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코트 캐리어

Escort carrier
에스코트 캐리어 HMS 대담성

미국 해군(USN)에서 "지프 캐리어" 또는 "베이비 플랫탑" 또는 "울워스 캐리어"라고도 불리는 호위 항공모함 또는 호위 항공모함(미국 선체 분류 기호 CVE)은 영국 해군, 일본 해군사용한 작고 느린 형태의 항공모함이었다.제2차 세계대전 당시 공군.그들은 일반적으로 대형 함대 수송기의 절반과 1/3을 이동시키고, 더 느리고, 더 가벼운 무장을 하고, 더 적은 수의 비행기를 실었다.에스코트 캐리어들은 대부분 상업용 선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될 수 있었다.이것은 함대 수송선이 부족할 때 임시방편으로 더 많은 수를 완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주된 이점이었다.하지만, 보호의 부족은 호위 수송선을 특히 취약하게 만들었고, 몇 명은 큰 인명 피해와 함께 침몰했다.경항공모함(미국 선체분류기호 CVL)은 대부분의 면에서 호위항공모함과 유사하지만 함대항공모함과 함께 운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빨랐다.

호위 항공모함은 함대, 전함, 순양함으로 구성된 주력 부대를 따라가기에는 너무 느렸다.대신, 그들은 잠수함이나 비행기와 같은 적의 위협으로부터 그들을 방어하면서 호송하는 데 사용되었다.유럽 본토와 태평양 섬들의 침략에서, 호위 항공모함들은 수륙양용 작전 동안 지상군에 공중 지원을 제공했다.에스코트 항공모함은 또한 함대 항공모함의 예비 항공기 수송 역할을 했으며, 모든 군 복무 항공기를 인도 지점까지 수송했다.

대서양 전투에서는 호위 수송선이 U보트로부터 호위함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처음에는 호위 항공모함이 상선과 동행하여 항공기와 잠수함의 공격을 막아내는 데 도움을 주었다.전쟁 후반의 숫자가 증가하자, 호위 항공모함들은 또한 특정 호위대에 소속되지 않고 잠수함을 찾는 사냥꾼-살해 단체의 일부가 되었다.

태평양 전역에서는 CVEs가 레이테만 전투에서 지상군을 공중 지원했다.그들은 고속 항모 기동대의 보호에 의존하여 적 함대에 대항할 속도와 무기가 부족했다.하지만, 사마르 앞바다에서 벌어진 전투에서는, 미국의 호위 항공모함과 구축함들로 구성된 한 기동 부대가 훨씬 더 많은 전함과 순양함들로 이루어진 일본군에 맞서 성공적으로 방어에 성공했다.일본군은 항공모함, 구축함, 구축함 호위함의 맹렬한 방어를 만났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에서 건조된 151척의 항공모함 중 122척이 호위함이었지만 그 예는 남아있지 않다.카사블랑카급은 50척이 진수된 가장 많은 항공모함이었다.두 번째는 보그 클래스로 45개가 출시되었습니다.

발전

1920년대 초, 워싱턴 해군 조약은 5대 해군 대국의 항공모함의 최대 크기와 총 톤수에 제한을 가했다.이후의 조약들은 대체로 이러한 조항들을 지켰다.그 결과, 제2차 세계대전이 유럽에서 확대됨에 따라, 제2차 세계대전 사이의 건조는 항공모함의 운용상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했다.항공기를 먼 기지로 동시에 수송하고, 수륙양용 침공을 지원하고, 대체 조종사를 위한 항공모함 착륙 훈련을 제공하고, 대잠 순찰을 실시하고, 배치된 전함과 순양함을 위한 방어용 공중 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함대 항공모함이 너무 적었다.전술한 임무 요건은 타란토 전투진주만 공격에서 증명된 함대 항공모함의 독특한 공격력 사용을 제한했다.기존 선박(및 다른 목적으로 건조 중인 선체)을 개조하여 새로운 건조가 가능할 때까지 추가 항공모함을 제공하였다.

미국은 순양함과 여객선이 함대와 비슷한 속도로 개조되는 것을 전투함대 속도로 운항할 수 있는 경항공모함(항만분류기호 CVL)으로 식별했다.느린 전환은 "에스코트 캐리어"로 분류되었고 조종사 훈련과 먼 기지로의 항공기 수송에 적합한 해군 보조 기수로 간주되었다.

