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센누마

Kesennuma
케센누마
気仙沼市
Kesennuma City Hall
케센누마 시청
Flag of Kesennuma
Official seal of Kesennuma
Location of Kesennuma in Miyagi Prefecture
미야기 현의 게센누마 위치
Kesennuma is located in Japan
Kesennuma
케센누마
좌표: 38°54′29″N 141°34′11.8″E / 38.90806°N 141.569944°E / 38.90806; 141.569944좌표: 38°54′29″N 141°34′11.8″E / 38.90806°N 141.569944°E / 38.90806; 141.569944
나라일본.
지역도호쿠
미야기
정부
• 시장스즈키 노보루
면적
• 합계332.44km2 (1983.36 sq mi)
인구
(2020년 10월 10일)
• 합계61,147
• 밀도180/km2 (1980/sq mi)
시간대UTC+9(일본 표준시)
- 나무일본 흑송
- 꽃진달래
- 새갈매기
- 생선보니토
전화번호0226-22-6600
주소1-1-1 요카마치, 케센누마시 988-8501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케센누마(気ennum, 케센누마시)일본 미야기 현에 있는 시이다. 2020년 8월 1일 현재 이 도시는 2만6,390가구의 평방킬로미터(490/sq mi)당 예상인구가 5만9,803명, 인구밀도가 190명이었다.[1] 도시의 총 면적은 332.44 평방 킬로미터(128.36 제곱 미)이다.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진과 쓰나미, 주요 화재로 도시의 큰 구역이 파괴되었다.[2]

지리

케센누마는 미야기 현의 북동쪽 먼 구석에 있다. 이 도시는 케센누마 만 서부를 감싸고 있으며 오시마 섬도 포함하고 있다. 그것의 깊이 움푹 들어간 리아스 해안선은 아오모리 현까지 북쪽으로 뻗어 있는 산리쿠 후쿠코 국립공원의 남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

시는 동쪽으로 히로타 만, 케센누마 만, 태평양과 접하고, 남쪽으로 미야기 미나미산리쿠와 접한다. 이와테 현은 서쪽으로는 이치노세키 시, 북쪽으로는 리쿠젠타카타 시로 국경의 나머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케센누마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모토요시와의 경계에 있는 711.9m(2,336ft) 높이의 오모리 산이며, 가장 낮은 지점은 해수면이다. 오카와 강은 도시를 통과하여 케센누마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인근 자치구

미야기 현

이와테 현

기후

케센누마의 평균 기온과 강수량.

케센누마는 온화한 여름과 추운 겨울이 특징인 습한 기후(Köppen 기후 분류 Cfa)를 가지고 있다. 케센누마의 연평균 기온은 10.6℃이다. 연평균 강우량은 1279mm이며, 9월은 가장 습한 달이다. 평균 기온은 8월에 23.3℃로 가장 높으며 1월에 -0.7℃로 가장 낮다.[3] 최고기온은 36.0℃(96.8℃; 309.1K)로 1994년 8월 15일에 도달했고, 최저기온은 -12.6℃(9.3℃; 260.5K)로 1980년 2월 17일에 도달했다.[citation needed]

Kesennuma, 1981–2010 표준에 대한 기후 데이터
2월 3월 4월 5월 줄리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높은 °C(°F) 기록 15.7
(60.3)
17.2
(63.0)
23.5
(74.3)
30.8
(87.4)
34.0
(93.2)
33.0
(91.4)
36.7
(98.1)
36.4
(97.5)
34.9
(94.8)
27.6
(81.7)
23.4
(74.1)
20.5
(68.9)
36.7
(98.1)
평균 높은 °C(°F) 4.2
(39.6)
4.8
(40.6)
8.2
(46.8)
14.1
(57.4)
18.6
(65.5)
21.6
(70.9)
25.0
(77.0)
27.2
(81.0)
23.7
(74.7)
18.7
(65.7)
12.8
(55.0)
7.2
(45.0)
15.6
(60.1)
일평균 °C(°F) 0.1
(32.2)
0.5
(32.9)
3.4
(38.1)
8.8
(47.8)
13.4
(56.1)
17.1
(62.8)
20.8
(69.4)
22.9
(73.2)
19.3
(66.7)
13.6
(56.5)
7.8
(46.0)
2.9
(37.2)
10.9
(51.6)
평균 낮은 °C(°F) −3.5
(25.7)
−3.4
(25.9)
−1.1
(30.0)
3.7
(38.7)
8.6
(47.5)
13.4
(56.1)
17.7
(63.9)
19.6
(67.3)
15.6
(60.1)
9.2
(48.6)
3.2
(37.8)
−0.9
(30.4)
6.9
(44.4)
낮은 °C(°F) 기록 −12.5
(9.5)
−12.6
(9.3)
−9.8
(14.4)
−4.1
(24.6)
0.0
(32.0)
4.1
(39.4)
9.9
(49.8)
11.7
(53.1)
5.7
(42.3)
−0.3
(31.5)
−4.0
(24.8)
−10.1
(13.8)
−12.6
(9.3)
평균 강수량 mm(인치) 41.4
(1.63)
44.3
(1.74)
87.4
(3.44)
119.4
(4.70)
119.1
(4.69)
153.7
(6.05)
186.4
(7.34)
170.1
(6.70)
186.6
(7.35)
131.0
(5.16)
79.9
(3.15)
40.9
(1.61)
1,360.1
(53.55)
평균 강수일(평균 1.0mm) 6.2 5.9 9.5 9.0 9.9 10.9 13.3 11.0 11.9 9.2 7.9 6.6 111.5
월평균 일조시간 149.9 146.4 169.3 189.5 191.8 156.3 142.6 159.1 126.4 154.2 147.9 138.0 1,871.8
출처: 일본 기상청[4][5]

인구통계학

일본의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6] 케센누마의 인구는 지난 40년 동안 감소했다.

