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도

Kūdō
空道 쿠도다이도쥬쿠
Kudo.jpg
로도 알려져 있다.가라테 가쿠토(1981~2001) 전투 가라테 다이도주쿠
초점종합격투기(주), 풀컨택 가라테, 글러브 룰셋(1980년대와 1990년대 특별한 상황에서)
원산지Japan 일본
크리에이터아즈마 다카시
조상 예술쿄쿠신 가라테, 유도, 복싱, 무에타이, 주짓수, 레슬링, 사격 레슬링, BJJ
공식 웹사이트http://ku-do.com

구도(九道, Kudo)는 일본의 혼성무술이다. 헤드기어와 장갑으로 연습하는 종합격투기 스타일인 안전성과 실용성을 모두 달성하고자 하는 풀컨택 전투스포츠다. 그것은 구속, 잠금, 질식 방지 등 경기에서도 투척과 그러플링 기술이 허용되는 스탠드업 스트라이킹이 특징이다.[1]

다이도 주쿠는 1981년 아즈마 타카시가 설립한 단체다.

쿠도는 일본에 100개 이상의 지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시행되고 있다. 일본인들이 만든 무술이지만 현재 쿠도 선수단이 가장 많은 나라는 러시아로 일본인 연습생 수를 제쳤다.

역사

아즈마 다카시와 다이도 주쿠의 구상

아즈마타카시

아즈마 다카시(Azuma Takashi born, Azuma Takashi) (1949년 일본 케센누마에서 출생 - 2021년 4월 3일)는 쿠도[2][3] 국제 연맹의 회장이자 쿠도 창립자였다. 쿄쿠신부도카이(존블루밍)에서 9도 흑단, 유도 3도 흑단, 구도 9도 흑단 등을 들고 있었다.

아즈마는 1965년 16세의 나이로 케센누마(Kesennuma)에 있는 학교 유도부에 입학하면서 처음으로 부도와 접촉하게 되었다. 1972년 일본군에 복무한 후, 쿄쿠신 가라테에 입대했다. 같은 해 와세다 대학에 쿄쿠신 을 세웠다.[4]

1981년 아즈마는 쿄쿠신의 어떤 특징에 불만을 품고 독자적인 무술을 창시하였다. 아즈마는 쿄쿠신에서는 심각한 머리 부상이 흔하다고 걱정했다. 아즈마 역시 몸집이 작은 파이터가 몸집이 큰 파이터에 비해 불리하다는 의견이었다. 특히 그는 심한 타격을 너무 많이 받아 코가 그 자리에서 휘어지게 된 경험이 있었다. 그는 책에서 자신이 "전투에서 멱살을 잡고 머리를 박는 데 능숙했다"고 인용하며 쿄쿠신의 완전한 접촉 규칙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느꼈다.[5]

다이도주쿠의 기본 교훈 중 하나는 다른 지상전 기술과 결합된 유도에서의 헤드 펀치, 팔꿈치, 헤드버트, 투구, 조인트락 등 효과적인 공격과 수비 기법을 포괄하는 현실적이고 다재다능한 전투 스타일을 만들어 낸 것이다. 아즈마의 초기 무술 개발은 우선 쿄쿠신 가라테와 유도의 혼성이었다. 쿄쿠신이 그 근거였지만 규제는 극적으로 바뀌었다. 이 스타일은 단일 스타일의 경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초기 유도와 가라테 혼합이 아닌 다른 무술의 기술을 사용했을 것이다. 이후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 양식은 복싱, 무에타이, 주짓수, 레슬링 등 여러 가지 무술 기법을 다이도주쿠 양식으로 융합하기 시작했다. 보호복도 도입되어 머리에 손기술이 가능하며 발차기 기술 시 머리를 충분히 보호해준다.

초창기 다이도 주쿠와 가쿠토 가라테

다이도 주쿠 조직은 1981년 2월 17일에 운영되었다. 최초의 도조는 미야기 현에서 가라테도 다이도주쿠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 사내 무술 스타일은 가라테 가쿠토(格格空, eng)로도 알려져 있었다. 가라테 전투) 및/또는 전투 가라테 다이도주쿠.