영국 해군은 1930년대에 [1]자국의 무역로를 방어할 항모의 필요성을 인식했었다."무역 보호 운송선"과 5개의 적절한 개조를 위해 식별된 라이너를 위한 설계가 준비되었지만, 그 이상의 조치는 주로 건조 중인 비행대 운송선조차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행되지 않았다.그러나 1940년까지 그 필요성이 시급해졌고 HMS Audicity는 나포된 독일 상선 MV 하노버에서 개조되어 1941년 [2]7월에 취역했다.독일 항공기로부터의 방어를 위해 호위함에는 전투기 한 를 실을 수 있는 투석기CAM 함정이 우선 공급됐다.그 사이에 호위 항공모함이 공급되기 전에, 그들은 4대의 항공기를 운항할 수 있는 상선 항공모함도 들여왔다.

1940년 윌리엄 할시 제독은 조종사 훈련을 [3]위한 해군 보조기 건설을 추천했다.1941년 초, 영국은 미국에게 개선된 Audacity 디자인의 6척의 항공모함을 대신 만들어달라고 요청했지만, 미국은 이미 그들만의 호위 항공모함을 [4]시작했다.1941년 2월 1일, 미국 해군 작전 사령관은 항공기 [5]수송을 위한 해군 보조기 건설을 우선시했다.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건조된 미국 선박은 1942년 2월에 AVG(Auxiliary Aircraft Essistant Vessel)로, 그 [6]후 1942년 8월 5일에 ACV(Auxiliary Aircraft Carmer)로 불렸다.이 유형의 첫 번째 미국 사례는 USS 롱아일랜드였다.횃불 작전과 북대서양 대잠수함전은 이들 선박이 무역의 속도로 이동하는 선박 편대 또는 수륙양용 침략 호송용 항공모함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1943년 7월 15일 호위 항공모함(CVE)에 대한 미국의 분류 개정에는 보조에서 [7]전투원으로의 격상된 지위가 반영되었다.그것들은 비공식적으로 "지프 캐리어" 또는 "베이비 플랫탑"으로 알려져 있다.중도에서 공해에서 낮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 경항모보다 호위 항공모함이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이 금방 밝혀졌다.Investment Bay 클래스는 보다 안정적인 선체에 미국 CVL의 최고의 기능을 저렴한 추진 [8]시스템으로 통합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승무원들 사이에서 CVE는 "Combustible, Vulnerable, and Expendable"의 약자로 비꼬았고, CVE는 카사블랑카급 제조업체인 Henry J.[9][10] Kaiser의 이름을 따서 "Kaiser cofs"라고 불렸다.매거진 보호는 [11]함대 항공모함에 비해 미미했다.HMS 어벤저는 어뢰 하나로 몇 분 만에 침몰했고, HMS 대셔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발로 매우 큰 인명 손실을 입었습니다.에스코트 캐리어 3개:USS St. Lo, Ommaney Bay, 그리고 비스마르크 해는 그러한 운명에 맞닥뜨린 가장 큰 배인 가미카제들에 의해 파괴되었다.

연합군의 호위 항공모함은 일반적으로 약 500피트(150m) 길이로, 같은 시대의 거의 900피트(270m) 함대 항공모함의 절반도 채 되지 않았지만, 그 이하의 크기였다.무게의 1/3일반 호위 항공모함이 약 8,000톤(8,100t)을 대체한 데 비해, 일반 호위 항공모함은 약 30,000톤(3,000t)을 대체했다.항공기 격납고는 일반적으로 비행 갑판 아래 13 정도만 운행했으며 24~30대의 전투기와 폭격기를 하나의 "복합 편대"로 편성했다.이에 비해 당시 에식스급 함대는 전투기, 폭격기, 어뢰 폭격기 중대로 편성된 103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었다.

이 배들의 섬(초구조)은 작고 비좁았으며 깔때기보다 훨씬 앞에 위치해 있었다(깔때기가 섬에 통합된 보통 크기의 운반선과 달리).최초의 에스코트 캐리어에는 항공기 엘리베이터가 1대뿐이었지만, 1대의 캐터펄트와 함께 2대의 엘리베이터(전방과 후방)를 갖춘 것이 곧 표준이 되었다.대형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케이블과 테일 훅을 고정하는 방식, 발사 및 회수 절차도 동일했다.