역사인구
연도Pop.±%
1920 43,824
1930 55,209+26.0%
1940 63,653+15.3%
1950 76,391+20.0%
1960 84,110+10.1%
1970 87,914+4.5%
1980 92,246+4.9%
1990 88,152−4.4%
2000 82,394−6.5%
2010 73,489−10.8%
2020 61,147−16.8%

역사

현재의 케센누마 지역은 고대 무쓰 국의 일부였으며, 해안 지역에서 발견된 수많은 조개껍데기 중간에서 증명되었듯이 적어도 에미시족에 의해 조몬 시대부터 정착되어 왔다. 헤이안 시대 후반기에는 후지와라 북부의 지배를 받았다. 센고쿠 시대에는 에도 시대 센다이다테 일족의 지배하에 들어오기 전, 도쿠가와 막부의 지배하에 여러 사무라이 일족의 경합이 있었다. 케센누마 마을은 1889년 6월 1일 미야기시 모토요시 군내에 근대 자치체제가 정착되면서 성립되었다.

케센누마 시는 1953년 6월 1일 케센누마 시가 이웃 도시 시시오리와 마쓰이와 마을을 합병하면서 형성되었다. 1955년 4월 1일, 시는 니쓰키 촌, 하시카미 촌, 오시마 촌을 합병했다. 2006년 3월 31일 카라쿠와 촌과 2009년 9월 1일 모토요시 촌(둘 다 모토요시 군 출신)도 게센누마 촌으로 편입되었다.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진에 이은 쓰나미로 도시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시 경계선에 포함된 오시마 섬과 주민 3000여 명은 쓰나미로 인해 여객선 연결에 피해를 입었다.[7] 쓰나미 이후 마을 어선에서 유출된 연료가 불에 타 나흘 동안 타버렸다.[8] 서울시는 2011년 4월 22일 현재 837명의 사망자와 1,196명의 실종자를 확인했다.[9]

2013년 8월 주민들은 2011년 쓰나미 때 거대한 파도에 휩쓸려 내륙으로 밀려온 교토쿠마루 18호 어선을 폐기하기로 결정했다. 그 배가 쓰나미의 상징이 되었기 때문에 기념물로 보존할 계획이 있었다.[10]

2014년 케센누마는 일본 최초의 '슬로우타운'[11]으로 지정됐다.

정부

케세누마는 직접 선출된 시장과 24명의 단일한 도시 입법부를 가진 시장-의회 형태의 정부를 가지고 있다. 케세누마는 모토요시 구와 함께 미야기 현 입법부에 3석을 기부하고 있다. 국가정치에 있어서는 일본 중의원 미야기 6구의 일부분이다.

이코노미

2006년 케센누마 어항

케센누마는 관광상업적 어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후자는 특히 상어, 참치, 태평양 꽁치, 스킵잭 참치 생산으로 알려져 있어 어항이 매우 활발히 유지되고 있다. 2011년 재난 이전에는, 이 도시는 보니토와 황어를 처리하는 데 일본에서 가장 바쁜 항구였다. 현재, 어업과 관련 산업이 그 도시 일자리의 85%를 차지한다.[12]

교육

케센누마는 14개의 공립 초등학교와 8개의 중학교가 마을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미야기 현 교육청이 운영하는 공립 고등학교 4개와 사립 고등학교 1개가 운영되고 있다.[13] 현청은 또한 하나의 특수 교육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교통

철도

JR logo (east).svg 동일본 철도 회사(JR East) - 케센누마 선(운행 무기한 중단, BRT 시스템으로 대체)

JR logo (east).svg 동일본 철도 회사(JR East) - 오후나토 선(운행 무기한 중단, BRT 시스템으로 대체)

고속도로

자매/우호 도시

국제

일본의 자매 도시

케센누마 출신 저명인사

참조

  1. ^ 케센누마 시 공식 통계 (일본어로)
  2. ^ "Blaze engulfs northeast Japan waterfront after quake". Reuters. March 11, 2011. Retrieved March 11, 2011.
  3. ^ 케센누마 기후 데이터
  4. ^ 気仙沼 平年値(年・月ごとの値) 主な要素. Japan Meteorological Agency. Retrieved 2019-12-16.
  5. ^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Japan Meteorological Agency. Retrieved 2019-12-16.
  6. ^ Kesennumapopulation 통계
  7. ^ 아사히신문, 2011년 3월 29일 "해일 때문에 섬나라 사람들이 본토와 단절했다"
  8. ^ 이코노미스트, 「일본의 재난: 10년 후에 돌아오다」, 2011년 3월 26일자 47-48면.
  9. ^ 블룸버그 L.P. "쓰나미 어업부문 추락" 재팬 타임스, 2011년 4월 26일 페이지 8.
  10. ^ Wingfield-Hayes, Rupert. "Japanese town to scrap marooned 'tsunami boat'". BBC News. Retrieved 13 August 2013.
  11. ^ 씨타슬로우 공식 홈페이지
  12. ^ 마츠야마, 카노코, 스튜어트 빅스(블룸버그 L.P) 「쓰나미 - 상해에 대한 모욕」, 재팬타임스, 2011년 4월 30일 페이지 3면.
  13. ^ 케센누마 시 홈 페이지 (일본어로)
  14. ^ a b c "International Exchange". List of Affiliation Partners within Prefectures.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5. Retrieved 21 November 20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