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언 코벳

Julian Corbett

줄리안 스태퍼드 코벳 경(1854년 11월 12일, 케닝턴 로드 월콧 하우스에서 – 1922년 9월 21일, 스톱햄, 풀버러, 서섹스[1] 주 마노르 팜에서)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영국 해군의 저명한 역사학자지형학자였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해전 학생들 사이에서 고전으로 남아 있는 해전 전략의 일부 원칙이다. 코벳은 해군 개혁가 존 "재키" 피셔 제독의 좋은 친구였고 제1해군주였다.[2]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 작전의 공식 역사를 쓰도록 선택되었다.

조기생활과 교육

The son of a London architect and property developer, Charles Joseph Corbett, who owned among other properties Imber Court at Weston Green, Thames Ditton, where he made the family home, Julian Corbett was educated at Marlborough College (1869–73) and at Trinity College, Cambridge (1873–76), where he took a first class honours degree in law.[3] 코벳은 1877년 미들사원에서 변호사가 되었고 1882년까지 직업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엘리자베스 왕조 시대에 매료된 그는 이 시기에 처음으로 역사 소설을 썼다. 그는 팔몰 가제트의 특파원이 되었고, 1896년 동골라 원정에 대해 보도하였다. 코벳은 중년의 해군사와 민간인 출신이다. 그는 독립된 수단을 가지고 광범위하게 여행한 사람이었다.

줄리안 코벳은 허버트 E. (1876–?), 에드워드 M. (1899–?), 프랭크 E. (1881–?)라는 세 형제를 두었다. 1899년 그는 조지 알렉산더의 딸인 에디스 알렉산더와 결혼했다. 그들은 1남 1녀를 두었다.

해군사학자로서의 경력

1896년 코벳은 1585–87년 스페인 전쟁에 관한 많은 문서들을 편집하라는 존 녹스 러플턴의 요청을 받아들였고, 이것은 해군 역사학자로서의 경력의 시작이었다. 그는 곧 영국 해군의 대표적인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1901년부터 1922년까지 해군사와 전략에 대해 정기적으로 글을 쓰고 있었다. 1902년 그는 1900년에 설립된 왕립 해군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1903년에 그는 옥스퍼드 대학에서 포드 영어사 강의를 했다. 1905년 해군참모총장의 비공식 전략 고문이 되어 내각사적청 비서관을 지냈다. 1917년에 기사로 임명되어 1914년에 체스니 금메달을 수여받았다.

미국 동시대인 알프레드 테이어 마한 해군 제독처럼, 코벳은 해전을 한 나라의 더 큰 정책의 일부로 보았다. 이런 점에서 프러시아의 군사 사상가 칼 폰 절위츠는 그의 작품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또 다른 주요 영향력은 거의 틀림없이 최초의 해군 역사학자인 존 녹스 러플턴이었고, 그들 중 코벳은 그의 '프로테제'[4]로 묘사되어 왔다. 그러나 코벳은 함대 전투에 중점을 덜 두는 데 있어서 마한과 달랐다. 이러한 입장은 영국 해군의 많은 장교들을 화나게 했는데, 그들은 그러한 견해는 나폴레옹 전쟁에서의 넬슨 경의 전략의 영웅적인 측면이 결여되어 있다고 믿었다.

코벳의 1차 목표는 영국 해군 교리의 공백을 메우는 것이었다. 코벳의 해군전 전략은 해군전술에 초점을 맞추고 육상전과 해군전의 차이를 규정했다. 그는 기동형 교리를 채용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코벳의 해상 통제, 적에 집중, 전술적 우위를 위한 기동 원칙이 오늘날의 해군 기동전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코벳은 해군 사회 내에서 일하며 해군 기득권층에 영향을 미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그는 "공통적인 표현 수단, 공통적인 사고 방식"을 확립했다고 느낀 교육적 목적을 위한 전쟁 이론을 연구하고 발전시킬 것을 믿었다. 과장과 그 부하들 사이의 정신적 연대를 위하여" 코벳은 해군전범대학에서의 강연을 통해 당시의 해군 이론과 전략의 통념과는 매우 다른 제한된 전쟁과 전략적 방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참석국기 장교들에게 전달하려 하고 있었다. 코벳은 '해상 전략의 일부 원칙'(1911년)을 발표하면서 일반 대중을 포함시키기 위한 자신의 전략과 가르침으로 청중을 넓히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코벳 작품의 역사적 맥락