승조원 규모는 대형 항공모함의 3분 1에도 못 미쳤지만, 이는 여전히 대부분의 해군 함정보다 큰 규모였다.미국의 호위 항공모함들은 난장판 외에도 게덩크바라고 불리는 상설 매점이나 스낵바 같은 시설을 갖출 만큼 충분히 컸다.그 바는 엉망진창보다 더 오랫동안 문을 열었고 담배와 다른 소모품들과 함께 몇 가지 맛의 아이스크림을 팔았다.기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판기도 몇 대 있었다.

총 130대의 연합군 호위 수송선이 전쟁 중에 진수 또는 개조되었다.이들 중 6척은 영국 상선의 개조품이었다: HMS Audacity, Nairana, Campania, Activity, Pretoria Castle, Vindex.나머지 호위용 항공모함은 미국이 만든 것이었다.영국처럼 미국의 첫 호위선은 상선(상암온급에서는 군용유선)으로 개조됐다.보그급 항공모함은 C3형 화물선의 선체를 기반으로 했다.CasablancaInditionment Bay 클래스의 마지막 69개의 에스코트 캐리어들은 이전 클래스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목적에 맞게 설계되고 제작된 캐리어들이었다.

영국 해군

원래는 영국의 요청에 따라 해군 공격 부대의 일부가 아닌 북대서양 호위함의 일부로 활동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생산된 호위 항공모함의 대부분은 대여법에 따라 전쟁 기간 동안 영국 해군에 배치되었다.그들은 영국과 네덜란드가 전용 호위 항공모함을 이용할 수 있을 때까지 긴급조치로 취역시킨 개조 상선들을 보완하고 교체했다.호송 호위함으로서, 영국 해군은 항공 정찰기를 제공하고, 적의 장거리 정찰기를 물리치고, 점점 더 많은 잠수함을 발견하고 사냥하는 데 사용되었다.종종 추가적인 호위 수송선이 미국에서 영국으로 항공기를 나르는 호송선에 합류했다; 격납고뿐만 아니라 비행 갑판에 항공기를 보관함으로써 두 배의 항공기를 운반할 수 있었다.

영국 해군에 파견된 배들은 부분적으로 그 서비스의 전통에 맞게 약간 수정되었다.무엇보다도 아이스크림 제조기계가 제거되었는데, 그 이유는 아이스크림 제조기가 그로그 배급을 제공하는 배에서 불필요한 사치품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세탁실 세탁기는 영국 선원이 청결하게 유지하면 양동이와 비누 한 개(워릴로우에서 인용)이기 때문에 철거됐다.

기타 변경사항은 북대서양에서 운항할 때 북극 수송대를 지원하기 위해 완전히 밀폐된 격납고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미국 해군 복무

진주만에 대한 공격은 항공모함의 긴급한 필요성을 제기했고, 그래서 일부 T3 유조선은 호위함으로 전환되었다; USS Suwannee는 T3 유조선 선체 AO-33이 호위함으로 재건된 사례이다.T3 유조선의 크기와 속도는 T3를 유용한 호위 수송선으로 만들었다.T3 선체 운반선에는 상암온급과 인시덴션베이급[12][13][14]두 가지 등급이 있었다.

미국은 호위용 항공모함의 용도를 자체 발견했다.북대서양에서는 대잠전에 대한 공중 지원을 통해 호위 구축함을 보충했다.이들 호위함 중 하나인 USS 과달카날은 1944년 북아프리카 앞바다에서 U-505를 나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태평양 전선에서 호위함은 빠른 항모 공격대와 함께 항행할 수 있는 속도가 부족했기 때문에 에서의 호위 작전 동안 종종 상륙함과 병력 수송선을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다.이 역할에서 그들은 부대에 공중 엄호를 제공하고 상륙작전에서 해안 요새에 대한 첫 번째 공격을 날렸다.때때로, 그들은 심지어 대형 항공모함들을 호위하기도 했는데, 비상 공습대 역할을 하고 그들의 언니들을 위해 전투기를 엄호하기도 했다.그들은 또한 항공기와 예비 부품들을 미국에서 멀리 떨어진 섬 활주로로 운송했다.