같은 해 다이도주쿠의 동문들은 「1981년 호쿠토키 가라테 선수권 대회」에서 대회 데뷔를 했다.

다이도주쿠는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 일본에서 무술 붐의 한 부분을 담당했는데, 당시 무술 산업에서 몇 안 되는 종합 무술 단체 중 하나이다. K-1 'U-시리즈'가 일본 주류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이치하라 미노키는 UFC 2에서 싸운 다이도주쿠 출신의 가라테 가쿠토 개업자로, 일본 무술 단체들이 UFC의 도전을 꺼리는 상황에서 일본 최초의 UFC 참가 선수였다. 그러나 이치하라는 로이스 그레이시에게 지곤 했다.

1990년대 다이도주쿠는 풀 컨택 가라테의 '장난된' 룰셋을 중심으로 'THE WARS'로 알려진 킥복싱 이벤트를 열고 다이도주쿠의 최고 끼를 선보였다.[6]

언론에서는 다이도 주쿠의 에이스였던 오사다 겐이치(小田信一)와 세이도카이칸사타케 마사아키의 꿈 대결을 기다리는 목소리가 많았다. 다이도 주쿠 소속 선수들이 각종 무술지 표지에 실렸고, 당시 무술계에서는 세이도카이칸과 함께 다이도주쿠가 일본 무술의 최전방 역할을 했다.

1995년 "카라테 도 다이도주쿠" 협회의 명칭이 공식적으로 "카쿠토 가라테 국제 연맹 다이도주쿠"(KKIF)로 바뀌었다.

쿠도, 새로운 방향과 현재

다이도주쿠는 1990년대 중반부터는 미디어 중심의 홍보에서 벗어나 다이도주쿠가 설립 이래 지향해 온 '안전하면서도 실용적인' 스타일을 개발하는 원 코스로 돌아가곤 했다.

2001년 다이도주쿠의 설립자 겸 사장인 아즈마 다카시는 공식 기자회견을 열어 다이도주쿠가 추진하는 스타일을 이제 쿠도라고 부르겠다고 발표했다. 같은 해 다이도주쿠는 쿠도를 국제무대로 진출시키면서 대성공을 거둔 최초의 세계선수권대회를 시작했다.

부도의 철학을 바탕으로 쿠도를 세계적으로 확장하고, K.I.F라고도 하는 쿠도 국제연맹 산하에 모든 강사 및 지도자를 인증·등록하고 있다. 일본 문부과학성의 지원을 받는 등 사회·체육 교육 단체로서의 활동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투쟁 조직이다.

다른 조직과의 교류

1990년대에 다이도주쿠는 쿠도 착상 이후 활동을 중단하기 전까지 수많은 무술 단체와 재능을 교류했다. 1990년대에 다이도주쿠는 SW(Submission Arts 레슬링)와 협정을 맺었고, 그 후에는 우슈, 산쇼우, 아이키도 S.A.A., 파라에스트라, 하텐카이 등의 단체들과 교류하게 되었다. 게다가, 다이도주쿠에서 온 어떤 전투기들은 라이즈 등과 같은 다른 무술 단체에서 싸우러 갈 것이다.

다이도주쿠는 닛폰 켐포슈토 같은 다른 무술 단체들과 경쟁하곤 했다. 과거 이 단체는 무에타이, 산서우, 태권도의 실무자들과도 충돌을 빚었다.

국제 확산

쿠도 국제 연맹의 회원국 (적색) 및 후보 회원국 (녹색) (2011년 10월 31일)

쿠도는 일본에 100개 이상의 지사를 두고 있으며,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시행되고 있다.

러시아의 쿠도

1991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다이도-주쿠 가라테도 구간이 러시아 최초로 개통되었다. 이 스타일의 창시자인 아즈마 타카시는 모스크바를 방문했고, 그 후 쿠도 연맹의 외국 지부가 그곳에서 개설되었다. 1994년 7월 7일, 다이도 주쿠 가라테도 모스크바 연방은 모스크바 법무부에[7] 등록되었다.