세기의 전환기에 코벳은 현대 해군 독트린을 개발한 최초의 작가 중 한 명으로 부상했다. 데 조미니 남작과 칼 폰 절비츠의 영향을 받아, 그는 해상에서의 전쟁을 위해 기존의 육지전 이론을 적용하려고 시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항위츠의 ' 워'는 코벳의 이론적 작업에 귀중한 기반이자 자극제가 되었지만, 그것은 그의 청사진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코벳은 결정적인 전투의 탐색의 중요성과 집중의 원리에 대해 절위츠나 조미니, 또는 다른 대륙 전략가들을 문제 삼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코벳이 이러한 요소들이 바다에서 훨씬 덜 관련성이 있다고 믿었다는 사실은 그의 시대의 받아들여진 지혜에서 과감하게 벗어난 것이었다. 코벳은 그의 제한전 이론을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다시 온워를 출발점으로 삼았지만 결국 해양환경에서 제한전을 치르는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을 택하게 되었다.

전쟁에 대한 코벳의 견해

코벳은 해상에서의 일반적인 전투 이론은 제시하지 않았다. 대신 해양전략의 본질과 해전이 국가권력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에 생각을 집중했다. 많은 해군전 이론가들이 육상전 개념을 해양환경에 기계적으로 적응시키려고 노력했지만, 코벳은 해상전의 이해와 요건은 육상전과는 근본적인 면에서 다르다고 반박했다.

코벳은 통신선을 보호하는 것이 육지보다 바다에서 시행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고 느꼈다. 이 난관은 바다와 육지의 물리적 지리적 차이였다. 이러한 물리적 차이 때문에 코벳은 해군전을 나름대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코벳은 바다가 소유에 취약하지 않기 때문에 정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코벳은 초기 해군전 이론에 가장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되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적을 물리적으로 파괴한다는 마한의 개념이 아니라 바다 위의 통행 행위였다. 코벳에게 바다의 지휘권은 친척이었고 일반 또는 국부, 임시 또는 영구적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는 절대자가 아니었다. 코벳은 통신선을 장악하기 위한 두 가지 근본적인 방법을 적 함정과 상인의 실제 물리적 파괴나 포획, 또는 해상 봉쇄라고 정의했다. 오늘날, 이 개념은 해상 통제라고 정의된다.

코벳은 결정적인 전투를 위한 탐색이나 전략적인 공세의 필요성에 사로잡혀 있지 않았다. 대체로 작전 차원에서 공세를 강조하는 등 전략 수비를 선호했다. 코벳의 전략적 방어는 격렬한 국지적 공격, 육군의 투영, 다양한 형태의 봉쇄, 적 교역로 습격 등의 조치를 주창했다. 더구나 코벳은 일단 바다와 육지에서 적이 충분히 약화되면 전략공세로의 전환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인식했다.

코벳은 해상에서의 해군력의 집중이 가장 높고 간단한 전략법칙이라고 믿지 않았다. 오히려 집중의 원리가 득보다 실이 많은 일종의 '시볼렛'이 된 것을 관찰했다.[5] 집중의 원칙은 "진실주의"이다. 아무도 그것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실용적인 전략의 정석으로서,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6]라고 말했다. 코벳은 따라서 뛰어난 집중력이 약한 상대에게 전투를 추구하는 것을 단념시킬 뿐만 아니라 적의 노출된 전국적인 통신선을 공격할 기회를 제공했다고 느꼈다. 코벳은 해군력의 우월한 집중력이 또 다른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고 느꼈다. 함대의 집중력이 클수록 행방과 동태를 감추기 어려웠다.

콘비츠의 이론을 해군전이라는 독특한 환경에 적응시키는 과정에서 코벳은 해상전략에 있어서 제한된 전쟁이라는 자신만의 혁신적인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의 두 가지 요점 중 첫 번째는 대륙에서의 전시 상황에서는 해양과 제국주의적 환경과는 달리, 대부분 인접 국가들 사이에서 전쟁이 벌어졌다는 점이다. 코벳의 두 번째 요점은 인접 대륙 국가들 간의 전쟁에서 "적들이 그의 전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전략적인 장애물은 없을 것"[7]이라는 것이었다. 즉 대륙전쟁의 본질은 정치적 목적을 제한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인데, 왜냐하면 한 주나 두 주 모두 어쩔 수 없이 위협받는 중대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벳이 증명했듯이, 이것은 이상적인 제한 전쟁의 조건이 해양 전쟁에만 존재하고, 우선적인 해군력에 의해서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 제한 전쟁은 섬에 있는 강대국들 또는 바다에 의해 분리된 강대국들 사이에서만 영구히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제한 전쟁을 원하는 강대국이 지휘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먼 곳의 물체를 고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고향 영토의 침입을 불가능하게 할 정도로 바다."[8]