사마르와의 전투

USS 감비에르 만은 이전의 총격 피해로 인해 불타고 있으며, 사마르 해전에서 침몰하기 직전 일본 중순양함에서 발사된 포탄으로 둘러싸여 있다.

호위 수송대가 중요한 역할을 한 전투는 1944년 10월 25일 필리핀 사마르 앞바다에서 벌어진 전투였다.일본군은 윌리엄 할시 주니어 제독을 유인하여 그의 강력한 3함대로 미끼 함대를 추격하게 했다.이로 인해 16개의 소형 및 저속 호위 항공모함 450여대가 3개 태스크 유닛(태피)에 편성되어 지상군을 폭격하기 위해 무장했으며, 레이테 만에 무방비 부대와 보급선을 보호하기 위해 구축함과 느린 구축함 호위함의 보호막을 설치했다.이 지역에는 일본의 위협은 없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무시무시한 야마토함,[15] 순양함 8척, 구축함 11척을 포함한 4척의 전함이 레이테만을 향해 출항했다.태피족만이 일본군의 공격을 방해했다.

저속운반선은 30노트(35mph; 56km/h) 순양함을 앞지르지 못했다.그들은 항공기를 띄우고 연막의 도움을 받아 1시간 이상 포화를 피하기 위해 기동했다."태피3"는 싸움의 정면으로 맞섰다.태피함은 대부분 갑옷이 없는 얇은 선체를 폭발시키지 않고 관통하는 갑옷 천공 탄환으로 수십 발의 공격을 받았다. 전투에서 침몰한 USS 갬비어 베이는 전쟁에서 적의 지상 포화에 의해 손실된 유일한 미국 항모였다. 이 항모 한 척에 대한 일본군의 집중 사격이 다른 항모들의 탈출을 도왔다.항공모함의 유일한 실질적인 무장은 선미에 장착된 127mm(5인치)의 다목적 함포였지만 추격하는 일본 순양함은 이 함포의 사정권에 근접했다.포탄 중 하나가 불타고 있는 일본 중순양함 조카이호를 손상시켰고, 뒤이어 항공기가 투하한 폭탄이 순양함 전방 기계실에 떨어져 그녀는 물에 빠져 죽었다.가미카제 공격은 USS St Lo를 침몰시켰고, 다른 배를 공격하던 가미카제 항공기는 격추되었다.결국 일본 지상군은 실제보다 더 강한 세력과 맞닥뜨렸다고 믿고 철수했다.일본 함대가 입은 피해의 대부분은 구축함이 발사한 어뢰와 항공모함에서 발사한 폭탄에 의한 것이었다.

미 해군은 산호해와 미드웨이 전투를 합친 것보다 비슷한 수의 함정과 더 많은 병력을 잃었다.

배들

많은 호위 항공모함이 영국에 대여되었고, 이 목록에는 각 해군의 복무 내역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 롱아일랜드 클래스:USN 서비스(USS Long Island)와 영국 서비스(HMS Archer)의 2척.
  • 어벤저 클래스:4척, 주로 USN 서비스(USS Charger)와 영국 서비스 3척.
  • 상암온 클래스:4척, 모두 USN 서비스 중입니다.
  • Bogue 클래스: 45척, USN 서비스 11척, 영국 서비스 34척, 공격자 클래스(제1그룹) 지배자 클래스(제2그룹)입니다.
  • 카사블랑카 클래스: 50척, 모두 USN 서비스입니다.
  • 졸업식 베이 클래스: 19척, 모두 USN 서비스 중. 2척은 수용되었지만 취역하지 않아 전쟁 후 오랜 세월 동안 퇴역했습니다.건물 슬립에 네 채가 더 취소되고 폐기되었다.엑시덴션 베이급 선박은 지금까지 [16]건조된 것 중 가장 훌륭한 호위 수송선으로 여겨졌으며, 전쟁 후에도 훈련용 항공모함, 항공기 페리 및 기타 보조 용도로 여러 부대가 계속 취역했다.

게다가, 6대의 호위 항공모함이 전쟁 중에 영국에 의해 다른 유형에서 개조되었다.

아래 표에는 동일한 임무를 수행하는 호위 수송선 및 유사 선박이 나열되어 있습니다.처음 4척은 초기 함대 항공모함으로 건조되었다.상선 항공모함(MAC)은 운용 항공기 외에 무역 화물을 운송했다.항공기 수송은 운용 인력의 수용 시설을 없애고 연료와 탄약을 저장함으로써 더 많은 수의 비행기를 수송했다.

