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 파마-펜젤리

Julie Paama-Pengelly
줄리 파마-펜젤리
태어난
줄리 파마-펜젤리

1964년(57세~58세)
국적.뉴질랜드
교육Massey University 인류학 학사, Massey University, Massey University, Massey University, Massey University, Massey University, Massey University, Massey, Massey University, Masori Visual Arts, Sec.매시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타모코 예술가
배우자.Rangi Kipa(마오리 예술가)와 결혼 전
웹 사이트www.julesartistmoko.com

줄리 파마-펭겔리(Julie Paama-Pengelly, 1964년 ~ )는 뉴질랜드의 타 모코 예술가, 화가, 해설자[1], 큐레이터로 마오리(Ngai Te Rangi, Ngai Tuwhiwhia) [2]혈통이다.

교육과 초기 경력

파마-펭겔리는 마스터턴에 [3]있는 세인트 매튜 대학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2003년에 그녀는 마오리 시각 예술 석사 학위를 받고 매시 대학교 팔머스턴 노스에서 우등으로 졸업했습니다.그 이전에는, 교직(1989년)과 제3세계 개발 석사(2003년)를 취득해, 파머스턴 노스에 있는 매시 대학에서도 졸업했습니다.Pama-Pengelly의 학사 학위는 사회과학(인류학) 학위였다.그녀는 또한 Te Ataarangi를 [1]통해 Te reo Maori를 공부했다.

Pama-Pengelly는 초기 작품에서 그래픽 디자인과 광고를 담당했으며, 중등학교와 [1]고등교육기관에서 미술을 가르쳤다.1990년대 초 이 시기에 그녀는 타모코(전통 마오리 문신)[4]와 예술적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이 시기에 여성이 이 예술 형식에 관여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었다.그녀는 로버트 얀케와 데릭 라델리[5][6]의해 타모코에 들어가도록 영감을 받았다.그녀는 인터뷰에서 타 모코의 힘에 사로잡힌 것에 대해 "누군가가 중요한 모코를 맞는 것을 목격했다.나는 그것이 우리 공동체가 긍지를 주장할 수 있는 강력한 방법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긍정적인 형태의 정체성을 되찾는 것이다.그 당시에는 그것이 그렇게 인기 있는 정체성이 될 줄은 몰랐어요."[7]

경력 및 업무

Pama-Pengelly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와카타네[1]Te Whare Wannanga Oanui Arangi에서 예술 및 시각 문화 부문 Te Toi Whakarei 교수를 역임했습니다.파마-펭겔리는 타라나키 서부공과대학과 웰링턴 매시대학에서도 가르쳤다.그녀는 2011년 Maunganui 산에 Art +[5][8][9] Body라고 불리는 문신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그녀의 예술 활동에는 그림, 판화, 설치, 그리고 타모코가 포함됩니다.그녀는 마오리 예술에 관한 책을 집필하고, 미술 전시회를 주관하며, 마오리 [10][11][12]예술에 대한 비판적인 담론에 기여했다.그녀의 작품은 뉴즐랜드뿐만 아니라 [4][13]전 세계적으로 토착 문신의 부활을 이끌었다.

작가 Awhina Tamapara는 Paama-Pengelly의 실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마오리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어떻게 묘사되는지는 그녀의 작품의 주요 관심사이다.그녀의 그림은 사독하다 – 마오리의 틀에 박힌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다.'브로크' 시리즈에서 그녀는 마오리가 [1]상업적으로 어떻게 묘사되는지를 탐구했습니다.

2022년에는 Te Tuhi Mareikura [14][15]Trust의 회장을 맡았습니다.

책들

  • 작성자 : 피부사– 도이마오리 아오테아로아 타모코의 예술, 2002년 3월
  • 작성자: 마오리 아트디자인 뉴 홀랜드 프레스(오클랜드), 2010년 5월 ISBN9781869662448

큐레이션

  • 은가 코레로 아오테아 1999년 웰링턴 다우스 미술관 마오리 예술가 50명
  • Ta Moko is NOT Tato, 인터랙티브 CD ROM Artpix 3 미국 휴스턴, 2001년
  • 미국 유타주 유타주 해리스 파인 아트 센터 BYU 타우마루
  • Now, Whakatane Museum & Gallery, 6월 26일~2010년 8월 8일
  • 라운드 어바웃: 108 아티스트(이스라엘 웰링턴), 2007~2010

레퍼런스

  1. ^ a b c d e Taiāwhio : conversations with contemporary Māori artists. Smith, Huhana. Wellington [N.Z.]: Te Papa Press. 2002. ISBN 0-909010-86-2. OCLC 50999083.{{cite book}}: CS1 유지보수: 기타 (링크)
  2. ^ "Julie Ta Moko artist". Jules Artist Mok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20. Retrieved 18 January 2020.
  3. ^ "Where in the world" (PDF). to The Stars. 2020. p. 28. Retrieved 8 September 2021.
  4. ^ a b Ore, Jonathan (30 April 2022). "Indigenous artists, advocates reviving traditional tattoo art nearly erased by colonization". CBC Radio. Retrieved 4 September 2022.
  5. ^ a b Murray, Justine (8 April 2018). "Taa Moko Sessions: Julie Paama-Pengelly". RNZ. Retrieved 14 January 2020.
  6. ^ Beri, Taryn (27 May 2015). "'Moko artists speak' Interview #1 Julie Paama-Pengelly". Taryn Beri. Retrieved 14 January 2020.
  7. ^ Munro, Bruce (8 June 2015). "Identity etched in ink". Otago Daily Times Online News. Retrieved 14 January 2020.
  8. ^ Morris, Pete (July 2013). "Julie Paama-Pengelly: Artist and Director of Art + Body (2013)". Tauranga City Library. Retrieved 14 January 2020.
  9. ^ Mohi, Mairātea (18 June 2022). "Shine your light this Matariki: Three wāhine on what beauty means to them". Stuff. Retrieved 4 September 2022.
  10. ^ "Creator: "Paama-Pengelly, Julie"". National Library of New Zealand. Retrieved 14 January 2020.
  11. ^ "Author: "Paama-Pengelly, Julie"". Worldcat. Retrieved 4 September 2022.
  12. ^ "Ta moko". Massey University.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February 2018.
  13. ^ Ogden, Gavin (22 March 2020). "Local Focus: From suppression to leading the world, the Māori tattoo resurgence". NZ Herald. Retrieved 4 September 2022.
  14. ^ Quill, Annemarie (26 June 2022). "Chelsea Winstanley and Stan Walker among Māori creatives recognised at Matariki awards". Stuff. Retrieved 4 September 2022.
  15. ^ "Tā Moko Tā Tatau festival to enrich region". SunLive. 23 July 2022. Retrieved 4 Septembe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