절위츠와 마찬가지로 코벳은 전쟁에서 정치의 프라이머리(primacy)와 국익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전략을 구상하는 데 신념을 공유했다. 그러나 코벳은 전쟁 전후에 형성된 외교동맹 체제와 연합에 관심이 있었고, 전쟁을 치르는 경제적·재정적 차원은 물론, 절위츠에게는 관심도 없는 전쟁의 기술적·물적 측면에 대해서도 신경을 썼다.

영구적 가치의 작품

오늘날의 군사 전문가에 대한 코벳의 가치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개념에 있다.

  1. 통신선 통제, 적에 집중, 전술적 이익을 위한 기동
  2. 전쟁을 수행하는 정치적, 경제적, 재정적 측면 및 전쟁의 기술적, 물질적 측면
  3. 전쟁과 국익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전략을 고안하는 데 있어서 정치의 프라이머리.
  4. 값비싼 자산을 보존하면서 전투에서의 효율성에 대한 강조

그러나, 고립된 국가나 국가들에 대한 그의 제한적인 전쟁이라는 개념은 대칭적인 전쟁터에서 현재의 기술들과 함께 국가들간의 정치 경제적 난제들로 인해 달성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성공으로 여전히 비대칭 전장에 적용될 수 있었다.

코벳에 대한 글쓰기

런던대학교가 매년 수여하는 해군사 쥴리안 코벳상 수상 외에도, 코벳이 영국 해군사에 기여한 공로의 중요성은 D. M. 슈르만 교수가 <해군의 교육: 영국 해군 전략 사상 개발>에 대한 선구자적 저작인 1867–1914 (1965)를 발표하기 전까지 크게 간과되었다. 1981년 슈르만은 계속해서 코벳의 전집 전기를 썼다. Further work on Corbett appeared with John Hattendorf's essay "Sir Julian Corbett on the Significance of Naval History" (1971, reprinted 2000) and Goldrick and Hattendorf's Conference Proceedings, Mahan is Not Enough (1993), followed by the revised biography on Corbett in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2004).

이러한 작품들은 코벳이 이전에 발표하지 않은 '그린 팜플렛'을 전략적인 용어로 포함시킨 확정적이고 주석된 '코벳의 해양 전략의 일부 원칙'(Classics of Sea Power, 미국 해군 연구소 출판사, 1988년)을 통해 보완되었다. 또한 D. M. 슈르만과 존 하텐도르프는 러일전쟁에서 이전에 발표되지 않았던 코벳의 공식 연구인 '해상작전'(1904–1905)에 대한 서론을 편집, 집필하였다(미 해군연구소, 1994).

출판된 작품

소설:

기록:

  • 몽크 (런던: 맥밀런, 1889) 영어 맨 오브 액션 시리즈 온라인에서 읽음
  • 프랜시스 드레이크(런던: 맥밀런, 1890) 영어 맨 오브 액션 시리즈 온라인에서 읽음
  • 스페인 전쟁 해군에 관한 논문, 1585–1587 (Navy Records Society, 1898)은 온라인에서 읽었다.
  • 드레이크와 튜더 해군은 영국이 해군으로 부상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런던: Longmans, Green and Company, 1898)는 온라인에서 읽었다.
  • 드레이크의 후계자(런던: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00)는 온라인에서 읽었다.
  • 지중해의 영국: 해협 내 영국 권력의 상승과 영향에 관한 연구, 1603–1713 (런던: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04년)[9] 온라인에서 읽는다.
  • 전투 지침: 1530–1816(런던: 해군 기록 협회 제1권 XXIX, 1905) 온라인 읽기
  • 7년 전쟁의 영국(런던: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07년)은 온라인에서 읽었다.
  • A 대위가 전쟁의 일부 무시한 측면들 T. 마한...평화를 만드는 힘과 함께, Henry S. Pritchett에 의해...그리고 줄리안 S에 의한 해상에서의 사유 재산의 포획. 코벳(보스턴: 리틀, 브라운컴퍼니, 1907년)은 온라인에서 책을 읽는다.
  • 신호지침: 1776–1794, (런던: Navy Records Society, Vol. XXV, 1909)는 온라인에서 읽는다.
  • The Campaign of Trafalgar(런던: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10년)는 온라인에서 읽었다.
  • 해양 전략의 일부 원칙(런던: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11년)은 온라인에서 읽는다.
  • '조지의 개인 서류, 제2의 스펜서 백작, 해군 제독, 1794–1801 (2권) (런던: Navy Records Society, 1914) 검토
  • The Spectre of Navalism(런던: Darling & Son, 1915년)은 온라인에서 읽었다.
  • 평화와 자유해 연맹(런던: Hodder & Stouton, 1917년)은 온라인에서 읽는다.
  • 국제연맹과 바다자유(런던: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18년)
  • 대전해군작전의 역사, 공식문서(런던:London: Longmans, Green and Company), 1920년 4월 1권, 1921년 11월 2일, 그러나 코벳은 1923년에 출판된 제3권에 대한 최종 수정안에 합의하기 전에 사망했다. 제1권 및 제3권에는 지도 볼륨이 첨부되어 있다. 온라인에서 1권 2장읽다
  • 러일전쟁의 해상작전 1904-05(2권) (원래 분류된 비밀, 1994년 공개용으로 처음 발간)

참고 문헌 목록

  • Corbett, Julian Stafford; Edwards, H.J., eds. (1914). Naval and Military Essays: Being Papers Read in the Naval and Military Section at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Historical Studies, 1913.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ISBN978-1-108-00349-0)
  • 마이클 1세 헨델, "코르벳, 절위츠, 손자병법." 해군전 대학평론 (가을 2000년) 106-23 페이지 해군 전쟁 대학. 2004년 9월 24일.
  • 줄리안 S. 코벳, 해양 전략의 몇 가지 원칙. 시파워 시리즈의 고전. 아나폴리스, MD: Naval Institute Press, 1988.
  • 줄리안 S. 코벳, 러일전쟁해상작전, 1904-05. (1994년)

참조

  1. ^ 옥스퍼드 국립 전기 사전[페이지 필요]
  2. ^ www.navyrecords.org.uk 웨이백 머신에 2015-10-09 보관
  3. ^ "Corbett, Julian Stafford (CRBT873JS)". A Cambridge Alumni Database. University of Cambridge.
  4. ^ 아다미악, 스탠리 J. "해군사의 기초: 존 녹스 러플턴, 영국 해군과 역사 직업", 앤드루 램버트 교수의 저서 리뷰, 군사사학 저널 제64권, 제4권 (2000년 10월) 페이지 1169–70
  5. ^ (Corbett, 1918), 페이지 120.
  6. ^ (코벳, 1918), 페이지 144.
  7. ^ (Corbett, 1918), 페이지 45-46.
  8. ^ Corbett, Julian S. (1918). Some Principles of Maritime Strategy (2nd ed.). London, England: Longmans, Green and Co. p. 48.
  9. ^ Ropes, Arthur R. (12 March 1904). "Review: England in the Mediterranean by Julian S. Corbett". The Academy and Literature. 66: 269.

추가 읽기

  • 제임스 골드릭과 존 하텐도르프, 에드스, 마한은 충분하지 않다: 줄리안 코벳 경과 허버트 리치몬드 경(1993)의 작품에 관한 회의록에는 코벳의 저술에 대한 전체 참고 문헌이 수록되어 있다.
  • 앤드루 램버트 메리너의 거울 103#2 2017 175-95 "글쓰기 전투: 줄리안 코벳 경의 해군 작전에서 주틀란트"
  • D. M. 슈먼, 해군의 교육: 영국 해군 전략 사상 발전, 1867–1914. (1965)
  • D. M. 슈먼, 줄리안 S. 코벳, 1854–1922: 드레이크에서 젤리코에 이르는 영국 해양 정책의 역사학자. (1981)
  • 존 해튼도르프, "해군사의 중요성에 관한 줄리안 코벳 경" 해튼도르프, 해군사해상전략: 수집된 에세이(2000).
  • 유진 L. 라소르, 1815년 영국 해군 역사. 웨스트포트, CT: Praeger, 2004, 페이지 42–43.
  • 1922년 9월 22일자 The Times는 부고 43143호를 발행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