이름. 날짜. 국가 변위 스피드 항공기 메모들
HMS 아르고스 1918 영국 14,000톤 (순) 20kn(37km/h, 23mph) 18 변환 라이너
USS 랭글리 1922 미국 11,500톤 15 kn (28 km/h, 17 mph) 30 변환 탄광기
호쇼 1923 일본. 7,500톤 (표준) 25kn(46km/h, 29mph) 12 초기 함대 항공모함
HMS 헤르메스 1924 영국 10,850톤 (표준) 25kn(46km/h, 29mph) 12 초기 함대 항공모함
HMS의 대담성 1941 영국 11,000톤 15 kn (28 km/h, 17 mph) 6 상인[17] 전환
USS 롱아일랜드, HMS 아처 1941 미국 및 영국 9,000톤 17 kn (31 km/h, 20 mph) 15–21 상인의 전환
HMS 어벤저, 비터, 대셔, USS 충전기 1941 미국 및 영국 8,200톤 17 kn (31 km/h, 20 mph) 15–21 상인의 전환
타이요, 운요, 주요 1941 일본. 17,830톤 (표준) 21kn(39km/h, 24mph) 27 개폐 라이너
HMS 액티비티 1942 영국 11,800톤 (표준) 18kn(33km/h, 21mph) 10–15 상인 전환
보그 클래스 1942 미국 및 영국 9,800톤 18kn(33km/h, 21mph) 15–21 C-3 상선 45대 개조
USS 상암온, 스와니, 체낭고, 산티 1942 미국 11,400톤 (표준) 18kn(33km/h, 21mph) 31 개조 유류선
아키쓰마루, 니쓰마루 1942 일본(육군) 11,800톤 (표준) 20kn(37km/h, 23mph) 8 헤이형 상륙선박으로 개조된 정기선
캄파니아 주 1943 영국 12,400톤 (표준) 18kn(33km/h, 21mph) 18 상인 전환
인덱스 1943 영국 13,400톤 (표준) 16kn(30km/h, 18mph) 15–20 상인 전환
나이라나 1943 영국 14,000톤 (표준) 16kn(30km/h, 18mph) 15–20 상인 전환
라파나 클래스(Acavus, Adula, Alexia, Amastra, Ancylus, Gadila, Macoma, Miralda, Rapana) 1943 영국 12,000톤 12 kn (22 km/h, 14 mph) 3 상선 항공모함으로 개조된 유조선
카사블랑카 클래스 1943 미국 7,800톤 19 kn (35 km/h, 22 mph) 28 호위 항공모함으로 건조된 50척
카이요 1943 일본. 13,600톤 (표준) 23 kn (43 km/h, 26 mph) 24 변환 라이너
HMS 프리토리아 1943 영국 17,400

톤(표준)

18kn(33km/h, 21mph) 21 상인 전환
엠파이어 맥알파인, 엠파이어 맥앤드류, 엠파이어 맥레이, 엠파이어 맥켄드릭, 엠파이어 맥칼럼, 엠파이어 맥더못 1943 영국 8,000톤 (총) 12 kn (22 km/h, 14 mph) 4 상선 수송용 곡물
엠파이어 맥케이브, 엠파이어 맥케이, 엠파이어 맥마흔, 엠파이어 맥콜 1943 영국 9,000톤 (총) 11kn(20km/h, 13mph) 3 유조선 상선
졸업식 베이 클래스 1944 미국 10,900톤 19 kn (35 km/h, 22 mph) 34 19 호위 항공모함으로 건조
신요 1944 일본. 17,500톤 22 kn (41 km/h, 25 mph) 33 변환 라이너
야마시오마루 클래스 1945 일본(육군) 16,119톤 (표준) 15 kn (28 km/h, 17 mph) 8 개조 유조선
구마노마루 1945 일본(육군) 8,258톤 (표준) 19 kn (35 km/h, 22 mph) 8–37 M형 화물선 헤이형 상륙정 수송기로 개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상대 캐리어 크기