1994년 5월 러시아 최초의 국제 다이도 주쿠 대회인 모스크바에서 모스크바컵이 조직되어 개최되었다. 1996년 일본에서 러시아 선수들의 첫 승리는 알렉세이 코노넨코가 웨이트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citation needed]

2004년에는 러시아 쿠도 연맹이 설립되었다. 2001년부터 쿠도에서 러시아 공식 대회가 열렸는데, 같은 해 러시아 선수들은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2003년 열린 제2회 국제대회 '발틱 스테이트스 오픈컵'에서 러시아 쿠도 레슬링 선수들이 주심을 맡아 러시아, 일본, 발트해 국가, 아제르바이잔, 이탈리아, 독일, 폴란드 선수들을 불러모았다.

제1회 쿠도 월드컵은 2011년 모스크바에서 열렸다. 2013년 1월 13일 로마아나슈킨은 6단 쿠도 자격을 취득하여 비일본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같은 학위를 받았다.

개요

Kudo의 목표는 적절한 보호복을 착용하고 최대한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전투에 근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쿠도는 극소수의 규정으로 싸우며, 전문화된 기법과 행동을 가지고 있다. Kudo의 기술은 실제 투쟁의 전체 스펙트럼을 서서 던지는 기술, 투척 기술, 투척 기술, 그리고 그라운드 격투가 포함된다.

쿠도 훈련은 주로 키혼, 일반 체력 훈련, 전투로 이뤄진다. 쿄쿠신의 카타는 교체 없이 제거되었다.

Kudo는 종합 무술이자 철학으로, 정신적 발달은 물론 육체적 발달까지 모두 고려된다. 일본의 전통예절부도(레이기)를 따르고, 일정한 일본인 인사 의식이 있으며, 전통 수련인 게이코기를 착용하고, 기법의 명칭은 일본어로 되어 있는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도조군

도조쿤은 말 그대로 (훈련장) 규칙을 뜻하는 일본 무술 용어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도조 입구나 도조(쇼멘)의 "전면"에 게시되며 기대되고 허용되지 않는 행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쿠도의 도조군은 다음과 같다.

쿠도의 추구를 통해 육체적, 정신적 강인함을 기르고, 스스로 교육하며 지성을 얻고, 사람들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감정을 풍부하게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인격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고 사회의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구성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장비.

전투에 임하는 쿠도 전투원.

쿠도카 선수들은 공식 유니폼인 '도기'나 '쿠도기'(유도기와 유사하고, 던지는 것에 저항하지만, 전통적인 가라테 기에 비해 소매가 짧다)를 입는다. 이 디자인은 그립과 던지기 기법에 이상적이다. 쿠도 시술자는 흰색과 파란색 기색을 사용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모든 선수는 심각한 안면 손상과 뇌 외상으로부터 전투기를 보호하기 위해 도기, 헤드기어, 쿠도 붕대, 마우스 가드, K.I.F. 승인 장갑(손톱을 보호하지만 손가락이 벗겨지고 벗겨질 수 있음), 특수 K.I.F. 승인 플렉시글라스 바이저를 착용해야 한다.

미성년 선수는 쿠도기, 플렉시글라스 헬멧, 장갑 외에 정강이 보호대와 보디스를 착용해야 한다. 미성년 선수의 보호에 관한 규정은 토너먼트마다 다를 수 있다.

전투 카테고리

운동선수는 체중이 아니라 신체지수별로 순위가 매겨진다. 신체 지수(PI)는 몸무게의 합계(kg), 키(cm)이다.

범주: 230 이하
범주: 230–240
범주: 240–250
범주: 250–260
범주: 260–270
범주: 270 이상

어떤 범주와 싸워야 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이 시스템은 그 종류 중 유일한 것이다. 보통 다른 전투 스포츠나 다른 무술에서 싸울 종목은 킬로그램 단위의 무게에 따라 분류된다. 이 범주의 시스템을 통해, 우리는 무게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긴 팔과 동의어인 높이를 중시하고 따라서 먼 거리에 비해 유리하다.

