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보칸

Kaibōkan
1943년 5월 일본 에토로후.

가이보칸(海保kan, 海防艦)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이 호위 임무와 연안 방위를 위해 사용했던 해군 함정의 일종입니다. 호위함이라는 용어미국 해군이 일본 선박의 이 범주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2]

묘사

이 배들은 연합군 구축함 에스코트프리깃함에 해당하는 일본의 배들로, 세 종류의 군함 모두 함대 구축함을 대체하는 저렴한 대잠전으로 건조되었습니다.[3] 유사한 반면, 미국 해군의 구축함 호위는 IJN 내의 카이보칸과 약간 다른 역할을 했습니다. 즉, 카이보칸은 어뢰관을 탑재하지 않은 디젤 엔진 선박인 반면,[2] 연합군의 구축함 호위 계급의 많은 예는 보일러와 터빈 기계를 포함합니다. 그리고 어뢰를 운반했습니다. 이러한 설계상의 차이로 인해 카이보칸은 종종 호위 역할을 수행할 때 연합군 구축함 에스코트보다 열등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4] 또한 연합군 구축함 에스코트의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IJN이 화력과 속도가 떨어지는 일반 에스코트로 생각한 'D형 구축함'(丁型駆逐艦)으로 간주한 마츠급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카이보칸은 일본 추축국의 동맹국들 중 F급의 10척의 크릭스 해상 호위함과 루마니아 해군아미랄 무르게스쿠에 대응하는 것들이 있었습니다.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더 많은 수의 선박이 더 빨리 건조될 수 있도록 설계가 단순화되고 축소되었습니다.

오래된 정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 카이보칸은 전함에서부터 더 이상 쓸모없게 된 슬루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배들의 캐치올 명칭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함 미카사는 취역 후 19년이 지난 1921년에 카이보칸 1등함으로 재분류되었습니다.

처음 네 등급의 배들은 모두 일본의 섬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시무슈 클래스(이시가키)

  • A형이라고도 함 – 다목적 순찰, 호위 또는 지뢰 청소기.
  • 주 엔진: 디젤 X 2, 이중 샤프트(3,100kW(4,200shp)
  • 최고 속도: 36.5km/h (19.7kn)
  • 항속거리: 15,000km(8,000nmi)(30km/h(16kn))
  • 연료 : 오일X120t

Etorofu class (Matsuwa)

  • 수정된 A타입
  • 주 엔진: 디젤 X 2, 이중 샤프트(3,100kW(4,200shp)
  • 최고 속도: 36.5km/h (19.7kn)
  • 항속거리: 15,000km(8,000nmi)(30km/h(16kn))
  • 연료 : 오일X120t

미쿠라급(치부리)

  • B형이라고도 함
  • 주 엔진: 디젤 X 2, 이중 샤프트(3,100kW(4,200shp)
  • 최고 속도: 36.1km/h (19.5kn)
  • 항속거리: 11,000km(6,000nmi)(30km/h(16kn))
  • 연료 : 오일X120t

우쿠루 클래스(오키나와)

  • 수정된 B타입
  • 주 엔진: 디젤 X 2, 이중 샤프트(3,100kW(4,200shp)
  • 최고 속도: 36.1km/h (19.5kn)
  • 항속거리: 10,656km(5,754nmi)(30km/h(16kn))
  • 연료 : 오일X120t

C형과 D형

엔진이 다른 동일한 디자인; 타입 C용 디젤 및 타입 D용 터빈. 전쟁 중에 120개 이상이 양산되었고, 모듈식 설계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다른이들

또한 이오시마야소시마로 이름을 바꾼 두 대의 중국 경순양함이 사용되었습니다.

참고 항목

각주

  1. ^ 카이보칸의 일반적인 대체 영어 번역. 다른 역할을 수행한 12인치 이상의 총을 가진 모니터와 같은 다른 소형 해군의 "해안 방어선"과 혼동하지 마십시오.
  2. ^ A형(가게로급, 유구모급), B형(아키즈키급), C형(시마카제급) 구축함과 달리 미국 구축함과 더 유사한 형태입니다.

참고문헌

메모들

  1. ^ Hackett, Bob; Kingsepp, Sander; Cundall, Peter (15 September 2013). "Stories and Battle Histories of the IJN's Escorts". Combinedfleet.com. Retrieved 19 October 2013.
  2. ^ a b 일본에 대한 미 해군 기술 임무 보고, 시리즈: 함정관련 표적. JM-200-G, S-01-2. 일본 해군 함정의 특성-제2조, 표층함 기계설계. 49-52페이지
  3. ^ 포터, E.B.; 니미츠, 체스터 W. (1960) 씨 파워. 프렌티스 홀, 550쪽
  4. ^ Stille, Mark (2017). Imperial Japanese Navy Antisubmarine Escorts 1941–45. Bloomsbury Publishing. p. 46. ISBN 978-1472818188.
  5. ^ Stille, Mark (2013). Imperial Japanese Navy Destroyers 1919–45 (2). Bloomsbury Publishing. p. 38. ISBN 978-1849089883.
  6. ^ 일본에 대한 미 해군 기술 임무 보고, 시리즈: 함정관련 표적. JM-200-G, S-01-4. 일본 해군 함정의 특성-제4조 표층함. 1 페이지

원천

  • Dodson, Aidan & Cant, Serena (2020). Spoils of War: The Fate of Enemy Fleets after Two World Wars. Barnsley, UK: Seaforth Publishing. ISBN 978-1-5267-4198-1.
  • 2011년 7월 9일 밥 해켓, 샌더 킹셉, 피터 컨달의 IJN 에스코트 이야기와 전투사
  • 키마타 지로(木俣 滋郎). 일본 연안 방어선의 군사사('日本海防艦戦史'). 토슈출판 (図書出版社), 1994년 299쪽

더보기

  • Stille, Mark (2017). Imperial Japanese Navy Antisubmarine Escorts 1941–45. Oxford: Osprey. ISBN 9781472818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