보그급 호위함 인디펜던스급 경차[18] 에식스급 함대[19] 항공모함 일류 함대 항공모함
길이: 495 피트 (150 m) 625피트(191m) 875피트(267m) 740 피트 (226 m)
빔: 69 피트(21 m) 72 피트 (22 m) 92피트(28m) 95피트(29m)
변위: 9,800 t 11,000 t 27,100 t 23,000 t
무장 5인치/38구경 건×1, 경량 AA 라이트 AA 5인치/38구경포 12문, 경량 AA QF 4.5인치 Mk I – V 해군포 16문
갑옷 없음. 50~125mm 150 ~ 200 mm 75 mm 갑판
항공기: 24 33 90 57
속도: 18kn(33km/h, 21mph) 32kn(58km/h, 36mph) 33kn(61km/h, 38mph) 31 kn (56 km/h, 35 mph)
승무원: 850 1,569 3,448 817 + 39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몇 년 동안 해군 항공에 많은 혁명적인 신기술, 특히 헬리콥터와 제트 전투기가 등장했고, 이로 인해 전략과 함정의 임무에 대해 완전히 재고하게 되었다.비록 한국 전쟁 중에 몇몇 최신의 졸업식 베이급 CVE가 부유 비행장으로 배치되었지만, 호위 항공모함을 발전시킨 주된 이유는 사라졌거나 새로운 무기로 더 잘 대처할 수 있었다.헬리콥터의 출현은 헬리콥터 갑판을 갖춘 프리깃함이 호송함에서 CVE의 역할을 이어받으면서 잠수함 사냥꾼으로서 평상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함정에 탑재된 유도탄 발사대가 항공기 보호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기내 급유를 통해 수송기나 초계기를 위한 기착지 부유식 기착지의 필요성이 없어졌다.그 결과, 졸업식 베이 클래스 이후, 새로운 호위 수송선이 설계되지 않았고, 해군 규모를 축소할 때마다 CVE는 가장 먼저 폐기되었다.

많은 의 항공기를 운반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베트남 전쟁 초기 몇 년 동안 몇몇 호위 항공모함이 다시 취역하게 되었다.AKV(항공 수송 보조기)로 재지정된 이 기종은 민간 승무원에 의해 조종되었으며 미국에서 남베트남의 육군, 공군 및 해병 기지로 항공기 전체와 예비 부품을 나르는 데 사용되었다.단, 이 역할에서 CVE가 도움이 된 것은 한정된 기간뿐입니다.일단 모든 주요 항공기에 급유 탐침이 장착되면, 항공기를 수송하는 대신 기지로 직접 비행하는 것이 훨씬 쉬워졌다.

호위함 역사의 마지막 장은 두 가지 전환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으로, USS 테티스 만은 항공모함에서 순수 헬리콥터 항모(CVHA-1)로 개조되었고 해병대가 첫 번째 수륙양용전 작전을 위해 공격용 헬리콥터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후에 테티스 만은 완전한 수륙양용 공격선이 되었다.P-6)이 되었다.비록 1955년부터 1964년까지만 근무했지만, 그녀의 훈련에서 얻은 경험은 오늘날의 강습상륙함 설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1년 두 번째 전환으로 USS 길버트 아일랜드는 모든 항공기 조종 장비를 제거하고 길고 평평한 갑판에 4개의 높은 라디오 안테나를 설치했다.격납고 갑판에는 항공기 대신 24대의 군용 무선 송신 트럭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었다.USS 아나폴리스로 개명된 이 배는 통신 중계선으로 사용되었고 베트남 전쟁 내내 지상군과 본국 사령부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수상 라디오 방송국으로 충실히 근무했다.테티스 만과 마찬가지로 1976년 아나폴리스가 격침되기 에 얻은 경험은 오늘날의 블루 리지급 특수 수륙양용 지휘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대부분 박물관이나 항구에서 볼 수 있는 제2차 세계 대전의 거의 모든 주요 등급의 배와 순시선과 달리, 호위 항공모함이나 미국의 경비함은 살아남지 못했다; 모든 것이 전쟁 중에 파괴되거나 이후 수십 년 동안 해체되었다.미국 해군 전투함 사전에는 해군 복무 중인 마지막 호위함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USS 아나폴리스—1979년 12월 19일 폐기 처분으로 매각되었다.미국의 마지막 경항모(호위함보다 빠른 자매형)는 USS 카봇으로, 이 선박을 10년 동안 보존하려다 2002년에 해체되었다.