규정

쿠도에는 확정적인 기본 규칙이 있다. 각 토너먼트마다 고유의 규칙을 사용하지만, 그것들 역시 기본 규칙에 뿌리를 두고 있다. 쿠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사용된 규정에는 그라운드에서의 싸움은 두 번, 30초 이하로, 그리고 등이나/또는 사적인 부분에 대한 타격은 금지되어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대회는 내부 9×9m²의 13×13m 다다미 매트에서 열리며, 그 안에서 싸움터가 있다. 대회 구역의 네 모퉁이에는 4명의 심판과 1명의 심판이 다다미 안에 있다.

점수가 매겨지는 원리는 기교와 신체 능력의 결과인 만큼 영화의 강점을 바탕으로 한다. 포인트는 상대가 타격감을 얼마나 느꼈는가에 따라 기술이 아닌 효과에 의해 보상받아야 한다. 등급은 1~8등급이다. 그 점들은 일본어로 koka, yuko, wazari, ippon이라고 불린다. 각각 1점, 2점, 4점, 8점(상대 선수가 8점을 득점하면 승리)의 가치가 있다.

게다가, 승리는 제출이나 질크아웃, 녹아웃 또는 경기 종료 후 어느 선수가 더 많은 점수를 획득하면 발생할 수 있다.

동점일 경우 결정이 나거나 다른 경기가 열린다.

유명한 개업자들

로만 아나슈킨, 유명한 러시아 쿠도카.
  • 세미 실트, 이종격투기 선수킥복서. 1996년과 1997년 호쿠토키 챔피언.
  • 러시아의 명문 무술가 로만 아나슈킨은 쿠도에서 7단 검은 띠를 가지고 있다.
  • 종합격투기 선수 겸 와즈쓰 게이슈카이 체육관 설립자인 니시 요시노리. 1984년과 1985년 호쿠토키 챔피언.
  • 이종격투기 선수와 킥복서 리 하스델.
  • 프로레슬러 구로키 가쓰마사.
  • 이종격투기 선수 겸 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 경쟁자인 이치하라 미노키.
  • Kolyan Edgar - Honored Master of Sports of Russia in Kudo, Candidate for Master of Sports of Russia in Army hand-to-hand fighting, Candidate for Master of Sports of Russia in Combat Sambo, two-time world champion in Kudo (2005, 2009), silver medalist of the World Kudo Championship (2014), bronze medalist of the championship World Kudo (2018), winne쿠도 월드컵의 r(2011년), 유럽 쿠도 챔피언(2008년), 러시아 쿠도 5회 우승.
  • 벨라토르 MMA와 킥복싱에 출전하는 종합격투기 선수 가토 히사키.
  • 악샤이 쿠마르 발리우드 슈퍼스타와 무술가.
  • 타프시 판누 발리우드 여배우와 무술가.
  • 아이작 알메이다 작가 겸 배우, 최초의 주드 리드 시한의 멕시코 학생.
  • 블라디미르 조린 – 러시아 무술 국가대표팀 코치, 동부 무술 쿠도 국제 부문 심사위원, 러시아 쿠도 연맹 부회장, 검은 띠, 쿠도 6단, 저서 '쿠도의 재무'의 저자. 그는 로만 아나슈킨과 함께 러시아 쿠도의 시조 중 한 사람이다.
  • 이리나 바이코바 - 여자 절대체급 세계쿠도챔피언 2005, 18회 러시아 쿠도챔피언, 유럽 쿠도챔피언 2008이 쿠도에서 4번째 단을 보유하고 있다.

추가 읽기

  • 하미다시 가라테 (1982년) ISBN978-4892248214
  • "카루토 가라테 e노 미치(1984) ISBN 978-4892248924
  • "소고 카쿠토기 코도 니우몬"(2005) ISBN 978-4583038513

참고 항목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