는 1964년에 기자로 일하기 시작했다.[2] 1966년, 그는 토요일 이브닝 포스트의 밥 딜런에 관한 작품을 출판했다.[3] 시겔에 따르면, 이 기사는 선셋 스트립에 대한 그의 자격 증명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것은 그 당시 세어졌던 것 중 유일한 종류의 것에 관한 것이다. 내가 록 음악을 진지하게 받아들인 것은 내 작은 기발함 중 하나로 여겨졌다."[4] 딜런 전기작가 클린턴 헤이린은 펜촌이 1966년 앨범 펫 사운드를 추천한 이후 시겔이 비치 보이스와 그들의 점점 더 세련된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썼다.[3] 반대로 시겔은 1977년 기사에서 핀촌이 비치 보이스에 대해 쓰자고 제안했다고 지지하면서도 자신이 직접 핀촌에 펫 사운드를 소개했다고 덧붙였다.[5]
브라이언 윌슨 협회
브라이언은 천재였고, 나는 그를 과소평가했다. 토요일 이브닝 포스트에 비치 보이스에 대한 기사를 싣는 데는 꽤 설득력이 필요했다. 그들은 정말로 그것을 원하지 않았고 그들은 그것을 얻었을 때 내가 브라이언을 그렇게 심각하게 받아들였다는 것을 믿을 수 없었다.
—Jules Siegel[4]
1966년 말부터 1967년 초까지 시겔은 비치 보이즈의 브라이언 윌슨과 친분이 두터웠다. 그는 딜런에 대한 시겔의 기사를 즐겨 보았고 시겔이 윌슨에 대해 쓰자고 제안한 데이비드 앤덜레 비치 보이즈 동료에 의해 윌슨에게 처음 소개되었다.[4] 최근에 뉴욕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시겔은 윌슨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고, 그는 토요일 이브닝 포스트의 기사를 위해 그의 경험을 기록하였다.[6] 그는 훗날 시겔이 "비치 보이즈 마리화나 소비대"라고 지칭한 [7][8][9][10]동그라미인 이 밴드의 스마일 시대의 상당 부분을 윌슨과 동행한 동인의 일원이 되었다.[11]
1967년 초, 윌슨은 스마일 완성 문제에 부딪혔고, 시겔을 포함한 주변 동료들에 대해 의심을 품게 되었다. 시겔은 윌슨이 "윌슨이 내가 기자라는 사실을 잊고 있었고, 그가 나를 없앤 이유는 안데를가 그에게 상기시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왜냐하면 데이빗과 나는 내가 무엇을 쓸 것인지, 쓰지 않을 것인지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의견 차이 때문이었다. [내 여자친구] 그 후 나와 핀촌은 스튜디오 A에 갔고 [마이클] 보스가 거기 있었는데, 그는 '아니, 넌 금지야.'"[3]
시겔이 자신의 작품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토요일 이브닝 포스트는 윌슨의 소재에 대한 그의 지나치게 열정적인 묘사 때문에 결국 그의 이야기를 거절했다.[8][10] 대신 1967년 10월 잡지 '치타' 1호에 실렸다.[4] 그 기사는 이후 스마일(Smile)과 비치 보이스(Beach Boys)의 신화를 추진했다.[6][12] 윌슨이 영화 '세컨즈'에 대한 공포, 윌슨이 '나쁜 진동'으로 3000달러의 녹음 시간을 취소한 것, 윌슨이 마법을 행했다고 믿었던 지인에 대한 비이성적인 공포(시겔은 나중에 그것이 그의 여자친구였음을 폭로했다) 등 프로젝트의 여러 전설의 근원이다.[13] 루이스 산체스는 앨범에 대한 33인치 책에 다음과 같이 썼다.