냉전 후반기에, 미국이 설계한 해상 관제선은 비슷한 [20]역할을 하도록 의도되었다; 실제로 건조된 것은 없지만, 스페인 항공모함 프린시페아스투리아스태국 HTMS 차크리 나루벳은 이 컨셉에 기초하고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전체 목록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메모들

  1. ^ 헤이그 1998, 83페이지
  2. ^ 브라운 2000, 페이지 62~63
  3. ^ 프리드먼 1983, 페이지 162
  4. ^ 브라운 2000, 페이지 63
  5. ^ 프리드먼 1983, 페이지 165
  6. ^ Evans, Robert L. (August 1976). "Cinderella Carriers". Proceeding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p. 53–60.
  7. ^ 프리드먼 1983, 159-160페이지
  8. ^ 프리드먼 1983, 페이지 159
  9. ^ "In defense of Henry J. Kaiser's World War II ship quality". about.kaiserpermanente.org. Retrieved 22 November 2021.
  10. ^ "Henry Kaiser's escort carriers and the Battle of Leyte Gulf". about.kaiserpermanente.org. Retrieved 22 November 2021.
  11. ^ 프리드먼 1983, 페이지 176
  12. ^ Toppan, Andrew (1 January 1998). "World Aircraft Carriers List: U.S. Escort Carriers, T3 Hulls". HazeGray.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ugust 2020. Retrieved 5 April 2021.
  13. ^ Krueger-Kopiske, Karsten-Kunibert (2007). "Outboard Profiles of Maritime Commission Vessels – The Tanker Designs and her Convers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20. Retrieved 5 April 2021.
  14. ^ Priolo, Gary P. (15 January 2021). "USS Mispillion (T-AO-105)". NavSource.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anuary 2021. Retrieved 5 April 2021.
  15. ^ Schultz, L. R. (Spring 1977). "COMINT and the Torpedoing of the Battleship Yamato" (PDF). Cryptologic Spectrum. Fort Meade, Maryland: National Security Agency: 20–23. Retrieved 5 April 2021.
  16. ^ 프리드먼 1983, 199페이지
  17. ^ 브라운 1995, 173페이지
  18. ^ 브라운 1977, 페이지 63
  19. ^ 브라운 1977, 페이지 61
  20. ^ "Sea Control Ship". GlobalSecurity.org. 22 February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20. Retrieved 5 April 2021.

레퍼런스

  • Brown, David (1977). Aircraft Carriers. Arco Publishing Company. ISBN 0-668-04164-1.
  • Brown, David (1995). Warship Losses of World War Two.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914-X.
  • Brown, David K. (2000). Nelson to Vanguard: Warship Design and Development 1923–1945. British Warship Development. Chatham Publishing. ISBN 1-86176-136-8.
  • Friedman, Norman (1983). U.S. Aircraft Carriers.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739-9.
  • Hague, Arnold (1998). Convoy Rescue Ships 1940–1945. World Ship Society. ISBN 0-905617-88-6.

추가 정보

  • Adcock, Al (1996). Escort Carriers in Action. Carrollton, Texas: Squadron/Signal Publications. ISBN 978-0-89747-356-9.
  • Gallery, Daniel V. (1965). 20 Million Tons Under The Sea. New York: Ballantine.
  • Galuppini, Gino (1981). Le Guide des Porte-Avions [The Aircraft Carrier Guide] (in French). Paris: Fernand Nathan.
  • Goldberg, Mark H. (1992). Caviar & Cargo: The C3 Passenger Ships. American Merchant Marine History Series. Vol. II. North American Maritime Books.
  • Morison, Samuel E. (1958). Leyte: June 1944 – January 1945.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Vol. XII. Edison, New Jersey: Castle Books. ISBN 0-7858-1313-6.
  • Poolman, Kenneth (1972). Escort Carrier 1941–1945: An Account of British Escort Carriers in Trade Protection. London: Ian Allan.
  • Warrilow, Betty (1989). Nabob, the First Canadian-manned Aircraft Carrier. Owen Sound, Ontario: Escort Carriers Association.
  • Y'Blood, William T. (1987). The Little Giants: U.S. Escort Carriers Against Japan.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275-3.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의 에스코트 캐리어 관련 미디어