[시겔]은 아마 이 이야기를 쓰면서 자신도 결국은 스스로 몸을 움츠리고 올가미가 될 신화의 기초를 닦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을 것이다. 자신을 대변할 수 있는 완성된 앨범이 없는 한, 그것을 탈피한 신화는 깨진 약속, 비치 보이스의 경력에 있어서 비극적인 전환점일 뿐만 아니라 브라이언 자신을 일련의 괴벽, 자기 파괴적인 습관, 험담, 그리고 마지막으로 광기로 전락시키는 방법을 의미하게 되었다.[8]
시겔의 기사에서 논의된 다른 주제들 중: 윌슨이 '천재'라는 타이틀을 걸고 밥 딜런과 존 레논과 경합을 벌인 것, 브라더 레코드의 구성, 윌슨이 자신의 집에서 그랜드 피아노 밑에 샌드박스를 두기로 한 순간, 윌슨의 밴 다이크 파크스와의 협업과 그에 따른 긴장감, 칼 윌슨의 전 4월 드래프트 탈루 혐의 체포.[8]
1971년 칼은 롤링스톤에게 시겔의 글에 대해 "그리고 이전에 돌아다니던 많은 것들이 정말로 [브리안]을 꺼리게 했다"[14]고 말했다. 그리고 나중에 앤덜은 시겔이 거짓을 써서 신화를 부풀려 더 "중요하게" 보일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15] 시겔은 안델레의 주장을 질책했다. "그렇게 어리석지 않았다면 명예훼손에 해당될 것이다. 나는 브라이언을 많이 존경했고 또한 그를 좋아했다. ... 나는 그를 신화라고 인식하지 못했다. 보고 들은 것을 그냥 적어두었다…… 브라이언과 어울리고 돌에 맞아도 재미있었지만 데이빗이 뜻하는 의미로는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4]
만년
1977년 플레이보이(Playboy)는 시겔의 기사 '누가 토마스 핀촌이고 왜 그가 내 아내와 함께 이륙하는가'를 출간했다. 이 글은 핀촌과의 관계와 핀촌의 두 번째 부인과의 관계에 대한 회고록이다. 기자 아담 엘즈워스에 따르면, "특정 분야에서는, 이 기사가 '굿바이 서핑, 헬로 갓!'보다 훨씬 더 잘 알려져 있다. 확실히 더 개인적인..."[1]
시겔은 1981년 (1983년 칸쿤으로 이주)부터 멕시코에서 거주하며 일했다. 그곳에서 그는 허리케인 길버트 상륙의 목격자였다.[16] 그는 또한 북아트 분야에서도 활동적이었다. 그의 작품 중 3점은 현대미술관 미술서적 소장품이다. 그의 책과 서예 일기는 1978년 프랭클린 아로에서 전시되었다.[17]
2012년 11월 17일, 시겔은 77세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
참고 문헌 목록
![]() |
- Record: The Journal of an Egomaniac. Straight Arrow. 1971.
참조
- ^ a b c Ellsworth, Adam (January 26, 2013). "Arts Remembrance: Be the Rock Star — A Tribute to Jules Siegel". The Arts Fuse. Retrieved May 29, 2019.
- ^ "Jules Siegel HuffPost". www.huffpost.com. Retrieved May 29, 2019.
- ^ a b c Heylin, Clinton (2007). The Act You've Known for All These Years: A Year in the Life of Sgt. Pepper and Friend (1st ed.). Canongate. pp. 49, 180. ISBN 978-1841959184.
- ^ a b c d e Siegel, Jules (June 18, 1998). "David Anderle's falsehoods". waste.org. Retrieved November 21, 2020.
- ^ Siegel, Jules (March 1977). "Who Is Thomas Pynchon...And Why Did He Take Off With My Wife?". Playboy.
- ^ a b Carlin, Peter Ames (2006). Catch a Wave: The Rise, Fall, and Redemption of the Beach Boys' Brian Wilson. Rodale. pp. 103–105. ISBN 978-1-59486-320-2.
- ^ Kent, Nick (2009). "The Last Beach Movie Revisited: The Life of Brian Wilson". The Dark Stuff: Selected Writings on Rock Music. Da Capo Press. pp. 32–40. ISBN 9780786730742.
- ^ a b c d Sanchez, Luis (2014). The Beach Boys' Smile. Bloomsbury Publishing. pp. 86, 94, 99–103. ISBN 978-1-62356-956-3.
- ^ Gaines, Steven (1986). Heroes and Villains: The True Story of The Beach Boys. New York: Da Capo Press. pp. 158, 167, 173–174. ISBN 0306806479.
- ^ a b Priore, Domenic (2005). Smile: The Story of Brian Wilson's Lost Masterpiece. London: Sanctuary. pp. 91, 98. ISBN 1860746276.
- ^ Peet, Preston; Siegel, Jules (2004). "The Last Word On Drugs". Under the Influence: The Disinformation Guide to Drugs (First ed.). New York, United States: Disinfo. p. 46. ISBN 1932857001.
- ^ Siegel, Jules (November 3, 2011). "Goodbye Surfing, Hello God: Brian Wilson's Tortured Effort to Finish 'Smile'". Rolling Sto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 2017.
- ^ Dillon, Mark (2012). Fifty Sides of the Beach Boys. Toronto, Ont.: ECW Press. p. 269. ISBN 9781770410718.
- ^ Nolan, Tom (October 28, 1971). "The Beach Boys: A California Saga". Rolling Stone (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8, 2012. Retrieved August 25, 2017.
- ^ Williams, Paul, ed. (1997). "Smile Is Done (conversation with David Anderle, part IV, 3/97". Brian Wilson & The Beach Boys How Deep Is The Ocean?. Omnibus Press. ISBN 0711961972.
- ^ "CafeCancun -- News, opinions and advice about Cancun". www.cafecancun.com. Retrieved May 29, 2019.
- ^ "Franklin Furnace, making the world safe for avant-garde art". www.franklinfurnace.org. Retrieved May 29, 2019.
외부 링크
- 쥘 시겔은 누구인가? – 커리큘럼 및 선택된 학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